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논문 : 일제강점기 전통 지식인의 고뇌 -김문옥(金文鈺)의 전(傳) 연구-

        정길수 ( Kil Soo Chu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인문학연구 Vol.0 No.40

        曉堂 金文鈺(1901~1960)은 ``호남의 마지막 유학자``로 알려져 있다. 김문옥의 문집인 『曉堂集』에는 학자로서의 면모 이상으로 ``文人``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이 상당수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그 중 傳작품 전체, 곧 「玄山李公家傳」, 「滄溪金公家傳」, 「金司果傳」, 「安義將傳」, 「檜山黃孺人傳」, 「李氏兩世三孺人家傳」, 「韓母沈孺人傳」을 살펴보았다. 일곱 편의 傳은 크게 셋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玄山李公家傳」과 「滄溪金公家傳」은 전통 漢學교육을 받은 지식인으로서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近代와 맞닥뜨려야 했던 ``舊時代지식인``의 초상을 그린 작품이다. 「金司果傳」과 「安義將傳」은 日帝의 폭압에 저항했던 義人의 면모를 그려낸 작품이다. 「檜山黃孺人傳」, 「李氏兩世三孺人家傳」, 「韓母沈孺人傳」은 ``가문의식``을 비롯한 전통 시대의 가치관에 충실했던 여성들의 고단한 삶과 작은 성취를 그려낸 작품이다. 김문옥의 傳은 立傳대상의 행적을 그리는 ``本事``에서 객관적이고 간결한 서술로 일관하고, ``論贊``에 서술자의 판단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傳의 일반적인 특징을 공유하되, ``本事``의 기술이 통상적인 수준 이상으로 사실 전달 자체에 치중되어 있다. 문장 수식이 극도로 배제되어 서사적 흥미가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이 점 ``因文求道``라는 생각에 입각한, 의도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세 부류의 작품들에서 김문옥은 선비로서의 자존심을 지켜 내고자 했던 선배 지식인에 대해서는 존경의 시선을 보내며 그들의 불운을 안타까워했고, 목숨을 걸고 불의에 항거했던 義人에 대해서는 그 기개와 충정을 선양하고자 했으며, 위기에 처한 가문을 보전한 여성들에 대해서는 그들의 정성과 성취를 높이 평가했다. 전통 지식인의 고뇌와 의인의 저항에 초점을 맞춘 앞의 두 부류 못지않게 여성을 입전한 세 작품 역시 시대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적으로는 고난을 참고 살아남아 가문을 보전한 여성들의 공로를 기리는 내용이지만, 그 이면에 자신이 배워 온 가치가 흔들리고 나라를 상실한 자리에 선 전통 지식인의 고민이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Hyodang曉堂 Kim Moon-ok金文鈺(1901~1960) is known as the last Confucian scholar in Honam湖南. I researched all of his biographical literature(jeon傳) in Hyodang-jib曉堂集, his collection of works. His biographical literature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1) Hyeonsan-Yigong-gajeon玄山李公家傳(a biography of Yi Hyeon-Kyu 李玄圭), Changgye-Kimgong-gajeon滄溪金公家傳(a biography of Kim Soo金銖): Portraits of an outdated intellectual who encountered the gloomy modern times. 2) Kimsagwa-jeon金司果傳(a biography of Kim Ji-ho金志浩), Ahnuijang -jeon安義將傳(a biography of Ahn Kyu-hong安圭洪): Portraits of an righteous perso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3) Hoesan-Hwangyuin-jeon檜山黃孺人傳, Yissiyangse-samyuin-gajeon 李氏兩世三孺人家傳, Hanmo-Simyuin-jeon韓母沈孺人傳: Portraits of women who were loyal to traditional values. All of Kim Moon-ok`s jeon contain worries of the outdated intellectuals who were confused in their valu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KCI등재

        WSN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기법

        정길수,이원석,송창영,Chung, Kil-Soo,Lee, Won-Seok,Song, ChangYoung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6

        WSN (Wireless sensor network)은 에너지 제한적인 네트워크이기에 노드의 에너지 효율성이 중요한 문제이다. 라운드 단위로 동작하는 클러스터링은 노드의 먼 거리 통신을 피할 수 있기에 네트워크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율적인 방법이며 그 성능은 라운드 시간에 좌우된다. 짧은 라운드 시간은 잦은 클러스터 재구성을 발생시키고 반면 긴 라운드 시간은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그래서 현존하는 클러스터링 기법들은 네트워크 초기 변수들을 기반으로 적절한 라운드 시간을 결정한다. 하지만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운용 특성 상 노드가 추가될 수도 혹은 사라질 수도 있는 동적인 네트워크이기에 네트워크 전체 수명에 대해 네트워크 구성 초기 파라미터를 계속 적용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필드에 살아있는 노드의 수를 기반으로 라운드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노드 수가 변화할 수 있는 동적인 네트워크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 기존에 비해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하였으며 수신되는 데이터 손실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As WSN is energy constraint so energy efficiency of nodes is important. Because avoiding long distance communication, clustering operating in rounds is an efficient algorithm for prolonging the lifetime of WSN and its performance depends on duration of a round. A short round time leads to frequent re-clustering while a long round time increases energy consume of cluster heads more. So existing clustering schemes determine proper round time, based on the parameters of initial WSN. But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the round time according to initial value throughout the whole network time because WSN is very dynamic networks nodes can be added or vanish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lgorithm which calculates the round time relying on the alive node number to adapt the dynamic WSN. Simulation results validate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of nodes and loss rate of data.

      • KCI등재

        춘향전 인간학 -<남원고사>의 춘향과 주변 캐릭터-

        정길수 ( Chung Kil-soo )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6 No.-

        <남원고사>(南原古詞)는 <춘향전>의 초기 버전에 가까운 면모를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춘향전>의 대표 이본이다. 본고는 <남원고사>의 세부 장면에 초점을 두어 이 작품이 보여주는 독특한 시각, 인간관의 일단을 드러내 보고자 했다. <남원고사>의 기생 김춘향은 <춘향전>의 여러 버전 중 가장 생기발랄한 야성을 보존하고 있다. 춘향은 매몰차고 교만한 데다 위기를 맞으면 거짓말도 서슴지 않으며 능수능란한 임기응변으로 상대를 제압할 줄 아는, 영악한 여성이다. 이몽룡은 경박한 호색한이다. 월매, 패두, 허판수 등의 수많은 조역들은 대개 눈앞의 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이진정소’(利盡情疎)의 세태를 보여주는 캐릭터에 해당한다. 이처럼 <남원고사」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인물은 규범적 시각에서 볼 때 나름의 결함을 지닌 존재여서 언제든 타인의 시선 앞에 희화화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남원고사>의 세계 안에서 비난의 대상이 아니다. <남원고사」의 세계에는 ‘규범적 당위에 충실한 인간형’이 존재하지 않으며, 전형적인 선인이나 악인도 존재하지 않는다. 현실 어디에나 존재하는 보통의 인간은 이기적인 마음과 이타적인 마음, 잘난 마음과 못난 마음을 동시에 가진 존재다. 작자는 유머러스한 필치로 평범한 인간 군상의 이중적 면모와 함께 그들의 인생 단면을 보여주며 때로는 거룩함의 편에, 때로는 비속함의 편에 서서 인간 존재의 양면을 드러냈다. <남원고사>는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 이야기이다. 춘향과 이몽룡은 ‘이진정소’의 세태 속에서 달콤한 유혹과 모진 시련을 넘어 사랑의 약속을 지켰다. <남원고사>는 그 사랑의 성취 과정을 그리는 가운데 성스럽기도 속되기도 한 인간 존재의 양면에 대한 냉정하고 따뜻한 시선, 실리에 따라 표변하는 세태까지 그대로 포용하는 시선 아래 인간의 어떤 마음과 태도가 존중받을 가치가 있는가 묻고 답하는 소설이 되었다. Namwon-gosa is an early version of Chunhyangje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work of Korean classical novels. I tried to reveal a unique perspective and apart of view of human beings shown by the author of Namwon-gosa by focusing on detailed scenes. Kim Chunhyang preserves the most lively wildness among the various versions of Chunhyang-jeon. Chunhyang is an astute gisaeng who is unsympathetic and arrogant and knows how to overpower her opponent with a skillful ad-hoc response without hesitating to lie when faced with a crisis. Yi Mongryong is a frivolous lecher. Wolmae, paedu(soldiers who flog a sinner), Heo pansu(a blind fortune teller), and many other supporting roles are characters that show the social trend of ‘blowing hot and cold by interests’. Almost all the characters in Namwon-gosa have their own defects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so they are always subject to ridicule. However, none of them are targets of condemnation in Namwon-gosa. In the world of Namwon-gosa, there is no ‘human type faithful to normative justifiability’, and there is no typical good or bad person. Ordinary humans who exist everywhere in reality are beings who have selfish and altruistic hearts, good and bad hearts at the same time. The author showed one aspect of the lives of ordinary humans as well as their dual sides with a humorous touch, sometimes on the side of holiness and sometimes on the side of vulgarness, re- vealing both sides of human existence. Namwon-gosa is the love story of Chunhyang and Yi. Chunhyang and Yi kept their promise of love, overcoming sweet temptations and harsh trials in the trend of ‘blowing hot and cold by interests’. Namwon-gosa became a novel that asks what kind of human feelings and attitudes deserve respect under the cold and warm gaze(that embraces even the social trend of moving according to the interests) on both sides of human existence.

      • KCI등재

        17세기 동아시아 소설의 여성 서사 비교 - <운영전>,<원원전(圓圓傳)>,<호색일대녀(好色一代女)>의 경우-

        정길수 ( Kil Soo Chung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17세기 한국 고전소설 <운영전(雲英傳)>은 ‘자유연애’라는 애정전기(愛情傳奇)의 오랜 테마를 다루되 궁녀(宮女)를 여주인공으로 내세워 ‘자유와 억압’이라는 의미심장한 문제를 제기했다. 17세기 중국의 육차운(陸次雲)이 창작한 <원원전(圓圓傳)>과 일본의 이하라 사이카쿠가 창작한 <호색일대녀(好色一代女)> 역시 여주인공을 내세운 각국의 대표적인 소설이다. 본고에서는 세 작품의 여주인공이 처한 현실과 그들의 원망(願望), 이들 여 주인공을 보는 작가의 시각을 비교 고찰했다. <원원전>은 전통적인 3인칭 시점을 취했다. 작품의 문제의식과 그에 따른 기본 설정이 여주인공의 운명을 여주인공의 시각에서 바라보지 못하게 했기에 <원원전>은 진원원(陳圓圓)의 전(傳)을 표방했지만, 여주인공의 삶과 운명을 섬세하게 조망하는 데에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반면 <운영전>과 <호색일대녀>의 작가는 1인칭 고백 형식을 택하여 여주인공의 삶을 여주인공의 목소리로 전달했다. <운영전>은 운영의 시선을 따라 그 욕망의 실현과 좌절 과정을 섬세하게 살핀 결과 ‘금지된 사랑’이라는 전통적인 애정 모티프를 ‘가장 자유롭지 못한 존재의 자유’라는 의미심장한 사회적 주제로 탈바꿈시켰다. <호색일대녀> 역시 一代女의 시점에서 남성 편력을 회고하고 반성했기에 그 참회의 대상인 어리석은 욕망이 인간 본능, 인간 숙명의 문제로 확대될 수 있게 했다. 17세기 동아시아 여성 서사는 <운영전>과 <호색일대녀>에 이르러 여주인공을 중장편소설의 서술자로 내세우는 새로운 형식을 시도함으로써 여성의 운명을 여성 자신의 목소리로 말할 수 있게 되었다. Woonyoung-jeon, a Korean classic novel in the 17th century, dealing with the theme of ‘free love’, raised a significant issue of ‘freedom and oppression’ by assigning the leading role to a court lady. Yuanyuan-zhuan圓圓傳 written by Lu Ciyun陸次雲 and Koshoku Ichidai Onna好色一代女 written by Ihara Saikaku井原西鶴, Chinease and Japanese representative contemporary novels, also layed the heroine in the center of the work. I compared the reality and desire of the heroine of these three works and the vision of three authors. Yuanyuan-zhuan chose the traditional third person point of view. But it failed to grasp the woman`s life and fate delicately in spite of claiming to be a biography of the heroine, because the author could not view the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ine. Woonyoung-jeon and Koshoku Ichidai Onna, on the other hand, told the woman`s life with a voice of the heroine. In case of Woonyoung-jeon, it showed the process of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desi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ine, and transformed an old motif of ``forbidden love`` to a meaningful social subject of ``the freedom of the being that was far from free``. In case of Koshoku Ichidai Onna, it also looked back and reflected on a woman`s various sexual experiences from a viewpoint of the heroine, by which ``human foolish lust`` could be extended to the subject of ``the fate of human``. Thanks to confessional narrative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of Woonyoung-jeon and Koshoku Ichidai Onna, the woman`s narrative in East Asian novels was able to have a format of telling woman`s life and fate in a woman`s own voi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한문소설의 여성 욕망

        정길수 ( Chung¸ Kil-soo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80

        한국 한문소설은 발생 시기부터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여성 캐릭터를 선보여 왔다. 본고에서는 한국 한문소설사의 전개 속에서 개성적인 여주인공들의 욕망이 어떠한 형태로 발현되었는지 탐색해 보았다. 초기 소설은 ‘신의’의 가치를 강조한 작품과 ‘애정 욕구’를 강조한 작품의 두 계열로 나뉘었다. 「李生窺墻傳」에 이르러 ‘신의’와 ‘애정 욕구’라는 초기 소설의 두 지향이 결합되어 ‘신의와 결합된 애정 욕망’이 가장 소중한 가치의 반열에 올라섰다. 반면 「周生傳」은 두 욕망의 충돌을 통해 ‘신의와 분리된 사랑’의 두 가지 형식을 보여주었고, 「雲英傳」은 대립되는 두 욕망의 충돌을 진지한 방식으로 전개하면서 보편적 가치에 대한 고민을 요구했다. 「崔陟傳」은 정신적 교감 요소를 강조하며 ‘신의와 한몸이 된 사랑’의 전형을 구현했고, 『倡善感義錄』은 여성의 개인적 욕망을 소거하고 지배이념에 부합하는 바람만 남기기에 이르렀다. 「宦妻」는 육체적 성애에 집중하여 자유분방한 형식으로 여성의 성적욕망을 철저히 긍정한 반면 「吉女」는 성적 욕망의 대상이 되지 않고자 하는 여성의 저항 행위에 주목했다. 여성 욕망에 관한 전혀 새로운 문제 제기는 「布衣交集」에서 이루어졌다. 「포의교집」은 긍정적 주인공의 ‘불륜’ 테마를 극단까지 밀고 나가 불륜도 ‘신의와 한몸이 된, 진정한 사랑’일 수 있다는 전대미문의 발상을 형상화했다. Korean novels in classical Chinese showed active female characters from the time of occurrence. I researched the form of the desires of unique female protagonists in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Early novels were divided into two series: works that emphasized “fidelity” and works that emphasized “desire for love”. The two aims of the early novels, “fidelity” and “desire for love” were combined in Yisaenggyujang- jeon. On the other hand, Jusaeng-jeon showed two forms of “love separated fidelity”, and Unyeong-jeon asked to think about the universal value by developing the clash of two opposing desires. Choecheok-jeon emphasized the element of “spiritual sympathy” and embodied the epitome of “love in one body with faith”, and Changseongamui- rok eradicated women's personal desires and left only the wishes that conformed to the ruling ideology. Hwancheo thoroughly affirmed women’s sexual desires in a free-spirited fashion, while Gilnyeo focused on women’s resistance to not being the target of someone's sexual desire. Poui-gyojip that raised a new issue about female desire embodied the unprecedented idea that adultery could be “real love in one body with the faith”.

      • KCI등재

        『조선소설사』의 비판적 검토 -조선 후기 소설사를 중심으로-

        정길수 ( Chung Kil-soo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5

        본고에서는 새로운 소설사 서술을 위한 탐색 작업의 일환으로 金台俊(1905~1950)이 저술한 『朝鮮小說史』의 소설 개념과 조선 후기 소설사 서술에 초점을 두어 몇 가지 문제를 재검토해 보았다. 김태준은 모순적 상황 속에서 『조선소설사』를 집필했다. 舊小說과 近代小說을 맞세워 구소설을 단절의 대상으로 간주했으나 `구소설의 장구한 발전`을 추적해야 했다. 그리하여 구소설의 긍정적 가치를 찾기 위해 `진정한 소설`의 두 가지 요건을 제시했다. 첫째, 소설은 자국어로 자국 국민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국민문학`(향토예술)이어야 한다는 것, 둘째, 소설은 진실한 인생 문제와 접촉하여 `시민 이데올로기`, 곧 동시대인의 사상과 감정을 평이하고 아름답게 표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하는 대표작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소설사의 세 結節點이 제시되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시기의 「홍길동전」, 소설의 `황금시대` 숙종 때의 『구운몽』,영·정조시대의 燕巖小說과 「춘향전」이 각 시기의 대표작으로 꼽혔다. 그러나 소설사서술 과정에서 김태준은 몇 가지 중요한 오류를 범했다. 첫째, 當代人의 소설 개념에 의거하여 소설 범주에 변화를 두는 유연한 방식을 취했으나 첫째 요건에 집착한 나머지 해당 시기를 대표할 만한 한문소설의 가치를 파악하지 못했다. 둘째, 작품의 의미를 정확히 읽어내지 못한 채 자신이 제시한 요건과 무관한 자의적 기준으로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일이 발생했다. 셋째, 생산력의 발전 단계와 문학사의 관계에 대한 단선적인 파악으로 말미암아 오히려 자신이 걸작으로 꼽은 여타 작품들의 위상을 설명하기 곤란해졌다. 이상의 몇 가지 문제에도 불구하고 『조선소설사』는 훌륭한 소설의 요건, 곧 `당대의 현실에 착목하여 진실한 인생의 문제를 제재로 삼아 당대인의 사상과 감정을 진지한 방식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한 점에서 조선 후기 소설사의 의미 있는 전개를 살피는 데 하나의 주요한 가치 기준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Kim Tae-jun(1905~1950)`s History of Joseon Novels(first edition, 1933; revised edition, 1939) is the first Korean history of novels. Kim Tae-jun wrote this book in a contradictory situation. He regarded the old novel as objects of disconnection, but he had to trace `long development of the old novel`. Thus he presented two requirements of `true novel` for valuation of the old novel. First, the novel should be a national literature expressing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its own people in its own language. Second, the novel should express a contemporary civic ideology which is related to a serious life problem. The three nodal points of the late Joseon novels were presented with representative works satisfying the two requirements. Hong Gil-dongjeon in Imjin War and Byeongja Horan(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period, Guunmong in King Sukjong period-"Golden Age" of Korean classical novel-, Park Ji-won`s short stories in classical Chinese and Chunhyangjeon in King Yeongjo & Jeongjo period was selected as representative works of the times. Kim Tae-joon exposed several contradictory perceptions during describing the history of novels. First, he took a flexible way to change the novel category based on the novel concept of the contemporary person, but after sticking to the first requirement, he could not grasp the value of the Korean novels in classical Chinese which could represent that period. Second, there was a case of evaluating the value of a work based on an arbitrary criterion irrelevant to two requirements presented by himself, without reading the meaning of the work accurately. Third,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status of other works that he considered as a masterpiece because of the simpl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of the development of material production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Despite some problems, History of Joseon Novels presented the principle of a classic novel - "We have to express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the contemporary people about the life problem that closely coincides with the reality of the present day in a serious way". It provided the main value criterion for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history of novels in the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