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의 골유착성 임플랜트 주위 연조직에 관한 연구

        정근식,임성빈,정진형,Jung, Keun-Sik,Lim, Sung-Bin,Chung, Chin-Hyung 대한치주과학회 1997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7 No.3

        The keratinized mucosa around the implant is an important key in health of soft tissue and hard t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howed that the keratinized mucosa is associated with the keratinized mucosa index, plaque index, gingival index, probing depth. which is investigated to observing the peri-implant mucosa of mandibular partial edentulous patuent using periodontal parameter by previously published paper. It was estimated 6 site with regard to 80 fixture for 28 person, and the average age is 46.8. Each estimation is the order of less trauma, that is, plaque index, keratinized mucosa index, gingival index and probing depth. In this study, statstically analyzed treatment is used for Spss V 7.0 for Windows(Spss Inc, USA). The Kruskal Walis Test is used to compare the amount of the keratinized mucosa is into the $0{\sim}3$ index, with plaque index, gingival index and probing depth. Mann-whitney Test is used to interpreate the relation of plaque index and probing depth, which 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kertinized mucosa index 3 amounts to 47.7%, which is much higher than the other indices and the index order is followed 3, 1, 2 and O. 2. The plaque index 1 amounts to 61.7%, which is much higher than the other indices and the index order is followed 1, 2, 3 and O. The plaque index 0 is significant to each of index(P<0.05). The plaque index is decrease as the keratinized mucosa index is increased. 3. The probing depth for 2mm, 1mm, 3mm is 48.9%, 23.5%, 16.8% respectively, which is most occupied. The probing depth 2mm and 3mm for the keratinized mucosa index is significant(P<0.05). The probing index is decreased as the keratinized mucosa index is increased. 4. The gingival index 0 amounts to 58.0%, which is much higher than the other indices and the index order is followed 0, 1, 2 and 3.

      • KCI등재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의 형성과 운영 : 제도이식론과 권력의 재현 사이에서

        정근식(Keun-Sik Jung)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7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에 관한 연구는 장서수집에 관한 분석과 함께 제도이식론, 지식권력과 헤게모니론의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경성제국대학학보』, 〈도서원부〉, 조선도서연구회의의 기관지 『조선지도서관』 등을 활용하여, 도서관의 법령과 조직, 직원, 장서수집과정과 열람, 조선 내외의 네트워크, 그리고 해방전후의 운영상황을 밝혔다. 이 도서관은 일본에서 형성된 ‘대학 도서관’ 제도를 식민지 조선에 이식한 결과이지만, 직원 구성에서 민족별 위계가 뚜렷하고, 전문직 사서의 구성에서 조선인은 배제되었다는 특성을 갖는다. 식민지 국가기구의 최말단을 구성하고 있던 ‘고원’은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는데, 이 연구에서는 『학보』를 활용하여 그 규모가 상당할 뿐 아니라 다수의 조선인 고원들이 활동하였음을 밝혔다. 이 도서관은 일본의 제국대학 도서관 네트워크에 속해 있었을 뿐 아니라. 조선의 도서관들을 조직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기에 도서관의 사상통제기능이 강화되면서, 그 주도권은 총독부 도서관으로 넘어갔다. 해방직후의 도서관 운영은 관리자의 변동을 제외하면, 해방 전과 유사했으며, 일본인 교수들의 장서들이 기존의 도서관 장서에 상당한 비중으로 통합되었다. 서울대학교 설립 당시에 통합된 여러 학교의 도서통합과정은 앞으로 규명해야 할 과제이다. A study on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can be based on an analysis of the library collection along with perspectives of institutional transplantation, colonial power representation and hegemony project. This paper uses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Bulletin(Ilram and Hakbo)”, the Registry of Book(Tosowonbu), and “Library of Joseon,” which was the Joseon Book Research Society’s bulletin, to identify the Library’s regulations, organization, staff composition, book collection process and networks inside and outside of Korea. Although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was one element of the ‘Imperial university library’ system formed in Japa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regarding the personnel, such as a distinct national hierarchy among the employees and the exclusion of Koreans from the professional positions of librarians. The ‘temporary employee(gowon)’ belonging to the lowest rank in the colonial state organization, have rarely been a subject of study sofar, but this paper takes data from the Library Bulletin(Hakbo) to demonstrate that they were of a considerable scale and th at there were some Korean.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not only belonged to the network of Japan’s imperial university libraries, but also took a leading role in organizing other libraries in colonial Korea in 1930s. But as the censoring and mobilizing function of libraries was reinforced in the late 1930s, the leadership was passed over to the Library of the Government-General.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was operated in much the same way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s before the liberation, except that there was a change of director and a large amount of books owned by Japanese professors were integrated into the existing library collection. It remains a task to clarify the integration process of books from multiple schools that were merged upon the founding of the Libr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 "복지" 개념과 제도의 변화

        정근식 ( Keun Sik Jung ),주윤정 ( Yun Jeong Joo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98

        복지란 개념은 20세기 이래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만, 이 개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정의가 없는 실정이다. 복지는 Welfare의 번역어인데, 이는 원래 행복을 뜻하는 용어였으며 1940년대 이후 사회구성원들이 좋은 상태의 유지를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입이라는 의미를 갖기 시작했다. 동양에서도 복지는 번역 초기, wellbeing의 의미로 사용이 되었다. 식민지시기 복지란 용어보다는 사회사업, 후생, 민생으로 지칭되어지고 제도화가 되었다. 해방이후, 초기에는 식민지기의 제도적 명칭을 이어받지만 가회보장과 사회복지의 개념이 수용되면서 정부의 제도와 기구가 변화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사회보장, 사회복지 개념의 수용에는 선성장 후복지가 복지의 확대를 막는 큰 요인으로 작동했다. 한국 사회의 복기 개념, 기구와 조직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논의 없이는 성장담론을 뛰어넘는 복지담론을 형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The concept of ‘welfare’ is widely used since the 20th century.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this concept means among all different walks of life. ‘Bokji’, Korean translation of welfare, originally meant ‘well-being’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ince 1940’s with the influences of total in the Western countries, it started to gain the meaning of “the state or condition of doing or being well; good fortune, happiness, of well-being (of a person, community, or thing); thriving of successful progress in life, prosperity.” With the coming of Japanese colonialism, the concepts like social works, husaeng, minsaeng were employed and institutionalized. After liberation, the concepts from the colonial time persisted and were gradually replaced by 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The development of such concepts and institutions based on them were greatly hindered by the discourse of “First Growth and Later Welfare,” Without the historical analysis of the concepts and institutions relevant to welfare, it will not be possible to create welfare discourse overcoming development orientated discourses handicapping welfare.

      • KCI등재
      • KCI등재

        특별기고 : 광주민중항쟁에서의 저항의 상징 다시 읽기 -시민적 공화주의를 중심으로-

        정근식 ( Keun Sik Jung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기억과 전망 Vol.16 No.-

        태극기는 광주 항쟁 전 기간에 걸쳐 광범하게 사용되었으나 그것의 용법과 의미에 관해서는 별다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은 국가가 국군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공유상징의 역설을 다룬다. 긴 역사적 맥락에서 보면, 태극기는 민족주의, 국민주의, 시민적 공화주의, 상업적 애국주의 등 다양한·맥락에서 사용되어왔다. 나는 광주항쟁의 소국면 즉 저항, 집회, 죽은 자들에 대한 의례에서 국기가 사용되는 용법을 분석하여 이것이 시민들의 공화주의적 지향을 구체화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즉, 그것은 헌정주의, 자치, 시민적 연대 등을 포함하는 공화주의적 원칙을 확립할 것을 요구하는 상징이었다. 한국현대사에서 국기의 공화주의적 용법은 1980년부터 1987년의 민주화의 국면에서 가장 강하게 지속되었다. Taegeuki was widely used all throughout Gwangju uprising, but questions regarding its usages and meaning were never raised. This is the stating point of the paper: the paradox of shared national symbol, the national flag as a symbol for resistance against the national army. In the long term, Taegeuki has been used in various historical contexts including nationalism(minjokjuei), state-led nationalism(kukminjuei), civic republicanism and commercial patriotism. I analyze the context of the usage of national flag in the demonstration, gathering, ritual for deaths, and argue that the meaning of Taegeuki in the Gwangju uprising should be throughly examined as a distinct phenomena which embodies the republican yearning of the citizens. It is the expression for the establishment of republican principles including constitutionalism, self-governing, and civic solidarity. Republican usage of national flag has been strong continued from 1980 to 1987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KCI등재

        특집 탈식민 냉전 국가의 형성과 검열 : 해방 후 검열체제의 연구를 위한 몇가지 질문과 과제 -식민지 유산의 종식과 재편 사이에서(1945~1952)

        정근식 ( Keun Sik Jung ),최경희 ( Kyeong Hee Cho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4 No.-

        일제 식민지 출판경찰 법체제의 두 버팀목이던 신문지법과 출판법은 일제가 패망한 뒤 상반된 경로를 걸었다. 출판법은 미군정에 의해 ``식민지 악법``으로 규정되어 곧 바로 폐지되었으나, 신문지법은 미군정 기간뿐 아니라 대한민국 국가형성기에 검열의 법적 근거를 제공하다가 한국전쟁 중인 1952년에야 폐지되었다. 해방 후 출판법과 신문지법 처리의 상이한 경로는 일제의 검열과 사상통제라는 식민지 유산이 미군정이 표방하는 자유주의의 기치아래서 어떠한 양식으로 역사적 현재의 일부가 되거나 부정의 대상이 되는가라는 문제에 대해 중요한 사례를 제공해준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1945년부터 1952년 사이의 검열 및 사상통제에 대하여 몇 가지 중요한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 식민지 검열을 하나의 ``체제``로 간주할 때 해방 후의 검열 법령, 제도, 조직자와 수행자, 텍스트의 생산·소비·유통 등은 식민지 검열체제와 상응하고 비견될 만한 체제적 특성을 가졌다고 간주할 수 있는가? 해방 후검열에 체제적 특성이 있다면 식민지의 부정으로서 혹은 식민지 이후로서의 특징들은 이 체제 안에서 어떻게 존재하고 작동하였는가? 출판법은 폐기되었으나 신문지법은 그대로 남아 시행되는 ``해방 후 검열체제``란 어떠한 의미에서 식민지 검열체제와는 구분되는 새로운 체제라고 볼 수 있는가? 이 논문은 해방 후 검열체제가 가진 식민지 유제로서의 성격 및 냉전 및 분단체제의 일부로서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검열내적인 시각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논점을 상정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는 식민지 검열이 조선의 출판 및 지적 문화에 근대성과 식민성의 양대 성격을 형성시킨 것으로 보고, 해방 후 검열체제가 갖게 되는 근대성과 대외종속성을 식민지검열과의 연속성 하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해방 후 검열체제를 미국의 냉전구도의 이식 및 그를 위한 정보수집과 체계적인 선전 그리고 그 가운데 강화된 한반도의 분단 이데올로기의 형성 과정 속에서 파악한다. 셋째, 국가검열주체가 조선총독부로부터 미군정, 그리고 대한민국 정부로 변화되는 동안 검열제도와 수행의 양상이 언론·문학·영화부분에서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러한 논점에 근거하여, 검열과 사상통제가 해방 후 체제로 제도화되는 동안, 그 강조점이 식민지검열체제를 특징지었던 출판물 텍스트 중심의 국가권력의 개입과 간섭으로부터 점차 텍스트 생산자에 대한 통제와 선전정책으로 이동해갔음을 보여줄 것이다. The Newspaper Law and the Publication Law legislated in 1907 and 1909 respectively, met divergent fates in the southern portions of post-liberation Korea under the American military regime: the former was readopted while the latter was nullified. This situation persis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separate state in 1948. The destinies of these two laws, which served as the legal pillars of the Japanese publication system during the colonial era, illuminate the hitherto understudied status of post-liberation censorship in relation to Japanese colonial censorship, at the very least, up until the Newspaper Law was abolished in 1952. To what extent were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etups and operations of censorship between the years 1945-1952 systematic? If so, what aspects of the post-liberation censorship system were inheri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system? In what sense did the latter system substantially depart from the Japanese colonial equivalent? Finally, how can one define the postcoloniality of post-liberation censorship as distinct from the coloniality of Japanese colonial censorship? With a view to articulating the key issues that arise from studies of post-liberation censorship in Korea, this paper offers the following three frameworks as tentative tools with which to explore the legacy of colonialism and new manifestations of the effects of "division system", as well as the Cold War influence on practices of censorship in South Korea. The authors first identify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olonial censorship in coloniality and modernity. These twin aspects continued to inform the new system of censorship from 1945 to 1952, to the extent that a thorough conceptualization of the colonial legacy should be prerequisite to any conversation on censorship. Second, the authors submit that the question of colonial legacy should not be contained merely within debates o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ut deliberated in juxtaposition with the U.S. government`s systematic reshaping of South Korea`s ideological terrain in response to Cold War pressures. Finally, the paper traces the incidents of censorship that involved the direct and coercive intervention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hile delineating these three state factors (Japanese colonial legacy; the U.S. military regime; and the ROK government) in the areas of censorship on journalism, literature, and film, this paper shows that the main object of state censorship shifts from the details of the material text to the public activities of the authors and their publication, individual or collective, more effectively towards a system that ultimately subtended the Cold War ideology and Korea`s national division.

      • KCI등재

        전략촌 대마리의 형성과 향군촌 정체성의 변화 : 평화함축적 상징의 수용을 중심으로

        정근식 ( Jung Keun Sik ),이원규 ( Lee Won Kyo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0 통일과 평화 Vol.12 No.1

        이 글은 접경지역 최초의 전략촌인 대마리의 조성과정에서 형성된 공동체적 경험이 이후의 사회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2세대 주민들이 향군촌과는 다른 평화함축적 상징들을 어떻게 마을 정체성의 일부로 수용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는 사회사적 연구이다. 한국 정부의 전략촌 설립구상에 의해 조성된 대마리의 주민들은 개척 과정에서 발생한 지뢰피해와 토지소유권 분쟁의 상흔을 안고 있었지만, 자신들의 고난 극복의 역사를 기록하고 싶어 했으며, 그것을 개척비로 표현하였다. 대마리 주민들은 2000년부터 자신들의 안보지향적 정체성을 뛰어 넘어 생태문화마을로서의 지향을 드러냈고, 나아가 탈냉전적 상징들을 마을의 정체성으로 흡수하였다. 이것은 리더십의 세대교체로 인해 가능했다. 2세대 주민들은 공동체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실용적 발전주의의 맥락에서 철원의 자연, 역사적 유산, 문학적 자원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평화함축적 상징에는 두루미, 노동당사, 상허 이태준 등이 포함된다. This paper provides a social-historical study of the first strategic village in DMZ border area, Daemari. Main Questions are the influence of their communal experiences during rebuilding process on the later social cooperation, and the acceptance of peace-implying symbols in this veterans’ village as a part of its identity. Though residents have not fully recovered from the scars of mine accidents that occurred amid reclamation process and of land ownership conflicts, they were eager to inscribe the trajectory of communal hardships into the reclamation monument. After 2000, Daemari residents started to express the orientation toward a new eco-cultural-village, and incorporated some peace-implying images beyond their early Cold War identity. This change was possible due to the second generation leadership that well inherited the communal tradition and sought to utilize local resources including ecological, historical, and cultural items in the context of pragmatic developmentalism. Such symbolic images include crane, local labour party headquarters, and Lee Tae-Joon.

      • KCI등재

        식민지검열과 “검열표준” ―일본 및 대만과의 비교를 통하여

        정근식 ( Keun Sik J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9 No.-

        식민지 검열은 한편으로는 검열과정에서 누적된 사례들의 분류와 반복적 재분류를 통해, 식민지사회의 변화되는 상황을 능동적으로 통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국전체의 검열당국과 소통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를 안고 있었다. 식민지 전시기를 통하여 명확하게 공개된 검열기준은 신문지법과 출판법이 규정한 ``치안방해``와 ``풍속괴란``이었다. 검열당국은 출판물의 허용/금지에 관한 구체적 기준을 대외적으로 비밀로 하면서 내부적으로는 검열관의 자의적 판단을 최소화하면서 일관성을 유지 할 장치가 필요했다. 검열기준은 이른바 ``문화통치``에 따라 조선어 민간신문과 잡지가 확충되는 1920년부터 중요해지며, 例擧主義 방식으로 정리되었다. 검열기준의 체계화는 1927년과 1936년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출판경찰연보를 분석해보면, 도서과가 설치된 이후인 1927년부터 검열기준은 19항과 하위 목, 그리고 해당 사례들이 제시되었는데, 1936년에 검열기준이 일반검열표준과 특수검열표준으로 구분되고, 각 항목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사례의 제시가 생략되었다. 이런 변화의 의미를 알기 위하여 일본 및 대만의 검열기준들과 비교해보면, 식민지 조선에서의 검열기준은 1920년대에는 조선의 특수사정에 기초하다가 1936년 이후 제국적 보편성을 더 많이 반영하는 방향으로 정립되어갔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검열기준의 체계화는 제국 내의 이질적 법역을 동질적 소통 영역으로 통합하여 제국적 동원과 통제가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시체제로의 전환의 기초가 되었다. Colonial censorship have a dual task, to control the fluctuating situation of colonial society by the reclassifying the accumulated violation cases, and to adapt the condition of empire censorship managed by core control tower. The persistent and open standards of colonial censorship are only ``the disturbance of public peace`` and ``the corruption of public morals``, defined by the newspaper law and the publication law. The censorship authority have to keep the concrete scales of publication permission confidential, and in the same time, to prepare the minimizing framework of the censors` arbitrary application to affairs for the consistency in inner office. The concrete standards of colonial censorship became more important from the so-called cultural governance of Chosun Government of General, that permitted the Korean civilian newspapers and magazines. The results of censorship have been arranged by example enumeration style. The standard of censorship had been systematized in 1927 and 1936.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annual review of publication police, the results of censorship had been showed by 19 items and their corresponding examples after 1927. The standards of censorship had been reclassified by the general standard and particular standard, and the examples had not been shown. In order to understand this change, it is necessary to compare with the cases of imperial Japan and colonial Taiwan. The standard of censorship in colonial Korea had been changed from Korean situation focused items to the more general items reflecting the situation of entire territory of Japan. The systematization of censorship standard from the listed type in 1920` to more abstracted type in 1936 had been done for the upgrading of resource mobilization and universal control in imperial terms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heterogenious legal areas in Japan emp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