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 탐색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교실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한 일(활동)을 바탕으로 초등교사가 발휘하는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9명의 초등교사가 자신의 교실에서 개발한 교육과정 사례(총 9사례)를 수집하고, 사례에 대해 3번 면담을 수행하여, 사례연구리뷰(case study review)를 수행하였다. 이에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을 다음과 같이 탐색하였다. 첫째, 초등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하는 일/활동 목록, 총 234개 추출하였다. 둘째, 각 목록을 다시 교사가 발휘하는 능력으로 재진술하고, 이를 3개, 결정력, 창안력, 조정력으로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로 32개의 요소를 탐색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urriculum literac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ir work (activity) when developing classroom-level curriculums. To this study, it was collected nine units they developed curriculum in their classrooms and interviewed three times on this case. Using this case and the interviews with the cases as research data,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review. Thus,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plored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34 activity-lists were extract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eveloping their curriculum. Second, each list was re-examined with the ability of the teacher, categorized into three, decision-making, creativity, and coordination, and explored 32 elements for each category.

      • KCI등재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 분석

        정광순 ( Kwang Soon Jeong ),이원희 ( Won Hee Lee ),황미향 ( Mi Hyang Hwang ),김남균 ( Nam Gyun Kim ),신재한 ( Jae Han Shin ),김정희 ( Jung Hee Kim ),송인자 ( In Ja Song ),이지은 ( Ji Eun Yi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교과서 수정 자료 수집과 교과서 질 개선의 방향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 편찬·보급한 초등학교 1,2학년 국정도서, 5개 교과(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의 교과서 36책을 대상으로 14가지 분석 준거를 적용하여 교과서 내·외적 체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교과서 외적 체제는 교과서 개발 전에 정해진 사항을 모두 100% 반영하고 있었다. 표지는 교과서 성격을 잘 드러내는 편이었고, 대체로 견고하며, 디자인이 아동 친화적이었다. 집필 참여자에 대한 분석 결과,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지역에 편중되어 있음이 드러났고, 교사 참여가(61.8%) 활발한 편이었다. 또 남성의 참여가 여성보다 10% 정도 높았다. 둘째, 교과서 내적 체제는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소로 Johnson의 열두 개 항목을 기준으로 볼 대, 우리나라 초등학교 1, 2학년 5개 교과의 교과서는 모두 차시부분에서는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소들을 충실히 갖춘 반면, 도입부에서는 서문이, 정리부에서는 색인, 용어 풀이, 부록이 빠진 다소 빈약한 책 구성이었다. 셋째, 교과서 내용에 대한 평가는 교육과정 반영정도와 성별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는데, 충실성, 계열성 통합성으로 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반영 평가에서는 5개 교과(36책) 모두 양호했다. 남녀의 등장 비율, 성역할 고정현상, 직업 활동에서 양성 평등의 문제를 평가한 성별 영향 평가는 전체적으로 4% 수준에서 문제가 지적되었다. 넷째, 교과서 내용에 대한 수정 요청 사항들을 분석한 결과, 5개 교과 36책의 전체 교과서 페이지의 14%정도가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과 내용의 적합성이나 시의성보다는 표현의 적절성에서 수정 요청이 더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data for textbook`s correcting and to suggest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m. To this purpose, it was analyzed thirty-six textbooks of first and second grade which are Language Art, Math,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based on fourteen criteria. On the results, first, on external system of textbook, five subjects, all was followed guidelines for governmental action. Textbook`s cover expressed subject`s nature and strong, the design was polished, familiar to students. Textbook`s writers mainly were living in Seoul or GyongGi local area(47.0%), participated a lot of teachers(61.8%), and more high 10 percentage male than female. On internal system of textbook by basis on Johnson`s checklists of twelve, they make a factor satisfactory in lesson area. However the introduction and finishing area of textbook was meager components they are no preface, index, references, glossary, appendix and so on. Second, Five subjects, all was high facilities to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ender influence was steadily getting better in appearance ratio, genderrole, job area, but it was need to improve a level about 4%. Third, it was about 14% of textbook`s contents needed correction in side of fitness, appropriateness, and the right time.

      • KCI등재후보

        초등 통합교과의 필수학습 요소 구축 연구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초등 통합교과에서 가르쳐야 할 필수학습요소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서 통합교과의 유관 교과인 도덕, 사회, 과학, 체육, 음악 미술 교과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3학년 이후 각 교과교육을 위해서 이전 단계인 통합교과를 통해서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이 배워야 할 것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유목화 하는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학생이 알아야 할 것과 할 수 있어야 할 것, 총 175 항을 도출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75개 항에 대한 유목화 작업을 수행하였고, 3차 델파이를 통해서 타당성 검증을 거쳐서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바른 생활과는 ``바르게 생활``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은 기본 생활 습관, 기본 학습 습관을 형성해야 하며, 스스로하기, 협동하기, 계획세우기, 친해지기, 갈등해결하기, 감정조절하기 6개의 실천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슬기로운 생활과는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은 주변의 모습, 주변의 변화, 주변의 관계를 알아야 하고, 이는 주로 살펴보기, 무리짓기, 조사발표하기, 모형만들기, 흐름만들기, 관계망 만들기 6개의 탐구활동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즐거운 생활과는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은 여러 가지 감각을 알고, 아름다움을 느끼고, 즐거움을 누릴 줄 알아야 하며, 놀이하기, 나타내기(신체, 조형, 음율 활동), 모방하기, 공연하기, 느낌나누기와 같은 표현놀이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This study builded on core contents of integrated subjects in elementary. This study methodology is Delphi method and conducted three times. Total 101 Professors who they are work in 11 elementary teacher`s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ir major in Moral Education, Social Study, Science, Physical Education, Music, Fine Art, and Integrated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First, it was deducted 175 Factors Which are First and Second Grades students have to know and do through First Delphi. I tried the categorization of these factors in Second Delphi. And through third Delphi, it justified the temporary Factors agree with. This study results followed; In Disciplinary Life, student have to know that are basic life and academic skills and do that are self-directed behavior, collaborate, planing, making friendly, solving conflicts, control emotion. In Intelligence Life, student have to know that are surrounding his/her life, those changes phenomenology, and relationships and do that are observing, grouping, search and presentation, model making, flow charts, mapping. In Pleasant Life, student have to know that are sense, beautiful, and pleasant and do that are playing, expressing, modelling, performance, sharing feel.

      • KCI등재

        캐나다와 한국 두 초등학교 교실의 교육활동 비교

        정광순(Jeong Kwang-So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6 比較敎育硏究 Vol.16 No.4

          본 연구는 캐나다와 한국 두 초등학교 각 학급에서 일어나는 교육의 실제, 그 ‘실행’에 초점을 둔 상호 비교를 통해서 두 나라의 초등교육 실행에 대한 질적 이해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두 나라의 초등학교 각 교실에서 6학년 1학기를 이수한 미나의 경험과 교육활동자료, 두 교실 참여관찰 자료와 교사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BR>  연구 결과 두 교실은 1) 교실 운영의 관점에서 지원운영VS책임운영, 2) 교실의 일과 시작 활동에서 ‘정적상태VS역동적 상태’ 만들기, 3) 교실 수업과 교과운영에서는 초점적 운영VS체계적 운영, 4) 교실-가정(교사-부모) 연계에서 정보공유VS 학교 소식 알림의 형태로 비교되었다.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qualities of detailed activities in classroom through comparative study on the two elementary schools of Canada and Korea. So this study approached to the view point of implementation in school or classroom activities. To this purpose, it was analyzed Mina"s personal experiences, observation data, and teachers" interview data of two classroom.<BR>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two classrooms was compared with 1) supportive classroom management VS accountable classroom management, 2) making a quiet place VS making a active place as the starting point of school day, 3) focused teaching and learning VS systemic teaching and learning in class, 4) introducing the sharing informations VS offering news of school and classroom activities for partnership of school and home.<BR>  This study showed that we have to concern the qualities of students" experiences in school, because students actually experience through their daily life in school and classroom rather than educational policy or system.

      • KCI등재후보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자율화의 맥락을 교육과정 정책측면과 교사 측면에서 살펴보고, 학교 및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해서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필요성과 개괄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자율화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 정책면에서 학교의 교육과정 통제정책을 개방정책으로 전화하는 과정에서 대두하고 있었다. 이를 교사 측면으로 설명하면 우리나라가 국가 교육과정을 행정수권형에서 교사수권형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단위학교나 교사가 주어진 교육과정을 자율권을 행사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먼저 주어진 교육과정에 대한 조망력을 가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이를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확보 방안으로 제안하였는데, 그 과정은 교육과정 읽기, 교육과정 지도 그리기, 교육과정 활용하기 절차를 거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utonomy about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this aims, I read the contexts of curriculum autonomy of School and teacher. One is the policy of National Curriculum, it related to change from control to open of curriculum policy. Other is the side of teachers` status, it relate to change from administrative mandate curriculum to teaching mandate curriculum. Thus, to school and teacher`s curriculum autonomy, teacher have to big picture of national curriculum. It is possible when teacher achieve curriculum literacy.

      •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차기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기저로서 만하임의 지식 사회학, 듀이의 교과의 진보적 조직,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정체성 연구물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지식사회학이 추구하는 지식은 객관과 주관을 상호 연계한 간주관성으로 교육과정 지식 선정의 기저를 제시하였다. 교과의 진보적 조직이란 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가장 정합성 있는 교과 조직의 형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초등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은 이웃하는 유치원과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하면서도 독자적인 교육과정이다. 이런 맥락에서 초등학교교육과정이 학생이 교과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교과에 호감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는 관점을 취하며, 따라서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이런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동일한 방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이 기저를 중심으로 차기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지식의 간주간성, 상관성을 기저로 지식의 사회적, 집단적, 대중적 협의 과정을 전제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심리사회적 방식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는 교과의 점진적 조직을 기초로 할 때, 저학년에서는 통합교과형이, 고학년에서는 교과통합형이 적절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마지막을 이를 위해서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교과, 개인, 사회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통합교과 교육과정 주제의 원천을 구비하고,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대주제를 통일할 때, 향후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보다 개선된 형태로 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direction for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ing. In order to this aims, this study research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On the based them, this study suggested two viewpoints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ould developed on basis the sociology of knowledge, progressive organization of subject-matter, and school curriculum study. Second, It was a statement of mutual agreement dating with a social, a group, and a mass for the futur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development. And It is appropriated integrated curriculum approach for lower level of elementary school and in higher level curriculum integration approach. Finally, the future integrated curriculum needs to create a curriculum source study and united the big themes of the current thre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통합단원(Unit) 설계 사례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교과서가 주어지지 않는 상황을 상정하고, 이 때 교사가 교육과정을 직접 편성하여 수업을 하는데 필요한 단원 설계 사례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례 연구로, 연구에 참여한 K교사가 설계한 단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K교사가 설계한 단원, 단원 설계 과정에의 참여, 이 과정에서 K교사가 작성한 연구 일기와 메모, 인터뷰 내용을 연구 자료로 접근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교사는 Drake의 KDB 모형을 지침으로 교과서가 없을 때 수업의 원자료가 되는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몇 개의 교과를 통합한 ``지도``라는 단원을 설계하였다. 둘째, K교사는 단원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1) 해당 학년 전체 교과를 종합적으로 꿰뚫을 수 있는 교육과정 조망도가 필요하다는 것 2) 이를 위해서는 모든 교과 교육과정문서가 영역, 성취기준, 요소 중 어느 하나의 동일한 차원에서 가르칠 것을 제시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 3) 단원 설계 과정에서는 주어진 교육과정을 압축할 줄 알아야 한다는 점 등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 함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This study described a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grated Unit design. So this study methodology is Case study, Miss Kim participated in. Data was collected Unit designed by Kim, her Journal about her work, Master paper, memo, interviews.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Miss Kim designed Unit Map based on Drake`s KDB Model. Second, Miss Kim recognized that in process of designing, big picture of curriculum, consistent curriculum documentation is necessary.

      • 주제 중심의 초등통합교과 교육의 구현 가능성 탐색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주제 중심의 초등통합교과 교육의 구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4차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에서 통합교과교육이 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이를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1, 2학년에 통합교과서 및 통합교육과정을 도입한 궁극적인 이유는 `주제` 중심의 일상적인 수업 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 `주제` 중심의 교수·학습을 구현하기 위해서 교육과정과 교과서 두 차원에서 조처를 취했다. 먼저 2007년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대주제/활동주제 체제로 개발하여 교과를 넘어서 `주제`를 중심으로 한 통합 가능성을 교육과정 차원에서 조처하였다. 그리고 교과서는 세 개의 통합교과를 통합 지도 할 수 있는 통합단원을 개발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실에 일정기간 동안 하나의 학습 `주제`가 살아 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Possibility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Based theme. In order to this aims, It was investigated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rom forth to fifth. And this study examined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hildren`s textbook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and subjects was introduced to live theme based learning and teaching in class. Second, For theme based learning and teaching, the 2007 revised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themes of children`s life. And Integrated textbook was made integrated units of [Disciplinary Life], [Intelligence Life] and [Pleasant Life] integrating. Third, in future,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ould spread this theme based learning and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