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호남권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 연구

        정건용 ( Gen Young Jeou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3 지역개발연구 Vol.45 No.1

        과거 특정한 지역의 개발을 위해 산업인프라를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에 따라, 하향식 개발정책에서 최근 지역의 특정과 영역을 기반으로 한 상향식 발전정책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은 이른바 상향식 지역개발정책을 위해 가치 있는 산업으로 평가 받고 있는 문화산업을 클러스터 정책에 따라, 단계별로 시행하고 있으나, 광의의 문화산업인 공예산업을 문화산업클러스터로 조성하기 위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문화의 창조기반인 호남권을 중심으로 지역개발 매체로서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을 거시적으로 제안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M. Porter가 주장하는 클러스터모델에 의해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에 필요한 결정요소들 즉, 요소조건, 수요조건, 연관/지원산업, 기업전략/경쟁여건 항목들에 따라, 지역여건 실태조사와 참여 주체들이 느끼는 인식의 차이점을 전문가 두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분석 하였다. 조사·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실태조사 결과 호남권은 서울/수도권 다음으로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여건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사결과는 시장점유율과 매출규모 등 여러 항목에서 다른 권역에 비해 높게 조사됨에 따라, 조성요소 항목을 실증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중요도 및 인식도 조사 분석결과 ``공예문화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유통시스템 구축``이 두 집단 모두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조성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지역여건 조사와 전문가 집단의 인식도 조사·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산업클러스터 구조에 따라. 조성방안을 ``조성주체별 상호협력 접근방안``과 ``세부 실천방안``과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우선 조성주체별 상호협력 접근방안은 ``민간책임 추진``에 의해, 공예문화상품 생산·유통전문기업 육성 및 유치, 기업 및 지원기관과 네트워크 구축, 기업지원서비스로 제안하였으며, ``중앙정부의 역할``은 관련 법제정비, 지방자치단체 인센티브 지금 그리고 지속적인 비전제시로 제안하였다.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세부 실천방안으로 첫째, ``입지 선정 시 고려사항``은 조성주체 및 소비자들을 위한 접근성, 인위적으로 조성되는 만큼 성공한 축제 등과의 연계성, 향후 거점을 확보하기 위한 확장성을 제안하였으며, 둘째, ``시설 인프라 구축``은 ○1전시·유통시스템구축으로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의 랜드마크 역할을 수행할 비즈니스관 구축, ○2창작·교육시설은 창작스튜디오 건립과 지역내·외 대학과의 교류 및 연계를 위한 생태계조성, ○3생산·제작기반은 관광객 대상으로 판매·체험할 수 있는 공방촌 부양. 첫째, ``R&D기반 및 기업지원 서비스``로 공예문화상품 디자인개발을 위한 원천소스 개발, 융합기술을 통한 디자인기반 기술 연구, 그리고 원·부자재확보를 위한 국내·외 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넷째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은 차세대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스타디자이너 및 명인육성, 공예문화상품의 특성을 강조 할 수 있는 현장 맞춤형 소재/품목별 전문인력 1:1 도재교육 등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조성방안 연구는 그동안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연구가 미흡한 여건에서 클러스터이론에 따라, 거시적으로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거시적 연구는 향후 지역별 또는 세부적인 조성방안 및 클러스터 조성 이후 성과요인 분석 등에 활용될 것이다. While top-down indiscriminate development policies which focused on industry infrastructure were prevalent to develop specific regions in the past,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bottom-up development polici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ield. For bottom-up development, local governments have executed the culture industry which is regarded as valuable in step-by-step according to cluster construction, bu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broad culture industry as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ethods to construct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craft industry in the Honam region that is the hub of culture cre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ituations of regional conditions and the importance and recognition of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relation with necessary factors for cluster construction suggested by M. Porter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firm strategy and rivalry. Finally, the followings could be suggested. First, the result of investigating situations indicated that the Honam region was the second highest condition of constructing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next to the Seoul/Metropolitan region and was higher in several items including market share and turnover than other regions. It demonstrated construction factors. Second, the result of recognition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groups recognized ``establishment of distribution system to sell craft culture products`` as important. Thus it provides important suggestion to present further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two construction methods: ``mutual collaboration approach by construction subject`` and ``detailed actions the construction of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in relation with regional conditions and structure of culture industrial cluster First, in the mutual collaboration approach by construction subject,the production of craft culture products, the development and invitation of distribution specialist, network building with companies and supporting institutions, company supporting service was suggested in relation with ``private-led promotion`` while the improvement of related legislation, incentive payment to local governments, and the presentation of continuous perspective was suggested as ``the roles of central government``. In detailed actions the construction of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first, for ``consideration for location selection``, accessibility for construction subjects and consumers, connection with successful festivals in consideration of artificial construction, and extension to assure a further base was suggested. Second,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building`` included ○1business halls to play a landmark role of craft cu1ture industrial cluster and recogn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exhibition and distribution system. ○2 the establishment of creative studio and ecosystem creation for exchange and connection with colleges for creativity and education facilities, and ○3 the support and operation of craft centers for sales and visitors `` experience and equipment support office as a production and manufacture base but it was recommended to invite professionals by field and professional companies. Third, ``R&D based and company support service`` suggested the source development to develop craft culture products design, design-based technique research through converging technologies, and domestic or foreign related information service. Finally, ``professional cultivation program`` should be provided as the star designers or masters to develop next culture products and on-site needs satisfying 1: 1 apprentice training by material/item to stress the characteristics of craft culture product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construction methods were presented on a macro basis according to the cluster theory even in the lack of research on craft culture industry cluster. This study will be used for further research on detailed construction methods and analysis of performance factors after constructing clusters.

      • KCI등재

        공예문화산업 지원정책 국내외 조사 분석에 관한 연구

        정건용(Gen Young Je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최근 고용노동부 자료에 의하면 공예문화산업 지원정책은 고용창출효과가 낮은 것으로 발표되었다. 특정산업에 대한 고용창출은 해당 산업의 발전 및 성장추이를 가름할 수 있는 척도로 평가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정책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현황을 진단해봄으로써, 향후 지원정책 방향과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중앙정부 지원정책 중 공예문화산업 육성에 대한 주무부처라 할 수 있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사업과 그에 따른 사업예산(2010~2012)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국외 공예문화산업 선진 5개국 지원정책사례들과 비교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지원정책을 체계적으로 조사·분석하기 위해 일반적인 문화산업클러스터모델을 이론적 배경자료로서 활용하고, 그에 따른 지원분야 및 세부항목들은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구분기준(기획/창작, 제작/생산, 판매/유통)에 의한 조사·분석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3년간 총 9,481백만원의 사업비가 지원되었고, 기획/창작 3,577백만원(37.7%), 제작/생산 200백만원(2.1%), 소비/유통 분야가 5,704백만원(60.2%)으로 지원분야 중 가장 높게 지원되었으며, 제작/생산분야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국외사례조사 결과 영국은 3개 기관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유통/판매에 지원프로그램이 많았고, 이탈리아의 경우 2개 기관에서 생산/제작 등을 지원하고, 독일은 중앙정부의 직접적인 정책 지원프로그램은 운영되지 않고 있으나, 중앙수공예협회가 공예작가 및 업체를 지원하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은 각 3개 기관에서 폭넓게 지원하고, 특히 금융까지 지원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조사·분석결과와 지원사업별 세부내용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우선 국외 5개국과 비교해보면 지원분야별로 의미 있는 큰 차이점은 찾을 수 없었으나, 이탈리아에 비해 제작/생산에 대한 지원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고, 영국의 경우와 같이 소비/유통분야에 대해 다소 편중된 결과로 볼 수 있었다. 이외 우리나라 지원분야에 따른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기획/창작분야는 한국 근현대 공예사료 연구 및 온·오프라인 콘텐츠구축 운영 등 공예산업관련 정책 및 학문적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교육프로그램은 공예문화에 대한 최종소비자들 인식의 전환에 필요한 교육과 참여프로그램이 좀 더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창작 및 R&D 기회제공은 산업현장에 파급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연계사업을 추가로 발굴하고 운영되어야 한다. 제작/생산분야의 경우, 원재료 확보는 국·내외유통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망 구축 및 공동구매를 위해 지속적인 수요조사 등에 관한 신규 사업기획이 필요할 것이며, 생산시설 인프라구축은 지역별 특성에 따라, 시제품제작 및 분업화를 위한 생산시스템 구축지원이 부분적으로 필요 할 것이다. 또한 공예인증제시스템구축은 국내유통과 더불어 해외수출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제도임에 따라, 반드시 R&D와 함께 지원프로그램 및 인증 시스템을 소재별, 품목별로 구축하여야 한다. 판매/유통을 위한 홍보·마케팅 지원은 공예문화상품 특성 상 비중 높은 것은 매우 바람직한 운영이며, 특히, 해외시장진출을 위한 정기적인 전시회 참가 및 문화교류프로그램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고, 갤러리기획전시 및 운영사업은 세계 미술관과 교류 및 문화예술발전의 교두보 역할 수행을 위해 운영되어야 한다. 결국, 중앙정부에 정책적으로 지원되는 사업은 지역단위로 특화된 문화·관광자원화를 목표로 지원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지역 특성을 기반으로 토산품의 전통성 그리고 지역 이벤트와 연계할 수 있는 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정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current data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the support policies of the craft culture industry had low job creation effects. Job creation for specific industry is judged as a measure to see the trend of development and growth of relevant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future support policy direction and efficient operational methods by systematically making a diagno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policy support.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support projects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competent ministry of promoting the craft culture industry and a relevant budget (2010-2012), compared support policy cases of the craft culture industry in five advanced nation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and analyze support policies, general culture industry cluster models were cit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levant support areas and details were reconstructed.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a reconstructed classification criteria (planning / creation, manufacture / production, sale / distribution) suggested the following results. In Korea, a total of 9,481million was supported for recent 3 years and while the highest support areas were consumption/ distribution(5,704million, 60.2%) and planning / creation (3,577million, 37.7%), the lowest support area was manufacture/production(200million, 2.1%). The results of foreign cases were as follows. UK had three support agencies and support programs were relatively high in consumption/distribution. In Italy, two agencies provided manufacture/production, distribution /sale, and information. In Germany, no direct policy support programs were oper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but the central handicrafts association supported craft artists and business. In USA and Japan, three agencies broadly supported and even provided financi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analysis and the review of details by support area(business goals according to a business plan and expected effec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The comparison with five countries showed tha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support areas, but Korea was relatively more insufficient in manufacture/ production than Italy and was similar to UK that gave too much importance to the consumption/distribution area. The details by support area in Korea were as follows. The planning/creation area greatly contributed to craft industry-related policy and academic research such as researche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n crafts for information search, analysis, and DB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on- and off-line contents. But mor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end-consumers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craft culture and participation programs. Creation and R&D opportunities should be offered in the way to develope and operate connected business which is expected to have a high ripple effect on the industry field. In the manufacture / production area,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 information network to provide distribution-related information at home and abroad and make a new business plan of continuous demand research for group purchase for the supply of raw materials. The construction of production facilities infrastructure partially needs to support the construction of a production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samples and specialization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Moreover, as the construction of a craft certification system is very necessary for export as well as domestic distribution, R&D, support programs, and a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built up by material and item.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craft culture products, the high weight of publicity and marketing support for sale/distribution is very desirable. In particular, regular participation in exhibitions and cultural exchange programs for foreign market entry should be continued. Also, ongoing planning exhibitions in and operation of galleries

      • KCI등재

        지역개발매체로서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 연구

        정건용(Gen Young Je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과거 특정한 지역의 개발을 위해 산업인프라를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에 따라, 하향식 개발정책에서 최근 지역의 특성과 영역을 기반으로 한 상향식 발전정책이 부각되고 있다.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은 이른바상향식 지역개발정책을 위해 가치 있는 산업으로 평가 받고 있는 문화산업을 클러스터 정책에 따라, 단계별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광의의 문화산업인 공예산업을 문화산업클러스터로 조성하기 위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문화의 창조기반인 호남권을 중심으로 지역개발 매체로서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을 거시적으로 제안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M. Porter가 주장하는 클러스터 모델에 의해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에 필요한 결정요소들 즉, 요소조건, 수요조건, 연관/지원산업, 기업전략/경쟁여건 항목들에 따라, 지역여건 실태조사와 참여 주체들이 느끼는 인식의 차이점을 전문가 두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조사·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실태조사 결과 호남권은 서울/수도권 다음으로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여건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사결과는 시장점유율과 매출규모 등 여러 항목에서 다른 권역에 비해 높게 조사됨에 따라, 조성요소 항목을 실증한 결과라 할 수 있다.둘째, 중요도 및 인식도 조사 분석결과 ‘공예문화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유통시스템 구축’이 두 집단 모두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조성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지역여건 조사와 전문가 집단의 인식도 조사·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산업클러스터 구조에 따라, 조성방안을 ‘조성주체별 상호협력 접근방안’과 ‘세부 실천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우선 조성주체별 상호협력 접근방안은 ‘민간책임 추진’에 의해, 공예문화상품 생산·유통전문기업 육성 및 유치, 기업 및 지원기관과 네트워크 구축, 기업지원서비스로 제안하였으며, ‘중앙정부의 역할’은 관련 법제 정비, 지방자치단체 인센티브 지급 그리고 지속적인 비전제시로 제안하였다.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세부 실천방안으로 첫째, ‘입지 선정 시 고려사항’은 조성주체 및 소비자들을 위한 접근성, 인위적으로 조성되는 만큼 성공한 축제 등과의 연계성, 향후 거점을 확보하기 위한 확장성을 제안하였다. 둘째, ‘시설 인프라 구축’은 ① 전시·유통시스템구축으로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의 랜드마크 역할을 수행 할 비즈니스관 구축, ②창작·교육시설은 창작스튜디오 건립과 지역내·외 대학과의 교류 및 연계를 위한 생태계조성, ③생산·제작기반은 관광객 대상으로 판매·체험할 수 있는 공방촌분양. 셋째, ‘R&D기반 및 기업지원 서비스’로 공예문화상품 디자인개발을 위한 원천소스 개발, 융합기술을 통한 디자인기반 기술 연구, 그리고 원·부자재 확보를 위한 국내·외 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넷째,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은 차세대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스타디자이너 및 명인육성, 공예문화상품의 특성을 강조할 수 있는 현장 맞춤형 소재/품목별 전문인력 1:1 도 재교육 등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조성방안 연구는 그동안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연구가 미흡한 여건에서 클러스터이론에 따라, 거시적으로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거시적 연구는 향후 지역별 또는 세부적인 조성방안 및 클러스터 조성 이후 성과요인 분석 등에 활용될 것이다. While top-down indiscriminate development policies which focused on industry infrastructure were prevalent to develop specific regions in the past,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bottom-up development polici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ield. For bottom-up development, local governments have executed the culture industry which is regarded as valuable in step-by-step according to cluster construction, bu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broad culture industry as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ethods to construct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craft industry in the Honam region that is the hub of culture cre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ituations of regional conditions and the importance and recognition of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relation with necessary factors for cluster construction suggested by M. Porter :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firm strategy and rivalry. Finally, the followings could be suggested. First, the result of investigating situations indicated that the Honam region was the second highest condition of constructing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next to the Seoul/Metropolitan region and was higher in several items including market share and turnover than other regions. It demonstrated construction factors. Second, the result of recognition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groups recognized ``establishment of distribution system to sell craft culture products` as important. Thus it provides important suggestion to present further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two construction methods: ``mutual collaboration approach by construction subject`` and ‘detailed actions the construction of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in relation with regional conditions and structure of culture industrial cluster. First, in the mutual collaboration approach by construction subject, the production of craft culture products, the development and invitation of distribution specialist, network building with companies and supporting institutions, company supporting service was suggested in relation with ``private-led promotion``, while the improvement of related legislation, incentive payment to local governments, and the presentation of continuous perspective was suggested as ``the roles of central government``. In detailed actions the construction of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s, first, for ``consideration for location selection``, accessibility for construction subjects and consumers, connection with successful festivals in consideration of artificial construction, and extension to assure a further base was suggested. Second,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building’ included ① business halls to play a landmark role of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 and recogn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exhibition and distribution system, ② the establishment of creative studio and ecosystem creation for exchange and connection with colleges for creativity and education facilities, and ③ the support and operation of craft centers for sales and visitors` experience and equipment support office as a production and manufacture base but it was recommended to invite professionals by field and professional companies. Third, ``R&D based and company support service`` suggested the source development to develop craft culture products design, design-based technique research through converging technologies, and domestic or foreign related information service. Finally, ``professional cultivation program`` should be provided as the star designers or masters to develop next culture products and on-site needs satisfying 1:1 apprentice training by material/item to stress the characteristics of craft culture product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construction methods were presented on a macro basis according to

      • KCI등재

        지역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어메니티 활용방안 연구

        정건용(Gen Young Je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최근 산업기술의 평준화와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지역과 산업 간의 특성이 무력화 되었고, 무한경쟁 속에서 치열한 경제활동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천연자원과 산업적 기반 그리고 노동인력 등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간적 동질화 및 시간적 접근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한 그 지역만의 독특한 문화자원을 발굴하여,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도구로서 장소마케팅을 활용하게 되었다. 특정한 지역을 하나의 상품으로 보고 그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노력은 장소마케팅을 통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나, 장소마케팅의 소재가 되고 있는 문화자원 발굴과정 및 접근전략은 다소 체계적이지 못한 사례들을 우리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지역 문화상품으로서 지역축제를 기반으로 성공한 장소마케팅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되, 광의로 해석한 에메니티적 개념으로 접근했다는 것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별로 보유하고 있는 문화자원을 어메니티로 이해하고 구분하여, 활용가치에 따라 장소마케팅 도구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주제어에 대한 용어정리와 함께 문화상품으로서 어메니티와 장소마케팅과의 특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정의하였으며, 국내·외 성공 사례지역조사를 통해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참고하였다. 또한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소 마케팅 추진전략과 함께 최근 변화된 소비현상을 제시한 후 결론으로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자원 개발 유형별 대응전략’ 및 ‘공간별 특성’에 의해, ‘목적에 따른 유형’, ‘장소자산에 따른 유형’ 그리고 ‘이미지 전략에 따른 유형’으로 살펴본 결과, 판촉 또는 소비자 중심모형으로 도시 지역보다는 환경지역, 농·산촌, 연안·어촌지역을 중심으로 우선 추진되어야 할 것이며, 문화적으로 우세한 지역보다는 산업적 그리고 생태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지역을 장소마케팅 범위로 지정하고, 이미지 강화와 창출형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 문화상품은 지역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바, 지역 구성원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고유한 분위기로 지역만의 독특한 포지션을 전략적으로 수립해야할 것이다. 이를 위해 소비현상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들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고, 지역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문화상품개발과정과 운용 프로그램 및 이미지 구축과 더불어 위험요소에 대한 극복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소 보편적으로 예측 가능한 결과를 가지고 있으나,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책수립에 불가피할 것이며, 지역별 또는 테마별 등으로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equaliz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keen economic activity constantly proceeds in limitless competition. Thus, areas where natural resources, industrial infrastructures, and labor power are not enough have picked out their unique resources which are impossible for space homogeneity and time access and used place marketing as a mean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Although efforts to enhance local competition by seeing a specified area as one product have continuously made, the process of picking out cultural resources which are the material of place marketing and access strategies are not systematic and it is easy to see such examples. On the contrary, it is easily understood that place marketing which achieves success on the basis of local festivals as local cultural products uses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is approached in the concept of amenity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Thu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nd classify local cultural resources as amenity and explore methods to use them as a means of place marketing according to their value of application. Amenity as a cultural product and characteristics of place marketing were def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review along with terms definition for key words and successful examples at home and aborad were examined to show application methods.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was the whole country and strategies for place marketing and recent changes of consumption were presented. Finally, the results were drawn. The findings were examined in aspects of ``coping strategies of cultural resource development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urposes``, ``types of place assets``, and ``types of image strategies``. As a result, promotion or consumer-focused models should be promoted first in environmental, rural, mountain, coastal, and sea areas rather than urban areas. Moreover, the scope of place marketing should be limited to places easy of industrial and ecological access rather than culturally-dominated places and approach should be made to enhance and create an image. Considering that local cultural products hav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n area, a unique local position should be strategically established to form local residents` empathy and have a peculiar atmosphere.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anges of consumption, construct the process of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an operation program, and an image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side and outside the area, and continuously prepare methods to overcome risk elements. Although the findings have universally predictable results, it is inevit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policies.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on areas or themes.

      • KCI등재

        공예문화상품 디자인개발을 위한 지역 문화자원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정건용(Gen Young Je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우리는 흔히들 21세기를 ``문화의 시대``라고 하고 있다. 이는 문화를 자원화하고 산업화하는 시대를 말하는 것이며 곧 문화산업의 시대를 의미하는 것이다. 문화산업은 국가나 지역의 이미지를 대표할 수 있는 유·무형의 문화자원을 적극 활용한 문화상품 발굴과 창출을 통해 지역산업으로서 중심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식기반 서비스산업으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문화상품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문화적인 무게를 가름 하는 것으로서 문화적 배경과 구조 및 소재, 기술 등에 따라, 경제적 가치를 향상시켜 지역 경제의 파급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수요자의 다양한 기호충족은 물론 시장 경쟁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유·무형의 문화자원들 중에서 광의의 문화산업 결과물인 공예문화상품 디자인개발을 위해 활용가치가 높은 지역의 문화자원이 무엇인가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문화자원을 분류하는 체계를 제시하고, 제시된 분류체계표에 의해 지역에서 대표성을 갖는 문화자원을 정리, 분석한 후 결론으로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객관성을 위해 지역 문화자원 분류에 관한 선행연구 및 참고문헌을 참고했고, 지역 문화자원에 대한 정보는 지역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공모에 접수된이미지 자료 1,930점 중, 공예문화상품의 디자인 개발활용가치가 높은 100점을 분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광주·전남지역의 생활유산 종류와 불교유산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산악자원과 문화예술자원 중 지역예술가의 작품 이미지를 응용하는 작업이 보다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남도 진미 먹거리 이미지를 공예문화상품에직접 응용하는 것과 먹거리와 관련된 이미지를 간접적으로 적용하는 것 또한 바람직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화자원 분류와 비중은 광주·전남지역 문화자원의 분포에 의한 개량적 의미보다는 인식도를 의미하는 것이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지역의 문화산업정책과 공예문화상품디자인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We often say that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culture". It means the age of resourc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and the age of cultural industry. The cultural industry is becoming the center of the local industry through excavation and creation of cultural products which actively us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which can represent images of state or region, as well as holds an important position as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Cultural products can take aim at the cultural weight of state and improve economic value according to cultural backgrounds, structure, materials, and technology. Thus, it is necessary to meet consumer`s different tastes, as well as to have market competitiveness to maximize the spillover effect of local economy. Accordingly, this study is purposed to find out cultural resources with high use value to develop craft cultural product designs which are the outcome of broad cultural industry out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scattered around Gwangju and Jeonna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present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ocal cultual resources, organizes and analyzes representative cultural resources by the classification system presented, and draws a suggestion in conclusion. For the objectivity of study, 100 subjects with high value of using design development of craft cultural products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 the classific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from 1,930 images submitted to the contest for local citizens. Based on the findngs, Gwangju and Jeonnam should develop their cultural products based on Buddhist heritage including temples, pagodas, or a Buddhist image of Unjusa Temple and continuously promote the figuration of images of local artists` works.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resources suggested by this study means the weight(recognition) by the distribution of cultural resources of Gwangju and Jeonnam and contributes to the basic materials for the local policy of cultural industry and the design development of craft cultural products.

      • KCI등재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일자리창출 방안연구

        정건용(Gen Young Jeoung),강성곤(Sung Kon K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최근 여러 지자체들은 광의의 문화산업인 공예산업을 클러스터로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확신해왔으며, 본격적인 지방자치제도 실시(1993년)이후 지역단체장들은 선거공약으로 지역의 특화산업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공약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공약들은 여러 시행착오와 부작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호남권을 중심으로 클러스터이론에서 요구하고 있는 구성요소에 따라 일자리 창출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이론적 배경에서 공예문화산업과 클러스터에 대한 개념을 정리한 후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연구모델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연구모델에 따라, 대상지역 실태조사와 문화자원현황을 통해 당위성을 확보하였으며, 호남권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을 크게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입지 선정 시 고려사항과 시설인프라 구축(전시·유통, 창작·교육, 생산·제작시설) 그리고 R&D기반 및 기업지원서비스,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제시된 조성방안에 따라, M. Porter가 주장하는 클러스터 구성요소 및 조건 즉, 요소조건, 수요조건, 연관/지원산업, 전략/경쟁여건 측면으로 일자리 창출방안을 각각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결국 공예품 제작인력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상호 네트워 크구축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전시·유통과 창작·교육 그리고 생산·제작이 원활하게 진행될때, 공예문화산업발전과 함께 지속적인 일자리가 생성되는 것이다. Recently, several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the craft industry which is culture industry in a broad sense as a cluster and confirmed ongoing job creation. Since 1993 when local autonomy was fully enforced, local administrators have often made public commitments of creating jobs through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However, despite several trials and errors and side effects, the commitments have been continued. At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thods for job creation in association with constitution factors required in the cluster theory with its focus on the Honam reg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concepts of craft culture industry and cluster were defined. Then, legitimacy was ensured through investigating the situations of subject region and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e derived model. Methods to develop the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 in the Honam region were broadly proposed: considerations for location selection, construction of facility infrastructure (exhibition·distribution·creation·education·production·making facilities), R&D basis and enterprise supporting service, and professional personnel develop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creation methods proposed, each method for job creation was presented in terms of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conditions, and context for strategy and rivalry suggested by M. Porter. The findings suggest that support for craft personnel and construction of internetwork did not create jobs, and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distribution·creation·education·production·making ecosystem greatly contributed to ongoing job creation along with the growth of craft culture industry.

      • KCI등재

        지역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에코뮤지엄 조성 방안

        정건용(Jeoung, Gen Young),강성곤(Kang, Sung K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일찍이 유럽에서 생성된 에코뮤지엄은 환경과 조화되고 환경에 대한 역할을 달성한다는 뜻에서 ‘확장된 의미의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환경이라 함은 광의의 개념으로서 자연환경은 물론이고, 한 지역 안의 다양한 문화유산과 유 · 무형의 자연유산, 산업자원 등이며 에코뮤지엄은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보는 새로운 유형의 박물관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박물관은 과거의 유물들이나 작품들을 보관 · 진열해 놓은 공간이라는 인식에서 더 나아가 전시와 교육의 기능이 강조되는 교육기관으로서의 인식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다양한 전시 연출과 체험식 교육프로그램의 진행으로 이제는 에듀테인먼트의 문화시설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에코뮤지엄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지역개발 사업은 대규모 재원이 투입되는 시설 인프라 구축 성격의 기존 지역개발사업과 큰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에코뮤지엄은 교육, 마케팅, 기획, 프로그램 개발 등의 소프트웨어가 중심이 되며, 적은 비용으로 기존에 개발된 자원을 활용하게 되므로 그 만큼 생태계의 훼손과 환경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적다. 에코뮤지엄은 사회교육적 기능을 통한 지역공공교육의 장으로써 활용할 뿐만 아니라 평생교육의 장으로 지역민을 위한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역사와 문화자료를 수집하게 하며, 적극적인 지역 문화시설로서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박물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에 따라 강진군의 경우, 고려청자박물관을 중심으로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해 고려청자문화특구 지정(2009년)과 함께 기 구축된 인프라 연계활용 및 다양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룰 위해 강진고려청자박물관을 중심으로 에코뮤지엄 조성방안을 다양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참고문헌을 통해 에코뮤지엄에 대한 개념 정립과 함께 공예문화산업과의 연관성을 찾아보고, 국내 · 외 사례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 도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강진군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자원 현황 등에 대한 조사결과를 반영하였다. 실질적인 지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유도를 모색하고자 지역민 중심의 지역활성화 전략으로 강진 고려청자박물관 활성화 방안과 강진 고려청자에코박물관 단계별 조성방안으로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현재 강진고려청자박물관을 거점박물관으로 활용하고,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문화자원을 위성박물관으로 연계하여, 고유한 문화유산이 잘 보존되어 있는 문화, 경제, 교육의 문화 · 관광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 · 관광공간은 지역사회와 지역민 간 소통되고 관광객을 유치함으로써 광의의 공예문화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n ecomuseum created earlier in Europe can be ‘a museum in a broader sense’ as it harmonized with environment and achieved a role for environment. Environment includes natural environment, as well as various cultural heritages,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industrial resources in a broad sense. An ecomuseum is a new type of museum that covers these elements overall. The awareness of a museum has been changed from the space to keep and exhibit past remains or works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emphasizes exhibition and educational functions. Moreover, it is developing into cultural facilities for edutainment by various exhibitions and experience educational programs. In this current, local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the concept of an ecomuseum are great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build-up of infrastructures spending large-scale financial resources. As an ecomuseum focuses on such softwares as education, marketing, planning, and program development and uses developed resources at a small cost, it has little concern for damage to ecosystem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 ecomuseum can be used as the place of local public education through social and educational functions, as well as the place of lifelong education to extend local people’s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can collect local history and cultural data and contribute to community as active local cultural facilities. In this background, designating the Goryeo Celadon Cultural Zone(2009), Gangjin-gun has explored the methods to use the existing infrastructures and support various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ethods to create an ecomuseum in various ways to revitalize the craft and culture industry with its focus on the Goryeo Celadon Museum. Methodolog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an ecomuseum and find out its association with the craft and cultural industry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and derive suggestions from Korean and foreign cases. Based on the suggestions, this study reflected the findings on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resources in Gangjin-gun. This study also proposed the methods to revitalize Gangjin Goryeo Celadon Museum and create Gangjin Goryeo Celadon Ecomuseum by stages as the local people-focused strategy for local revitalization to induce local people’s substantial and active particip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need to create cultural, economic, and educational space where our cultural heritages are well preserved by using Gangjin Goryeo Celadon Museum as a key museum and connecting cultural resources scattered around local area with satellite museums. The culture and tourism space will contribute to communication between local society and local people, increased tourists, and the growth of the craft and culture industry in a broad sense.

      • KCI등재

        유아용 다용도 의자디자인 개발 연구 -Expanded Polypropylene (EPP) 소재를 중심으로-

        최태옥(Choi, Yae Ok),정건용(Jeoung, Ge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오늘날 유아용품의 개발과 기술 혁신은 제품 기능과 디자인을 넘어, 소비자 요구에 맞춰 감성을 표현해야 한다. 특히, 유아가구 시장은 낮은 출산율에도 불구하고 하나만 낳아 최선을 다해 기르자는 소비자의 심리로 취학 아동에서 미취학아동, 유아로까지 시장이 확장되어 있으며, 유해물질 및 성분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소재 제품 판매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유아들의 성장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실용성이 강조된 디자인과 인체에 무해하고 내구성이 좋은 EPP소재로 유아용 다기능 의자를 디자인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유아기의 특징과 신체적 발달과정을 알 수 있었으며, EPP소재에 대한 물리적 구조와 장점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후 국내⋅외 시장조사 및 디자인 등록현황 조사를 통해 디자인 트렌드 및 디자인 한계점에 따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Positioning과 SWOT분석을 할 수 있었고, 디자인 Concept를 설정 한 후 디자인 개발 방향을 통해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디자인전개는 모티브 이미지조사부터 아이디어스케치와 렌더링을 통해 시제품 제작을 위한 최종 디자인을 선정하였으며, Mock-Up제작과 사용자(5세 남아와 4세 여아) 테스트를 걸쳐 문제점 발견과 디자인 수정을 거쳐, 금형 설계 후 시제품생산까지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의 빠른 성장에 의해 사용주기가 짧은 기존 유아용 의자에서 유아의 성장과 함께 다양하게 의자 또는 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능성에 착목하여 디자인함에 따라, 다양한 가구시장 환경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EPP소재는 변형과 가공이 쉬워 의자 이외에도 책상, 놀이기구, 인테리어 소품 등 디자인제품 시장 분야에 접목시킬 수 있는 소재로서 향후 다양한 디자인개발이 기대된다. The develop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of child products has increasingly demanded to speak for consumer’s desires and emotion beyond product functions and design. The child furniture market has been expanded to preschool and school children and infants despite a low birthrate due to consumers’ psychology that has one child and do their best in raising. Also, with consumer’s high concerns for harmful materials and ingredients, eco-friendly material products have been increasingly s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ltipurpose chair design for child which focuses on utility for sustainable use with child’s growth and uses harmless and durable EPP material. For theoretical backgrounds, the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hood were investigated and the physical structures and advantages of EPP material were understoo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n, the positioning and SWOT was analyzed for design development according to design trends and limitation based on researches on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and the status of design registration. A design concept was established and finally design was developed based on the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The final design was selected to make a prototype sample through motive image research, idea sketch, and rendering. Mock-up was made and tested for users(5-years-old boy and 4-years-old girl). Problems were found and design was changed. Mold design was performed and finally a prototype sample was made.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various utility and functionality for chairs or desks which grow with children because the existing child chairs have a short usage period due to the rapid growth of childhood. In this regard, this design is expected to have the advantage in competitive market environment. As EPP material is easy to change and process, it can be grafted into various design product markets such as desks, playing tools, and interior design props, further design development is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