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교과서 감상영역 분석

        전혜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감상은 하나의 내용영역으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음악 요소와 개념, 연주 형태, 역사・문화적 배경을 감상영역의 내용요소로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요소가 실제 수업에서 구현되는 가장 기초적인 학습 자료는 교과서이다. 음악 교과서에는 감상을 위한 악곡과 학습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음악 교사는 교과서를 기초로 하여 감상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교과서는 다양한 학습 자료 중 하나일 뿐이며, 감상 수업 설계의 바탕이 되는 것은 교육과정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감상 교육에 대한 문헌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고찰을 바탕으로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의 감상영역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내용은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의 감상영역의 악곡과 학습내용이다. 악곡은 문화권, 시대적 배경, 연주 형태의 분포를 양적 분석하였다. 그리고 음악 요소와 개념에 대한 학습내용과 감상을 위한 지식의 학습내용을 분석하였다. 감상을 위한 지식은 음악의 배경과 음악의 종류로 나누었다. 음악의 종류는 연주 형태, 악곡의 악기 편성, 음악의 장르로 나누었고, 음악의 배경은 음악사, 인물, 관련 학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곡의 문화권 분석 결과, 대다수의 교과서에서는 서양예술음악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국악이 그 뒤를 이었다. 그리고 대중음악과 세계의 민속음악을 수록하지 않은 교과서가 다수 있었다. 둘째, 악곡의 시대적 배경 분석 결과, 모든 교과서는 대체로 다양한 시대의 감상곡을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악곡의 연주 형태 분석 결과, 서양예술음악은 기악과 성악의 연주 형태 모두가 모든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었다. 반면에, 국악은 기악 연주 형태만이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었고, 성악 연주 형태는 포함하지 않은 교과서가 있었다. 넷째, 음악 요소와 개념에 대한 학습 내용 분석 결과, 국악과 서양예술음악 모두 형식에 대한 학습 내용은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수의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음악 요소와 개념도 있었다. 다섯째, 감상을 위한 지식에 대한 학습 내용 분석 결과, 음악의 배경에 대한 학습 내용은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었지만, 음악의 종류에 대한 학습 내용은 교과서별로 다양하게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감상 교육에서 교과서를 활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중음악과 세계전통음악을 가르칠 때 음악적 지식을 포함하여 학습내용을 구상해야 하며, 서양예술음악과 국악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이 감상 수업에서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감상 교육에서 음악의 형식에 대한 내용을 중요한 음악적 개념으로 다루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의 감상영역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음악 요소와 개념에 대한 학습 내용은 다른 영역과 연계하여 지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감상 수업에서 교과서의 악곡과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Music appreciation has been one of the main contents of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of Korea.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presents three main contents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performance setting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A textbook is the most basic learning material which actualize the National Curriculum. Music textbooks include musical pieces and learning contents. Thus, music teachers can refer to textbooks to teach music appreciation class. A textbooks is one of various learning materials, however,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the most fundamental for planning class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usic appreciation contents of Korea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by the literature review on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and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nalyzed are Musical pieces and learning contents in fourteen kinds of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The analysis includes distributions of cultural areas, historical backgrounds, and performance settings. Learning contents are analyzed in two parts: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knowledge for music appreciation. Knowledge for music appreciation divided into backgrounds of music and types of music. Types of music include performance settings, instrumentation and genre. Backgrounds of music include music history, composers and related subjects involved in mus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o cultural backgrounds of music, most of the textbooks include Western art music the most and Korean music followed by. Some textbooks do not cover pop music and world folk music. Second, concerning historical backgrounds of music, every textbook covers music from various periods. Third, as for performance settings of music, every textbook includes western art music of both instrumental and vocal music. On the other hand, some textbooks include Korean music of instrumental music only. Fourth, as for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forms are included as learning contents in both Korean music and western art music. However, some of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are not covered in many textbooks. Fifth, as to knowledge for music appreciation, every textbook covers backgrounds of music, whereas learning contents about types of music vary in each textbook.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s are suggestion for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First, when teaching pop music and world folk music, it is necessary to include musical knowledge as 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music of various cultures, as well as Western art music and Korean music, should be covered in music appreciation class. Second, forms are important musical concepts in music appreciation class. Third, it is necessary to teach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not included in appreciation part of a textbook, combining with musical activities such as singing and performing. Finally, research on detailed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for teaching music and learning contents of textbooks in music appreciation class, is needed.

      • 어머니의 자녀 식생활지도관리 실태 및 유아 영양 교육에 대한 인식 요구도

        전혜인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취업유무에 따라 영양지식 정도와 가정에서의 식생활 지도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어머니들의 유아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가정에서 어머니의 올바른 자녀 식생활 지도 관리를 도울 수 있는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이 연계한 유아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취업 유무에 따라 어머니의 영양 지식정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취업 유무에 따라 어머니의 자녀 식생활 지도관리 실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취업 유무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7개 어린이 집을 통해 어머니들에게 설문지 작성을 의뢰하여 실시하였고 연구의 대상은 만 3, 4, 5세 자녀를 둔 중산층 가정의 어머니로 총 318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248부를 회수하였고 미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총 233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는 최은희(2003), 정인경(2004), 박경애(2000), 오순희(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고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수정․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AS 9.1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고 어머니의 영양지식 수준, 어머니의 식생활 지도관리 실태, 유아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각 문항별 정답율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취업유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영양지식 점수는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총 15점 만점에서 전체 평점이 9.12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중간 이상의 영양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 수준을 알아본 문항들 중 높은 정답률을 보인 것은 일반적인 영양에 대한 지식이었던 반면 낮은 정답율을 보인 것은 유아기 영양에 대한 문항들로 나타나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유아기 영양에 대한 영양지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들에게 올바른 영양정보 제공 및 영양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2. 어머니의 식생활 지도관리 실태에서는 대부분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대부분 자녀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녀의 영양문제에 대해서는 전체의 40.3%가 영양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모의 자녀는 식사예절, 식욕부진의 영양문제가 많이 나타난 반면 비 취업모의 자녀는 편식이 더 심하게 나타났다. 가정에서 어머니가 자녀에게 제공하는 각 식품군의 횟수에 관한 결과에서는 취업모가 비 취업모에 비하여 매일 섭취해야 할 채소류는 적게 제공하고 적게 섭취해야 할 가공식품은 자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유무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식품들을 적절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부분의 유아들이 건강한 식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었다. 자녀의 아침식사 빈도는 취업모의 자녀들이 비 취업모의 자녀에 비해 아침식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었고 거의 대부분의 가정에서 온 가족이 함께 식사하는 경우가 매우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위한 식생활 지도는 비 취업모가 취업모에 비해 더욱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도 내용면에서도 전체적으로 비 취업모가 더 자주 지도하는 하고 있었다. 지도 방법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취업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 설명을 통한 가장 편하고 단순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에 대한 정보를 얻는 근원은 대부분 대중매체를 통해 얻고 있었고 교육기관으로 부터 정보를 얻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식생활 지도관리 시 어려운 점은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취업모들은 ‘시간부족’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고 전반적으로 ‘자녀의 까다로운 식성’, ‘참고 자료 및 개발된 영양교육프로그램 부족’ 등의 의견도 있었다. 3. 어머니의 유아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서는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대부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취업유무에 관계없이 어머니들은 유아영양교육에 대해 보통이상의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유아기가 영양교육에 적절한 시기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양교육 필요성과 가정과 교육기관이 연계하여 유아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어머니의 영양교육에 참여도 대부분 참여할 의향이 있었고 자녀의 식생활 지도를 위해 어머니들은 자녀의 연령에 맞는 영양교육 정보 제공,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이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이 연계한 유아영양교육의 방법으로는 유인물을 통한 정보제공, 개별 상담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어머니들의 식생활 지도관리 시 어려움과 영양교육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참고 자료 및 영양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교육기관과 어머니들이 연계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영양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체적인 체제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researches the actual status of mothers’ nutrition knowledge level and the management eating habits of their children as well as examines the mothers’ understanding and need of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o aid mothers to instill proper eating habits at home as well as become the basis in creating an infant nutrition educational program linked with related institutions. With this objective in mind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osed. Question #1. What differences were there in the awareness of nutrition knowledg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other had a career? Question #2: What differences were there in the management of the child’seating habit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other had a career? Question #3: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other was working, what differences were there in the understanding and need of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surveying the mothers of 7 day 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Kyeonggi area. The subjects were middle-class mothers of 3, 4, and 5 year-olds. A total of 31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48 were collected and excluding those that were not answered a total of 233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nutrition knowledge of mothers showed no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other had a career. Most of the mothers had an above average knowledge about nutrition However, those questions which had a low score were those on infant nutrition so it was concluded that most mothers had a low awareness on knowledge about children nutrition. 2. The management of eating habits of children showed a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other had a career. Nutrition issues, number of products provided, frequency of meals, degree of meal management, type and content of eating habits, source of information about eating habits, difficulties in managing eating habits were some areas where they showed differences. Mothers without careers showed to he doing better in managing the eating habits of their children in comparison to mothers who had careers. however lack of time, educational materials, nutrition program, as well as lack of nutrition knowledge of mothers, children nutrition problem etc. lead to difficulties in management of eating habits of children. 3. There were no clear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r need about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dependent on the mother’s career. Most mothers were interested in infant nutrition education and they were aware about the importance as well as the need for education of infant nutrition. Moreover, they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infant nutrition education and they needed nutrition information catered to their child’s age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program linked to their children’s facility. Therefore, an elaborate system that can consider the difficulties of instilling proper eating habits and need of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as well as provide the necessary nutrition information for mothers as well education for the children needs to be implemented.

      • 부모결연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전혜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장애아동 부모들은 장애자녀를 양육하며 많은 정서적인 어려움과 양육방법상의 무력함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어려움은 특히 장애자녀의 연령이 낮고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 더욱 커지게 된다. 유아 또는 초기 아동기 장애아동의 부모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역량을 강화하며 대처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하는 지원의 한 형태로 부모결연프로그램(Parent-to-Parent Program)이 있는데, 이는 장애아동의 부모가 비슷한 상황을 경험한 다른 부모로부터 정서적인 지원과 정보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결연프로그램을 정신지체 특수학교 신입생 어머니와 중학부 재학생 어머니의 결연을 통해 적용함으로써 부모결연프로그램의 실시가 참여자들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울러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결연활동을 한 참여자들의 경험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내에 위치한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어머니들로 초등부 신입생(6세-8세)의 어머니 18명과 같은 학교 중학부 재학생(12세-15세)의 어머니 18명이었으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8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의 신입생 어머니 9명과 재학생 어머니 9명은 약 20주에 걸쳐 진행된 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부모결연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Abidin, 1990)와 ‘양육효능감 척도’(최형성, 정옥분, 2001), ‘가족역량강화척도 (Family Empowerment Scale: FES)’(Koren, Dechillo, & Friesen, 1992)를 사용하였다.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한편 부모결연프로그램 참여자(실험집단)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포커스그룹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포커스그룹을 통해 얻게 된 내용을 녹음한 자료는 포커스그룹을 진행한 연구자에 의해 원래의 내용 그대로 전사되었다. 전사된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의 단계를 따라 Bogdan과 Biklen(1982)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유형화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부 신입생 어머니(실험집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역량강화의 변화정도는 통제집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역량강화의 변화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부 재학생 어머니(실험집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역량강화의 변화정도는 통제집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역량강화의 변화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여한 신입생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아픔의 공유’, ‘스트레스 변화’, ‘정보 획득’, ‘나를 사랑함’, ‘보람과 만족’의 5개의 주제(theme)와 15개의 부 주제(sub theme)가 도출되었고, 재학생 어머니들이 참여한 포커스그룹에서는 ‘지난날 회상’, ‘경험과 감정의 공유’, ‘보람’, ‘성장’, ‘인연과 연대’, ‘보람과 만족’의 5개의 주제와 13개의 부 주제가 도출되었다. 포커스그룹에서 도출된 주제들과 내용들의 의미를 살펴볼 때, 지원을 받은 초등부 신입생 어머니들과 지원을 제공한 재학생 어머니들 모두 부모결연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장애자녀 양육에 자신감을 얻게 되었고, 가족에서의 자신의 역량이 강화됨을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자녀 양육경험이 적은 어린 장애자녀의 어머니와 장애자녀 양육경험이 풍부한 어머니가 일대일로 결연되어 다양한 결연활동을 하는 부모결연프로그램이 지원을 제공받는 어린 장애아동의 어머니들과 지원을 제공하는 성장한 장애학생 어머니들 모두에게 심리 정서적인 면과 실제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부모결연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라 할 수 있으나, 앞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폭넓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모결연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Parent-to-Parent programs on parenting stress, parental efficacy, family empowerment, an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Parent-to-Parent programs offer parents of children who have special needs the opportunity to receive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from another parent who has experienced similar set of circumstances. Thirty-six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thirty six mothers were divided into 18 mothers for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arent-to-Parent program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Parent-to-Parent programs was implemented for 5 months.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lso eightee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to share their experiences regarding their participation to the program.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parenting distress level.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arental efficacy level.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family empowerment level. From the qualitative analyses, five themes emerged from the new parents' focus groups and five themes emerged from the veteran parents. Those who were supported experienced emotional supports and obtained information regarding parenting. Those who provided support also experienced emotional supports and felt rewarded. Discuss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family support practices were provided.

      • 고려시대 사원의 서적 간행과 그 기반

        전혜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려시대 사원의 서적 간행이 어떤 기반을 통해서 가능하였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사원이 고려시대 서적 간행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 사실과 당시 인쇄 및 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밝힌 것이다. 고려시대는 중앙과 지방 관아 그리고 사원에서 서적 간행을 하였다. 사원은 대부분 불교 경전을 간행하였는데, 당시 불교를 신앙으로 받드는 신도가 늘어남에 따라 불교 경전의 수요가 증대하였다. 그로 인해 사원에서 인쇄술이 더욱 발달하였고, 서적 간행의 기술력을 축적해갔다. 그러한 발전된 기술력을 토대로 사원에서 고려의 대표 인쇄물이자 문화유산인 『高麗大藏經』과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 만들어졌다. 고려시대에는 지역적으로 많은 사원에서 여러 종파의 다양한 경전이 간행되었다. 경전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 간행되었다. 이는 교정 – 판각 – 인출 – 장책의 4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교정단계는 서적 선택, 서적의 저본 확보 및 검열과 내용의 교정, 교정된 내용을 종이에 베껴 쓰는 과정이 포함된다. 두 번째 판각단계는 판목 확보 및 다듬기, 교정된 내용을 쓴 종이[판하본]를 판목에 부착 후 글씨를 조각한다. 세 번째 인출단계는 글씨가 조각된 판목에 먹을 발라 인출한다. 마지막 장책단계는 낱장으로 인출된 종이를 책의 형태로 묶어 완성하여 보관한다. 보관된 경전은 다양한 형태로 유포되고 확산되었다. 이러한 간행 과정은 다수의 전문가 및 노동력과 막대한 비용과 자재 그리고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서적 간행에 필요한 인력 기반은 서적의 내용을 교정보는 전문 교정자와 내용을 종이에 베껴 쓰는 서사자와 글씨를 판각하는 각자 등의 전문가이며, 그 외에 잡일을 담당할 다수의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간행에 필요한 인력은 사원 내에서 자체 확보가 가능하였다. 교정자는 경전에 대한 풍부한 학식이 필요하므로 대체로 승계를 소지한 고급 승려가 담당하였다. 서사자는 사원에서 자주 행해진 사경 불사의 전문 인력인 사경승이 그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각자는 글씨를 조각하는 전문 기술자로 판각만 전문적으로 담당하였던 승려가 있었다. 이들 전문 인력은 사원 자체 확보도 가능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사원의 전문 승려를 초청하거나 소속 사원이 없는 승려지식인인 산인이나 세속인을 모집하여 확보하기도 하였다. 서적 간행에 필요한 물적 기반은 간행에 필요한 자재 및 도구와 그리고 간행 전반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다. 자재는 당시 고가품에 해당하며, 소요되는 자재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이 필요한 종이와 먹 그리고 판목의 확보는 간행작업에서 중요한 부분이었다. 그것은 인력과 마찬가지로 사원 내에서 확보가 가능하였다. 종이와 판목은 사원의 지리적 조건으로 직접 생산 및 조달이 가능하였다. 반면 먹은 주요 원료인 아교가 짐승의 가죽이나 생선의 뼈로 만들기 때문에 사원에서 직접 생산은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이는 묵소에서 구매하였거나 아교만 따로 구입하여 사원에서 재가공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외에 간행에 필요한 공구는 사원수공업장에서 확보하였을 것이다. 간행 전반을 뒷받침해 줄 재원은 사원 자체적 운영으로 확보하거나 세속 사회의 시주로 마련되었다. 시주의 참여계층은 왕실과 권세가 그리고 백성과 승려 등으로 폭넓고 다양하였으며, 이들로 상당한 수입을 확보하였다. 이처럼 사원은 서적 간행을 주관할 충분한 인·물적 기반을 갖추고 있었다. 사원은 그것을 바탕으로 경전 간행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간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고려시대 서적 간행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더불어 사원은 완성된 경전의 유포와 확산을 통해 인쇄문화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이로 인해 고려 사원의 위상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나아가 사원은 불교문화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하여 고려시대 문화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 어휘능력 및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령기 저학년 아동의 화용언어 특성

        전혜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사소통능력은 구어적/비구어적 수단을 통해 다양한 맥락 안에서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친밀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인간관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 사회적인 성공과 또래와의 관계, 학업성취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Hemphill & Siperstein, 1990; Landa, 2005; Olswang et al., 2007; Mackie & Law, 2010; St Clair et al., 2011)에 현대 사회에서 사회적(화용) 의사소통의 중요성은 점점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대로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신질환 진단·통계편람 제5판(DSM-5)이 2013년 개정되면서 ‘사회적(화용적) 의사소통장애’를 독립적인 장애군으로 분류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국내에서 화용언어에 대한 장애특성 연구 뿐 아니라 발달 연구, 표준화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하며 표준화된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아동인구의 수는 매년 감소하지만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의 저소득가정 아동들은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아동에 대한 높은 사회적, 정책적 관심에 맞게 이들의 언어발달에 대한 복지 사업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또래관계와 대인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화용언어발달에는 관심이 부족하며 관련 연구 또한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저학년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으로 의사소통 조율능력, 이야기규칙 및 정보 추론 능력, 상위언어 인식을 직접 평가하여 어휘능력 및 사회경제적 지위(SES)를 기준으로 1) 네 집단(정상발달 저소득, 약간지체 저소득, 정상발달 일반, 약간지체 일반)의 화용언어 수행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2) 화용언어평가 하위영역과 어휘능력 간 상관관계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학년-3학년에 재학 중인 정상발달 수용어휘 수준 및 약간 지체 수용어휘 수준의 저소득가정 아동, 정상발달 어휘 수준 및 약간 지체 어휘 수준의 일반 가정 아동 각 15명 각 15명, 총 60명이었다. 네 집단(정상발달 저소득 가정(L-N), 약간지체 저소득 가정(L-D), 정상발달 일반가정(N-N), 약간지체 일반가정(N-D)의 화용언어능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하위영역(의사소통조율능력, 이야기규칙, 상위언어 인식)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또 화용언어평가 하위영역과 어휘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집단 간에 화용언어평가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L-N과 N-N, L-D와 N-D 즉, 다른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졌을 지라도 같은 어휘능력을 가진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네 집단의 화용언어평가 하위영역 비교 결과, 집단과 과제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과제에 따른 사후검정 결과, 어휘능력이 정상발달인 집단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어휘능력이 발달지체 집단은 의사소통 조율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이야기 규칙, 상위언어인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모든 하위영역에서 L-N, N-N 간의 차이가 없었듯이 L-D, N-D 간에도 의사소통 조율능력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총점과 의사소통조율능력이 네 집단의 수용·표현 어휘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이야기 규칙과 상위언어 인식은 대부분의 집단의 어휘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직접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가 없지만 아동의 화용언어영역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제작하고 일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했다는 점, 사회경제적 지수와 어휘능력 모두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어휘능력이 사회경제적 지수보다 화용언어능력(의사소통조율능력, 이야기규칙, 상위언어 인식)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지능이 통제되지 못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어휘력이 화용언어능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진단할 때는 사회경제적 환경보다 어휘능력을 더 고려하여 평가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휘력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저소득층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며 중재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 학령기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의 진단 및 평가 도구 개발과 중재전략을 결정하는 데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gmatic competence of school children in the low-income and vocabulary development delay.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general pragmatic competence of four groups(low-SES and normal development(L-N), low-SES and delayed development(L-D), normal-SES and normal development(N-N), normal-SES and delayed development (N-D)) and then looked into differences in the sub-categories (ability to change communication, rules for storytelling, metalinguistics) of pragmatic language among the groups. The subject included 60 children who are in grade 1 to 3. The children were subdivided into four groups(L-N, L-D, N-N, 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ceptive and Express Vocabulary Test(REVT)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General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was lower in the order N-N, L-N, N-D, L-D. Normal development and normal-SES group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en delayed development and low-SES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N-N and L-N, N-D and L-D who did not have the socioeconomic status, but same vocabulary development.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as there between N-N and L-N in each subcategories of pragmatic language. However,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here between N-D and L-D in each subcategories of pragmatic language except for the ability to change communication. (3)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and the ability to change communication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in all groups. However the rules for storytelling and the metalinguistics did not correlate wit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in al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children who had the same vocabulary development but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e finding imply that vocabulary development have an effect on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than socioeconomic status.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some information regarding the children in accordance to their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while understanding the pragmatics of the children who are from low-SES group. This study can also be used to develop the pragmatics assessment instrument and the interventional strategy for primary school-aged children.

      •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과 환경친화적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혜인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을 통해 변화되어가는 자연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의 교육적 의의와 가치를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광명시에 소재하고 있는 N유치원 만 5세 2학급 유아 50명으로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처치는 9월 1일부터 11월 5일까지 총 18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감성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감성지능 검사 도구는 Daniel Goleman(1995)과 문용린(1996)의 EI(emotionalintelligency)에 관한 검사지를 기반으로 하여 수정한 박해수(2008)의 검사지를, 다시 유아의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한 김경애(2011)의 교사용 감성지능 척도이며, 환경 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도구로는 Musser와 Diamond (1999)가 개발, 제작하고 허윤정(2002)이 번안․수정한 CATES-PV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감성지능과 환경 친화적 태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9월1일부터 11월 5일까지 주 2회로 다양한 자연물과 생명체를 관찰하기, 자연물로 놀이하기, 자연물 감상하기, 자연물 예술 감상하기, 산책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통제집단의 경우 특별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두 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휘해 t-검정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2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지능에 대해 검사한 결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사후검사의 결과가 향상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감성지능의 네 개의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낙관성 부분에서 모두 큰 향상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환경 친화적 태도에 대해 검사한 결과,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을 경험한 아동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사후검사의 결과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경 친화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자연친화적 태도와 환경보전태도에서 모두 큰 향상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은 유아의 감성지능을 향상시키고 환경 친화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identifying the influence nature friendly education provided by preeschool education institutes has on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 and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how nature friendly education activities change environment attitude and understanding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derived to address the above research question Research Question 1: What kind of influence does nature friendly education have on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EI) Research Question 2 : What kind of influence does nature 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have on preschoolers’ attitude towards the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e current experiment were 50 students of the age of 5 taken from 2 classes from N preschool located in Kyunggi-do Gwangmyung-si. 25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 while the remaining half to the control condi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18 times between September 1 to November 15.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we us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EI) survey for children created by Kim (2011), a modification of an EI survey for teachers created by Park (2008) derived from that of Daniel Goleman (1995) and Moon (1996). To measure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 we used the CATES-PV created by Huh (2002), a modification from the original survey invented by Musser and Diamond (1999). To test preschoolers’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 for 2 times per week between Sept 1 and November 5, preschoolers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participated in a variety of nature friendly activities such as observing natural objects and life, experiencing nature, looking at nature arts, and hiking.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nature friendly activities. To test the effects of nature 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on preschoolers’ EI and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 a within-samples t-test was conducted via SPSS 22.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EI test reveal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ature 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EI post participa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4 factors of EI: self-awareness, self-regulation, other-awareness, and optimism. Second, the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post activity participation increase for preschool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wo factors of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nd nature preservation attitude). In summ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dd proof to the claim that nature-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increases the EI of preschool student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s.

      • 청말민국시기 여성의 여행과 女國民 교육 : 『婦女雜誌』를 중심으로

        전혜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청말과 민국시기 중국 여성의 여행과 ‘女國民’교육의 관련성을 연구한다. 기존 중국 여성의 여행에 관련된 연구는 여성의 여행이 얼마나 확대되었는지에 집중하여, 여성의 여행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당시 여행이 어떤 교육적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국민교육과 연계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20C 이전 중국에서 여성은 외출이 자유롭지 못했다. 그들의 여행은 春遊, 時令遊, 사찰 배향, 가족이 관리의 부임지에 따라가는 宦遊 등 몇 가지 정해진 종류 안에서만 이루어졌다. 청말 여성의 교육이 공인되고, 근대적 생활방식이 도입되면서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중국 여성들은 가정 내 위치에 머무르지 않고 국민으로서 국가의 일원이 되기를 원했다. 그들은 교육을 통해 지식을 쌓으면 남성과 동등한 ‘여국민’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여행을 통해 학교에서 얻을 수 없는 다양한 경험을 얻을 수 있으므로, 여행은 교육적 활동으로 포섭됐다. 여행을 통해 국민에 걸맞는 학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다고 기대한 것이다. 이에 도시 엘리트 여성을 중심으로 여행자가 증가했다. 다른 지역의 학교 입학, 졸업 후 다른 지역 취직, 학교 단체여행 등 많은 여행 경험이 학교 및 학교 교육과 연결되었다. 그중 학교 단체여행은 유적지 방문, 단체행동, 운동회, 학교 참관 등의 활동을 통해 여행에 국민의식을 부여했다. 여학생들은 학교를 통해 여행을 경험하고 교사가 가르치는 대로 국민교육을 받아들였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여학생은 졸업 후에도 국민의식을 가지고 여행한다. 청말민국시기에 여성잡지가 부흥하여 많은 엘리트 여성들이 잡지에 여행기를 투고했다. 부녀잡지는 이 시기 대표적인 여성잡지로 1915년에서 1931년까지 꾸준히 여행기를 게재했다. 부녀잡지에서 113편의 여행 관련 기사와 71편의 여행기를 찾을 수 있었다. 여성의 여행 경험이 학교와 많은 관련이 있었으므로 57명의 여성 여행기 투고자 중 여학생, 교사, 교육계 인사가 과반수를 차지한다. 이 여행기들을 분석하여 도시 엘리트 여성들의 여행 방식과 그들의 사상, 여행기에서 찾을 수 있는 국민교육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여행기에서 여성 여행자들의 ‘여국민’으로서 사회적 책임감과 사회참여의식을 찾을 수 있었다. 그들 대부분이 학교에 관련되었으므로 교육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가졌다. 학교를 참관하고, 여행지의 여성 교육 현황을 관찰해 기록하는 방식으로 여행기 내에서 그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여성 여행자는 여행지에서 중국의 낙후된 사회현실을 발견한다. 그리고 엘리트 여성으로서 여성 교육의 발달이 국가의 발전으로 연결된다는 사상을 가지고 여성 교육의 진흥을 다짐한다. This thesi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women's travel and 'female national' education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Republic of China. Existing researches related to chinese women’s travel focused on the expand of women’s travel. The social significance of women's travel has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ravel at that time and how it was connected with national education. In China before 20C, women were not allowed to go out freely. Their travels were limited to a few fixed types, such as spring outings, holiday trips, pilgrimages, and family tours from government offices to their assigned places.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with the official recognition of. female education and introduction of modern lifestyle in the city, women's social advancement increased. was introduced. As a result, Chinese women wanted to become part of the state as nationl, not stay in their homes. They believed that by acquiring knowledge through education, they could become “female national” on par with male naional. Travel has been embraced as an educational activity because it provides a variety of experiences that cannot be obtained at school. It was expected that through travel, they would be able to build up knowledge and experience worthy of the people. The number of travelers has increased, mainly among urban elite women. Many travel experiences, such as entering a school in another area, finding a job in another area after graduation, and traveling with a school group, were connected to school and school education. Among them, school group tours gave national consciousness to travel through activities such as visiting historical sites, group activities, sports events, and school visits. Female students experienced travel through school and accepted national education as teachers taught them. Based on this experience, female students travel with a sense of nationalism even after graduation. Women's magazines rised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Republic of China, with many elite women contributing travel writing to magazines. Funüzazhi(The Ladies’s Journal) was a leading women's magazine of the period, consistently publishing travel writings from 1915 to 1931. There were 113 travel-related articles and 71 travelogue articles in the magazine. Since women's travel experiences were highly related to school, female students, teachers, and educational figures account for the majority of 57 female travel contributors. These travel writings were analyzed to survey the ways urban elite women travel, their ideas, and the influence of national education found in them.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find social responsibility and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as 'female naional' of female travelers in the travel witings. Since most of them were related to school,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education. They showed their interest in education in the travel writings by visiting schools and observing and recording the current status of women's education in travel destinations. Female travelers discovered China's underdeveloped social reality while traveling. And as an elite women, they promise to promote women's education with the idea that the development of women's education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