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BCV를 이용한 자연휴양림 내 임도의 공공편익 평가- 산림휴양을 중심으로 -

        전철현 한국교통연구원 2015 交通硏究 Vol.22 No.4

        Forest roads, a form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forests, have played various and positive roles in both indirect use such as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reforestation, and forestry, with the improvement of access opportunities of visitors and residents and direct use in timber production, pest control, and forest fire prevention through their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stimate willingness to pay (WTP) and total benefit for increase of forest roads by using double bounded contingent valuation in onsite and online nationwide surveys. The analysis of 1,500 respondents (500 in-person and 1,000 online) shows that improvement of access ability of forest users, provision of recreation opportunity and recreational facilities through forest road development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create a substantial positive effect on the economic welfare of forest users, while the respondents also noted negative effects such as temporal soil erosion and landscape degradation. The WTP of respondents is estimated about ₩918.2 per person per visit over a year and the expansion of benefits is based on WTP is estimated at ₩1,177 billion (WTP ₩918 per person per visit × NNRF visitors of 10,684,000 persons × 12 visits/year). Hence, the result shows that an increasement in quality and quantity of forest roads (18,384 ㎞ in 2013) contributes to the economic welfare of forest users in terms of forest recreational satisfaction potentially providing fundamental data on economic analysis on forest road plans and policies. 산림분야의 교통도로로서의 기반시설인 임도(forest roads)는 산림관리, 목재 생산, 산불 진화 및 병해충 방제 작업 등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는 산림휴양, 숲 치유, 숲 유치원의 기회 제공 등 공공편익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산림분야에 대한 시․공간적 수요가 증가하면서 사용 연령 및 계층도 다양해지고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대표적인 기능인 산림휴양을 중심 사례로 임도의 공공편익 측정을 위해 이중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평가법(Double Bounded Contingent Valuation)을 적용하여 지불의사액(WTP)을 추정하고, 임도 건설 시 일반시민들이 얻게 되는 편익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설문 분석 및 지불의사액 모형 설정에 사용된 조사 자료는 설문조사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주)에 의뢰하여 2013년 7~9월에 전국 가구 및 자연휴양림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지조사(500부)와 온라인조사(1,000부)를 통해 수집된 1,500부가 사용되었다. 주요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임도를 통해 접근성 향상, 산림휴양, 숲 치유, 숲 체험 활동 및 편의시설 제공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반면에 일시적인 토양손실 및 경관훼손 등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도의 질적․양적 개선을 위한 한시적인 기금 조성에 대한 지불의사액 모형추정 결과 1년 동안 산 방문 시 1인당 최대 지불의사액은 918.2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대해 편익을 확대한 결과 연간 약 1,177억 원(WTP 918원/인․회수×방문객 10,684,000명×12회/년)으로 추산되었다. 따라서 산림방문객들은 임도 이용을 통해 ‘휴양 만족도(후생)가 더 크게 증가하며, 다양한 긍정적인 편익이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 및 임도 이용행태, 산림기반시설인 임도(혹은 도로) 건설의 경제성 분석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산림이용객 행태분석 및 휴양가치 추정 연구

        전철현,신효중,정세경,이효상 충북연구원 2013 지역정책연구 Vol.24 No.2

        Forest recreation(or recreation activities) including healing, culture, and education related to forests, which is one of forest public functions with both direct use value and indirect use value, has recently played a critical role for citizens’welfare as income increase, health and aesthetic issu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stimate willingness to pay, total benefit and behavior analysis for forest recreation by using onsite DBCV survey in national wide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2. The in-person 700 survey results show that‘relatively high recognition of forest public function and its satisfaction’makes substantially the positive effect on WTP, and the each ratio of forest recreation 37.1%, forest healing 32.0%, and forest landscape 30.9% is represented in order. The DBCV WTP estimate is about ₩ 814.1(household/ month) for a year and the expansion of those benefit on the WTP of forest recreation values is calculated to be ₩781.6billion(WTP ₩814.1/household /month×17,950,675 household×12 month/year×response rate 45.3%). Hence, the result proves that forests are in important position as a natural recreation and related to its activities to citizens and its result could be fundamental data on economic analysis on forest public policy. -

      • KCI등재

        제주 곶자왈 역사・문화자원의 보존가치 추정: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전철현,강성혁,김찬수,이성연 한국환경정책학회 2017 環境政策 Vol.25 No.4

        제주도 곶자왈은 제주도에만 분포되어 있는 독특한 산림생태계로 청동기시대~1950년대까지의 오랜 역사와 주거, 농경, 신앙 등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곶자왈 방문경험이 있는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비시장가치평가법인 이중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평가법(double bounded contingent valuation)을 적용하여, 곶자왈 역사・문화자원의 보존가치(편익)를 경제적으로 추정하는데 있다. 곶자왈 역사・문화자원 보존편익의 경제적 평가를 위하여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곶자왈 탐방객의 방문횟수, 방문만족도, 이용경험, 인지도, 지불의사 및 지불거부 이유 등에 대해 2016년 9월 24 일~10월 1일까지 1,000부를 설문전문기관인 미래리서치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곶자왈 탐방객의 75% 이상이 2번 이상 방문한 경험이 있으며, 82% 이상이 ‘산책/휴식(명상)의 목적으로 방문하였으며, 곶자왈역사・문화자원 보존이 후생증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반면에 곶자왈 탐방객의 14%만이‘곶자왈 역사・문화유적’을 견학하기 위해서 방문하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곶자왈의 이용가치에 22%, 존재가치에 17%, 상속가치에 43%, 선택가치에 18%를 각각 배분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곶자왈 역사・ 문화자원 보존편익의 경제적 가치를 살펴보면, 지불의사액 모형으로부터 도출된 지불의사액(중앙값)은3,157.02원/방문/인으로 서순복(2010)의 2,198.90원의 보다 높고, 임상오・신철오(2013)의 산수실경에 대한 평균 지불의사액 7,506.9원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추정된 지불의사액을 토대로 제주지역 전체의편익을 산출해 보면 2017년 기준의 가구 규모인 266,972가구로 환산하는 경우 연간 약 5.59억원(지불의사액 3,157.02원×266,972가구×6.63회/년)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곶자왈 역사・문화자원의 보존을위한 기초로 자료로 활용가능하며, 추정된 지불의사액은 곶자왈의 관리비용을 위한 기금 및 입장료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제주도민의 경우 곶자왈을 역사・문화자원의 중요성보다는 휴양, 산책의 목적으로 대부분이 활용・인식하고 있다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곶자왈 산림생태역사문화박물관건립을 통해 제주도민과 방문객들에게 곶자왈 생태・역사・문화를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Gotjawal only in Jeju represents a very exotic forest ecosystem and a long and various agri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such as dwelling, agriculture, and religious faith place from the Bronze age to the 1950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WTP) for preservation and analyze visitors’ behavior arou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Gotjawal forest in Jeju using double bounded contingent valuation. To calculate the economic value of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Gotjawal Forest, a survey of 1,000 Jeju citizens was conducted by Mirae Research from Sep. 24th to Oct. 1st 2016, to collect data on the frequency, satisfaction and purposes of their visits, as well as recognition and WTP. The results showed that 75% of respondents had visited Gotjawal more than twice and 82% visited for the purpose of ‘walking and resting (meditation)’ in the forest. Although the data also showed that the preservation of Gotjawal’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welfare improvement, only 14%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visited Gotjawal to se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re. The benefits of the preservation of Gotjawal Forest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was estimated at a WTP of ₩3,157 per visit per pers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2,198.90 estimated by Seo (2010) and lower than the ₩7,506.9 estimated by Lim & Shin (2013). The total WTP is calculated to be ₩5.59billion (₩3,157/person /visit×266,972 households×6.63 visits/year).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preservation of Gotjawal’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ut there is a limitation: although residents are well aware of Gotjawal Forest as a site for recreation and walking, they have littl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t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addition, the estimated WTP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calculating funding and admission fees to cover maintenance expenses. The creation of a Gotjawal Forest Cultural Museum (GFCM) should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ans of promoting the importance of the varied cultural sites and long history of Gotjawal Forest.

      • KCI등재

        자연휴양림 내 임도의 공공편익 평가를 위한 지불의사액 추정

        전철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1 농촌경제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creational forest visitors' behavior and to estimate public benefit from forest roads, which play various and positive roles, such as open green space, timber production, forest management, and forest fire prevention. A DBCV (double bounded contingent valuation) onsite survey was conducted nationwide from July 20th~August 7th in 2020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analysis result of 500 respondents proves that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for forest users and the provision of recreation opportunitie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through forest road development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substantially affects forest users’ economic welfare in recreational forests (RF). Also, the survey result shows 4.6 visits within 3 years for forest scenery and refreshment with family. About 60% of the respon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orest roads within recreational forests and about 80% represent a positive response to the contribution of recreational forest roads. The WTP (willingness to pay) of the respondents through the logit model applied is estimated at KRW 1,803.04 per person/visit for a year and the result of benefit expansion based on the WTP estimation is calculated to be KRW 43.24 billion. Hence, the result shows that increasing forest road quality and quantity within the RF contributes to forest users’ economic welfare in terms of forest recreational satisfaction. It will be the fundamental data on economic analysis related to forest- road construction plans and forest policies reflecting the increasing demand of consumers based on their preference.

      • KCI등재

        임산업체의 산림인증목재 구입 지불의사액 추정

        전철현,이호상,김동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농촌경제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arry out an analysis of the business’s perception against non-tariff barriers to the timber trade, the impact on the Act of Legal Timber Trade Promotion, and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off the forest certified-timber for legality certification acquisition. We conducted an interview survey targeting representatives or managers between June 12~September 30, 2018. The samples for the survey were allocated to 140 units in the metropolitan area, 30 units in the Gyungsang area, 30 units in the Chungcheong/Jeonra area, considering the proportion based on the registered companies as timber production. To summarize the main results, 66.2% of the surveyed companies in the importation of timber answered that they faced problems concerning the recognition and responses of non-tariff barriers. Regarding the areas for the national response, 60.7% of respondents pointed to ‘precise technical regulatory information’ and 60.2% to ‘provision of solutions for technical regulations.’ As for the instrument to be recognized as legality in case of a restriction on illegal timber trade among the number of measures to obtain legalization was harvesting permits (58.2%) and the acquisition of forest-related certification(FSC, PEFC) (57.2%). Regarding the estimation of payments for the recognition of timber legality, 24.4% of respondents representing additional costs to purchase forest-certified wood as a means of obtaining legality of timber pay additional costs approximately average WTP ₩28,059/㎥, Truncated WTP ₩13,188/㎥, Median WTP ₩28,428/㎥ using DBCV. This result could be useful as policy-making against NTB in timber-related business. As well, it is necessary to make an advertisement of the instrument for reducing adverse effects before implementing the new institution. 본 연구는 2018년 10월부터 시행되는 합법목재교역촉진제도와 관련하여, 목재류비관세장벽에 대한 인식과 대응, 합법목재교역촉진제도 및 조치에 의한 영향 분석, 산림인증목재 구매의사 및 산림인증목재 구입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을 목적으로 전국 201개 목재수입업체 대표자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2018년 6월 12일~9월 30일까지 일대일 면접조사로 하였다. 샘플은 목재생산업으로 등록한 업체를 기준으로 모집단의 권역별 사업체 소재지 비율을 고려하여 3개 권역 수도권 140개, 경상권 30개, 충청/전라권 30개로 배분하여 리서치림에서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하면, 비관세장벽에 대한 인식과 대응 관련하여 수입업체의 66.2%가 ‘문제 발생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는 분야는 ‘정확한 기술규제 정보 제공’이 60.7%, ‘기술규제 대응 솔루션 제공’이 상대적으로 60.2%로 높게 나타났다. 목재 합법성을 인정받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벌채허가서(58.2%), 산림인증(FSC, PEFC, CoC) 취득(57.2%)이 높게 나타났다. 목재의 합법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수단 중의 하나인 산림인증 목재를 구매하기 위한 추가 비용지불에 대해 24.4%가 응답하였으며, 이중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평가법에 의해서 평균값 28,059원/㎥, 절단값은 13,188원/㎥, 중앙값은 28,428원/㎥이 추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전국 목재 관련 사업체들에 대한 비관세장벽 및 합법목재교역촉진제도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합법목재교역촉진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중요한 변수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입목재업체들에게 적극적으로 제도의 목적 및 중 요성에 대해서 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제주시험림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 -한남시험림을 중심으로-

        전철현 ( Chul Hyun Jeon ),원현규 ( Hyun Kyu Won ),김하송 ( Ha Song Kim ),조영준 ( Yeong Jun Cho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 제주도 한남시험림에 위치한 상록활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 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도 한남시험림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9개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한남시험림의 상록활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구실잣밤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 붉가시나무-소나무군락, 종가시나무-소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다. 식생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식생단위를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인 구실잣밤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종가시나무군락 별로 분포지, 서식처 특성, 주요 분포종 등을 비교하였다. 제주도에서 발표된 구실잣밤나무림의 주요 군락으로는 구실잣밤나무-자금우군집, 구실잣밤나무-가는쇠고사리군집, 구실잣밤나무-좀비비추군집, 구실잣밤나무-후박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종가시나무군락 등이다. 조사된 구실잣밤나무군락은 구실잣밤나무에 의해서 식별된 군락으로서 한남시험림 중부 지역의 산지대 능선부분과 계곡지역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한남시험림에서 조사된 붉가시나무림에서는 상관 우점 종에 의하여 붉가시나무군락,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 붉가시나무-소나무군락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된 붉가시나무림은 한남시험림 중부지역과 하부지역에 산지대 사면지역과 계곡지역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한남시험림에서 조사된 종가시나무-소나무군락에서는 종가시나무와 소나무에 의해서 식별된 군락으로서 한남시험림 하부지역의 산지대 사면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다. 종가시나무림은 제주도를 중심으로 곶자왈 지형에서 종가시나무-쇠고비군집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지형적 특성으로 형성된 미기후 특이성에 의해 고유식생이 발달하고 있다. 또한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은 구실잣밤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 붉가시나무-소나무군락, 종가시나무-소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July to December of 2015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ound Hannam Experiment Forest in Jeju-do. A total of 9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5 commun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Quercus acuta-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Quercus acuta-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glauca-Pinus densiflora community. Overall, in order to extract the vegetation units based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inform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Korea, the distribution area, habitat characteristic and its main distribution of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Quercus glauca community were compared. The main plant communities of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forest in Jeju-do, were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Ardisia japonica association,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Arachniodes aristata association,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Hosta minor association,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and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Quercus glauca community. The Quercus acuta forest examined in Hannam Experiment Forest by any dominant species were Quercus acuta community, Quercus acuta-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and Quercus acuta-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Quercus glauca forest was distributed in the Quercus glauca-Cyrtomium fortunei association in Gotjawal around Jeju-do, which developed an unique vegetation due to the specific microclimate formed by its geographical features. Also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the Quercus acuta community, the Quercus acuta-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the Quercus acuta-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the Quercus glauca-Pinus densiflora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