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辰國·辰王 기록과 ‘辰’의 명칭

        전진국(Jeon, Jin-koo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7 No.-

        이 글에서는 진국과 진왕이 등장하는 기록을 검토하여 기록의 사실성과 대상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논의를 바탕으로 ‘辰’의 의미와 명칭 기원을 추정하였다. 진국이 처음 등장하는 기록은 『한서』 조선전인데 그 기사는 사실의 역사를 수록한 것이라 보기 어렵다. 潢이 위만조선을 침공하는 명분을 제공하고 자국의 위엄을 높이기 위한 찬자의 윤문이라 판단한다. 『위략』에서 진국은 위만조선 주민이 옮겨간 지역이고, 『삼국지』에서는 진한의 과거라 하였다. 진한은 위만조선 주민이 옮겨 오면서 형성하였다. 이상의 기록을 종합해 보면, 진국은 위만조선 유민의 남하에 의해 진한이 형성되기 이전으로, 오늘날의 한반도 중부 지역에 해당한다. 진왕은 『후한서』와 『삼국지』에만 등장한다. 『후한서』에서 진왕은 삼한 전체의 왕이라 하였는데, 이는 後潢 때의 사정을 반영한 것이라 보기 어렵다. 『삼국지』에서 마한 목지국의 진왕과 진한 12국의 진왕은 각각 다른 존재이다. 진한 12국의 진왕은 원문을 ‘진한왕’으로 바꾸어 볼 수 없다. 별개의 실체를 똑같이 진왕으로 표기한 이유는 ‘辰’이라는 명칭의 의미를 파악해 봄으로써 짐작해 볼 수 있다. 진국과 진왕은 실존의 명칭이라 보기 어렵다. 史家에 의해 작위적으로 쓰인 표현이며 그 기사 자체 또한 사실의 내용으로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 속에서 ‘辰’의 명칭에 담긴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辰’의 명칭은 삼한 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전통적인 대명사의 성격을 지닌다. 그러한 특성을 통해서 보면, 고대 중국인들이 동쪽의 먼 번방을 辰(震)으로 표기할 수 있다는 문자에 대한 관념에서 비롯되었다고 판단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Jin(辰)’and its origin through the review of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Jin state(辰國) and the king of Jin(辰王), verifying the facts and reality of the records. The first record of the Jin state was written in Hanshu(漢書) Joseon chapter(朝鮮傳). But this record is considered the manipulated sentence to provide the reason for Han(漢)"s invasion of the Wiman Joseon(衛滿朝鮮) and to increase the dignity of his country. In the Weilue(魏略), the Jin state refers to the area where Wiman Joseon residents moved. According to Sanguozhi(三國志), the Jinhan(辰韓) was called the Jin state in the past because the Wiman Joseon residents had formed Jinhan after Jin state. In this context, the Jin state refer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ecords of king of Jin appears only in the Sanguozhi and the Houhanshu(後漢書). In the Houhanshu, the king of jin is called the king of entire Samhan(三韓), which does not seem to have reflected the situation of the Eastern Han(後漢) period. In the Sanguozhi, the king of Jin in the state of the Mokchi(目支國) and the king of Jin in the Jinhan(辰韓) of twelve countries indicate different kings although they have same name. The king of Jin in the Jinhan of twelve countries does not mean the King of Jinhan(辰韓王). The reason that this two different kings were represented as same name can be understood by examining the meaning of the name "Jin(辰)". As a conclusion, the name ‘Jin state’ and ‘the king of Jin’ in the records did not indicate real state or king. These expressions were made by history writer for certain reason, and it is hard to think the records were historical fact. Nevertheless, through these record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name of "Jin". There was a common perception of "Jin", which refers to the Samhan(三韓) area. This perception originated from the notion that ancient Chinese used the word "Jin" when they referred to the eastern region.

      • KCI등재

        ‘九韓’의 용례와 ‘韓’에 대한 인식

        전진국(Jeon, Jin-kook)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6

        이 글의 목적은 삼국통일 이전 신라에서 쓰인 ‘韓’의 명칭과 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때 주목되는 것이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구한의 용례이다. ≪삼국유사≫에서는 신라 중고기 안홍이 지은 ≪東都成立記≫를 인용하여 구한의 명칭과 그 개념을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때 구한으로 열거한 9개의 나라(종족)는 신라 중고기의 상황과 맞지 않는다. 그리하여 구한은 신라 중고기의 용례와 개념이 아니라는 비판이 있어 왔다. 하지만 9개의 국명 열거는 후대의 추기로 판단됨으로 그 비판은 더 이상 유용하지 않다. 안홍은 황룡사에 건탑을 제안하면서 구한의 용례를 제시하였다. 구한의 용례는 중국에서 동북쪽 변방의 오랑캐를 일컫는 九夷九服을 변형한 것이다. 특히 안홍은 隋의 대흥선사에서 유학할 때에 ≪歷代三寶記≫를 접하고, 거기서 구복이 등장하는 구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구복을 바꾸어 구한으로 쓸 수 있었던 것은 한반도 지역의 종족성 내지 지명을 ‘韓’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신라 사료에서 구한 이전 ‘韓’의 명칭이 나타나는 것은 ≪삼국사기≫ 초기기록이다. 그러나 ≪삼국사기≫ 초기 기록에 등장하는 한 삼한의 용례는 후대 편찬자의 의도에서 정리된 것이므로 當代의 인식이라 할 수 없다. 신라에서 구한의 용례가 쓰이기 이전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이미 ‘韓’의 명칭을 쓰고 있었다. 고구려와 백제에서 지칭한 ‘韓’의 용례는 새로이 복속한 변방 지역 또는 자신들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인접 국가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이는 구한이 신라를 침공하는 주변 나라들을 일컫는 의미였다는 점과 유사하다. ≪삼국지≫ 한조에서 ‘韓’은 백제와 신라를 포함한 한반도 중남부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이었으며, 통일 이후 신라의 삼한 인식도 자신들을 포함한 자의식이었다. 그에 비해 구한의 용례는 고구려 백제에서 쓰인 韓의 용례와 마찬가지로 타의식이었다. 그러므로 신라는 인접한 고구려나 백제를 통해 ‘韓’에 대한 인식은 받아들인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rm ‘Han(韓)’ and it"s perception in Silla before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Worthy of notice is the usage of Guhan(九韓) which appears in the Samguk Yusa. The Samguk Yusa(三國遺事) descibes the term Guhan and it"s concept while quoting from Anhong(安弘)"s Dongdoseongnipgi(東都成立記) of the early seventh century. However, the nine states(people) listed here does not match the situation of Silla in the 7<SUP>th</SUP> century. Therefore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Guhan is not the usage and concept of 7th century Silla. However the nine states listed here seem to be a later addition therefore this criticism is no longer relevant. Anhong presents the usage of Guhan while recommending the erection of the Hwangnyongsa(皇龍寺) monastery pagoda. The usage of Guhan is a variation of the term Guyi(九夷) Gubok(九服) which the Chinese used to denote the barbarians of the Northeast frontier. It is thought that Anhong came across the Yeokdaesambogi(歷代三寶紀) while studying in Sui Dynasty China and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passage where the term Gubok appears. The reason Gubok was able to be changed into Guhan was because the ethnicity or place-names of the Korean peninsula was understood in terms of ‘Han’. In Silla historical records the term ‘Han’ which pre-dates Guhan appears in the early records of the Samguk Sagi(三國史記). However the usages of Han Samhan(三韓) which appear in the early records of the Samguk Sagi was compil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a later editor and cannot be seen as reflecting the thought of the time. Before the term Guhan was used in Silla the term ‘Han’ was already being used in Goguryeo(高句麗) and Baekje(百濟). The usage of ‘Han’ in Goguryeo and Baekje denoted newly conquered frontier areas or a neighboring state that was under their influence. This is similar to the term Guhan being used to denote neighboring states that were invading Silla. In the Sangokushi(三國志) ‘Han’ refers to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ncluded Baekje and Silla and the Samhan perception of Unified Silla was a self-consciousness that included themselves. In contrast the usage of Guhan, like the usage of Han in Goguryeo and Baekje was a alien-other-consciousness. Therefore Silla seems to have accepted the perception of ‘Han’ from neighboring Goguryeo or Baekje.

      • KCI등재

        『任那興亡史』의 논지와 학술적 영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전진국(Jeon, Jin-Kook)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4 No.-

        末松保和의 저서 『任那興亡史』는 일제 식민사학에서 주장하는 ‘임나일본부설’의 결정판과 같은 책이다. 이 글에서는 『任那興亡史』의 주 내용과 논지 전개, 후대의 연구에 미친 학술사적 영향을 비판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任那興亡史』의 논지 전개는 시기 순으로 사료를 조합해 가는 방식으로 서술되었다. 그러나 의도적 서술 방향에 입각하여 사료를 자의적으로 취사선택하는 모습이 확인된다. 『일본서기』 천황 중심의 세계관 및 상하의 질서관계에 대한 비판 의식이 전혀 보이지 않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백제와 신라의 역사를 다루면서도 『삼국사기』가 아닌 『일본서기』를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한국 문헌의 고유성을 인정하지 않는 시각이 내재되어 있었다고 판단한다. 『임나흥망사』에서 주장하는 역사 해석 및 학설은 오늘날까지 일본 학계에서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나아가 그러한 일본 연구자들의 견해를 한국 학계 또한 수용하고, 통설로 인정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日本府’를 사신으로 해석하거나, 「광개토왕비」 신묘년 기사를 전치문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末松의 『임나흥망사』는 결코 사장된 연구이며 폐기된 학설이라 할 수 없다. 새로운 시각과 논리 구조를 모색하여 연구를 진전시켜야 할 때라 생각한다. Yasukazu Suematsu(末松保和)"s book, 『The rise and fall of Imna(任那興亡史)』, is a representative book claiming "the Japanese ruling of ImNa(任那日本府)" from the viewpoint of Japanese colonial historiography. This article examines the main contents of the 『The rise and fall of Imna』, the development of the argument, and the academic influence of the later research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The rise and fall of Imna』 develops arguments in a way that combines historical data in chronological order.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data were intentionally selected for a specific purpose. Another problem is that there is no consciousness of criticism of the emperor-centered view showed in 『Nihon syoki(日本書紀)』. Furthermore, Although this book deals with the history of Baekje(百濟) and Silla(新羅), it mainly uses 『Nihon syok』 rather than 『Samguk-sagi(三國史記)』, which shows that this book does not acknowledge the authenticity of the Korean historical records.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theories claimed in 『The rise and fall of Imna』 still continue in Japanese academic world to this day. Furthermore, the Korean academica accepts some of the views of such Japanese researchers. It is a typical example that interprets "the Japanese government(日本府)" as a envoy, or follows the logic of this book to understand ‘year of Sinmyo(辛卯) article’ written in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It is time to move forward by developing new perspectives and logic structures.

      • KCI등재

        진변한 24국 위치 비정

        전진국(Jin-kook Jeon) 한국상고사학회 2022 한국상고사학보 Vol.118 No.118

        『삼국지』 한전을 비롯한 몇몇 문헌에는 진변한 24국의 국명이 수록되어 있다. 그 나라들은 오늘날 경상도 일대에 처음 일어난 나라들이다. 그런 점에서 그 나라들의 위치를 하나하나 비정함은 매우 기초적이며 중요한 역사 고증이다. 진변한 24국의 전체적인 위치 비정은 몇몇 학자가 시도한 바 있다. 하지만 견해가 일치하지 않는 나라가 많고, 최근에는 연구가 저조한 분야이다. 이 글에서는 진변한 24국 전체의 위치를 하나하나 다시 검토해 보았다. 먼저 국명 기록의 속성을 고찰하여 전체적인 범위와 열거의 법칙성을 파악하였다. 그 뒤 그 나라들의 흔적이라 할 수 있는 경상도 일대 삼한 시기의 물질 자료를 집성하였다. 이어 한자 음운학 성과를 참고하여 당시 국명의 발음, 그리고 그 국명과 유사한 발음의 지명을 『삼국사기』 등의 국내 문헌에서 찾아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고대 한자 음에 관한 연구가 더욱 진척되고, 삼한 시기의 물질 자료가 더 발견된다면 견해가 바뀔 수 있음을 인정한다. 다만 오늘날의 학문적 성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논의한 결과임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Some records, including the record of the Han(韓傳) in the Samkukji(三國志), lists the national names of the 24 countries of Jinhan(辰韓) and Byeonhan(弁韓). The records show the reality of the countries that first occurred in Gyeongsang-Do today. In this respect, it is very basic and important historically to determine where the countries were located. This work h as b een attempted by several s cholars, but opinions a re o ften d ifferent f or e ach scholar, and no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recently. This article reviewed the locations of all the 24 countries of Jinhan and Byeonhan. First, the author grasped the meaning of the order in which the names of the countries were recorded and the scope of the country's location, and reviewed the relics of the Samhan (三韓) period in Gyeongsang-Do, which can be said to be traces of these countries. After that, identified the pronunciation of the national name at that time through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phonology and compared it with the place names recorded in the Samguksagi (三國史記). If further research on the pronunciation of ancient Chinese characters is conducted and more relics from the Samhan Period are found, the opinion could be revised. In this respect, it is only a result made at today's academic stage.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24 countries of Jinhan and Byeonhan based on archaeological excavations conducted until recently and the achievements of Chinese character phonology in Chinese academia.

      • KCI등재

        진한의 범위에 대한 재검토

        전진국(Jeon, Jin-kook) 한국고대사학회 201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1

        진한의 범위는 신라의 전신으로 경상도 지역에 한정하여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이 글에서는 원사료에 기술되어 있는 정황과 전승을 살펴 진한의 범위를 다시 설정해 보았다. 『삼국지』와 『후한서』 한전에 기술되어 있는 진한의 위치 정황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마한의 동쪽”, 둘째 “북쪽으로 예와 접한다”, 셋째 “남쪽에 변한이 있는데 섞여 살기도 한다”이다. 마한은 한반도 중남부 지역 서쪽 전부이며, 예는 낙랑군 서쪽의 함경도와 강원 북부 지역이다. 그리고 낙동강을 기준으로 동쪽은 진한 서쪽은 변한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러한 정황으로 미루어 보면, 진한의 범위는 경상도 지역과 함께 그 북쪽의 충북 지역과 강원 영서 지역까지 포괄한다. 염사착 전승은 삼한의 정치체가 처음으로 낙랑군과 교섭한 사건이다. 이 전승에서 진한은 모두 5차례 나타나는데, 하나의 정치체 및 권역으로 묶을 수 없다. 이 두 가지 사항 또한 진한을 경상도 지역에 한정할 수 없는 논거이다. 기리영 전투는 240년대 관구검의 고구려 공격과 연동되어 있는데, 남쪽의 낙랑 · 대방군 또한 많은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전쟁의 마지막 단계에 진한 8국을 낙랑군에 소속시키는 조치가 내려진 것이다. 이때의 진한은 낙랑 · 대방과 가까이 붙어 있는 중부 지역으로 판단한다. 진한의 범위를 경상도 지역으로 좁혀서 보게 된 계기는 마한 중심의 삼한관 형성과 신라의 자국사 인식이 주요 요인이었다. 그러나 그 밖에도 진한의 용례와 신라의 과거에 대한 여러 기록이 시기와 인식의 주체에 따라 다양하게 확인된다. 이를 함께 고려해 볼 때 진한의 범위는 영남 지역에 한정하여 볼 수 없다. It has been commonly regarded as the area of Jinhan was limited to Gyeongsang Province. However, this research focused on a different context about the area of Jinhan that can be infered from several primary records. Sanguozhi and Houhanshu Hanjeon provide three kinds of records about area of Jinhan; “The east of the Maha”, “The north side touches Ye”, and “There is Byeonhan in the south, and some people live in same area”. Mahan was the entire western part of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Ye was the west side of Nakrang Commandery or Hamgyeong and northern Gangwon Province. Based on the Nakdong River, the east was Jinhan and the west was Byeonhan. In this context, the area of Jinhan was not only Gyeongsang province, but also covers northern Chungcheong and western Gangwon province. Also, There are other evidences showing wider area of Jinhan. There is the folktale of Yeomsachang record that Samhan negotiated with Nakrang Commandery for the first time, and there are five times records of Jinhan, which is not limited in Gyeongsang province. Moreover, at the end of the Giriyoung Battle that Nakrang·Daebang Commandery helped Gwan Gu-geom attacking Koguryo, the eight nations of Jinhan were incorporated into Nakrang. From this record, area of Jinhan can be assumed to be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 and close to Nakrang · Daebang Commandery. As a result, Because of Mahan-centric awareness, the recognition of Jinhan has narrowed. Especially, as Silla regarded Jinhan as its origin, this perception that Jinhan was Gyeongsang province became settled. However, according to above analysis of primary sources about Jinhan, the area of Jinhan was not limited to Gyeongsang province, but covered more north.

      • KCI등재

        삼국지 한전에 기술된 한반도 중부 지역

        전진국(Jeon, Jin-kook)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2

        2세기 한반도 중부 지역 안에서 낙랑군과 가까이 붙어 있었던 나라들은『삼국지』 한전에서 ‘韓濊’로 쓰였다. ‘한예’의 표기는 한과 예 각각의 족속 및 나라를 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2세기 후반 그들 나라는 낙랑군을 소소하게 공격한다. 마침 그 시기 낙랑군은 漢 본국의 쇠퇴와 고구려의 성장에 따라 고립되어 그 공격을 막아내지 못한다. 낙랑군의 주민들은 그 혼란을 피해 ‘韓國’으로 옮겨 갔다고 하는데, 그 지역은 북한강 유역으로 추정된다. 이어 204년 즈음 요동에서 독립 정권을 세운 공손씨가 낙랑군의 남쪽 땅에 대방군을 세운다. 그 과정에서 앞서 낙랑군을 공격했던 이웃의 한 · 예 나라들을 다시 되받아치고 유민을 모으는 군사 활동이 있었다. 이후 삼한 나라들은 대방군을 통해 중국과 교류하고, 한동안 한반도 중부 지역 안에서 충돌은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240년대에 들어 曹魏가 요동의 공손씨 정권을 무너뜨리고 고구려를 공격해 오자, 그 파동은 한반도 중부 지역까지 미친다. 진한8국 교역권 조정과 기리영 전쟁은 그 정세 속에서 벌어진 일이다. 그 혼란과 그에 따른 변화는 백제 이웃 세력의 소멸과 쇠퇴로 이어졌고, 그 뒤 안정적인 정세 속에서 백제가 고대 영역 국가로 성장한다. 한반도 중부 지역 안에서 백제와 함께 또 하나의 권역으로 상정해 볼 수 있는 곳은 강원 영서 지역이다. 앞서 한예의 강성으로 인해 낙랑군의 주민의 옮겨갔다고 하는 ‘한국’ 또한 그 지역을 말한다. 따라서 『삼국지』안에서 그 지역은 예나 맥이 아닌 한으로 여겨졌다. 그리고 다시 삼한에 대한 구분과 개념에 바탕하여 살펴 볼 경우 그 지역은 진한의 범위로 인식되었다. In the 2nd centur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untries that were close to Nakrang Commandery(樂浪郡) were recorded as ‘Hanye(韓濊)’ in the Han(韓) section of the Samkukji(三國志). The term ‘Hanye’ did not mean a single tribe, but rather separate tribes called ‘Han(韓)’ and ‘Ye(濊)’. In the late 2nd century, they attacked Nakrang Commandery several times. At that time, Nakrang Commandery was unable to defend the attack because it was isolated due to the decline of Han(漢) Dynasty and the growth of Goguryeo(高句麗). It is recorded that residents of Nakrang Commandery moved to ‘Hangook(韓國)’ to escape the chaos in this period, which is inferred to be the western part of Gangwon Province. Around 204 A.D. Kingdom by Gongsun’s Family(公孫氏) who founded the new regime in Liaodong, established Daebang Commandery(帶方郡) on the southern land of Nakrang County. In the process, Kingdom by Gongsun’s Family hit back at Han(韓) and Ye(濊), who had previously attacked the Nakrang, and gathered the people of the Nakrang. Since then, Samhan(三韓) started to interact with China through Daebang and for a while, no major clashes occurr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40s, however, when Cao-Wei(曹魏) Dynasty collapsed Kingdom by Gongsun’s Family regime and attacked Goguryeo, the situation affected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haos and the consequent changes led to the disappearance and decline of the countries around Baekje(百濟), and in the subsequent stable situation, Baekje grew into a powerful country. In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t was in western Gangwon Province that formed another power besides Baekje. The ‘Hangook’ area where Hanye"s growth caused residents of Nakrang to move, also refers to this area. Thus, in the Samkukji, this area was considered to be a range of Han(韓), not Ye or Maek(貊). Moreover, based on the concepts of Samhan, this area was recognized as the range of Jinhan.

      • KCI등재

        마한(馬韓) 개념과 ‘국(國)’에 대한 기록

        전진국 ( Jeon Jin-kook ) 백제학회 2020 백제학보 Vol.0 No.31

        삼한의 1차 사료라 할 수 있는 『삼국지』 한전은 타자에 의해 기록되었다. 그로 인해 피상적이고 관념적인 기록이 많다. 그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그 타자의 인식과 그 인식에서 정의된 대상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그 이해가 선행된 뒤에 실체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삼국지』 한전에 서술된 마한의 개념은 삼한 중 첫 번째이며 가장 크다는 점, 선주토착인을 지칭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마한의 범위 안에서도 이주민 집단이 존재하였으므로 그 개념이 실상에 꼭 맞지는 않으며 서로 모순되는 측면도 있다. 마한이라는 명칭 역시 앞의 두 개념과 연결 지어 생각해 보아야 한다. 삼한 중 가장 큰 韓, 또는 宗主와 같은 의미에서 ‘馬’자에 있는 ‘크다’는 뜻을 새겨 붙여진 명칭으로 추정된다. 마한의 실체라 하면 『삼국지』 한전에 기재된 50여 개의 나라이다. 한전 안에서 가장 앞선 시기의 기사인 준왕 전승은 마한을 구성하는 ‘國’의 등장 시점으로 삼을 수 있다. 50여 국은 3세기 때의 상황이다. 국명 나열은 북쪽에서 남쪽의 순서로, 또는 교통로의 순서로 정리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다만, 교류의 결과 채록된 것이며,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가까이 붙어 있던 몇몇 나라가 그룹을 이루어 기재된 것 정도는 추정해 볼 수 있겠다. The Han(韓) section of the Samkukji(三國志), the primary source of Samhan(三韓), is a record written by others, not Samhan itself. That is why the record has many superficial and ideological aspects.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the writer and the concept of the object described by this perspective. After understanding the viewpoints and concepts, the research on Samhan's exact form can be carried out. The concept of Mahan described in The Han section of the Samkukji has two meanings; the first and largest of Samhan, or indigenous people. However, in Mahan's range, there was a group of migrants, so the concept of ‘indigenous people’ was not exactly right and there were conflicting aspects as well. The name Mahan, also named by the other, must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two concepts. In other words, the name Mahan is presumed to be based on the word ‘Ma(馬)’ meaning ‘big’. Mahan was the collective name of many states, which were the 50 states listed in the Han section of the Samkukji. According to the the Han section of the Samkukji, the influx of the Old Choson(古朝鮮) inhabitants and culture in the 190 B.C. triggered the emergence of states. The record of 50 states is hard to say that the list of names was arranged in order from north to south, or in the order of traffic routes. However, it can be assumed that states were listed as a result of the exchange, and some of the states closely related were also listed togethe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진서(晉書)』에 보이는 마한(馬韓)의 대외 교류와 백제(百濟)의 성장

        전진국 ( Jeon Jin-kook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0

        이 글은 『진서』에 보이는 마한의 대외 교류 기사를 살펴, 3세기 후반 마한의 사정과 교류의 실상을 알아보았다. 논의의 핵심은 마한의 실체 내지 교류의 주체를 백제로 볼 수 있는가 하는 점인데, 그 과정에서 백제가 마한을 대체하는 시점에 대해서도 언급되었다. 『진서』 무제기에는 마한을 포함한 동이의 많은 나라가 빈번하게 교류한 기록이 있는데, 기술 방식이 상투적이며 반복적이다. 중국 중심의 역사관에 입각한 당 태종의 과장된 서술로 판단된다. 비리등십국전에서 290년에 요동의 동이교위로 교류해 온 나라들은 그 국명이 「광개토왕릉비」에 등장하는 한반도 중부 지역의 지명, 『삼국지』에 수록된 마한 국명과 유사하다. 수장의 칭호 또한 마한의 신지와 발음이 같으므로 마한 소국에 관한 기록으로 생각된다. 장화전의 신미제국은 마한으로 분류된 나라들이며, 그에 대한 정황은 낙랑·대방군에서 파악된 것이다. 교류의 실상 또한 낙랑·대방군으로 나아간 것이었고, 처음 교류를 해 왔기 때문에 특별히 기록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사료를 근거로 당시 신미국이 우월한 세력이었다고 할 수는 없다. 신미의 위치는 영산강 유역으로 판단되고 이후 옹관묘 문화를 향유한 집단으로 비정한다. 마한전 말미에 수록되어 있는 교류 기사에서는 교류의 주체가 `其主`로 되어 있다. 마한전에 나타나는 마한의 개념은 50여국으로 이루어진 지역적 명칭이며, 마한 전체에 해당하는 우월한 수장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주는 마한 나라들 각각의 수장을 말한 것으로 판단한다. 낙랑·대방군이 축출되고 서진에서 동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백제는 마한의 나라들을 복속하고 마한의 대표 국가로 성장하였다. 『진서』에서 4세기부터 마한이 나타나지 않고 백제로 대체되는 양상이 그와 같은 역사적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through the records about Mahan(馬韓)`s international relations in Jinshu(晉書), shows its situation and actual connections with others in the late 3rd century. The point is what the entity of Mahan was and whether the subject leading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others was Baekje(百濟). And it is mentioned about the time when Baekje replaced Mahan In the Wutigi(武帝紀) of Jinshu, there are records of frequent exchanges between kingdoms called Dong-Yi(東夷) including Mahan. Their narrative style is both cliche and repetitive, which was an exaggerated narrative of the Emperor Taizong(太宗) of Tang(唐) based on historical views centering on China, I think. In the Birijeon(裨離傳), the kingdoms, which had been contacted with as The Commandant of Eastern Barbarians in Liaodong(遼東 東夷校尉) in 290, were similar to the place names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King Gwanggaeto`s tombstone(廣開土王陵碑), the names of Mahan Communities in Sanguozhi(三國志). The title of chief is also is pronounced like Mahan`s Sinje(臣智). So, I consider that there is plenty of room to see them Mahan`s Communities. The countries of Sinmi(新彌諸國) of the Janghwajeon(張華傳) were countries classified as Mahan, which was identified by the Commanderies of Lelang(樂浪) and Daifang(帶方). The truth was that they had exchanged with the Commanderies Lelang and Daifang, and it was specially recorded because they had 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we can not say that Sinmiguk was a superior force at the time, based solely on these records. It is presumed that Sinmi was located at Yeongsangang River basin and is considered to be a group with jar coffin tomb(甕棺墓) culture. In the end of Mahanjeon(馬韓傳), the subject of exchange is written as `the king(其主)`. In Mahanjeon, Mahan is a regional name consisting of 50 Communities, and the head of the whole Communities did not appear. Therefore, `the king` is considered to be chief of each Mahan community. It is difficult to postulate the reality of exchanges in Baekje, judging from the extent of Baekje`s territorialization in the late 3rd century. At the time when the Commanderies Lelang and Daifang were driven out and West Jin was replaced by East Jin, Baekje had conquered Mahan`s Communities and grown into Mahan`s representative kingdom. In Jinshu, Mahan does not appear from the 4th century, but later was replaced by Baekje, which shows such a historical change.

      • KCI등재

        위만조선 시기 조선 유민의 남하

        전진국(Jeon, Jin-kook)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5 No.-

        위만조선의 성립기와 멸망기 많은 주민이 한반도 중남부 지역으로 옮겨가는 정황이 확인된다. 위만에게 패한 준왕이 남쪽으로 내려갔다는 식의 이야기는 여러 문헌에 다양하게 전한다. 그러나 각기 내용이 다르고 그 다름에 대해 어느 것 하나를 정설로 신뢰하기 어렵다. 그러나 공통적인 맥락은 위만조선이 들어서는 시기 세력 대결에 밀린 집단이 한반도 중남부 지역으로 옮겨갔다는 것으로, 그 요지만큼은 사실의 정황으로 볼 수 있다. 역계경 전승과 진한의 형성에 관한 전승은 위만조선 멸망기 그 주민이 진국과 진한으로 옮겨 간 내용이다. 중국 사료에서 ‘辰國’은 위만조선 시기 그보다 더 동쪽에 있는 미지의 세계를 일컫는 명칭이다. 그리고 낙랑군이 들어선 뒤에는 그 지역을 ‘韓’ · ‘三韓’으로 일컬었다. 진한을 형성한 주민에 대해 秦의 망인과 燕 · 齊 유민이 많다고 강조되어 있지만, 실상은 위만조선 멸망기 그 주민 즉, 『삼국사기』의 ‘조선 유민’이다. 위만조선 시기 한반도 중남부 지역과의 교류 및 주민의 이주는 물질문화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덧띠무늬토기, 세형동검 단계의 각종 청동기 유물, 초기철기 유물, 그리고 널무덤 양식 등을 위만조선 시기 그 계통의 물질문화라 할 수 있다. 그러한 물질문화는 호남과 영남 지역은 물론이고, 한반도 중부 지역에서도 확인된다. 한반도 중부 지역의 물질문화를 살펴봄으로써 조선 유민의 남하가 한반도 중부 지역 즉 ‘진국’을 거쳐 진한으로 이어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During the establishment and destruction of the Wiman Joseon Dynasty (衛滿朝鮮), which was a very chaotic period, many residents moved to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ory of King Jun(準王) going south after losing to Wiman(衛滿) is recorded in various documents. The details are different and it is difficult to trust only one story, but the common point is that the group that lost the power struggle with Wiman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Wiman Joseon Dynasty moved to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is seems to be true. During the fall of the Wiman Dynasty, there was a record that the inhabitants moved to Jinguk(辰國) and The Jinhan(辰韓), and it was also said that the refugees formed Jinhan. In Chinese historical sources, Jinguk was the name of an unknown world farther east than Wiman Joseon at that time. And after the Lelang Commandery(樂浪郡) was established, the area began to be referred to as Han(韓) and Samhan(三韓). Although it was emphasized in Chinese records that there were many refugees from Jin(秦) and Yan(燕)·Qi(齊) for the residents who formed Jinhan, in reality, the people who formed Jinhan were the refugees who came down to the south during the collapse of Wiman Joseon, and are recorded as Joseon refugees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There are various relics that show the exchanges between Wiman Joseon and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igration of the residents of Wiman Joseon. By examining the material culture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Joseon refugees moved to Jinhan, the southern region through Jinguk,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