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공립유치원의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 연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

        전지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시 공립유치원의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에 대한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과 실태, 어려움을 주는 요인, 촉진시키는 방안을 알아봄으로써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효과적인 연계 방안을 제시하고, 유아교육이 공교육으로 나아감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1-1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 내용별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1-2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 영역별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1-3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 방법별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2.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3.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를 촉진시키는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공립유치원의 교육과정 교사 175명과 방과후 과정 교사 164명, 총 339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서영희(2012)의 연구를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ㆍ보완한 설문지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 분석과 다중응답분석을, 교사 간 평균과 빈도의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 내용별 인식과 실태를 보면, 교육과정 교사와 방과후 과정 교사 모두 학부모 소통, 유아 지도에서 연계 필요성과 실시 정도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교육계획 및 평가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사 간 차이는 교육과정 교사가 방과후 과정 교사보다 인식과 실시 정도 모두 더 높은 수준에 있다는 것이었다. 한편, 교육과정 교사의 인식이 대다수 내용에서 높았던 것에 비해 실시 정도는 소수 내용에서만 높게 나타나 교육과정 교사가 방과후 과정 교사와의 연계에 만족스럽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 영역별 인식과 실태를 보면, 교사들이 인식한 효과적인 연계 영역은 유아 지도, 학부모 소통, 교육계획 및 평가로 나타났고 실제 연계 영역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사 간 차이는 교육과정 교사가 학부모 소통을 좀 더 우위에, 방과후 과정 교사가 교육계획 및 평가를 좀 더 우위에 두고 있다는 것과 방과후 과정 교사의 실제 연계 영역이 더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연계가 이루어지는 시간은 교육계획 및 평가, 행사, 교재 교구, 환경, 행정은 주로 협의 시간이나 업무 시간에, 학부모 소통은 업무 시간이나 교대 시간에, 특히 유아 지도는 어느 시간에나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대한 두 교사 간 차이는 환경에 대한 연계를 할 때 교육과정 교사는 협의 시간이나 업무 시간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방과후 과정 교사는 여러 시간에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연계가 이루어지는 횟수는 유아 지도, 학부모 소통은 매일 또는 주 2회 정도로 자주, 교육계획 및 평가, 행정은 주 1회 내지 월 1회 정도, 행사, 교재 교구, 환경은 월 1회 또는 월 2회 정도로 가끔 연계가 일어나고 있었다. 이에 대한 교사 간 차이는 교육과정 교사가 학부모 소통에서 보다 자주 연계를 한다는 것이었다.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 방법별 인식과 실태를 보면, 연계를 위한 협의 시간은 적정 시간과 실제 시간 모두 유치원 사정에 따라 달라진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유아들의 낮잠 및 휴식 시간이었다. 이에 대한 교사 간 차이는 실제 시간에서 나타났는데, 교육과정 교사는 유치원 사정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협의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방과후 과정 교사는 협의 시간이 달라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계를 위한 협의 장소도 적정 장소와 실제 장소 모두 교무실이 가장 많았고 별도 협의회실이 그 다음이었다. 이에 대한 교사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간, 월간, 주간 교육계획은 교육과정이 수립 후 방과후 과정이 세우는 일방향적 연계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그 다음이 각각 교육계획을 세우는 연계를 하지 않는 것이었으며 일일교육계획안도 절반이 넘는 교사들이 서로 공유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대한 교사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평가 자료는 네트워크 상으로 접근이 용이한 공유 방법은 소수에 그쳤고 상대방의 요구에 따라 제공하거나 공개 장소에 보관하여 접근 용이성이 떨어지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대한 교사 간 차이는 교육과정 교사가 접근 용이성이 떨어지는 방식을 보다 많이, 방과후 과정 교사가 접근이 용이한 방식과 연계를 하지 않는 방식을 보다 많이 사용한다는 점이었다. 수시로 발생하는 연계 사항의 전달 방법은 주로 복도나 교실에서 구두 전달하는 것이었고 그 다음이 메모나 쪽지를 직접 전달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교사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은 협의할 시간 부족, 연계할 유아 수 과다, 협의할 공간 부족과 같은 환경적 요인과 과중한 업무 부담, 동등하지 못한 처우와 같은 행ㆍ재정적 요인이었다. 반면, 학력 및 자격증 차이나 불편한 인간 관계와 같은 교원 요인은 연계에 어려움을 주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사 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육과정 교사가 협의할 시간 부족, 과중한 업무 부담, 협의할 공간 부족으로 방과후 과정 교사보다 어려움을 더 겪고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연계를 촉진시키는 방안은 방과후 과정 교사의 처우 개선, 업무 부담 감축, 장학자료 개발 보급, 교육청의 교사 연수와 같은 제도적인 것들의 개선과 친목 도모 기회 증진, 유치원 교육과정에 연계 계획을 명시하는 유치원의 노력이 함께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사 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육과정 교사는 방과후 과정 교사보다 업무 부담 감축, 친목 도모 기회 증진, 충분한 협의 시간 확보, 교사 양성 대학에서 직전 교육을 해야 함을 더 높은 수준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교육과정과 방과후 과정의 효과적인 연계를 위한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연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연계 및 협력관계에 대해 노력해야 한다. 둘째, 유치원에서는 교사들의 연계를 위해 협의 시간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셋째, 행․재정적으로 교사들의 업무 부담 감축과 방과후 과정 교사의 처우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부 및 교육지원청은 바람직한 연계 모형에 대한 장학 자료를 개발하고 보급하며 이에 대한 교사 연수를 실시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eachers’ overall perception about connection between public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in Seoul and the actual state of such connection, factors triggering difficulties in such connection, and measures to promote such connection, thereby presenting an effective measure for connection between public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and creating important basic dat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s advancing to public education. The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perception about and the actual state of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1-1 How are perception about and the actual state of each content of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1-2 How are perception about and the actual state of each area of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1-3 How are perception about and the actual state of each method of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2. What are the factors that trigger difficulties with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3. What are the measures to promote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5 kindergarten curricula teachers and 164 after-kindergarten program teachers in Seoul public kindergarten(a total of 339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erception about and actual state of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by each content, the level of the need for and implementation of connection was highest in communications with children’s parents and infant instruction and was lowest in education planning and evaluation. To look into the perception and actual state by each area of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connection areas perceived by the teachers to be effective were infant instruction, communications with parents, and education planning and evaluation, and the actual connection areas were the same. Connection related to education planning and evaluation, events,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environment, and administration was made largely during discussion or working hours; communications with parents during working hours or shift hours; and infant instruction at any time. Connection occurred from time to time; Connection of infant instruction and communications with parents was carried out every day or twice per week, education planning and evaluation and administration once per week or once per month, and events,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and the environments once per month or twice per month.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actual state of each method of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the most respondents opined that discussion time for connection differed according to kindergartens’ circumstances in both an amount of time considered adequate and an actual amount of time, followed by infants sleeping hours and resting hours. As the place for discussion of connection, teachers’ room ranked first as both an appropriate place and an actual place, followed by a separate discussion room. With regard to yearly, monthly, and weekly education planning, one-way connection of the after-kindergarten program keeping the established curricula ranked first, followed by respective education planning and no connection. More than half of teachers did not share daily education plans. As for infant evaluation data, the method of sharing data with easy access in the network was not used much and mostly such data was provided according to the other party’s demand or stored in an open space with low accessibility. Regarding delivery of matters on connection, oral delivery in their corridor or classroom ranked first followed by direct transmission using a memo or note. Second, the factors causing difficulty with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include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ack of time for discussion, the excessive number of infants to link, and lack of space for discussion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actors such as excessive task burden and unequal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eacher factors like discrepancy in educational level, ownership of certificates, or uncomfortable relationship were not the factors causing much difficulty with connection. Third, measures to promote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curricula and after-kindergarten programs included institutional ones—such as improvement on after-kindergarten program teachers’ treatment, reduction of task burden, and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ata on encouragement of study; teacher training by offices of education—and kindergartens’ own efforts to increase opportunities to promote amity among teachers and clear statement of connection plans in kindergarten curricula.

      •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 전공자들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자아존중감 및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지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physique anxiety and self-esteem of dance majors at arts middle and high schools on their self-esteem and expressive abilities, to offer psycholog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actual dance educational field for dance major students’ growths into decent artists and to suggest effective alternatives for enhancing their dance performance ability, sound mind and expressive abilities all together.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amples consisting of 250 dance major students served as a measurement tool in order to make sure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I used the questionnaires on social physique anxiety, self-esteem and expressive abilities. After colleting the data, I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ce variable t-test, one-way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eriod analysis.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research’s hypothesis, I applied statistical analysis and drew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there were differences in social physique anxiety, self-esteem and expressive abilities respectively according to one’s sex, school, class and major. Secondly,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s were displayed in all the factors from social physique anxiety, self-esteem to expressive abilities; except in positive self-respect, the sub-factor of self-esteem. Thirdly, satisfaction in physical expression and negative evaluation of physique had a positive effect on two sub-factors of self-esteem: positive self-respect and negative self-respect. And they had a positive effect also on four sub-factors of social physique anxiety: expressivity, individuality, variety and meaning. Fourthly, positive self-respect, the sub-factor of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expressivity, individuality, variety and meaning, the sub-factors of expressive ability. 본 연구는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 전공자들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자아존중감 및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으며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 전공자들이 건강한 예술인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무용교사들에게 실제 무용 교육현장에 필요한 심리적 정보를 제공하여 무용수행능력 및 건강한 마음가짐, 표현능력을 함께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 전공생 150명으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고 25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체형불안 검사지, 자아존중감 검사지, 표현능력의 검사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분석, 독립변인 t검증, 일원량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 학교급 간, 전공에 따라 사회적 체형불안, 자아존중감, 표현능력은 부분적으로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 전공자들의 사회적 체형불안, 자아존중감, 표현능력에서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정적,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 전공자들의 사회적 체형불안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표현만족과 부정적 체형평가는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각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체형불안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표현만족은 표현능력의 하위요인인 표현성과 개성과 다양성, 의미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표현능력의 하위요인인 표현성과 개성, 다양성, 의미성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백제지역 석탑에 관한 연구 : 부여, 익산을 중심으로

        전지혜 부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백제시대 건립된 백제석탑으로는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익산의 미륵사지 서석탑을 들 수 있다. 이 두기의 석탑은 백제석탑의 범주를 벗어나 더 넓게는 한국석탑의 시원기 양식으로, 이후 건립된 정형석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현재 석탑연구가 주로 경주지역에 건립된 신라석탑 양식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한국석탑의 일반적인 흐름에서 제외된 측면이 적지 않다. 이에 따른 결과로 이 두 석탑의 영향을 받아 옛 백제지역에 건립된 석탑들은, ‘백제계석탑’이라는 범주 안에서 건립연대가 고려시대로 편년되고 있다. 하지만 분명 한국의 시원기 석탑을 발생시켰고 뛰어난 건축술을 가진 백제의 문화를 생각한다면, 이 부분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제 멸망 후 고려가 등장하기 전까지 대략 300년간 기존의 ‘백제계석탑’으로 규정된 석탑의 건립이 단 한기도 없었는지, 혹 있었다면 어떤 석탑을 가정해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점에서 시작하였다. 우선 사비시대의 융성했던 불교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부여와 익산에 건립된 백제백제계석탑과 그밖의 석탑을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륵사지 서석탑과 정림사지 석탑의 선후 문제를 다시금 살펴보았고, 미륵사지 사리장엄의 발견으로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왕궁리석탑의 건립연대로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또한 고려시대 건립 된 ‘백제계석탑’으로 알려진 무량사 석탑은 같은 범주에 있는 금산사 오층석탑과 비교했으며, 장하리 석탑은 일본 석탑사 석탑 그리고 『日本書紀』 기사와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 예비 중등 영어교사의 영어 지도 능력 배양을 위한 수업실습 개선 방안

        전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등 영어교사가 될 예비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영어 지도 능력의 신장을 도울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 수업실습 개선모형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실습에 관련된 문헌 자료와 외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영어 지도 능력의 신장을 돕는 수업실습 개선모형의 제시해 참고·활용하였다. 또한 수업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총 22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모형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하위 항목들을 추출하고 개선모형의 개발 방향을 잡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차 수업실습 개선안을 만들었고, 제시한 개선모형은 영어교육을 전공한 석·박사 중 실습을 담당하는 현직교사들의 검토 및 평가를 거쳐 수정 및 보완되었다. 이러한 목적과 연구 과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실습 개선모형은 중등 영어과 수업실습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진행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영어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영어 지도 능력의 배양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 본 연구의 개선모형은 영어 지도 능력의 배양을 도울 수 있는 수업실습의 각 단계를 참관-수업-수업 협의회의 단계로 나누며 각 단계마다 적절한 활동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각 단계의 주요활동은 참관의 단계에서는 관찰과 이해를, 수업실습의 단계는 이해를 토대로 하는 실전 연습을, 마지막 수업 협의회에서는 평가 및 자기 성찰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참관-수업-수업 협의회 별 구체적인 활동내용들은 영어 지도 능력의 요소별로 구분하여 가장 요구되는 영역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모형은 실습에 임하는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세 및 태도를 제시하여 수업실습이 시작에서부터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미리 갖추어야 할 태도 및 자세와 더불어 수업실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둘 사이에 많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선행되도록 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모형은 예비교사들의 영어 지도 능력의 배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실습학교와 양성기관의 긴밀한 협력 하에 다양한 과정과 지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업실습 개선방안으로 제시하는 개선모형이 성공적이며 효율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영어 지도 능력의 배양을 도울 수 있도록 실습 전반적 과정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수업실습 개선모형의 체계적인 진행을 도울 수 있는 가이드라인 혹은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영어교과 교육과정과 실습이 연계되어 진행되도록 하며 실습 개선모형의 구체적인 활동 프로그램이나 컨텐츠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교나 정부의 제도및 환경적 뒷받침을 통해 실습 지도교사의 행정적 업무의 비중을 줄이도록 하여 개선모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 영아 발달수준에 대한 부모의 지식 정확도

        전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13~36개월(만 1~2세)을 양육하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발달 수준에 대한 지식의 정확도 및 어머니와 아버지 간 지식 정확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영아 발달 수준에 대한 지식 정확도는 어떠한가? 2. 아버지의 영아 발달 수준에 대한 지식 정확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와 아버지의 영아 발달 수준에 대한 지식 정확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13~36개월을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225명, 아버지 217명 총 442명을 대상으로 영아의 발달수준을 답하는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발달수준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 정확도는 전체 71개 문항 가운데 평균 32.93을 나타내어 46% 수준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를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발달영역은 50%, 신체발달영역은 48%, 사회성발달영역은 46%, 정서발달영역은 43%, 언어발달영역은 42%의 순으로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지식 정확도는 사회성 발달영역에서 대학원 졸업 이상 어머니가 높은 지식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자녀양육 교육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지식 정확도는 인지와 사회성 발달영역에서 자녀양육에 대한 교육을 받은 어머니가 높은 지식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자녀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지식 정확도는 신체 발달영역에서 만 1세 어머니가 높은 지식 정확도를 나타내었고, 자녀의 성에 따른 어머니의 지식 정확도는 언어 발달영역에서 남아의 어머니가 높은 지식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영아발달수준에 대한 아버지의 지식 정확도는 전체 71개 문항 가운데 평균 31.83을 나타내어 45% 수준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를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발달영역은 48%, 신체발달영역은 47%, 사회성발달영역은 45%, 정서발달영역은 43%, 언어발달영역은 42%의 순으로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아버지의 학력에 따른 지식 정확도는 정서 발달영역에서 대학원 졸업 이상의 아버지가 높은 지식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자녀양육 교육유무에 따른 아버지의 지식 정확도는 언어 발달영역에서 자녀양육에 대한 교육을 받은 아버지가 높은 지식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자녀의 연령에 따른 지식 정확도는 신체 발달영역에서 만 1세의 아버지가 높은 지식 정확도를 나타내었고, 언어 발달영역과 정서 발달영역에서는 만 2세의 아버지가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자녀의 성에 따른 아버지의 지식 정확도는 언어 발달영역과 정서 발달영역에서 남아의 아버지가 높은 지식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영아발달수준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지식 정확도를 살펴보면, 신체, 인지 발달영역에서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높은 지식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nowledge accuracy of the parents who are fostering an infant of 13~36 months about the infant 's developmental level of 13~36 month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accuracy between the mother and the father.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up. 1. What is the knowledge accuracy of the mother about the infant's developmental level? 2. What is the knowledge accuracy of the father about the infant's developmentallevel? 3. What is the difference of the knowledge accuracy between the father and the mother? This research was accomplished by 442 parents(mother: 225, father: 217) who are fostering an infant of 13~36 months with a questionary paper which requires to answer the development level of the infant.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knowledge accuracy of the mother about the infant's developmental level showed average 32.93 of the whole 71 question items and it was 46% accuracy level. When the subordinate territory which will reach it tries to observe especially, the knowledge accuracy showed intelligence development 50%, body development 48%, social characteristic development 46%, emotion development 43%, language development 42%. The knowledge accuracy which it follows in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showed that the mother above the graduate school graduating is high from social characteristic development. The knowledge accuracy which it follows in child bringing education presence showed that the mother of child bringing education being is high from intelligence development and social characteristic development. The knowledge accuracy which it follows in age of the infant showed that the mother of the infant of 13~24 months is high from body development. The knowledge accuracy which it follows in infant sex showed that the mother of the sons is high from language development. Second, the knowledge accuracy of the father about the infant's developmental level showed average 31.83 of the whole 71 question items and it was 45% accuracy level. When the subordinate territory which will reach it tries to observe especially, the knowledge accuracy showed intelligence development 48%, body development 47%, social characteristic development 45%, emotion development 43%, language development 42%. The knowledge accuracy which it follows in educational level of the father showed that the father above graduate school graduating is high from emotion development. The knowledge accuracy which it follows in child bringing education presence showed that the father of child bringing education being is high from language development. The knowledge accuracy which it follows in age of the infant showed that the father of the infant of 13~24 months is high from body development and the father of the infant of 25~36 months is high from language development and emotion development. The knowledge accuracy which it follows in infant sex showed that the father of the sons is high from language development and emotion development. Third, the knowledge accuracy between the father and the mother about the infant's developmental level showed that the mother is higher from the body development and the intelligence development than the father.

      •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 패션제품의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이 사용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성격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지혜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COVID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사회문화적으로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소비문화에도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가상 세계인 메타버스 플랫폼이 우리의 일상 속에 등장하면서 가상세계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하였다. 오프라인에서 겪었을 유사한 경험을 온라인에서도 이행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현실과 가상세계의 경계를 넘나드는 메타버스 플랫폼은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급속히 발달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이목의 중심에 서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가 뚜렷한 경계 없이 연결된 가상의 공간으로 제페토(Zepeto), 로블록스(Roblox), 이프랜드(Ifrand), 게더타운(Gather Town), 동물의 숲(Animal Crossing) 등이 대표적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은 아바타에 자신의 자아를 투영함으로써 아바타를 통해 가상현실 세계인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다른 사용자들과 상호작용하고 경험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들은 자신의 대리 자아인 아바타를 제작하고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거래되는 가상의 화폐로 가상 패션제품을 구입하여 아바타에 착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비 메커니즘을 파악하여 기업은 메타버스 플랫폼의 기능적 장점을 다양한 마케팅 활동에 메타버스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패션브랜드 구찌(Gucci)는 제페토에서 맵(Map)이라고 불리는 가상 월드 구찌 빌라(Gucci Villa)를 오픈하여 아바타가 착용할 수 있는 가상의 가방과 의상을 판매하였다. 또한 발렌시아가(Balenciaga)는 게임업체 포트나이트(Fortnite)와 협력하여 2021 F/W 컬렉션을 선보인 사례가 있다. 그리고 패션브랜드 자라(zara)는 가상세계 내, 외부에서 모두 착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첫 번째 메타 컬렉션인 라임 글램(Lime Glam)을 출시, 이를 통해 출시된 의류, 액세서리 등이 제페토 내에서 착용할 수 있으며 실제 매장에서도 구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메타버스에 진출한 패션브랜드 인기의 상승지표로, 처음부터 메타버스에 특화된 브랜드를 출시하는 기업도 생겨났는데, 대표적으로 메타버스 패션브랜드 ‘수프라(Ssupra)’이다. 수프라의 의상들은 현실 세계에서도 착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처럼 패션브랜드들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브랜드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활동은 플랫폼을 사용하는 이들 중에서 잠재적 고객을 확보하고, 브랜드 이미지의 친밀도를 높여 가상 세계가 아닌 현실 세계에서도 해당 브랜드의 패션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발판을 마련해 나가기 위한 전략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패션 기업의 마케팅 활동이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으나, 소비자의 관점을 중점으로 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가상 패션제품에 대한 패션 산업의 장래성에 관해 다룬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가상 패션제품의 사용자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과 사용자의 지각된 가상 패션제품의 가치와 아바타 동일시성,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이 실제 가상 패션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용자 특성의 성격유형(외향, 내향)이 메타버스 플랫폼 특성과 사용자의 가상 패션제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 아바타 동일시성 간에 조절효과를 미치는지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메타버스 플랫폼이 지각된 가상 패션제품에 영향을 미쳐 사용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설정의 이론적 근거로 지각된 가치 이론(Sheth et al., 1991)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문헌 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가상 패션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는 패션브랜드들에 효과적인 마케팅 성과를 제공하고, 소비자 측면에서 가상 패션제품의 실질적인 반응에 대한 이해를 도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진행되는 패션 산업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문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평균 39.3세의 국내 남녀 소비자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가상 패션제품을 접해본 사용자로만 한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한 설문지에 제시된 자극물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 설문 응답자를 고려하여 설문지에 제시된 제페토 앱(App) 내 가상현실 세계 환경의 이미지를 통하여 연상하면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응답 자료 총 300부를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 중 실재감은 자기표현 가치를 제외한 즐거움,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성은 즐거움, 자기표현,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익명성 또한 즐거움, 자기표현,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요인인 실재감, 사회적 상호작용성, 익명성은 사용자의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용자의 지각된 가상 패션제품의 가치요인인 즐거움, 자기표현,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는 사용자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사용자의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 또한 지각된 가상 패션제품의 가치요인인 즐거움, 자기표현,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는 사용자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절변수로 설정한 사용자 특성의 성격유형(외향, 내향)은 실재감이 자기표현,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났으나, 즐거움 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성이 즐거움,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났으나, 자기표현 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익명성이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타버스 플랫폼 특성요인인 실재감, 사회적 상호작용성, 익명성이 사용자의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가상 패션제품에 대한 높아진 관심이 대두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지각된 가치 이론(Sheth et al., 1991)을 적용해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과 지각된 가상 패션제품의 가치,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 구매의도, 성격유형(외향, 내향)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사용자의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을 제외한 가상 패션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가치 인식은 모두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과 사용자의 성격유형이 가상 패션제품을 소비하는 데에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 선행 설문조사를 통해 가상 패션제품을 현실에서의 실제 제품으로도 구매할 의향이 높았다는 점에서 차별화되며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패션산업의 연구 범위를 메타버스 플랫폼까지 확장 시킴으로써 향후 연구에 이론적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가상 패션제품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가상 패션제품에 대해 사용자가 지각하는 가치, 아바타 동일시성을 이해하고, 사용자 특성의 성격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패션브랜드 활동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As COVID19 spread around the world, socio-cultural changes occurred, and accordingly, people's lifestyles and consumption culture also changed. In particular, as the metaverse platform, a virtual world, emerged in our daily lives, the paradigm for the virtual world changed. With the surge in demand from people who want to implement similar experiences offline online, metaverse platforms across the boundaries of the real and virtual worlds are rapidly developing to allow for new experiences, which are at the center of global attention. The metaverse platform is a virtual space where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are connected without clear boundaries, and representative are Zepeto, Roblox, Ifland, Gather Town, and Animal Crossing. In the metaverse platform, users interact with and experience other users within the metaverse space, a virtual reality world, through avatars by projecting their own selves onto them. Furthermore, users can create their own surrogate self, avatar, purchase virtual fashion products with virtual currency trad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and wear them. By grasping this consumption mechanism, companies are actively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for various marketing activities. Fashion brand Gucci opened a virtual world Gucci villa called Map in Geppetto to sell virtual bags and costumes that avatars can wear. Balenciaga also introduced the 2021 F/W collection in cooperation with game company Fortnite. In addition, fashion brand Zara launched the first meta-collection, Lime Glam, designed to be wor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virtual world, allowing clothes and accessories released to be worn within Geppetto and purchased in real stores. Meanwhile, as a rising indicator of the popularity of fashion brands entering Metabus, some companies have launched brands specialized in Metabus from the beginning, and the representative is Metabus fashion brand "Supra." Supra's costum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can be worn in the real world. As such, fashion brands' activities to expand the brand's scope on the metaverse platform are expected to secure potential customers among those who use the platform and increase the intimacy of the brand's image to provide a continuous foothold for the brand's fashion products in the real world, not in the virtual world. As such, the marketing activities of fashion companies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are increasing, but research on the future of the fashion industry on the metaverse platform is very insufficient, focusing on the consumer's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value and avatar identity of the user's perceived virtual fashion product,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actual virtual fashion product, the perceived value of the user's virtual fashion product, and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avatar identity. The perceived value theory (Sheth et al., 1991) was select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hypothesis setting the effect of these metaverse platforms on perceived virtual fashion products and on users' purchase intention. By conducting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provide effective marketing results to fashion brands that are launching virtual fashion products on the metaverse platform through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ashion industry conducted on the metaverse platform.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o empirically identify research problems. It was surveyed for male and female domestic consumers aged 39.3 on averag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y to users who have encountered virtual fashion products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In addition, considering the survey respondents who had no experience using the stimulant metaverse platform Zepeto presented in the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answered by recalling the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world environment in the Zepeto app (App) presented in the questionnaire. A total of 300 copies of the collected respons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platform, the sense of reality significantly affects pleasure,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excluding self-expression value.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leasure, self-expression,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It was confirmed that anonymity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leasure, self-expression,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metaverse platform, such as presence, social interaction, and anonym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r's perceived avatar ident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pleasure, self-expression,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which are the value factors of the user's perceived virtual fashion produ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r's purchase intention, and the user's perceived avatar identification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r's purchase intention. The personality type of user characteristics (extroversion, introversion) set as the moderating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of reality on self-expression,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pleasure valu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on pleasure,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relationship on self-expression value. It was also confirmed that anonym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n economic value.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averse platform characteristics factors such as presence, social interaction, and anonym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r's perceived avatar identification. At a time when the metaverse platform's increased interest in virtual fashion products began to emerge, this study applied the perceived value theory (Sheth et al., 1991) to investigate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platform, perceived avatar identity, purchase intention, and personality type (extroversion, introver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ser's perception of virtual fashion products except for the perceived avatar identif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user's personality type, and was highly willing to purchase virtual fashion products in real life through previous survey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will b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by expanding the research scope of the fashion industry to the metaverse platform. In practical terms,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fashion brand activities on the metaverse platform by understanding the value and avatar identification perceived by users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virtual fashion product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 초등학생의 제3 장소로서 근린광장의 의미 : 대전광역시 노은역 근린광장의 경험을 토대로

        전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ldenburg는 제3 장소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사람들은 제1 장소인 집과 제2 장소인 직장 이외에도 삶의 활력이 되는 제3 장소를 추구한다. 제3 장소에서 사람들은 여가를 즐기고, 지역 주민들과의 공동체 형성 및 문화를 조성해갈 수 있다. 그래서 발달하는 현대 사회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도시인들에게 그 필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제3 장소가 어른들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들도 필요한 장소라는 판단을 하였으며, 연구 참여 학생들이 지역의 근린광장을 자주 가는 현상을 토대로 제3 장소로서 근린광장을 대상지로 삼아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근린광장에서의 제3 장소 경험이 지리교육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논의의 과정은 먼저, Oldenburg가 주장한 제3 장소의 의미를 파악한 후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제3 장소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근린광장이 초등학생의 제3 장소로 적합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Oldenburg가 제시한 8가지 제3 장소 특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후, 근린광장 경험이 초등학생의 성장발달에 주는 영향과 그 의의를 논의하는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을 거쳐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Oldenburg가 언급한 8가지 특징을 근린광장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초등학생은 이곳에서 친구들과의 만남, 놀이, 대화 등을 하며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와 공동체 형성을 경험하고 있었다. 첫째, 근린광장은 초등학생들에게 제약이 없는 평등하고 열린 장소로서 학생들은 이곳에서 자유를 느낀다. 둘째, 근린광장은 초등학생들의 일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편안한 휴식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이 근린광장에 자주 가게 되면서 독립적 이동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그들의 지리 발달에 도움을 준다. 제3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의 경험은 자연스럽게 지리 교육과 연관될 수 있는 실질적이고 살아있는 교육 내용이기도 하다. 넷째, 초등학생은 제3 장소에서 하는 주된 활동으로 놀이가 중요하며, 근린광장은 학생들의 놀이 문화가 형성되는 곳이다. 근린광장에서는 넓은 공간을 이용한 다양한 놀이가 행해지며, 근린상가에 있는 놀이시설은 초등학생의 소비문화와 결합한 놀이 문화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본 연구는 근린광장에서 초등학생들의 제3 장소 경험의 의의를 논하였다. 앞으로 이와 같은 학생들의 제3 장소 종류가 다양해지고 많아진다면, 제3 장소가 지닌 장점들과 교육이 연관되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자의 요추부 안정화 운동과 둔근 강화 운동이 통증, 기능장애 및 심리사회수준에

        전지혜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추부 불안정성 가진 만성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요추부 안정화 프로그램과 둔근 강화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통증수준, 요통기능장애수준, 심리사회적 수준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행하였다. 대상자는 만성요통을 가진 53명 중 요추부 불안정성 5가지 항목으로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 분류하였다.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는 총 28명으로 요추부 강화운동군 15명과 둔근 강화운동군 1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두 군 모두 각 군에서 시행된 운동 프로그램은 총 40분이고, 주당 2회 총 4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요추부 안정화 프로그램과 둔근 강화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통증수준, 요통기능장애수준, 심리사회적 수준 차이를 평가하였다. 요통 수준에서 중재 후 요추부 강화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p<.05). 요통기능장애수준에서 두 군 모두 중재 후 유의한 개선이 있었으며(p<.05), 요추부 강화운동군에 비해 둔근 강화운동군이 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심리사회적 수준에서 요추부 강화운동군의 신체적 활동 특성(FABQ-Physical)과 FABQ 총점(FABQ-total)은 중재 한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본 연구를 통하여 요추부 불안정성이 있는 요통환자의 기능장애 수준의 개선을 위해 요추부 안정화 운동 보다 둔근 강화 운동이 더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