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의보감(東醫寶鑑) 내상문(內傷門) 방제(方劑)에 배합(配合)된 풍약(風藥)의 활용(活用)에 대한 고찰(考察)

        전지영,문구,Jeon, Ji-Young,Moon, Goo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09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xterior-relieving herbs are blended by each prescription with emphasis on Internal disease range of Donguibogam by limiting Wind herbs in exterior-relieving herbs to apply exterior-relieving herbs to internal diseases. Prescriptions mixed with exterior-relieving herbs is a prescription adding Bojungikgitang, Yijintang, Yimyosan, Yukilsan and Gilgyeongjigaktang. The mixed exterior-relieving herbs were diversely operated according to each prescription or medicines. However, the mixed exterior relieving herbs were mixed for rising yang & tonifying qi(升陽益氣) for the most part. The exterior-relieving herbs mixed with prescriptions had the total 15 kinds, Bupleuri Radix, Cimicifugae Rhizoma among them were mixed with prescriptions for the most part. In addition, two-kind mixed exterior-relieving herbs were utilized in order of Bupleuri Radix Cimicifuga Rhizoma and Bupleuri Radix Cimicifugae Rhizoma Notopterygii Rhizoma Ledebouriellae Radix. Taken together, Wind herbs is applied several purpose,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ternal diseases in present-da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시조의 음악적 변천

        전지영 ( Ji Young Jeo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7 이화음악논집 Vol.11 No.2

        시조를 담고 있는 고악보는 『구라철사금자보』, 『삼죽금보』, 『아양금보』, 『서금보』, 『방산한씨금보』등이다. 이들 악보는 거문고보와 양금보들인데 평시조와 지름시조 계통의 음악들이 실려 있다. 이들 시조관련 곡들을 역보하여 분석한 결과, 몇가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고악보의 「평시조」는 현행 「평시조」와 달리 「중거시조」에 더 가깝다. 「평시조」에 이어서 「지름시조」, 「엮음지름시조」의 순으로 변화된 곡들이 등장했으며, 엮음의 경우 중장 두 장단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현행 시조에서는 양금이나 거문고 반주를 하지 않기 때문에 현행의 노래선율로 비교를 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지만, 무엇보다『구라철사금자보』의 시조가 현행 「평시조」와 같다는 주장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re are some old music books comprising shijo, such as Guracheolsageumjabo(『구라 철사금자보』), Samjuk geumbo(『삼죽금보』), Ayang geumbo(『아양금보』), Seogeumbo (『서금보』), Bangsanhanssi geumbo(『방산한씨금보』), which have pyeongshijo and jireumshijo. According to decoding of these old music books, the musical transitions about shijo are as follows. Pyeongshijoof these sheets are more similar to contemporary jung`geo shijo than contemporary pyeongshijo. After pyeongshijo, jireumshijo, and yeok`eum jireumshijo were emerged sequently. Among them, the style of yeok`eum was a 6 times` varation of a melodic pattern in the middle verses. So far the earliest shijo in Guracheolsageumjabo(『구라철사금자보』) has been regarded as pyeongshijo, but this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후보

        예술민주주의와 전통예술교육의 새로운 좌표

        전지영(Jeon, Ji-yo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5 국악교육 Vol.40 No.40

        이 글에서는 문화민주주의 논의와 같은 맥락에서 예술민주주의를 설정하고, 전통예술교육의 차원에서 그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예술민주주의의 실천적 당위는 이 시대 예술적 정의(正義)와 맞닿아있으며, 이 관점에서는 예술에 있어 작품중심주의가 배격되어야 한다. 그리고 예술은 타자의 작품 감상활동이 아니라 삶의 욕망의 실천적 구현이어야 하며, 그것은 일상 속에서 실천과 참여를 통해 인간과 사회를 발견하는 것이어야 하는 것이다. 예술민주주의 담론에서 사고할 때 전통예술 또한 창조와 능동성을 쟁취하기 위한 운동에 대한 요구는 필연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소위 ‘발명품’적 전통을 벗어나 새로운 공존의 기획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통이 발명되었다고 할 때, 그 발명은 식민지배와 서구근대의 거울로서 발명됨을 의미한다. 전통과 근대는 상호 구성적 관계이며, 전통과 관련된 맥락으로서 근대성과 식민성은 어쩔 수 없는 동전의 앞뒷면이다. 근대성의 논리적 생산을 위해서는 식민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근대성은 식민성을 극복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전통은 탈식민화를 지향할 때 시대적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다. 근본적 의미에서 탈식민은 윤리적 해방 지향이자 인간 회복의 당위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그렇다면 전통의 탈식민적 접근에는 예술 민주주의적 시각이 불가피하다. 전문가 양성교육과 학교 예술교육의 양 측면에서 예술민주주의적 참여와 실천의 가능성은 진지하게 논구(論究)되어야 한다. 전문가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위대한 작품’을 구현하는 ‘탁월한 수월성’을 가진 전문가 양성이라는 표면적 지향보다도 ‘어떤 전문가’를 양성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이다. 상품화된 작품을 잘 생산하는 전문가가 아니라 공동체 삶 속에서 구성원들과 욕망을 공유하고자 하는 예술가, 이기적 작품활동을 통해 타자배제와 자기과시를 하는 권위자가 아니라 사회의 그늘진 곳을 외면하지 않고 시민의 의미를 실은 ‘예술활동’을 할 수 있는 예술가가 진정으로 대학에서 길러내야 할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학교 전통예술교육 차원에서는 음악의 개념규정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전통예술은 ‘작품’이 아니라 ‘언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언어가 작품감상이 아니라 생존과 삶의 의미 구현을 위해 필요한 것인 것처럼, 예술 역시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참여와 실천의 예술민주주의적 고뇌에서 볼 때 전통예술교육은 ‘작품중심주의’의 탈피를 전제로 할 수밖에 없다. 그를 위해서는 전통음악이 작품중심구조의 서양음악과 함께 배치되어 있는 체제를 벗어나서 독자적 교과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아울러 다양한 교과목과 결합된 “통문화적 교육시스템”의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융통성도 필요하다. 그리고 이런 전통예술교육의 새로운 접근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미디어정책이 동반될 필요도 있다. The idea of art democracy can be established on the same context of cultural democracy, upon which the new direc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education(gugak education) can be argued. In the discourse of art democracy, what is important is participation and practice of art rather than work appreciation. Emerging from ‘tradition as an invention’ and planning for coexistence would be necessary for this idea. So-called ‘emerging from tradition as an invention’ does not mean modernity, in that coloniality and modernity are ‘heads and tails’, and so modernity cannot overcome coloniality. It should be accentuate that the sincerity of tradition is strongly related to art democracy and decolonization. For the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 terms of art democracy, some access routes in relation to traditional performing arts education can be argued as follows. First, ‘artist with awareness of human community’ should be emphasized rather than ‘specialist with supremacy in artistic skill’. Second, the notion of traditional art should be changed from ‘work of art’ to ‘human language’ in regular school art education. The work-centered viewpoint should be wept out from school art education. Third, the integrated study module should be requested for this art democracy education.

      • KCI등재

        식품산업 현황과 R&D 미래 대응전략: 공공부문의 역할과 추진방향을 중심으로

        전지영(Ji-Young Jeon),함상욱(Sang-Wook Hahm),박진성(Jin-Sung Park),박정민(Jung-Min Park),홍석인(Seok-In Hong) 한국식품과학회 2020 식품과학과 산업 Vol.53 No.2

        식품산업은 국민 삶과 국가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향후에도 식품은 필수재라는 상품 특성상 경기침체 영향이 작고, 식생활 및 소비성향 변화와 함께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전반적인 국내 식품산업 현황과 주요 이슈를 살펴보고, 연구개발 측면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별히 식품산업의 활력 제고 및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공부문에서 중점적으로 수행해야 할 역할과 연구개발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식품산업이 새로운 국가성장 동력으로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정부는 거시적 방향성 조율을 통해 일관성 있는 R&D 로드맵을 제공하고, 공공 연구기관 및 민간 기업은 연구개발 현장에서 체감 가능한 실질적이며 구체적인 협업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공부문의 식품 R&D는 기초원천연구와 공공 플랫폼기술 중심으로 핵심 요소기술의 전략적 중요도 및 글로벌 기술 수준차이를 고려하여 투자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식품 연구를 통한 국가·사회적 문제 해결 또는 식품분야 난제 해결을 위한 융합연구 등 식품기술 중심의 아젠더를 발굴하고 대형 연구개발사업으로 연계하는 노력이 보다 절실하게 필요하다.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food industry and major issues are reviewed, and some problems derived from the R&D aspect are analyzed. Particularly, the role of the public sector and the direction of R&D are presented in order to enhance the vitality of the food industry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t first,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a consistent R&D roadmap through macroscopic coordination, and public institutes and private companies should come up with practical and concrete collaborative measures. It is also necessary to set the investment direction for food R&D in the public sector, taking into account the strategic importance of core technology and the global level difference, targeting on basic research and public platform technology. More efforts to discover agendas focused on food technology and link them to large-scale R&D projects are urgently needed to solve national and social problems through food research.

      • KCI등재

        조선시대 악인(樂人)들의 걸시(乞詩)에 관한 고찰

        전지영 ( Jeon Jiyoung ) 한국음악사학회 2016 한국음악사학보 Vol.56 No.-

        걸시(乞詩)는 ‘시를 구걸하다’는 의미이며, 주로 신분적 하층에 속하는 이가 사인(士人)에게 시를 부탁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걸시의 기록은 승려들과 관련하여 많이 남아있지만, 악인(樂人)과 관련해서도 여러 기록이 남아있다. 조선전기에는 상림춘(上林春), 후진(後眞)을 비롯한 여러 금객(琴客)들의 걸시 기록이 발견되며, 조선후기에는 이정엽(李鼎燁), 가련(可憐) 등을 포함한 여러 악인들의 걸시 기록이 발견된다. 걸시를 했던 악인 중에는 금객(琴客)이 대부분이며, 관악기를 비롯한 여러 다른 악기 연주자들에게서는 걸시의 기록은 찾기 어렵다. 악인의 걸시는 두 가지 욕망과 연관이 있다. 첫 번째는 사인(士人)의 시에 자신의 이름과 활동이 기록됨으로써 자신의 사회적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으며, 두 번째는 후세에 자신의 이름을 역사에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걸시의 욕망은 “입신행도 양명후세[立身行道 揚名後世]”라는 유교적 이념에 충실한 것 이며, 결국 악인 걸시는 유교사회에서 하층민으로 생존해야 했던 예능인들의 생존방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re were many writings about ``poem begging`` of musicians in Choson Dynasty. Many musicians had begged aristocrats to write poems about them. There were “poem begging” writings of the early period of the Choson Dynasty including musicians like Sang Rim-ch’un, Hu Jin and others. and those of the late period of the Choson Dynasty including musicians like Yi Chong-yeop, Ka-ryon and others. Most of musicians having begged poems were komun’go players. It can be argued that there were two desires for “poem begging” of musicians. One was a desire for strengthening social competitiveness as a musician, the other was for handing his name down to posterity. The former can be explain as a desire for social recognition, the latter as a desire for honor, from the point of view of slave class. These desires can be understood as an achievement fame and prestige, which is a Confucian thinking. In conclusion, the “poem begging” custom in Choson Dynasty could be a survival method of musicians who should live as people of lower classes in Confucianism society.

      • KCI등재후보

        조선중기 악사 허롱의 삶

        전지영(Jeon Jiyo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국악교육 Vol.45 No.45

        조선중기 서성(徐渻, 1558~1631)의 시 『평해군에서 옛 악사 허롱을 만나다(平海郡逢舊樂師許弄)』는 당시 악사(樂師) 허롱(許弄)에 대한 기록을 싣고 있다. 이 시는 다양한 은유, 비유, 상징, 전고(典故)로 채워져 있어서 해독이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의 해석을 통해 허롱의 삶을 추적하는 것은 개인의 삶 이력 차원을 넘어서 조선중기 음악인 삶의 내면과 외면에 대한 고찰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허롱은 『금합자보』의 대급 악보 주인공인 허억봉의 동생이자 조선 침술의 최고봉인 허임(許任)의 작은아버지이다. 그는 양양의 관노출신으로 선상(選上)되어 장악원에서 활동하다가 임진왜란 발발 이후 지방을 떠돌면서 빈궁한 삶을 살았다. 그의 삶을 통해 당시 화려한 음악문화와 함께 악인(樂人) 삶의 모순적 이면을 살필 수 있다. Seo Seong(1558~1631), a bureaucrat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wrote a poem, I met an old musian Heo Rong in Pyeonhae, the southern district of Ganwon Province. This poem includes contents of the life of Heo Rong, splendid music culture at the time, and poor environments by war at that period. Heo Rong was a younger brother of Heo Eokcong who was the most famous musician of that period. Both of them was originally hereditary slaves of YangYang, the east district of Gangwon Province. The major instrument of Heo Rong was Gayageum, but the was famous for wind instruments as well. His life at the war period(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especially pitiable, so that Seo Seong sympathized with the impoverished environments as a musician. It can be argued that this poem is a kind of symbol represents the lives of mid-Joseon period musicians, thereby has a value as a fact of music history.

      • KCI등재

        비평적 관점에서 본 1980년대 ‘전통-창작’론

        전지영 ( Jeon Ji-yeong ) 한국음악사학회 2017 한국음악사학보 Vol.59 No.-

        이 글은 1980년대 전통음악계의 비평담론을 검토하기 위하여 이보형(李輔亨), 한명희(韓明熙), 권오성(權五聖)의 비평문들을 분석한 것이다. 이들의 전통론과 창작론을 점검하고 이를 종합하여 ‘전통-창작’론의 차원에서 정리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보형의 전통론은 전통에 관한 절대성, 자율성과 다양성, 그리고 생태성의 관점으로 정리되었으며, 그의 창작론은 총합적 책임성과 체득성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그의 ‘전통-창작’론을 정리하면 총합, 원형, 생태, 자율 등의 전통 관련 기표가 체득, 책임의 기표와 결합되어야 하는 것이며, ‘칼질’과 ‘수성질’ 같은 적대적 행위가 경계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한명희의 전통론은 순수성, 투쟁성, 가변성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그의 창작론은 ‘한국음악론’과 정신성(의식성)의 강조로 정리할 수 있다. 그의 ‘전통-창작’론은 창작의 정신성과 의식성을 통해 오염된 ‘시류’를 극복하고, 전통의 가변성과 당대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었다. 권오성의 전통론은 개방성과 생명성으로 정리될 수 있으며, 그의 창작론은 한명희의 ‘한국음악론’과 유사하지만 더 급진적 측면이 있다. 그의 ‘전통-창작’론은 전통과 창작의 경계는 미래의 이름 앞에서 구분될 필요가 없는 것이며 양자는 ‘새로운 한국음악’과 ‘희망찬 민족음악’ 앞에서 불가분의 융합이 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1980년대 비평지평은 전통의 시대적 의미에 대한 추고(推考), 창작의 진정성과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라는 비평 본연의 모습에 충실했다고 볼 수 있다. The critiqu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during the 1980’s should be inspected upon the viewpoint of transition period to the democratic and developing market economy in traditional culture. The remarkable three scholars, Yi Po-hyong 李輔亨 (Lee Bo-hyeong), Han Myong-hui 韓明熙 (Han Myeong-hee) and Kwon O-song 權五聖 (Kwon Oh-seong), who left many articles about the arguments of tradition and composition, performed the role of critiques at that time. The notion of ‘tradition-composition argument’, combined ‘argument about tradition’ with ‘argument about composition’, might be valid in the discusses. The ‘tradition-composition arguments’ of Yi Po-hyong were the emphasis on absolute attribute of tradition which should be combined with responsibility on composition. The ‘tradition-composition arguments’ of Han Myong-hui were the emphasis on purity and variability of tradition and on spirituality of current Korean music. The ‘tradition-composition arguments’ of Kwon O-song were the emphasis on organic and openness of tradition and on the creation of new bright Korean music. These noticeable scholars’ viewpoint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circumstances could performed the appropriate role for interpretation of the period of change.

      • KCI등재

        10호 기념 논문 : 현행 정악의 개념과 그 형성배경에 대한 재조명

        전지영 ( Jeon Ji Yeong ) 세계음악학회 2004 음악과 문화 Vol.10 No.-

        There have been many concepts of Chiingak,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par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e so far have thought that Chuˇngak might be a concept related to the high culture, thc upper classes, or cultivating mind, so that many people have regarded it as music having a long tradition. Howwer, the contemporary Chuˇngak could only be music of Yiwangjik a-akbu(이왕직아악부 ; court music department of Lee Dynasty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y), and traditionally we did not have the concept and category of Chiingak. It seem that the musicians in a-akbu regarded their music as `right music`, and gave them the concept of Chuˇngak meaning right music, then thought of the music which were not theirs as low or `vulgar` music. This notion became solider i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