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수 석유화학산단지역 악취성 알데하이드류 농도 경향

        전준민,서병량,정경훈,허당,고오석,서성규,전기석 한국냄새환경학회 2005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4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rasp the concentration characterization of odorous aldehydes in Yeosu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lex.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aldehydes was surveyed four times. The first(27 sites) and second(14 sites) survey were carried out at the industry boundary area from 2nd of June to 14th of August in 2003 and the third(6 sites) and fourth(5 sites) survey were carried out at the office and process facility in the industry internal area from 22th of September to 19th of December in 2003. The odorous aldehydes were sampled using 2,4-DNPH cartridge and analyzed by HPLC/UV. As a result of this study,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and butyraldehyde were mainly detected at the industry internal area in autumn and winter. Acetaldehyde and butyraldehyde were detected at the industry boundary area in summer. While propionaldehyde was not detected at the industry boundary area except in refinery industry in early summer, propionaldehyde was detected at most sampling sites in summer. It dose not seem that there were special sources of iso-valeraldehyde and n-valeraldehyde emission in Yeosu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lex, because iso-valeraldehyde and n-valeraldehyde were not detected at most sampling sites in both of industry internal area and industry boundary area. The kinds of aldehydes which showed high concentration at the industry internal area were measured slightly high concentration at the industry boundary area. Therefore, it appeared that odorous aldehyde emitted from odor emission source at the industry internal area somewhat influenced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aldehyde at the industry boundary area or surrounding area of industry complex. Acetaldehyde was found high refinery industry area, petrochemical industry area, chemical industry area in order of concentration and propionaldehyde was found high petrochemical industry area, chemical industry area, refinery industry area in order of concentration. Butyraldehyde, also, was found high petrochemical industry area, waste water treatment area, chemical industry area in order of concentration. Hence, it was investigated that odorous aldehydes in Yeosu petrochemical industry complex mainly emitted from chemical, petrochemical and refinery industry area. 본 연구는 여수 석유화학산단지역의 악취성 알데하이드류 농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업장 부지경계지역에서 2003년 6월 2일부터 8월 14일까지 1차(27개)와 2차(14개)에 걸쳐, 사업장 내부의 사무동과 공정동에서는 9월 22일부터 12월 19일까지 3차(6개)와 4차(5개)에 걸쳐 조사하였다. 악취성 알데하이드류 성분은 2,4-DNPH 카트리지로 측정하였고 HPLC/UV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가을철과 겨울철에 측정한 사업장 내부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티르알데하이드 성분이 주로 검출되었으며, 여름철에 측정한 사업장 부지경계지역에서는 주로 아세트알데하이드와 뷰티르알데하이드 성분이 검출되었다. 사업장 부지경계지역에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성분은 초 여름철에 정유관련 사업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검출되지 않았으나 여름철 조사에서는 대부분 지점에서 검출되었다. iso-발레르알데하이드와 n-발레르알데하이드 성분은 사업장 내부와 부지경계지역 모두 대부분 조사지점에서 불검출로 나타나 여수 석유화학산단지역내에서는 특별한 배출원이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사업장 내부지점에서 고농도 경향을 보인 알데하이드 성분들이 사업장 부지경계지역에서도 다소 높은 농도로 조사되어 사업장 내부 악취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악취성 알데하이드 성분들은 사업장 부지경계지역이나 주변지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업장 내부와 사업장 부지경계지역에 대한 알데하이드류 조사결과 업종별 알데하이드 성분들의 배출은 아세트알데하이드의 경우, 정유> 석유화학 > 기초화학 관련 사업장 순으로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피온알데하이드는 석유화학 > 기초화학 > 정유 관련 사업장, 그리고 뷰티르알데하이드는 석유화학 > 폐수처리 > 기초화학 관련 사업장 순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여수 석유화학산단내 악취성 알데하이드 성분들은 기초화학, 석유화학 및 정유 관련 사업장으로부터 주로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석유화학 산단지역의 악취성 VOCs 물질 배출 특성

        전준민,허당,서성규,고오석,서병량,윤형선 한국냄새환경학회 2006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5 No.1

        This study estimat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volatiles organic compounds (VOCs) from major 7 emission facilities by industrial classification in Yeosu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lex. This study investigated terminal emission facilities (Inlet and outlet) in the industrial plant area, the plant boundary area and Samil-dong which has many civil appeal for an offensive odor to grasp VOCs concentration in ambient air of the plant boundary area and civil appeal area from May, 2002 to December, 2004, besides. VOCs were sampled 6 L using silicocan canisters and toluene, xylene and styrene which are known as odorous VOCs were analyzed by cryogenic preconcentration system and GC/MS. The removal efficiency of emission facilities in the industrial plant area for odor showed 96.5% of wet scrubber, 89.5% of RTO and 86.0% of RCO.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VOCs at the plant limits area in 2003 were higher than 2002. The reason was guessed that toluene of high concentration emitted from terminal emission facilities in the industrial plant area influenced on ambient air at the plant boundary area.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VOCs in ambient air at Samil-dong were decreasing from 1995 to 2001, but the concentration of toluene sharply increased from 2002. The reason was presumed that VOCs emission increased due to expansion of Yeosu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lex and removal efficiency of terminal emission facilities dropped due to outworn equipments for VOCs prevent. 본 연구는 여수석유화학산단 내 일부 업종별 규모가 큰 대표적인 7개 사업장들의 배출시설에 대하여 악취성 VOC 물질 배출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사업장 부지경계지역 및 민원지역의 대기 중 VOC 농도 경향을 파악하고자 2002년 5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사업장내 최종 배출시설(유입구 및 배출구, inlet and outlet), 사업장 부지경계지점과 악취민원 제기가 많은 삼일동 지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VOCs 시료는 silicocan canister 6 L로 채취하였으며, 저온농축장치(cryogenic preconcentration system)와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악취성 VOC로 알려진 3개 항목(toluene, xylene, styrene)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사업장내 배출시설의 악취 제거효율(removal efficiency)은 흡수탑 (96.5%) > RTO (89.5%) > RCO (86.0%)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부지경계지점은 2002년에 비해 2003년의 악취성 VOC 농도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장내 최종 배출시설 자체에서 toluene 물질이 높은 농도로 배출되어 사업장 부지경계지역의 대기 중 농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민원지역인 삼일동 지점의 대기 중 악취성 VOC 농도는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점차 감소하다가 특히 toluene 성분은 2002년부터 다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여수산단지역 확장으로 인한 사업장내 VOC 물질 배출 증가와 10여년 전에 설치된 VOC 방지시설의 노후로 인한 방지효율 저감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된다.

      • KCI우수등재

        일부 공단지역 PM<sub>2.5</sub>에 부착된 중금속 노출에 의한 건강위해성평가

        전준민,강병욱,이학성,이철민,Jeon, Jun-Min,Kang, Byungb-Wook,Lee, Hak-Sung,Lee, Cheol-Mi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0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6 No.4

        This study estimated the health risk of heavy metals in particulate matter $(PM)_{2.5}$ in a Gwangyang industrial complex. The $PM_{2.5}$ containing heavy metal was collected from January to November, 2008 using a denuder air sampler and by IC (Ion Chromatograph). The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in a four-step process; hazard identification, exposure assessment, dose-response assessment and risk characterization. In the hazard identification process, $Cr^{6+}$, Ni, As, and Pb were categorized as human carcinogens and probable human carcinogens, while Ti, Mn, Se, P, $Cr^{3+}$, Cu, and Zn were not classified as human carcinogens. It was found that the excess cancer risk by Central Tendency Exposure (CTE) of $Cr^{6+}$ and As in $PM_{2.5}$ was > $10^{-6}$, and the total excess cancer risk posed by carcinogen heavy metals in $PM_{2.5}$ was > $10^{-6}$. It was also determined that the total hazard index by CTE of non-carcinogen heavy metals in $PM_{2.5}$ was <1.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a high cancer risk associated whit inhalation of heavy metal-containing$PM_{2.5}$ in industri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