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상공인법」상 손실보상에 대한 공법적 일고찰

        전주열 한국법제연구원 2021 법제연구 Vol.- No.61

        This paper analyzes and reviews the revision of the 「Small Business Owners Act」, which is called the Self-Employed Loss Compensation Act,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law. To this end, we first analyze the main contents of the loss compensation system of the 「Small Business Owners Act」, which was newly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amendment of the law. Next, by comparing this loss compensation system with other similar systems, it was attempted to clarify the meaning and legal character of the compensation system of this legislation. Viewing telegrams for damage caused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as an object of responsibility and as an object of support are completely different in legal nature. If there is legal responsibility for telegram, non-transmissio n causes a problem of non-fulfillment of legal responsibility.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loss compensation system under the 「Small Business Owners Act」 were anal 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nsation systems under the existing laws were compared. Based on this comparison and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legisl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law theory and our legal system were draw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gal nature of this loss compensation system legislation is somewhat vaguely defined between responsibility and support. However, it can be evaluated as a case in which operating profit is legislated as a target for loss compensation by applying the special sacrifice theor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nsistency of the entire legal system, it is possible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method of enacting the loss compensation system through individual laws. On the other hand, the loss compensation concept derived by synthesizing loss compensation systems under the positive law may be different from the loss compensation concept under the Constitution.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consistency and fairness of future loss compensation legislation, a broader concept of compensation for loss under public law is needed than the theory of property protection. 본 논문은 자영업자 손실보상법이라고 일컫는 이번 「소상공인법」 개정을 공법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검토하는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법률 개정으로 신설된 「소상공인법」의 손실보상 제도의 주요 내용을 분석한다. 이어서 이 손실보상 제도를 기존의 다른 유사한 제도들과비교함으로써 이번 입법의 보상 제도가 갖는 의미와 법적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국가나지방자치단체가 일으킨 피해에 대한 전보를 책임의 대상으로 보는 것과 지원의 대상으로 보는 것은 법적 성격이 전혀 다르다. 전보에 대한 법적 책임이 있다면 전보하지 않는 것은 법적책임의 불이행 문제가 발생하지만 지원의 대상이라면 급부적 작용으로서 전부 여부에 대한입법재량이 넓게 인정될 수 있다. 이 구분에 기초하여 「소상공인법」상 손실보상 제도의 법적성격을 분석하고, 기존 법률상 보상 제도들과 그 성격을 비교하였다. 이렇게 비교,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번 입법이 공법 이론과 우리 법제도의 발전 방향에 대해 제시하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이번 손실보상 제도 입법은 그 법적 성격을 책임과 지원 사이에 다소 모호하게 정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특별희생이론을 적용하여 영업이익을 손실보상 대상으로 입법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전체 법체계의 일관성이라는 관점에서보면 이처럼 개별법으로 손실보상 제도를 입법하는 방식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한편, 실정법상 손실보상 제도들을 종합하여 도출되는 손실보상 개념은 헌법상 손실보상 개념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손실보상 입법의 일관성과 형평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산권 보장이론보다 넓은 공법상 손실보상 개념이 필요하다.

      • KCI등재

        프랑스 정보공개법의 특징과 시사점

        전주열 한국법제연구원 2022 법제연구 Vol.- No.62

        본 논문은 행정이 정보를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도를 모색고자 「정보공개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정보공개 제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랑스법의 정보공개 제도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이로부터 우리 정보공개 법제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프랑스 정보공개 제도는 다음 세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정보공개 제도가 프랑스의 「행정기본법」이라고 할 수 있는 「공중·행정 관계 법전」의 일부분이라는 점이다. 이는 정보공개가 행정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제도들 중 하나로 인식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지점이다. 또한 행정을 규율하는 일반 법규범들을 ‘법전’(code)의 체계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보공개 제도가 다른 행정법 관계 제도와 정합적으로 운영되기에 유리하다. 둘째, 프랑스법에서 정보공개 제도는 행정이 ‘행정문서’를 매개로 공공서비스 이용자와 소통(communication)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오늘날 행정의 역할과 기능이 변화한 것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행정은 권력적, 권위적 주체로서 감독과 통제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공법적 규율도 이러한 목적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행정은 공공서비스 제공자로서의 기능을 더 많이 수행한다고 볼 수 있고 주권자인 국민은 행정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체로서 인식될 필요가 있다. 프랑스 정보공개 제도는 이러한 관념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프랑스 정보공개 제도의 근거 법령은 비공개 대상 정보에 대해 공공기관의 공개 재량을 인정하지 않는다.

      • KCI등재후보

        정보시스템 법제화의 공법적 쟁점

        전주열 한국인터넷윤리학회 2021 The Digital Ethics(디지털 윤리) Vol.5 No.1

        When an information system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laws and regulations, the information system becomes a legal system.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at is the public legal effect that occurs when the information system becomes a legal system.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contain the essence of a heterogeneous legal system. The essence of the information system as a legal system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essence as a public service and the essence as a means of administration. The former is a public service provided by the administration to the outside, through which the administration and service users establish a legal relationship. The latter is the means by which the administration carries out its affairs and does not directly form a legal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However, it causes a change in administrative authority. As a result of this,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may be infringed or restricted. In some cases, the use of information systems is forced and new obligations are imposed on the public. When legalizing an inform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legal and institutional nature of the information system and legislate it according to the jurisdiction of each norm.

      • KCI등재

        보조금 행정의 적법성을 위한 법제적 고찰 - 「보조금법」상 부정 수급 제도를 중심으로 -

        전주열 한국법제연구원 2023 법제연구 Vol.- No.64

        The Subsidy Act assumes illegal supply and demand as a policy concept for subsidy management, and at the same time stipulates it as a requirement for withdrawal and sanctions. Under the Subsidy Act, fraudulent receipt of goods is subject to administrative penalties and various administrative sanctions at the same time. Illegal receipt and receipt of subsidies will first cause the cancellation of the subsidy grant decision and a return order. It also leads to sanctions such as exclusion from performance or restriction of payment that disqualify the performance of subsidized projects or subsidies. In addition, there is a separate system for imposing monetary sanctions based on the illegality of supply or receipt. As such, in the 「Subsidy Act」, ‘unfair supply and demand’ can be said to be a pivotal concept in subsidy management administration. However, the current 「Subsidy Act」 has a problem of somewhat comprehensively defining the concept of illegal supply and demand as a punishment rule, and has a problem that both criminal punishment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can be imposed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is paper aimed to critically examine the subsidy administration from a legal point of view by pointing out issues for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current subsidy law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original law. Legislative reviews include legislative considerations that point out problems in laws and seek ways to improve them. This research method, unlike the interpretation theory to solve the case that has already occurred, analyzes the logic of the current law, criticizes the parts that are expected to cause disputes, and follows the purpose of presenting legislative alternatives. In this way, this thesis analyzes the issue of interpretation of the statute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administration for sanctioning the illegal supply and demand under the Subsidy Act by dividing it into the problem of illegal supply and demand of subsidy business operators and the problem of illegal supply and demand of subsidy recipients. 「보조금법」은 부정 수급을 보조금의 관리를 위한 정책적 개념으로 상정하는 동시에 환수 및 제재의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보조금법」상 부정 수급 행위는 행정형벌의 대상임과 동시에 다양한 행정적 제재의 대상이 된다. 부정 수급은 우선 보조금 교부 결정 취소와 반환명령을 유발한다. 또한 보조사업 수행이나 보조금 수급의 자격을 박탈하는 수행 배제나 지급 제한의 제재로 이어진다. 뿐만 아니라 수급이나 수령 행위의 위법성에 기초하여 금전적 제재를 부과하는 제도를 별도로 두고 있다. 이처럼 「보조금법」에서 ‘부정 수급’은 보조금 관리 행정의 중추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보조금법」은 부정 수급의 개념을 형벌 규정으로서는 다소 포괄적으로 규정한 문제가 있으며 형사벌과 행정질서벌의 동시에 부과될 수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보조금 행정이 현재의 「보조금법」을 본래의 이 법률의 취지와 목적에 맞게 해석하고 적용하기 위한 쟁점들을 지목하여 법제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법제적 검토에는 법령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입법론적 고찰이 포함된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이미 일어난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해석론과 달리 현행 법령의 논리를 분석하여 분쟁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을 비판하고 입법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논문은 「보조금법」상 부정 수급을 제재하는 행정의 적법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령 해석의 쟁점을 보조사업자의 부정 수급 문제와 보조금수령자의 부정 수급 문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 KCI등재

        지방분권을 위한 법제적 일고찰- 「지방자치법」의 법제개선 필요사항을 중심으로 -

        전주열 한국법제연구원 2018 법제연구 Vol.- No.54

        Starting from the agenda that we should determine the function of local government at each level in order to facilitate decentralization, this article is dedicated to demonstrating problems in the practice of Korean legislation today. On the one hand, in the 「local autonomy act」, the local governments’ function is designated by the term "affairs of local governments" which includes autonomous duites and the duties delegated by the State to local governments. Meanwhile, all of acts by which governments are granted the power of execution, upon the principle of "the reservation of law", does not distinguish the nature of each authority as well. On the other hand, as regards the legal status of the territorial collectivity, the practice in the legislation does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erritorial representation and national delegation. If we want to achieve the decentralization, we should reevaluate and determine EVERY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 in terms of its nature whether it is for the local diversity or for the standardization of public service in the State. In following, we should have the terminology by which we can designate the territorial collectivity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national organ at the local level in the legislation. 분권을 위해서는 지방의 사무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위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전제 아래, 현행 법령에 담긴 두 가지 법제적 문제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지방분권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제도를 정하고 있는 「지방자치법」 에서 지방에 대한 국가의 감독 권한을 지방사무와 국가사무 간 큰 차이를 두지 않고 있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 문제는 지방의 역할이 특정되더라도 지방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둘째, 지방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각 개별 법률에서는 사무를 성격에 따라 국가사무 또는 지방사무로 구별하지 않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공법인인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는 법치주의 원리에 따라 개별법률에 사무 처리의 근거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사무에 대해 그 사무가 국가사무인지, 지방사무인지 근거 법률에서 명확히 하지 않으면 각 사무마다 국가와 지방의 관계, 국가의 감독권과 지방의 자율성의 범위 및 한계가 해석의 문제로 남게 된다. 실정법을 통한 법제도에서 학계에서 말하는 지방자치단체와 지방 자체에 관한 이론을 국가의 지방행정조직과 혼동되지 않도록 구현하려면, 지방이 수행하는 사무를 정하고 있는 각각의 실정 법률에서 양자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재정분권의 선결조건으로서 지방재정법의 개선과제

        전주열 한국법제연구원 2020 법제연구 Vol.- No.58

        By substituting the proposition “Suum cuique” into fiscal decentralization, we can say that it is giving local finances to the provinces. It is fiscal decentralization that allows locals to receive local finances and do local work without external interference. In the 「Local Finance Act」, similar contents are stipulated in principle. It is stipulated that the cost of self-governing affairs is pai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at the state must provide expenses for national affairs. However, this principle is not observed. Facts cannot be observed. As used in the actual law, 'local finance' does not refer to local financial resources. Refers to the total amount of finances operated locally. On the other hand, in some areas, the division of office expenses between countries and regions is strictly institutionalized. This is the area of the National Treasury Grants under the 「Subsidy Act」. In this area, the cost sharing between countries and regions is explicitly set. In addition, each execution history is classified and accounted for. In order to secure local finances in the provinces, local finances must be separated from other local finances. This distinction is possible as a separate accounting process. To do this, the role of the province must first be clear. Office distribution is a prerequisite for fiscal distribution. The question of whether to give more roles between countries and regions is a matter for the people to judge. It is a matter of national choice between national equity and regional diversity. However, in order for fiscal decentralization to be legally feasible, a fiscal legal system corresponding to the dual status of the province must be in place. “각자에게 각자의 것을”(Suum cuique)이라는 명제를 재정분권에 대입해 보면, 지방에게 지방의 재정을 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지방이 지방의 재정을 가지고 외부 간섭을 덜 받으면서 지방의 일을 할 수 있다면 재정분권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지방재정법」에 서도 비슷한 내용을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다. 자치사무의 경비는 지방이 부담하고, 국가사무의 경비는 국가가 제공하여야 한다는 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원칙이 지켜지는지 여부를 알기 어렵다. 지방의 집행하는 어떤 사무에 일정한 재정이 투입될 때, 그 재원이 지방의 것인지 국가의 것인지 현행 법제도에서는 명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정법상 ‘지방재정’은 지방의 재원을 일컫는 것이 아니다. 지방에서 운용되는 재정 전체를 일컫는다. 사무유형에 따른 경비 분담 원칙 뿐 아니라 대부분의 지방재정 관련 법제가 지방에서 집행되는 재정 전체를 전제로 설계되어 있다. 반면, 국가와 지방 간 사무 경비 분담을 엄격히 제도화하고 있는 영역도 있다. 「보조금법」에 따른 국고보조금은 어떤 사무에 국가와 지방이 각각 얼마의 비용을 분담할지 명시적으로 정하고 각각의 집행 내역이 구분되어 회계처리된다. 지방에 지방의 재정을 확보해 주려면 지방의 자체 재정이 다른 지방재정으로부터 구분되어 회계처리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의 역할 즉 자치사무가 다른 사무와 구분되어야 한다. 사무분권은 재정분권의 선결조건이다. 국가와 지방 간 어느 쪽에 더 많은 역할을 줄 것인지는 국가적 형평성과 지역적 다양성 간에 주권자가 선택할 문제이다. 그러나 분권의 양(量)과 별개로 재정분권이 법제도적으로 가능하려면 지방의 이중적 지위에 상응하는 재정법적 제도가갖추어져야 한다.

      • KCI등재

        프랑스 공공데이터 관련 법제도의 최근 동향

        전주열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외법논집 Vol.40 No.4

        Dans notre pays, le régime juridique qui régie la matière de données publiques est établi par ‘la loi de données publiques’. Elle a été récemment modifiée en sorte qu’elle contient de mesures nouvelles pour qu’elle puisse être plus effective. Dans la loi, la conception de ‘données publiques’ est encadrée par la vision selon laquelle elles ne sont a priori que l’objet d’activité économique par les acteurs privés. De ce fait, l’administration se trouve dans la situation où elle n’a pas d’autre choix que de s’abstenir tant l’activité privée a pris l’initiative sur de certaines données publiques. Cet état actuel se fait l’objet d’analyse de critique car, l’objectif en matière de la politique sur de données publiques peut s’achever mieux lorsque l’administration se dote d’une certaine fonction positive. Pour cette analyse, nous étudions le régime juridique français de la matière. Il porte de fort intérêts de recherche comparative parce qu’il vient d’avoir de nombreux changements à travers de la ‘loi pour une République numérique’. 우리나라에는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에 관한 법률’(이하, ‘공공데이터법’)이 시행되고있다. 현행 공공데이터법은 그동안 공공데이터법의 핵심 개념인 ‘공공데이터’ 개념이 ‘행정정보’, ‘전자기록물’과 같이 다른 전자정부 관련 법령에서 규정한 개념들과의 관계에서 명확히 정립하는것을 비롯하여 법률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들을 다수 포함하는 내용으로 개정되었다. 우리 공공데이터법에서는 공공데이터를 민간 경제활동의 목적으로 보면서 이를 활용한 경제적가치 창출 목적을 위해, 공공데이터를 생산하거나 보유하고 있던 공적 주체는 민간의 경제활동과중복되는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제공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공적 주체가 데이터 생산, 보유, 관리의 주체로서 일정한 역할을 하는 것을 통해 공공데이터가 더 잘 활용될 수도 있다는점에서 현행 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프랑스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법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프랑스는오랜 논의 끝에 지난 2016년 10월 7일 이른바 ‘디지털국가를 위한 법’(loi pour une République numérique)을 공포하였다. 이 법은 프랑스의 여러 제도를 오늘날 디지털 사회의 필요에 맞게 개선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공공데이터 법제도도 상당 부분 개정되었다. 프랑스 공공데이터 관련 정책을 개관하고, 기존의 법제도를 설명한 다음, 2016년 10월 7일 법률에 따른 주요 개정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프랑스가 취한 입법적 조치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한다.

      • KCI등재

        2018년 헌법 개정안에 대한 재정법적 일고찰

        전주열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8 No.4

        In March 2018, a constitutional amendment bill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discussions on constitutional amendment were actively conducted.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discuss what our society should stipulate in the Constitution today. Among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there were not a few issues that our society did not collect enough will to agree on. The same applies to matters related to “finance”. The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in 2018 made the main agenda of giving a legal form to the budget on finance. The agenda itself, which is the legal form of the budget, does not mean little. However, there are various issues that have been raised on the constitutional agenda regarding finance. In particular, the mandat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on budget and finance should be regulated constitutionally. Discussing budget legalism presupposes changing the allocation of roles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In other words, a review on the allocation of the roles of power institutions in the budget should be carried out together. Based on these issues,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financial matters contained in the 2018 Constitutional Amendment. Subsequently, the agenda that our society should establish in the Constitution regarding finance was presented. 2018년 3월 헌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됨으로써 헌법 개정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오늘날 우리 사회가 헌법으로 정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논의할 수 있었다. 헌법적 규정 사항들 중에는 우리 사회가 하나의 안에 합의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뜻을 모으지 못한 쟁점들이 적지 않았다. ‘재정’에 관한 사항도 그러하다. 2018년 헌법 개정안은 재정에 관해 ‘예산법률주의’를 주된 의제로 삼았다. 예산의 형식을 법률로 바꾸는 것 자체의 의미가 작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동안 재정에 관하여 헌법적 의제로 제기되었던 사항들은 예산의 법률 형식 문제 외에도 다양하다. 특히 예산과 재정에 관한 국회와 정부 간 권한 관계가 헌법적으로 규율되어야 한다. 재정을 헌법적 가치에 맞게 운용하기 위해 예산법률주의가 논의되는 이유는 이를 통해 국회와 정부 간 역할 배분을 변경할 수 있다고 전제하기 때문이다. 즉 예산법률주의의 도입 여부와 함께 예산에 관한 권력 기관의 역할 배분에 관한 검토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2018년 헌법 개정안에 담긴 재정에 관한 사항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어서 우리 사회가 재정에 관하여 헌법으로 정해야 할 의제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