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블록 제한 트렐리스 부호화 양자화 기법을 이용한 협대역 음성 부호화기용 LPC 계수 양자화기 설계

        전자경,박상국,강상원,Jun, Ja-Kyoung,Park, Sang-Kuk,Kang, Sang-Won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3C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트렐리스 부호화 양자화 기법을 이용, 변형하여 저 복잡도 블록 제한 격자 부호화 양자화 기법 (Block-Constrained Trellis Coded Quantization, 이하 BC-TCQ)을 제안하곤 이를 이용한 협대역 음성 부호화기용 예측 BC-TCQ를 설계하였다. 트렐리스 부호화 양자화 기법은 일종의 벡터 양자화 방식으로 부호화에 요구되는 벡터 코드북을 트렐리스 구조에 기반한 스칼라 코드북으로 구성함으로써 VQ와 비교 할 만한 성능을 보일 뿐 아니라 복잡도가 훨씬 작은 특성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예측 BC-TCQ는 프레임당 26비트에서 IS-641 음성 부호화기보다 평균 SD가 0.4107dB 향상되었으며, 더하기 연산이 64.54%, 곱하기 연산이 76.93%, 비교 연산이 2.35% 감소하였다. In this paper, low complexity block constrained trellis coded quantization (BC-TCQ) structures are introduced, and a predictive BC TCQ encoding method is developed for quantization of line spectrum frequencies (LSF) parameters for narrowband speech coding applications. Trellis-coded quantization(TCQ) is a form of VQ that builds the VQ codebook from interleaved constituent scalar quantization codebooks. The performance is compared to the other VQ, demonstrating reduction in spectral distortion and significant reduction in encoding complexity. The predictive BC-TCQ is about 0.47107 dB superior to the IS-641 split-VQ, 26bits/frame, in spectral distortion sense. The BC-TCQ is 64.54%, 76.93%, 2.35% of the IS-641 split-VQ, respectively, in the complexity of the additions, multiplies, comparisons.

      • KCI등재후보

        무호흡 증상만으로 발현된 미숙아의 비전형적 경련

        전자경,문청준,김순주,윤영아,이주영,이현승,이정현,성인경,김소영 대한신생아학회 2013 Neonatal medicine Vol.20 No.1

        Purpose: Extremely-low-birth-weight infants (ELBWIs), especially those ≤24 gestational weeks (GW), presented extremes in IWL and changes of water bala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investigate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in infants of ≤24-GW during the first postnatal week under high humidification. Methods: Medical records of extremely-low-birth-weight infants (ELBWIs) who were born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Samsung Medical Center during March 2004-September 2010 were reviewed. Fluid intake, urine output, insensible water loss (IWL), and electrolyte balance of 22-GW (n=14), 23-GW (n=40), and 24-GW (n=67) infants nursed in high humidity (95%) were compared with ≥26-GW (n=65) infants nursed in 60% humidity. Results: Survival rate until discharge was 33%, 82%, 75%, and 89.3% in 22-GW, 23-GW, 24-GW, and ≥26-GW infants, respectively. Fluid intake and IWL was higher in 22-GW and 23-WG, but not different in 24-GW, than in ≥26-GW infants. At postnatal days (P) 3-5, the urine output was significantly lower in ≥26-GW infants than in the other age groups. Serum sodium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2-, 23-, and 24-GW (P1-2) than in ≥26-GW infants. Hypernatremia (>150 mEq/dl sodium) was more frequent in 22-GW (71%), 23-GW (41%), and 24-GW (21%) than in ≥26-GW infants (14%). Conclusion: High-humidity environments significantly decreased fluid intake and improved electrolyte imbalance in 24-GW, but not 22- and 23-GW, infants. Increased IWL in the latter might be related to more immature skin, and implicates the need for additional nurturing conditions. 목적: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여 2차적인 원인의 무호흡증을 감별하여 교정하고 아미노필린을 투여한 후에도 반응하지 않는 무호흡증이 있는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특징을 알아보고 EEG 결과비정상소견을 보인 미숙아와 정상소견을 보인 미숙아들을 비교함으로서 무호흡증으로 발현된 신생아경련 환아의특징 및 그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빠른 진단을 내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재태주령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들 중 무호흡 증상을 보이면서 패혈증, 폐렴, 질식(asphyxia), 체온 불안정, 빈혈, 저혈당 및 전해질 장애, rota virus 감염 등의 바이러스 감염 등 2차적인 원인의 무호흡증을 감별하여 교정하고 아미노필린을 투여하여도 반응하지 않는 미숙아를 연구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통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 미숙아는 총 37명 이었으며 그 중 32.4%가 비정상 뇌파소견을 보였다. 재태주령, 출생체중, 성별, 1분 아프가점수, 뇌파검사 검사시 재원일, BPD, NEC, PDA, IVH 등 합병증의 동반유무, 뇌초음파 검사상 grade I, 2의 IVH와MRI 결과에 따른 EEG 정상여부가 뇌파검사 결과 정상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5분 아프가 점수는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EEG 정상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5분 아프가 점수가 EEG 정상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련을 일으킬 만한 뚜렷한 원인질환이 없는 미숙아에게 무호흡증이 생기고 아미노필린에 반응하지 않은 경우 뇌파검사 결과 비정상으로 무호흡의 증상만으로 표현된 비 전형적인 미숙아 경련일 경우는 32.4% 이었으며 남아가신생아 경련에 이환될 확률이 높았다. 이들 환아 중 5분 아프가 점수 가 EEG 정상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만삭 신생아 경련의 추적 관찰: 신경발달 예후 관련인자

        임수정,전자경,윤영아,문청준,김순주,이주영,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 대한신생아학회 2013 Neonatal medicine Vol.20 No.1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the major neurodevelopmental sequelae of the full-term neonatal seizures,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oor neurodevelopmental outcome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full-term newborns who had clinical and/or electrographic seizur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t. Mary’s Hospital between June 1994 to July 2007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neurological outcome, various factors were analyzed with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AS for Windows version 9.2). Result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seizures in full-term infants was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76.2%). The most common type of seizure was subtle (50.9%), followed by multifocal clonic (41.8%), and the seizure type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 prognosis. Moderate to major EEG abnormal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oor clinical outcome. Additional factors related to neurodevelopmental outcome were Apgar score at five minute, evidence of HIE on brain MRI, Sarnat stages of HIE, number of anticonvulsant drugs used for seizure control and duration for normalization of EEG abnormalities. Conclusion: The risk factors observed in this study may be helpful to predict the neurological outcomes in full-term neonates with seizur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만삭 신생아 경련의 신경발달 예후를 알아보고, 임상 양상과 뇌파 및 뇌영상 검사 소견 중 예후에관여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4년 6월부터 2007년 7월까지 가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만삭 신생아 경련 환자의 신경발달 예후를 후행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중증 신경발달 이상이 있는 군과 정상군으로 구분하여 신경발달 예후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만삭 신생아 경련의 원인 질환 중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 76.2%로 가장 흔하였다. 경련의 발생 시기는 생후 첫 24시간 이내와 2-3일에 각각 60.0%, 23.6%로 대부분이 생후 3일 이내에 발생하였으며, 이들 중 67.4%에서 신경발달 장애를 보여 생후 4일 이후에 발생한 경련보다 예후가 불량하였다. 비전형적 경련과 다국소 간대성 경련이 가장 흔히 보인 경련이었으며, 경련의 유형과 신경발달 예후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뇌파검사상 중등도 혹은 중증 이상을 보였던 증례는 뇌파가 정상 혹은 경증 이상을 보였던 증례에 비하여 신경발달 예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불량하였다. 기타 신경발달 예후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5분 아프가 점수,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저산소성허혈성 뇌증 소견의 유무, Sarnat 병기, 뇌파 검사의 중증도, 경련 조절에 사용된 항경련제의 수, 뇌파소견의 정상화에 소요된 기간 등이었다. 결론: 만삭 신생아 경련에서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 병변과 Sarnat병기, 항경련제에 대한 반응성, 뇌파이상의 중증도는 신경발달 장애의 위험인자로 예후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