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재 전우의 경학사상 연구 : 『사서강설』을 중심으로

        길태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9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deas of Ganjae Jeon Woo(1841–1922)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Ganjae established himself after the mid-19thcentury as one of the best-known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Kiho School by leading Neo-Confucian discussions, particularly focusing on his Lecture on the Four Classics During the process of accelerated division into smaller schools that started in the early 19thcentury, various Neo-Confucian perspectives presented by scholars known to be the heads of the factions clashed and generated serious intense debates about the Li-Qi theory and aspects relevant to reality. Ganjae was active during the middle of a tumultuous period when Confucian values were weakened and national sovereignty was lost. In addition, because he led the Neo-Confucian discourse of the Kiho School, his views on Neo-Confucianism and his criticisms became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Neo-Confucian debates that flared up in the Kiho School after the mid-19thcentury. The value of the footnotes in the Four Classics to Confucian classics is important to examinations of the ideas of Confucian scholars because they not only offer basic research materials on how to understand traditional Confucianism. They also indicate the most fundamental problems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lars’ arguments in their temporal context and present their worldviews based on that context. Therefor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ideological perspective of a Confucian scholar is his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In other words, examining a scholar’s attitude and interpretative perspective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is an essential process for understanding his entire philosophical reasoning. Ganjae’s footnotes in the Four Classics are, in fact, interpretations of Annotations to the Four Classics by Zhu Xi. Therefore, that volume was analyzed and discussed in detail in the paper by chapter and line. This painstaking technique for analyzing footnotes has been used for the Confucian classics to examine the intentions of the authors who wrote the footnotes. Therefore, specific chapters and lines(章節) can be closely analyzed by employing the footnotes to the Confucian classics. The author identified the main elements of all the footnotes based on this, determined the order in the Neo-Confucian worldview that Ganjae focused on regarding the Confucian classics, and analyzed the classics with that focu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Ganjae’s ideas on the Confucian classics in the following order: (1) understanding The Great Learning centered on the self-cultivation theory, (2) understanding The Doctrine of the Mean centered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3) understanding The Analects centered on Taoism, and (4) understanding The Book of Mencius centered on self-culture theory. The reason this order was used to examine Ganjae’s Four Classics is because it is the chronological order of Ganjae’s work and because we believe that, for Ganjae, The Great Learning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contained the most fundamental values for practicing Confucianism and were the basic texts for understanding Neo-Confucianism. As a Neo-Confucian scholar, Ganjae’s ideas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were closely related to Neo-Confucianism. For example, Ganjae states, “generally speaking, the Confucian classics are all centered on ‘nature’.” Thus, Ganjae used his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as an authoritativ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his Neo-Confucian systems and theories and, based on them, to criticize the divergent views of other schools. Ganjae adhered to Soodojajung(守道自靖) when faced with the actual turmoil of the late-Joseon Dynasty, and he completed the footnotes to Four Classics based on his ideology that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historical period. In other words, we confirmed that the basis of Ganjae’s philosophical reasoning in the Four Classics was the venerate nature theory(尊性論) represented by Simbonseong(心本性) and Seongsasimje(性師心弟). Ganjae was a Taoist who used interpretations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 teachings of semiotics to base his philosophy on Simbonseong(心本性) and to later shape it through the Seongsasimje theory(性師心弟說). The significance of Ganjae’s Four Classics in Neo-Confucian ideolog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anjae established his interpretation of the Four Classics as a system and as his theory of Neo-Confucianism. Specifically, he endeavored to explore the books of Confucius and Mencius based on Neo-Confucianism’s perspective or by supplementing them to address their shortcomings. Therefore, Ganjae can be understood as someone who sought the true meaning of the classics through the Neo-Confucian theory by exploring a “neo-Confucian study of the Confucian classics” or through “study of the Confucian classics centered on the Four Classics.” However, the period when Ganjae was actively publishing was one of extreme turbulence caused by the encroachment of imperial powers and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During this time, Ganjae led the way for Taoist pedagogy that wijeongcheoksa (rejected heterodoxy and defended orthodox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If that is correct, Ganjae’s studies of the Confucian classics might be a “Taoist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ecause it is relatively valid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ing integrity and Taoism with a strong scholarly spirit when faced with national crises while arguing on the Four Classics and human understanding through scholarship. We can assume that Ganjae’s Soodojajung(守道自靖) greatly influenced the national spirit and the history of the study of the Confucian classics in Korea when the perspective is taken that Korean Confucianism is still traditionally passed down.

      • 한국전쟁 참전 중국지원군 포로 연구 : 송환 과정과 송환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전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hesis presents living from prisoners of war camp who were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and served in the Korean War, and examines their repatriation process and the path of life after repatriation. This study explains the political issues which lied behind what to do with prisoners by using research all over the world and the latest published data or official document, and prisoners' suffering from that. China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under the name of "reinforcements" after a political judgment, since then this word "reinforcements" became the cause of diverse problems during prisoner's repatriation. Meanwhile, when the number of a prisoner of reinforcements has risen significantly, a group which acted as a important political variable was the Kuomintang of Taiwan. The Kuomintang got involved in conciliation about communist prisoners in a camp and physical repression as a way of promoting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When prisoner's rule of "volunteer repatriation" was established the Kuomintang which was a lack of infrastructure within Taiwan pressured prisoners to choose Taiwan for reinforcing a military strength and supplementing construction manpower by all means available. As a result, about 16,000 prisoners of China was taken to Taiwan as "volunteer repatriation" while prisoners who chose China were just about 6,000. This may be regarded it had already been decided from that moment the whole repatriation rule was broken. Unlike the West, the East had a strong recognition that a prisoner is regarded as a disgraceful position. A prisoner was never welcomed after being a prisoner. They could not have been properly treated properly anywhere in Taiwan and China. Most of prisoners of reinforcements who were repatriated in China were eliminated from the party register and investigated. prisoners who were repatriated in Taiwan faced the harsh reality even more. They had to live a life as others thoroughly with the unsubstantial name “the anti-communist heroes(反共義士)”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Some people were incorporated in the army Others had to live as a construction worker for a lifetime. Most of prisoners who were repatriated were deprived of the right to cultivate their fortune. These life of prisoners was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the situation during the period of tension, they can practically be regarded as a scapegoat under a policy of the nation. It is not easy to derive a clear discussion about the matter of a prisoner because materials which each country provided are insufficient. However, this paper aggregated research results, utilized materials from Taiwan and China and complemented insufficient part of existing research by using new released materials and official documents. I expect that the gap of research can be filled and furthermore the life of a prisoner can be reappraised through this study. 본 논문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국지원군 포로들의 수용소 생활을 서술하고, 그들의 송환과정과 송환 이후 삶을 궤적을 짚어보았다. 본 연구는 각국의 관련 연구와 최근 공개된 자료 및 공문서를 활용하여 당시 포로 처리문제 이면에 깔린 정치적 문제들과 그로 인해 포로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을 서술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중국은 지도층의 정치적 판단 아래 “지원군”이라는 이름으로 참전했는데 “지원”이라는 말은 이후 포로 송환 당시 벌어진 각종 문제의 빌미가 되었다. 한편 지원군 포로 수가 대량으로 증가하자 중요한 정치적 변수로 작용했던 집단은 대만의 국민당 정권이었다. 국민당은 미국과의 우호적 상황을 조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용소 내 공산포로들에 대한 회유와 물리적 억압에 적극 관여하였다. “자원송환”의 포로송환 원칙이 정해지자 아직 대만 내 기반이 부족했던 국민당은 군사력 강화 및 건설 인력의 충원 등을 노리고 각종 수단을 동원해 포로들이 대만을 선택하도록 압박하였다. 그 결과 16,000여 명의 중국포로가 대만으로 “자원송환”되었다. 반면 중국 대륙을 선택한 포로는 겨우 6,000여 명 정도였는데 이런 결과는 포로에 대한 전체송환 원칙이 깨졌을 때부터 이미 결정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서방과는 달리 동아시아에서는 포로는 그 자체로 수치스러운 신분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포로는 포로가 된 순간부터 환영 받지 못할 운명이었다. 그들은 대만으로 가든 중국대륙으로 가든 합당한 대우를 받을 수 없었다. 대륙으로 송환된 지원군 포로 대다수는 당적을 제거당하고 조사를 받게 되었다. 대만에 송환된 포로들은 더욱 가혹한 현실에 직면하였다. 그들은 생소한 환경에서 허울뿐인 “반공의사”의 이름을 가진 채 철저한 타자로서의 삶을 살아야 했다. 어떤 이들은 군대로 편입되었고 또 어떤 이들은 평생을 건축현장의 노동자로 지내야 했다. 송환된 대부분의 포로들은 자신의 운명을 개척할 권한을 박탈당하였다. 포로들의 이러한 삶은 냉전시기의 정세가 빚어낸 필연적인 결과였고, 그들은 사실상 국가라는 집단의 정책 아래 희생된 이들이라고 할 수 있다. 포로 문제에 관해서는 아직 각국의 자료 공개가 부족하므로 현재 이 문제에 대한 명확한 논의를 이끌어내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본 논문은 현재 각국의 연구성과를 종합하고 대만 및 중국의 자료를 활용하는 한편 새로 공개된 자료와 공문서로 기존 연구의 미비한 부분을 일정부분 보강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관련 연구의 공백을 다소나마 보충하고 나아가 지원군 포로들이 겪었던 삶의 질곡과 역사의 굴곡을 다시 평가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 모바일 뉴스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중국의 스마트폰 뉴스 앱을 중심으로

        전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모바일 뉴스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사용성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개선점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2016년 상반기 중국 뉴스 앱 활성 사용자 규모를 기준으로 상위 3개사인 텐센트뉴스(腾讯新闻), 금일뉴스(今日头条), 왕이뉴스(网易新闻)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연구 목적에 따라 문헌 연구와 실증 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으며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모바일 앱의 개념 및 특징, 모바일 뉴스 앱의 정의 및 특징을 살펴보았고, 조사를 통해 중국 모바일 뉴스 앱 서비스 현황에 대해 정리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인터페이스의 개념 및 특징 특히,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시각 구성 요소인 레이아웃, 메뉴, 컬러, 아이콘, 타이포그래피 등 5가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사용성 평가에 대해 분석하고 뉴스 앱의 사용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배경 이론을 토대로 선행연구에서 정리한 사용성 원칙을 기초로 모바일 뉴스 앱의 사용성 평가 문항을 도출하였다. 넷째, 도출된 사용성 평가 항목을 통해 텐센트뉴스(腾讯新闻), 금일뉴스(今日头条), 왕이뉴스(网易新闻)서비스 앱을 대상으로 실제 서비스의 사용 모습을 관찰하였고, 유저빌리티 테스트(Usability Test)를 진행하여 평가하였으며 사용성 테스트를 위해 씽크 얼라우드 (Think Aloud) 실험 방법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성 테스트 실시 후, 제시된 5가지 사용성 평가 항목을 기준으로 설문지를 설계하고 조사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근거로 모바일 뉴스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문제점과 그 개선점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아이콘 효율성 측면에서 부가적 설명 없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버튼이나 아이콘 디자인, 즉 직관적인 디자인이 요구된다. 둘째, 레이아웃 가독성 측면에서 뉴스 판독 시 가독성을 높여주는 계층 그리드가 요구된다. 셋째, 또한 가독성 측면에서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고가 읽기를 방해하는 상황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넷째, 타이포그래피 자율성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충분한 자율권을 주어 타이포 변경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심미성 측면에서 뉴스 제공 시 가독성 제고를 위한 표준화 요소는 결코 경시할 수 없는 것이지만 그로 인해 차별성이 부족한 문제에 대해서는 개선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ways to improve user experience in mobile news applications by analyzing usability of interface design.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encent News (腾讯新闻), TouTiao News (今日头条), and NetEase News(网易新闻), which are the top three mobile news applications in China in the first half of 2016. This study performed a literature review and an empirical study for an effective analysis. First, the definition and features of mobile applications and mobile news applications were investiga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n, the current service status of Chinese mobile news applications was analyzed by theoretical survey on related literature. Second, the design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Therefore, five visual inscapes of interfacial design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cluding layout, menu, color, icon and typography. Meanwhile, according to the usability principles sorted out from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usability evaluation items of mobile news applications were deduced. Third, the actual use of such service application as Tencent News, TouTiao News, and NetEase News was observed via the deduced usability evaluation items. At the same time, Usability Test was performed for evaluation by the Think Aloud test method.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based on the five kinds of usability evaluation items after the usability test and evaluation also made. The improvements are summarized by five categories. First, efficiency of icon usability should be improved by designing buttons and icons focusing on users’ fast recognition. Second, readability of layout users’ information acquisition from news should be accelerated by the design concept of hierarchy grid. Third, in terms of readability, factors disturbing users from reading by advertising should be improved. Fourth, in terms of typography autonomy, users should be entitled with full autonomy to change the typeface on news layout. Finally, as for being aesthetic, not only the standardized element of improving readability should not be neglected, but also the resulting lack of personality should be noticed in news provision.

      • GIS 기법에 의한 최대연속강우량의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평가

        전우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산사태는 매년 7~9월 태풍 및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절취사면 붕괴 및 자연사면에서의 산사태로 인하여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 논문에서는 산사태 유발인자와 강우조건을 고려하여 산사태 잠재가능성을 평가하고 산사태 취약지역을 분석하고 강우를 고려한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평가함으로써 산사태 피해예방은 물론 건설사업이나 토지이용과 같은 지역개발 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강우조건을 고려한 산사태 발생가능성도를 제작하였다. 산사태 연구를 위하여 DEM, 지질도, 토양도, 임상도를 이용하여, 각각의 지도로부터 이 연구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고 GIS의 공간분석기능을 이용하여 산사태 취약성도를 제작할 수 있는데, 이때 산사태 취약성 평가에 사용된 자료는 정적자료들만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산사태를 유발하는 원인은 정적요소보다 강우나 지표면의 변화와 같은 동적인 요소들의 영향이 더 직접적이라 볼 수 있으므로, 본 연구논문에서는 강우자료를 이용한 산사태 가능성 평가를 위하여 강원도 각 강우량 관측소의 Thiessen망을 구축하고, 각 구역에 1994년부터 2003년까지의 최대지속강우량에 의해 토성별 포화상태를 위한 수분량을 계산하여 산사태 취약성도와 중첩하여 산사태 발생 가능성도를 작성하였다. 그 다음 산사태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The landslide of Korea occurred from July to september when typhoon and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is happened. So many casualties and loss of property are incurred. As we analyzed landslide possibility after considering landslide factors and rainfall condition, a vulnerable area and landslide possibility in this paper, we will provide it with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study, We made landslide possibility regarding rainfall condition. To study for landslide, We extracted information to study from DEM, a geological map, soil map, vegetation map and made landslide vulnerability map using GIS but we used static data for it. But, Landslide was influenced by dynamic factor than static factor. Therefore, We made thiessen in KANGWON-DO, gathered maximum continuous rainfall data from 1994 to 2003. We made landslide possibility map which was made by saturation map for soil and landslide vulnerability map. lastly, we verified landslide occurred area using landslide point data.

      • 신체발달을 고려한 어린이가구 디자인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 만3-5세 어린이를 중심으로

        전우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의 생활 수준은 끊임없이 향상되고 문화 의식 수준과 요구도 점차 높아지면서, 사람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실내 환경 및 가구도 점차 다양하고 풍부해지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어린이를 위한 실내 환경 및 가구도 새로운 문화현상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상품유형으로 시장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어린이는 아직 여러 면에서 성숙되지 못하여, 성인보다 외부환경에 잠재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때문에 어린이 실내 환경에 있어서 가구의 안전성은 제일 기본적인 요소이자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다. 어린이를 위한 가구 시장과 어린이를 위한 가구 디자인은 여전히 다양하지 못하고 학습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단계에 놓여 있고, 디자인계에서는 아직 어린이디자인에 대한 이론과 시장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아 시대 발전에 따른 소비자의 욕구에 충족을 못할 뿐 아니라, 또한 많은 학부모들도 이것에 대한 지식이 낮거나 정확한 개념의 인식도가 부족하다. 이러한 것들은 어린이 가구디자인의 안전성부분에서 지속적으로 결함을 초래하거나 뜻하지 않은 사고의 빈번함을 초래하여, 급속히 발전하는 어린이가구 시장에서 많은 사회적 손실과 기회비용을 잃게되어 이를 사용하는 어린이에게나 구입하는 학부모에게도 하나의 걱정거리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 실내환경에서 어린이 신체발달을 고려한 어린이 가구는 먼저 아동심리학, 통계학 등 관련된 과학지식으로 어린이 심리, 신체특징에 대하여 전면적인 분석을 하고, 재료, 형태, 색채, 인간공학 및 사용 등 부분에 대하여 어린이가구 디자인의 안전성 문제를 연구중심으로 시스템화 되고 과학적인 어린이가구디자인 방법과 과학시스템의 안전 지도의 기준을 제기하였다. 특히, 재료에서는 어린이가구의 무독성 재료의 사용 등 을 설명하고, 형태디자인에서 어린이의 활동성을 고려한 가구의 모서리부분을 라운딩하여 처리함을 원칙으로, 색채디자인에서는 어린이의 안전성 심리 색채, 인간공학에서는 인간공학의 원리를 엄격히 준수, 어린이심리와 신체발달에 따른 디자인을 하여 과학적인 어린이 가구 사이즈 등 을 제정하여 어린이가구의 다기능 수요에 따른 내용으로 학습위주의 어린이 가구에서 벗어난 안전하고 어린이의 특성이 반영된 활동중심의 가구를 연구하려 한다.

      • 기억 속 ‘공(空)’의 조형 표현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전우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억 속 ‘공(空)’의 조형 표현 연구 주제로 삼았으며 이론 문헌 연구, 사례 비교 연구와 실천을 통한 창작 방법을 결합하여 기억 시리즈 작품을 통해 나타낸 공의 내적 의미를 탐구했다. 본 연구에서 공은 집단기억에 대한 개인 기억을 유발함으로써 기억의 공감대가 나 타내는 보편성, 포용성 및 무한성을 만들어내는 것을 말하며 기억 속 평면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바꾸는 과정을 가리킨다. 따라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기 전에 본 연구는 기억의 속성과 공 의 표현을 다각도로 고찰하고 기억의 선택과 무의식의 이중구조, 공개 념의 발전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 기억의 언어와 집단기억의 언 어를 하나로 연결시켜 개인과 집단기억의 보편적인 특성에 부합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변화 과정은 마치 문장이 모여 언어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또한 공의 개념은 보편성, 무한성 그리고 포용성을 지 닌다. 공은 특정 문화, 역사 혹은 사회적 조건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일 종의 경험적 토대로 사람들이 기억을 인지하고 이해하는 방식이다. 기억의 공 표현을 한층 더 깊게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는 세 명의 예술 가를 선행 작가로 삼아 분석하였고 공의 보편성, 포용성 및 무한성을 객 관적으로 검증했다. 그 가운데 도널드 저드(Donald Judd)는 작품에서 무 의미를 추구하면서 물(物)의 본질에 대한 사고와 도전을 표현했고 공의 포용성을 전달했다. 예술가 래리 벨(Larry Bell)은 반사, 빛 그리고 공간 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품에 역동성과 무한성이라는 특징을 선사했다. 피 터 도이그(Peter Doig)의 작품은 구체적으로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에서 벗어나 기억의 진실성과 보편성을 보여줬다. 기억 속 공의 표현은 여러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정신적 측면에 서의 흰색은 무한 확장성과 풍부한 감정을 표현한다. 둘째, 간소함의 방식을 통해 자연스러우며 속박과 제약이 없는 포용성을 추구한다. 연 구자는 기억에 대해 표현할 때 인지와 관찰을 사물 인식을 토대로 삼 고 기억의 단편을 불러 일의 겨 재구성함으로써 과거와 현재를 융합하 고 기억의 빈 공간을 메우며 과거를 재현했다. 기억의 보편성을 통해 관람자에게 개인 기억을 설명하는 동시에 관람자의 집단 기억을 불러 일으켜 공의 형식으로 감정상의 진실한 기억을 탐색하도록 이끌었다. 작품은 형상적 질서, 수열적 배치, 구축적 관계의 극소(極少)조형 언어 를 통해 기억의 실체적인 형식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기억 속 공의 조형 표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집단 기억에 대한 개인 기억을 불러일으켜 기억에 대한 공감대를 만드는 것은 공이 지닌 보편성, 포용성, 무한성의 특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서양의 극소 조형 언어와 동양의 공 이념의 내적 의미를 상호 결합시켜 독특한 예술 언어와 문화적 가치를 보여주고자 했다. 이 때문에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동양 미학의 극간(极简)과 서양 미학의 극감(极减)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향후 연구자들의 연구 방향이 될 것이다.

      • 馮唐의 <五十一個強光點> 중·한 번역

        전우 단국대학교 국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작품은 馮唐의 단편 소설 <五十一個強光點>을 번역 대상으로 하여 이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소설의 주인공은 작가의 친구 샤오하오하오이다. 스티브 잡스의 의발을 계승했다고 굳게 믿었던 주인공 샤오하오하오가 작가인 ‘나’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휴대전화 사업에 뛰어들었고 결국 자신의 노력으로 성공했다는 줄거리이다. 본고는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작가와 작품 및 줄거리, 등장인물 소개이다. 제 2장에서는 <五十一個強光點>을 한국어로 번역하였으며, 제3장 결론에서는 작품의 전반적인 번역 상황에 대하여 총괄적인 평가를 하였다. This paper translates Feng Tang’s novel “Fifty-one Powerful Lightpoints” from Chinese into Korean. The novel is about a friend of the author, also known as the main character of this novel who named Xiao Haohao, he thought that he is the successor of Steve Jobs, so he devoted himself into the mobile phone industry with disregard of the author’s tackle, and finally he proves himself with his hard-working. 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of the author and the works and the plots and characters. In the second part, the “Fifty-one Powerful Lightpoints” was translated from A language (Chinese) into B language (Korean). The third part is the conclusion of the work, including the overall evaluation of this translation.

      • 조선시대 양반가의 주거문화 연구 : 풍수문화를 중심으로

        전우 서경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15

        Abstract A Study on the Residental Culture of Yangban Family Houses in Joseon Dynasty -Focused on Culture of Feng-Shui- Jeon, Woo Jae Dept. of Culture and Art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location of yangban family houses where our ancestors resided, by using the principle of Feng Shui. Our dwellings were not merely utilized as spaces for survival. It was a residential cultural space of Gippsungchon with strong local self-government characteristics that led the society at the time. The people of the past did not build any ‘time’ when they built a house, but they recognized it as an organic correlation and wanted to be assimilated with nature as a Feng Shui principle. Here, 'time' is submit to Cheonmyeong(Heaven´s will) following the order of heaven, and the place and the structure refer to geography. It is the unity and concord that tries to match in it. Feng Shui thought is divided into Yangtaek and Eumtaek. Yangtaek is a residence of living people and is forming houses and villages. As the grave of a dead person, it is selected through Identical-Qi Sympathy Theory that affects the offspring of the dead person. 'The best meaning of 'Taekri is to avoid the world, and then to evacuate the land which is not good,' which would have been most mindful of the position of yangban family houses.  In this study, the house which is the subject of study was chosen as the folklore data, which have been passed down for more than two generations among yangban family houses. In addition, it included not only moonban(civil officials) and muban(military officials). The scope is divided into three areas: Chungcheong area where the Yangban houses are well preserved, Seongyojang in the Kangwon area where the typical traditional houses are preserved in full, and Ojukheon which is Ulgok Yi I's birthplace.   This study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existing and current status of the selected houses through several field trips and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and with dwellers. As a result, it found the appearance and the difference of the old houses when it was first constructed due to the chan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ather than the changes. This research method is to minimize the error of modern interpretation by recognizing the phenomenon that has changed over generations from the first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ocation environment and current status of old houses and the meaning of Feng Shui. This study included the areas where the traditional houses are located, and Ga-Shin Belief in houses. In the traditional houses of Yangban families, various religious bodies centered on shrines coexisted together and kept their families and symbolism. Nevertheless, the existing studied examined the houses of sadaebu(the literati) and Yangban families, while excluding Ga-Shin belief unilaterally coexisting in the structure of houses. Gippsungchon and clan community villages centered on Yangban houses were utilized as a means of utilizing labor in a labor-intensive agricultural country as well as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The Gippsungchon culture has developed into a unique Dureae culture of Korean people, and it can be seen that a Yangban family is a member of a village coexisting together, not merely a Western lord dominating the reg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any Yangban family houses, including the birthplace of Admiral Uh Jae-hyun's is a low chimney around the yard. This is to expel diseases and insect pests through smoke and to consider the poor neighbors not to show them that they were making food.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this study aims to Ⅱ) summarize the residential culture of Yangban family in Joseon Dynasty, Ⅲ) look into the origin and tradition of Korean Feng Shui, Ⅳ) analyze the traditional houses in terms of Feng Shui culture, andⅤ) based on this, to presen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raditional Yangban houses. 한글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우리 선조들이 거주하던 양반가의 주거 입지를 풍수지리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우리의 주거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공간으로만 활용되지 않았다. 당시 사회를 이끌어온 지방 자치적 성격이 강한 집성촌 성격의 주거 문화적 공간이었다. 옛사람들은 집을 지을 때 아무 ‘때’나 짓지 않았고 하나의 유기적인 상관관계로 인식하여 풍수 원리로 자연과 동화되기를 원했다. 여기서 ‘때’라는 것은 하늘의 명을 따르는 천명(天命)이며, 장소와 구조는 지리(地理)를 말한다. 그 안에 어울리려는 것이 인화와 단결이다. 풍수사상은 양택과 음택으로 구분된다. 양택은 살아있는 사람의 집터로 가옥과 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음택은 죽은 사람의 유택으로 후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동기감응(同氣感應) 의식을 통해 선정된다. ‘택리(擇里)의 가장 좋은 뜻은 세상을 피함이며 그 다음으로 좋지 않은 땅에서 피난하는 것’으로, 양반가의 위치 선정에 가장 염두에 두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이 되는 가옥은 양반가 가옥 가운데 2대 이상 내려온 민속자료로서 가치와 함께 현존하는 고택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문반뿐 아니라 무반의 가옥도 포함하였다. 그 범위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양반 가옥이 잘 보존되어있는 충청권, 대표적인 전통가옥의 모습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강원권의 선교장과 율곡 이이의 태어난 오죽헌 등 3개 권역을 나누었다. 선정된 가옥들은 여러 차례의 현장답사 및 현지 주민들과의 면담 그리고 거주자와의 면담을 통해 기존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는 처음 터를 잡은 사람으로부터 세대를 넘어 변질된 현상을 초기의 모습으로 인식하여 현대적 해석을 하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고택의 입지 환경, 현황, 풍수의 의의를 살피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도출해내는데 목적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전통 가옥이 위치한 지역과 가옥 내 가신신앙을 포함하였다. 양반가 전통 가옥에서는 사당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교적 실체가 함께 공존하면서 집안을 지켜왔으며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양반가, 사대부 가옥을 연구하면서 일방적으로 가옥의 구조 안에 공존해 온 가신신앙을 배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실체를 도외시한 채 일방의 현상만을 분석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양반 가옥을 중심으로 하는 집성촌, 씨족 공동체 마을은 성리학의 이념과 함께 노동집약적 농업 국가에서 노동의 활용 수단이었다. 집성촌 문화는 우리민족의 고유한 두래 문화로 발전하였으며, 양반가는 단순히 지역을 지배하는 서양의 영주 개념이 아니라 함께 공존하는 마을의 일원이었다. 어재현 장군의 생가를 비롯한 다수의 양반가의 특징 중에 하나는 굴뚝을 마당을 중심으로 낮게 설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연기를 통해 병해충을 쫓아내는 목적 뿐 아니라 주변의 가난한 이웃들에게 음식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한 배려였다. 전통 가옥은 선조들의 숨결이 스며있는, 살아 있는 삶과 역사의 현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전통 가옥들을 양택 풍수의 대표적 이론인 형세(形勢)⦁이기(理氣)⦁비보론(裨補論)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사례 전통가옥 연구에 ‘형세론(形勢論)’을 적용하였다. 형세론은 간룡(看龍), 장풍(藏風), 득수(得水), 정혈(定穴) 등의 이론을 기준으로 지세와 형세를 분석했다. 또한 전통 가옥 ‘터’에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비보(裨補)가 있었는지도 살펴보았다.

      • DNAPL 오염지역에서 양수처리시스템 운영에 따른 지하수 오염물질 농도변화 연구

        전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DNAPL 오염지역에서의 오염운 확산 억제 및 오염지하수 정화를 위해 양수처리시스템을 운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수처리시스템 운영에 따른 지하수위와 오염 지하수내 TCE, CF, CT 농도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지하수 흐름 방향은 지대가 높은 남동쪽의 (구)아스팔트연구소(주오염원)로부터 지대가 낮은 북서쪽 방향이다. 주오염원으로부터 내려오는 TCE, CF, CT의 농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KDMW7 관정을 설치하였다. KDPW7과 KDPW8 관정은 양수정으로 주오염원으로부터 내려오는 TCE, CF, CT의 확산 억제 및 정화를 위해 설치하였다. 또한 KDMW8, KDMW9, KDMW10, SKW2 관정은 관측정으로 KDPW7과 KDPW8에서 양수시 주변 지역 TCE, CF, CT의 농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2011년 7월 6일부터 12월 2일까지 총 3차례에 걸쳐 양수처리시스템을 운영하였다. KDPW7과 KDPW8 관정에서 연속양수 방법으로 동시에 양수 하였으며 일정시간 간격으로 지하수위, 양수량 측정 및 지하수 시료 채취를 하였다. 양수정 및 주변 관측정의 지하수위와 TCE, CF, CT 농도 변화에 대해 우기인 1차(7월 6일부터 8월 6일)와 건기인 2차(8월 22일부터 9월 6일), 3차(9월 19일부터 12월 2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지하수위와 TCE, CF, CT의 농도는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이며 우기에는 음의 상관성을, 건기에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TCE, CF, CT의 농도변화는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첫 번째 유형은 지하수위 하강과 오염원의 농도 상승, 최고점 도달 후 감소하는 경향이다. 두 번째 유형은 지하수위 하강과 함께 오염원의 농도도 감소하지만 최저점에 도달 후 상승하는 경향이다. 세 번째 유형은 계절적 영향에 의한 지하수위와 오염원의 변동 경향이다. 네 번째 유형은 강우에 의한 오염원의 희석으로 점차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다. 또한 전체 양수처리시스템 운영기간인 91일 동안 오염물질 제거량은 KDPW7에서 TCE, CF, CT가 각각 529.9, 69.4, 96.5 g, KDPW8에서 각각 1913.4, 128.6, 360.4 g 제거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remediation for TCE, CF and CT in groundwater contaminated by DNAPL using pump-and-treat method. The Woosan industrial complex is in Wonju city, located about 120 km east of Seoul, Korea. Two pumping wells (KDPW7 and KDPW8) and five monitoring wells (KDMW7, KDMW8, KDMW9, KDMW10 and SKW2) were installed the site. An asphalt laboratory is a main source of the extensive subsurface contamination at this site.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the TCE, CF and CT in groundwater in the study area, three rounds of pilot pump-and-treat operating were performed (6 July to 6 August, 22 August to 6 September and 19 September 2011 to 2 December). The groundwater levels and the TCE, CF and CT concentrations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s in the wet season but the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dry season, which may mean that the TCE concentrations were mainly controlled by dilution by rainfall in the wet season and were mostly influenced by residual TCE, CF and CT in the unsaturated zone in the dry season. Contaminants were removed each 529.5 g of TCE, 69.4 g of CF and 96.5 g of CT in KDPW7 and 1913.4 g of TCE, 128.6 g of CF and 360.4 g of CT in KDPW8 from the subsurface during the operation period of pump and treat system.

      • 김광균 시 연구

        전우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Along with Kim Gee-lim and Jeong Jee-young, a poet, Kim Kwang-gyun has been considered a representative modernist in the 1930s. His unique ability to represent visual images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the poems in Korea. In particular, He has been viewed a poet who opened a new age in poetic modernity by extending the range of image and using sensual expressions. he used superficially sensual words, but actually he want his readers to be emotional and feel affection by them. He visualized the wold of poems by describing the urban images as if we saw pictures and accomplishing a unique beauty of form. He presented clear images to his readers using new visual words which had not used in previous lyrics. The images in his poems were considered the outcomes from his inner wold, especially, the images of color and sound were central to the formation of his inner world.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the motif of death used through his work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of his life in terms of his psychology as a poet. In chapter II, his career and the source for his poetic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e aesthetical aspects of color, sound, and death in chapters III and IV were representative of his psychological outcomes in his earlier career. In chapter III, the sensual expressions which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his inner things were viewed his unique poetic characteristic, and they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manifestation in his poems. Color images visualized his poems. Most frequently used images of white, red, and blue were pursued in terms of their meanings in the poems in relation to his inner world. White colour represented a poetic space corresponding to his inner world. The white colour space he consciously made was representative of a state of melancholy he felt and it contained the memories while he was younger and his thoughts of home. He represented it through visualization. Red colour visualized his poetic self and dart inner wold and poetic reality, corresponding to disappearing and descending images. And, blue colour visualized a condition of his emotion. To represent the condition of his emotion, he decolorize the original colour of the thing which he employed for the image of the condition and replaced with it. So, the colour words in Kim Kwang-gyun's poems mostly were not used as the description for outer things in general but the representation of his inner feelings. Also, as for auditory images, the sounds of train whistle, bell sound, and worm sound were represented. Combined with auditory images, train whistles represented the depression of poetic self and the pain in life, bell sounds the personal loss as a survivor who left behind lonely, and worm sound the conflicting emotions of the one who was separated from the reality. In chapter IV, the formation and change of death consciousness between earlier poems and latter ones were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which he had in the deaths of his family members and friends of his constantly produced the motif of death. 〈cufunggyuwoo〉and 〈limjinhwa〉relatively written in the latter part of his life changed to a subdued tone of self-reflection from the strong and emotional one shown in the elegies. For him, death was a chai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s well as another type of life for his poems. Kim Gwang-gyun was a lyric poet and a imagist as well. His poetic characteristics realized an unique wold of aesthetics. Until then no formation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aesthetical deaths were found but in his poems. 시인 김광균은 김기림·정지용 등과 함께 1930년대의 대표적인 모더니스트로 평가받아왔다. 그는 시각적 이미지를 잘 구사하여 한국시의 현대화에 크게 기여한 시인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이미지의 영역을 확대하고 새로운 감각적 표현을 선보임으로써 시적 모더니티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광균은 형식적으로는 감각적 언어를 구사하였지만 내용상 감정·정서를 표현한 시인이다. 그의 내용상 표현을 ‘과장된 감정의 표현’으로 격하시키는 사람들도 있지만, 오히려 감정의 감각적 표현을 구현한 시인으로 보아야 한다. 그는 도시 이미지를 회화성으로 그려내는 세련된 형식미를 구현하여 시 세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전의 전통 서정시에서는 구사되지 않았던 새로운 시각적 시어를 사용하여 독자에게 선명한 이미지를 제시한 것이다. 김광균 시의 이미지는 내면의 산물이고, 특히 색채와 소리의 이미지는 그의 내면을 형상화 하는 핵심 요소이다. 따라서 색채와 소리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광균 시의 특질을 분석하고, 감각적 표현에 의해 형상화된 시의 외부 풍경과 내면 풍경이 가지는 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그의 전체 작품에서 주요 모티브로 작용하는 ‘죽음’을 전기 시와 후기 시로 나누어 작가의 심층심리와 연결하여 시세계를 해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김광균 시의 특질을 밝히고, 작품에 나타나는 미학적 양상을 드러내는 작업이 될 것이다. 연구자는 제 Ⅱ장에서 김광균의 생애를 살펴보고 시작활동의 원천을 밝혔다. 시인의 전기적 생애는 작품형성의 과정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지대한 영향력을 미친다. Ⅲ·Ⅳ장에서 다룬 색채와 소리, 죽음의 미학은 김광균의 전기적 생애에서 나온 그의 정신적 소산물이기 때문이다. 김광균의 독특한 시적 특질을 색채 이미지와 소리 이미지로 분석한 것이 Ⅲ장이다. 내면의 형상화에 기여한 감각적 표현을 김광균의 독특한 시적 특질로 보고, 그의 시에서 표출되어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색채와 소리의 감각적 이미지에 수반되는 감상성이 독특한 기능 을 수행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색채 이미지는 김광균의 시를 시각화한다. 빈도수가 가장 많은 백색, 적색, 청색의 이미지를 김광균의 내면세계와 연결하여, 시적 풍경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를 찾아보았다. 백색은 시인의 내면세계와 조응하여 하나의 시적 공간을 연출하였다. 그가 인위적으로 만든 백색 공간은 유년의 기억과 상실한 고향에 대한 향수를 시각화한 우울한 풍경이었다. 적색은 소멸과 하강의 이미지와 결합하여 시적 자아의 어두운 내면과 시적 현실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청색은 사물의 원관념을 탈색시켜 색에 의한 감정의 전이를 시각화하였다. 따라서 김광균 시에 등장하는 색채어는 대부분 사물을 정확히 묘사하는 일상적인 시각 이미지가 아니라 시의 분위기 형성이나 시인의 주관적 감정을 형상화하는 시작의 한 방법이었다. 소리 이미지에서는 기적소리, 종소리, 벌레소리로 대표되는 청각 이미지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소리에 의한 청각 이미지는 시적 자아의 행위와 내면의 정서를 표출시킨다. 김광균의 시에서 기적소리는 시적 자아의 우울한 내면과 현재적 삶의 고달픔을, 종소리는 살아남은 자의 개인적 상실감을, 벌레소리는 소통되지 않는 현실에서 소외된 자의 갈등을 청각 이미지와 결합하여 극대화하고 있다. Ⅳ장의 죽음의 미학에서는 전기 시와 후기 시에 나타난 죽음 의식의 형상과 변모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기 시에서의 죽음 의식을 작가의 전기적 생애와 연결하여 죽음의 상흔이 시에서 어떻게 실현되어지는가를 분석하였다. 가족과 친구들의 죽음을 경험한 작가의 체험과 기억이 끊임없이 죽음의 모티프를 생산하고 있다. 후기 시『추풍귀우』와 『임진화』에서는 전기의 弔詩에서 보여준 직정적인 감정이 회상과 자아성찰의 차분한 어조로 변모하였다. 또한 죽음에 대한 깊이 있는 명상과 사유로 자연의 순리를 깨달아가는 관념의 세계를 어떻게 전경화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그에게 있어 죽음은 과거와 현재의 연결고리이며 시세계를 표출하는 삶의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김광균은 이미지스트이자 낭만적 서정 시인이다. 그의 시적 특질은 여러 양상을 보이며 그만의 독특한 미학적 세계를 구현하고 있다. 감각적 표현의 내적 형상화와 죽음 의식에서 그려내는 미학은 그의 시세계에서만 발견되는 자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