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스페인 환상문학의 전개와 발달 : 사회,문화적 배경과 「루이사 Luisa」, 「장신 여인 La mujer alta」의 비교 분석

        전용갑 ( Yong Gab Jeon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09 지중해지역연구 Vol.11 No.4

        En el presente estudio, se analiza exhaustivamente el proceso de desarrollo de la literatura fantastica espanola del siglo XIX a traves del contexto sociocultural de aquel periodo y de la comparacion entre dos cuentos fanta sticos: "Luisa"(1837), de Eugenio de Ochoa y "La mujer alta"(1882), de Pedro Antonio de Alarcon Como es sabido, en Espana, la literatura fantastica empezo a florecer en los anos 30s del siglo XIX, un poco mas tarde que otros paises europeos como Francia, Inglaterra y Alemania donde se habia cultivado este genero a partir de finales del siglo XVIII. Ademas, dicha corriente era considerado a veces como una ``subliteratura`` la cual contaba con una calidad estetica menor. Dicho retardo y la mencionada evaluacion fueron originados, parcialmente, debido a que el romanticismo, considerado cuna de la literatura fantastica, fue incorporandose lentamente en Espana a causa de la situacion politica del pais y a que tambien existian varios obstaculos socioculturales que frenaban el desarrollo de esta literatura: la larga tradicion realista de la literatura espanola, la reaccion contraria a la avalancha de traducciones y la preocupacion por la creacion de una literatura nacional, la erronea comprension del concepto de lo fantastico, etc. Sin embargo, literatura fantastica espanola no dejo de desarrollar incesante y progresivamente a lo largo del siglo XIX gracias a la expansion del mercado editorial y a la activa participacion de algunos de los autores mas destacados de la epoca. Se ha podido comprobar este proceso de desarrollo a traves de la comparacion aqui tratada entre "Luisa" y "La mujer alta". En la primera aparecen los elementos narrativos de lo fantastico ``visible`` y una fuerte influencia del exterior; mientras que en la segunda, dominan los elementos de lo fantastico ``invisible`` y la acogida creativa de algunos maestros del genero fantastico como Hoffmann y Poe.

      • KCI등재

        서구 ‘환상성’이론에서 본 나도향의 「꿈」 - 장르의 구성요건을 중심으로 -

        전용갑 ( Jeon¸ Yong Gab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2 No.-

        환상이란 용어는 흔히 ‘실재’의 반의어로 이해된다. 그러나 실재하지 않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환상문학의 논의에서 ‘환상’의 개념은 존재의 개연성 자체가 배제되는 ‘비존재’의 개념, 즉 ‘초자연’의 요소로 이해하여야 한다. 하지만 ‘초자연적 요소’가 현존한다고 해서 모두가 ‘환상’인 것은 아니다. 초자연적 요소는 동서고금의 모든 문학에 두루 편재하는 문학의 역사 그 자체라고 보아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근대문학장르로서의 환상문학은 ‘현실’의 자장 내에서 발생하는 초자연적 사건에 한해 ‘환상’의 자격을 부여한다. 이는 이 문학이 ‘이성중심주의에 대한 회의’라는 인식론적 세계관을 함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8세기 후반 낭만주의를 시대적 배경으로 탄생한 환상문학 장르는 비슷한 시기 모습을 보인 추리소설과 마찬가지로 “완성된 형태로 태어났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르의 성립 조건을 크게 ‘존재의 개념(즉, 비존재)과 연관된 초자연적 요소의 현존’, ‘사실주의적 경향’, ‘비극적 결말과 세계관’의 세 가지 필수적 요소와 ‘문화적 상대성’, ‘신환상성과의 관계’ 등 두 가지 부가적 요소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장르 성립을 충족하는 국문학의 사례로 20세기 초 나도향의 「꿈」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건조한 장르적 개념을 거푸집 삼아 이루어졌으며 작품의 미학적 가치는 고려의 대상에서 배제하였다. 나도향의 「꿈」은 근, 현대 한국문학에서 서구의 환상문학이론에 가장 잘 부합하는 대표적인 사례 중의 하나라고 판단된다. 이는 사회 현실을 인간 내면의 원초적 감성으로 그려내고자 했던 작가의 전반적인 문학적 성향을 고려할 때 우연이 아닐 것이다. 그에게 현실은, 환상문학과 마찬가지로 수용하기 어려운 의문과 이해 불가의 대상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In order to address ‘fantastic literature’, it is essential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genre, since the meanings involved in the term of ‘fantasy’ are too varied and broad,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literary tradition -which deals with ‘fantasy’- is very olden. In particular, if fantasy literature is considered as a product of Romanticism, which was born with a specific worldview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an epistemological reaction against Western ‘logocentrism’ -it is necessary to delimit it from other neighboring genres such as myths, medieval tales, fairy tales, magic realism and ‘lo real maravilloso americano(The Marvelous Real in America)’, among others. Doubtlessly, the effects of ‘the fantastic’, which are mechanisms of emotional and epistemological reactions caused by supernatural phenomena, can be relative according to the historical-cultural context of each society. No matter how different cultures are, the concept of ‘reality’ always prevails; likewise, the common purpose of ‘the fantastic’ genre is to pose an essential question about that idea of ‘reality’. In this sense, works of fantastic literature from different cultures can be analyzed with an identical methodology. In this research, after examining the constituent elements defined in the fantastic Western theory, “The dream” -tale written by Ra Do-Hyang (Korea, 1902-1926) - shall be analyzed. The abovementioned literary work is very remarkable from the ‘fantastic genre perspective’, as it satisfies most of the basic prerequisites of the ‘fantastic’ theoretical framework. Likewise, in this academic article, biographical elements and aesthetic aspects of the text shall be excluded, which are generally considered in the study related to the author. Thus, just the main rules required by fantastic literature shall be used to compare consistency between text and genre.

      • KCI등재
      • KCI등재

        하이메 알라스라키의 신환상성 이론과 한국문학- 장정일의 「펠리컨」과 오수연의 「벌레」 분석

        전용갑 ( Yong Gab Jeon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4

        환상문학의 가장 본질적인 특징으로 여겨지던 ‘공포’의 요소는 신환상성문학에서 보이지 않는다. 이는 기존의 환상문학이 현실을 이성의 견고한 축조물로 보고 자연/ 초자연적 질서의 충돌에 의해 그와 같은 실증주의적 현실관을 전복하려 했던 데 반해, 신환상성문학에서는 현실이란 무엇인지 알 수 없거나 혹은 하나의 절대적인 현실법칙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불가지적, 다원적 세계관을 함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환상성문학에서는 자연/ 초자연적 질서의 충돌이 아니라 ‘공존’이 전제되는데 이는 현실세계에서 자연/ 초자연을 가르는 이분법적 구도 자체가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특성만으로는 신환상성문학을 정의할 수 없다. 마술적 사실주의나 아메리카의 경이로운 현실과 같은 인접장르들도 마찬가지 전제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환상성문학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이 문학의 서사적 특성과 궁극적인 인식론적 세계관을 보다 정교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신환상성이론을 정립한 하이메 알라스라키는 장르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메타포’를 꼽는다. 하지만 신환상성의 메타포는 유와 종과 같은 세계에 대한 이성적 분류를 전제한 아리스토텔레스적 메타포가 아닌 ‘모호함’과 ‘정의할 수 없음’ 그 자체를 하나의 정의로 보는 니체적 메타포이다. 이에 근거하여 알라스라키는 신환상성문학에는 전통적인 환상문학에서 보이던 3가지 요소, 즉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설명의 노력’과 ‘초자연적 현상의 의미’, 그리고 ‘공포의 요소’가 부재하다고 말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알라스라키의 신환상성이론에 입각하여 두 편의 한국문학작품 - 장정일의 『펠리컨』과 오수연의 『벌레』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 두 편의 작품이 외형적으로 신환상성의 일부 구성요건들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장르가 지향하는 인식론적 지향점과는 거리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펠리컨’이나 ‘벌레’가 의미하는 메타포가 ‘모호하거나 정의할 수 없는’것이 아니라 기존의 이분법적, 이성중심적 세계관에 기저하여 의미의 전이를 추구한 아리스토텔레스적 메타포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The effect of ``fear``, which was considered as the most intrinsic element in the fantastic literature, no longer appears in the so-called ``neo-fantastic``. The traditional fantastic literature perceives reality, in which we live, as a consolidated net constructed by the logocentrism and tries to subvert the positivist view of the world by the sudden irruption of the supernatural order in this real world. On the other hand, the neo-fantastic is based on an agnostic or pluralistic world-view and postulates the impossibility of any transgression: if we do not know what reality is, how can we transgress it? For this reason, in the neo-fantastic, the ``non-problematic coexistence`` between the two orders - the natural and the supernatural - is a prerequisit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enre. However, the neo-fantastic cannot be defined only with this condition, because other similar genres as ``the magic realism`` and ``the American marvelous reality`` also start with the same base. To define this new concept of the fantastic of the 20th century,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and the epistemological view of the genre have to be thoroughly and deeply analyzed. Jaime Alazraki, literary critic who has established a theory of the neo-fantastic, insists that the metaphor is a fundamental element to understand this genre. Nevertheless, the metaphor as structure of the neo-fantastic does not correspond to the Aristotelian definition which is based on a rational division of the world but with the Nietzschean notion of metaphor in which he considers the essence of things as something enigmatic. For Nietzsche, the ``ambiguity`` is a way of definition, a way of understanding the world more deeply. On the other hand, Alazraki indicates that in the neo-fantastic do not appear three fundamental aspects that characterized the traditional fantastic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its obvious meaning and the terrifying component. Thus, based on the theory of Alazraki, throughout this research two Korean tales are deeply analyzed: "The Pelican", by Chang, Jung-il and "The insect", by Oh, Soo-yeon: drawing the conclusion that these works cannot be classified in the category of the neo-fantastic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se texts have some narrative elements of the genre. The metaphors used in these two works do not correspond to the Nietzsche``s concept but with the Aristotelian definition.

      • KCI등재후보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피에르 메나르, 돈키호테의 저자」에 나타난 문학적 모방의 문제

        전용갑 ( Yong Gab Jeon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07 世界文學比較硏究 Vol.20 No.-

        보르헤스의 「피에르 메나르, 돈키호테의 저자」는 흔히 상호텍스트성이나 패러디, 패스티쉬 등 포스트모더니즘과 후기구조주의의 글쓰기 기법에 미학적 정당성을 부여해 준 대표적인 전거 중 하나로 인식되어왔다. 17세기 스페인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완벽하게 전사한 20세기 초반 가공의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인 피에르 메나르의 「돈키호테」를 새로울뿐더러 원전보다 더 창조적이고 뛰어난 작품이라고 주장하는 역설의 배경에는 동일한 기표라도 시, 공간적 컨텍스트에 따른 차별적 기의에 의해 얼마든지 그 의미가 다양해 질 수 있다는 문학적 견해가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소위 "고갈의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글쓰기 기법으로서 20세기 중반 이후 현대 작가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쳐왔던 것이다. 그러나 보르헤스가 이 짧은 단편을 통해 언급하고자 했던 것은 실제적인 서사 기법으로서의 모방이 아닌 독서의 유희나 독서기법의 다양성이라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는 텍스트에 암시되어지는 메나르의 발레리에 대한 독설과 그가 새로운 돈키호테를 "쓰기 위해" 파기해 버린 수많은 원고, 그리고 화자에 의해 언급되는 그의 작업의 최종적 의의에 의해 암시된다. 또한 이 세상을 도서관과 미로와 같이 카오스로 보았지만 인간을 그 혼돈에서 벗어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존재로 규정한 보르헤스의 세계관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즉 이 세상에 새로운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작가들은 팔림세 스트의 미로에 갇혀있지만 작가들은 창조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그만둘 수 없는 존재인 것이다. 결국 보르헤스가 궁극적으로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모방을 통한 글쓰기 기법의 제시가 아니라 글쓰기의 정신일 것이다.

      • KCI등재

        서구 환상문학의 이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환상문학 : 신경숙의 「마당에 관한 짧은 얘기」는 환상문학인가?

        전용갑 ( Yong Gab Jeon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4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8 No.-

        근대문학장르로서의 환상문학은 일반적으로 서구 이성중심주의에 대한 낭만주의적 반동의 소산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근대적 의미의 환상성은 경이문학과는 달리 단순히 초자연적 존재나 현상의 외연화를 의미하지 않으며, 초자연적 요소가 반드시 ‘현실세계 내’에서 발생해야 한다는 ‘사실주의적 성향’을 장르성립의 우선적인 전제요건으로 삼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조건만으로 이 문학의 독자성을 추출하기는 힘들다. 마술적 사실주의나 기독교적 경이문학, 신환상성 등 인접장르들 역시 형식적으로는 현실세계에 초자연성이 매개되는 유사한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상문학에 대한 보다 본질적인 정의는 이 문학의 인식론적 특성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즉, 이 문학을 규정하는 유명한 정의들인 독자의 ‘공포’나 ‘망설임’은 환상문학이 자연/ 초자연적 질서의 갈등과 충돌을 통해 현실을 이성과 논리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다는 세계관을 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환상문학은 코스모스(평온한 현실세계)에서 카오스(초자연적 존재의 개입으로 인한 공포나 망설임)로 이행하는 서사구조를 보이며 주인공 역시 자신을 둘러싼 사회로부터 단절, 소외되는 ‘비극적인 속성’을 띠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서구 환상문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신경숙의 「마당에 관한 짧은 얘기」를 분석하였다. 90년대 국내의 대표적인 환상문학 단편들을 모은 『환상소설첩-동시대편』에 수록된 이 작품은 평범한 주인공, 사실적 배경, 1인칭 시점 등 장르의 ‘사실주의적 성향’을 충족하고 있으나 인식론적 세계관에서는 기존 이론에 부합하지 않는다. 어린 시절 죽은 여동생의 귀환이 자매간에 오랫동안 놓여있던 업(業)과 한(恨)을 해소함은 물론, 실연으로 괴로워하던 언니가 사회와 화해하게 되는 순기능적 매개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상성의 기준이 사회·역사적인 고유성에 따라 달라지는 가변적인 개념임을 인지한다면 이 작품의 환상문학적 속성에 대한 판단은 최종적으로 국내 독자들의 몫일 것이다. 이 논문의 궁극적인 취지는 이제까지 국내 환상문학을 20세기 후반의 반(反) 사실주의적 시류나 혹은 일시적인 문화적 유행으로 간주했던 기존의 인식을 재고하고 서사구성요소에 대한 내재적 분석을 통해 장르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관심을 환기시키는 데에 있다. The fantastic literature, as a literary genre, has its own features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neighboring genres such as the marvelous literature or science-fiction. First, it is a ``product of occidental Romanticism`` of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although the supernatural elements were very traditional narrative materials. Second, it is one of the artistic movements of the cognitive current of the ``anti-logocentrism`` which postulates that the reason, due to their limitations, is not the only tool available to man for capturing reality, but intuition and imagination are other valid ways to do it. Finally, it is a literature of the ``realistic trend`` in which the very plausible narrative elements(space, time, character, narrator, style ... etc..) dominate generating typical effects of the fantastic as ``unknown fear`` and ``hesitation of the reader``. Given this theoretical framework, a Korean fantastic tale(Shin Kyung-sook`s 〈a short story about the yard〉) has been analyzed and some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rom the study. First, the work of the abovementioned Korean writer is based on the realistic principle and therefore satisfies the first condition for the constitution of the fantastic genre, which is an interruption of a supernatural phenomenon in a real and everyday world. Nevertheless, on the other hand, it cannat be considered the vision of the world of the Korean text like the fantastic genre, due to the fact that in the mentioned text the world invaded by supernatural forces get conciliation between the characters (the protagonist and the supernatural power) and between the protagonist and the surrounded world. However, considering the fantastic as a relative concept that varies according to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each time and place, it has to be respected the own nature of the Korean fantasti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화,문학 : 스페인 이민자 사회 내 한인 공동체의 위상과 현황

        전용갑 ( Yong Gab Jeon ),황수현 ( Soo Hyun Hwa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2 비교문화연구 Vol.29 No.-

        Nowadays migrations between the countries are getting each day more active and a mixture of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trengthens the hybridism, whereupon the point of view on the migration of Koreans has been changed from a diasporan perspective to an transnational one. The expansion of the transnationalism affects the identity of the subsequent generations of the immigration giving way to a psychologically deterritorialized social identity, which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study of subsequent generations of the immigr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immigration history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community in Spain since the 1960s. The early immigrants like fishing vessel crew members, instructors of Taekwondo, chicken sexers who, despite the limits of foreigners in Spain, went to find out the source of life with no hesitation, overcame the difficulties of the early settlers and finally managed to achieve local success. Current history of immigration that began in the mid-1960s went through the maturity during the 1970s and 80s and the Koreans in Spain these days, who have undergone differentiation in the occupational structure because of the crisis of pelagic fisheries, face new challenges du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country they reside. The Korean community is regarded as an ``exemplary minority group (Model Minority)`` even though it is a minority group in number. Now that the interest for overseas Koreans is higher than ever at home and abroad, due to the economic growth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spread of its cultural influence -the Korean Wave as proof-, and the overseas Koreans suffrage conducted, the research of the Korean residents in Spain will be important as an advanced research of an unexplored field, as well as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horizons of the existing study area that has mainly dealt with major regions only.

      • KCI등재

        아르헨티나 국가형성기 지적담론 연구

        전용갑(Jeon, Yong-Gab)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1

        19세기 중반 아르헨티나는 대부분의 라틴아메리카 신생 독립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외우내환에 시달리고 있었다. 하지만 난세에 영웅이 난다.’ 라는 말을 입증이나 하듯 이 시기에 아르헨티나 역사상 그 어느 때 보다도 뛰어난 인물들이 대거 출현했다. 에스떼반 에체베리아, 후안 마리아 구띠에레스, 후안 바우띠스따 알베르디, 도밍고 파우스띠노 사르미엔또 등 5월 혁명’을 전후해 태어난 새로운 주역들이 이 나라 역사의 전면에 등장했다. 이들은 대부분 당시 중남미에 막 유입되었던 유럽 낭만주의의 세례를 받은 ‘작가’ 이자 프랑스와 영국의 근대사상에 심취한 ‘사상가’ 였으며, 무엇보다도 정치사회적 혼란을 극복하고 신생독립국의 백년대계를 도모하고자 현실에 뛰어들었던 ‘행동가’ 들이었다. 소위 ‘37세대’라 불리는 이들은 평생 아르헨티나의 국가적 제도화와 정체성 모색에 치열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 결과 시대와 국경을 넘어 라틴아메리카의 사상과 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본 연구는 37세대의 핵심 인물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세대적 특성을 분석하고, 주요 저작에 제시된 정치사회적 주장들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그동안 동질적인 집단으로 인식되어 온 37세대가 실은 내적으로 상이한 현실인식은 물론 상반된 주장으로 점철되었던 이질적인 성격의 지식인들이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19세기 중반의 아르헨티나를 ‘로사스’ 나 ‘파꾼도’, 혹은 ‘문명과 야만’ 과 같은 몇몇 상징적인 키워드로 일괄해서 이해하려는 기존의 일반적인 인식이 재고(再考)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37세대 주역들이 남긴 1차 문헌 중심의 실증적인 접근이라는 점에 또 다른 의미가 있다. 37세대 인물들의 명성과 중남미 지성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국내학계에서는『파꾼도』와 같은 대표적인 고전 이외에 그들의 육성이 직접 전해진 바가 극히 드물었다. 본 연구에 언급된 문헌 목록들은 후속 연구를 위한 작은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mid-19th century and like other newly independent countries among Latin America, Argentina and individual other countries experienced numerous politico-social problems and suffered from lacks of leadership, or intellectual thoughts for building a new independent state. At that time, however, for Argentina, it is witnessed some of the most distinguished intellectual figures in her history, such as Esteban Echeverría, Juan Bautista Alberdi, Domingo Faustino Sarmiento, Juan María Gutiérrez, Bartolomé Mitre, Vicente Fidel López, Miguel Cané, among others. Most of those intellectuals were the greatest authors inspired by European romanticism and great thinkers influenced by modern philosophy. Above all, they were also in the forefront of socio-political reforms via taking a active part in reality to overcome many socio-political crises at that time. They are usually called the“Generation of 37”and many experts assessed that those intellectuals devoted their own life to devising the state organization and building for new identity of Argentine homeland.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article tried to analyze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is intellectual group, focused attention on some notable members in the "Generation of 37", such as Echeverría, Alberdi, Sarmiento and Gutiérrez. As analyzing method, this article compared the real differences of socio-political ideologies among them identified in their main works. This article will help to understand the early state-building process in Argentina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