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이크로소프트의 네트워크 등장과 한국의 PC통신시장 위협적인 가능성의 점진적 가시화, 관련업계 체질강화 기회

        전영권,Jeon, Yeong-Gwon 한국정보통신집흥협회 1995 정보화사회 Vol.95 No.-

        세계 PC OS시장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네트워크 전략이 '윈도95'발표를 기점으로 우리에게도 피부로 전해지고 있다. 지난해 MSN비지니스에 착수, 올들어 윈도 95발표로 이어지는 일련의 전략은 우리를 이미 그 영향권내에 들여놓고 있다. MSN네트워크 전략과 우리에게 미칠 영향, 그에 따른 업계의 움직임은 어떤가.

      • KCI등재

        교가(校歌)에 나타난 대구의 지형관 -대구 초,중등학교를 사례로-

        전영권 ( Young Gweon Jeon )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4

        대구지역 초·중등학교(328개교) 교가에 등장하는 자연지명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설립년도가 오래 된 학교 교가에 많이 등장하는 자연지명은 팔공산, 금호강, 낙동강, 비슬산 등 대구를 대표하는 전통적인 자연지명과 달구벌, 태백산, 서라벌 등과 같은 대구의 정체성과 관련한 자연지명이다. 2. 교가 노랫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자연지명은 초등학교의 경우 팔공산, 금호강, 낙동강, 비슬산 순이었고, 중등학교의 경우는 팔공산, 낙동강, 금호강, 비슬산 순이다. 3. 서라벌, 태백산 지명이 비교적 많아 대구지역과 신라와의 관계, 풍수적 관점에서의 팔공산과 태백산 간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다. 4. 신개발지인 수성구, 달서구 일대에 분포하는 학교 교가에서는 전통적인 자연지명(대구지역 정체성과 관련한 자연지명 포함) 외에도 주변 자연지명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5. 달성군 내 학교의 교가에는 대구 대표적인 자연지명인 팔공산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즉, 달성군 지역민들은 팔공산 보다는 비슬산을 중심 산으로 인식하고 있다. 6. 대구 중심하천에 해당하는 신천의 경우 교가 노랫말에 거의 등장하지 않고 있어 특이하다. 7. 본 연구에서 파악된 자연지명은 대구지역의 중심생태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을뿐더러 각종 개발계획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생태공간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ha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investigating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appeared on the school songs of the primary·second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1)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appeared many on the school songs in the old-established schools are the traditional physical geographical names such as The Mt. Palgong, The Geumho river, The Nakdong river, The Mt. Biseul and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related to the identity of Daegu such as Dalgubeol, The Mt. Taebaek, Seorabeol and so forth. 2)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appeared many on the school songs in the primary schools are The Mt. Palgong, The Geumho river, The Nakdong river, and The Mt. Biseul in order, while those appeared many on the school songs in the secondary schools are The Mt. Palgong, The Geumho river, The Nakdong river, and The Mt. Biseul in order. 3) Since The Mt. Taebaek and Seorabeol relatively often appear in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we can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Daegu and Silla Dynasty, and that between The Mt. Palgong and The Mt. Taebaek from the viewpoint of feng shui. 4) In case of the school songs in the schools distributed around the area of Suseong-Gu and DalSeo-Gu which are newly developed,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within the two area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physical geographical names(including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related to the identity of Daegu) appeared many on the school songs. 5) The Mt. Palgong,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hysical geographical name of Daegu, almost did not appear on the school songs of the schools within the Dalseong-Gun. In other words, the residents in the Dalseong-Gun have recognized the mountain based on The Mt. Biseul rather than The Mt. Palgong. 6) It is special that The Sincheon amounting to the central stream in Daegu almost did not appear on the school songs. 7) It is concluded that the physical geographical names found in this paper can be not only set as main ecological space in Daegu area but also considered in top priority as ecological space in the various plans of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의 하계 동결현상 분포지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전영권(Young Gweon Je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0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7 No.1

        한국에는 하계 동결현상이라는 특수기상이 나타나는 곳이 수 군데 존재한다. 특히 경남 밀양의 천황산 얼음골과 경북 의성 빙계계곡의 빙혈 그리고 경북 청송의 얼음골은 이러한 기상적 특성 때문에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하계 동결현상 3대 분포지로 볼 수 있는 상기의 지역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미기상학적·수문학적 연구를 참고하여 지형학적·지질학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다음의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하계 동결현상 분포지에서 볼 수 있는 지형 및 지질적 특성은 두터운 거력 퇴적물로 구성된 애추사면의 존재, 일사량이 적은 북향사면이거나 또는 비교적 깊은 곡벽으로 둘러 쌓여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적은 지역, 안산암 또는 유문암 등의 화산암질로 구성되는 거력 퇴적물의 특성 등이다. 둘째, 하계 동결현상을 야기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얼음굴은 공기의 유통이 자유로운 공간이 많이 존재하며, 일부 공간은 매우 넓어 동굴을 형성하며 부분적으로 지하수계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셋째, 하계 동결현상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얼음굴 내에 있는 지하수계의 부분적 동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의 가정이 요구된다. 하나는 외부로부터 얼음굴로 유입된 공기의 기화열에 의한 지하수계의 급랭이며, 또 다른 하나는 지난 겨울 동안 동결된 지하수계가 특수한 지형적 영향으로 동결상태가 장기간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명확한 원인은 얼음굴에 대한 시추작업을 통해서만이 가능할 것이다. There are a few interesting areas which show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three of them are especially important. They are located at Milyang(Gyungnam province), Uisung and Chungsong(Gyungbook province). They are named Eoleumgol(ice-valley) or Binghyul(ice-c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about the distribution areas of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in relation to previous works, which have been studied in hydrological or micro-climatological viewpoint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in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distribution areas of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① Thick debris accumulated slope within deep valley ② North facing slope ③ The component debris of volcanic rock such as andesite or rhyolite 2) The ice-cave as a system that give rise to freezing phenomenon in summer season is closely related to talus slope. The ice-cave has thick accumulated debris and lots of vacant spaces within the rock deposits, some of vacant spaces are very big and connected with underground water system. 3) A partly freezing within underground water system is required freezing phenomenon in summer season. Judging from this point of view, two ideas are suggested one is the evaporation theory, another is that the frozen condition in winter remains until late summer.

      • KCI등재

        대구 팔공산의 지형자원

        전영권 ( Young Gweon Jeon ) 한국지형학회 2011 한국지형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중요한 문화역사와 다양한 생태환경을 갖추고 있는 팔공산(주로 화강암 구역)을 대상으로 지형자원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사면(화강암)은 북사면(화강암과 변성퇴적암)에 비해 지질적 경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특히 단층선(남사면의 화강암 지대와 변성퇴적암 지대 사이)으로 인한 차별침식 결과 소규모 분지가 발달한다. 2) 국지적인 기후, 지형 및 지질적 차이로 인해 남사면보다 북사면의 계곡이 비교적 크게 발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3) 토르, 판상절리지형, 거터, 등은 남·북사면 모두에서 잘 발달한다. 그러나 다각형균열바위와 암괴류 등은 남사면상에서, 계곡 발달이 현저한 북사면상에서는 하식애, 소, 폭포 등의 지형발달이 상대적으로 우세하다. 4) 비교적 수려한 지형경관은 팔공산 남사면에 위치하는 동산계곡과 치산계곡에 주로 발달한다. 5) 팔공산지에 발달하는 지형자원 중에는 스토리텔링에 활용할만한 자원이 많아 활용을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se geomorphic resources of Mt. palgong(i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through some field surveys, and then to clarify geomorphic featur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geological boundary of the south slope(granite) is more clear than one of the north slope(granite bedrock and metamorphic sedimentary rock). Small basins are along with fault line between granite bedrock and metamorphic sedimentary rock. 2) It is estimated that relatively big valleys on the north slope are due to local climate, geomorphic and geological features. 3) Tor, sheeting joint, gutter are well developed both on the south slope and on the north slope, however the development of polygonal cracking and boulder stream are more dominant on the south slope; river cliff, pool, waterfall are more dominant on the north slope with valleys that well developed. 4) Scenic geomorphic landscapes are mainly developed in Dongsan valley and Chisan valley on the north slope. 5) There are many interesting geomorphic resources in the viewpoint of storytelling in Mt. Palgong. So the specific design to utilize such resources is required.

      • KCI등재

        "신 대구십경" 선정에 관한 연구

        전영권 ( Young Gweon Jeon ) 한국지형학회 2011 한국지형학회지 Vol.18 No.3

        ``신 대구십경`` 선정을 위해 대구지역 경관을 대표하는 56개 지역을 대상으로 대구지역 주민 390명(대구 외 지역주민 63명 포함)을 임의로 선정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 대구십경`` 선정에 있어 뚜렷한 지역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 ``신 대구십경``에 서거정의 ``대구십영`` 중 ``공령적설``과 ``북벽향림``이 포함되었다. 3) 대구지역 최고의 경관은 팔공산으로 나타났다. 4) ``신 대구십경`` 선정 시, 응답자들은 역사성을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응답하였으나, 선정된 ``신 대구십경``에서는 그러한 경향을 찾아 볼 수 없었다. 5) 선정된 ``신 대구십경`` 중 남·여 공히 선정한 대상지는 비슬산, 두류타워, 팔공산, 대구스타디움으로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이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다. 6) 대구 외 지역주민 역시 대구 지역주민과 마찬가지로 두류타워, 비슬산, 팔공산에 대한 선호도는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make a choice of ``the new ten beauty spots in Daegu city``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of 390 persons selected randoml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stinctive regional character in making a choice of ``the new ten beauty spots in Daegu city``. Second, ``Gong-Ryeong-jeok-Seol(公嶺積雪) and Buk-Byeok-Hyang-Rim(北壁香林)`` among ``Daegusibyeong(大丘十詠)`` written by geo-jeong Seo in the Chosun(朝鮮) dynasty are included into ``The new ten beauty spots in Daegu city`` Third, The most picturesque place is Mt. Palgong in Daegu city. Fourth, most people estimate a historical natur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aking a choice of ``The new ten beauty spots in Daegu city``, but it has not been found such tendency in the selected places as ``The new ten beauty spots in Daegu city``. Fifth, both male and female have chosen Mt. Biseul, Duryu tower, Mt. Palgong and Daegu stadium as ``The new ten beauty spots in Daegu city`` Sixth, natives of Daegu as well as non-natives of Daegu tend to highly prefer Duryu tower, Mt. Biseul and Mt. Palgong.

      • KCI등재

        대구 팔공산의 가치와 활용방안

        전영권 ( Young Gweon Jeon )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2

        대구 팔공산의 문화·역사·생태적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 인터뷰, 현장답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팔공산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팔공산의 자연지리적 범위는 협의의 범위(화강암산지로 구성된 팔공산괴), 광의의 범위( 팔공산괴에 접하는 접촉변성암지대까지 포함)로 구분된다. 문화적 범위는 대구(달성군 제외)와 경북의 경산시·영천시·군위군·칠곡군(동명면과 기성면)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2) 남서사면이 북동사면에 비해 지질적 경계가 다소 분명하다. 팔공산에는 토르, 판상절리지형, 거터 등이 보편적으로 발달하며, 남서사면은 산지지형(암괴류, 다각형 균열바위 현상)이, 북동사면은 하천지형(하식애, 폭포, 포트홀, 소)이 상대적으로 우세하다. 3) 팔공산의 명품 관광단지 조성을 위해서는 팔공산에 산재하는 다양한 명품 이야기 거리를 발굴하는(스토리텔링) 것이 필요하다. 4) 팔공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팔공산의 국립공원 지정이 요구되며, 나아가 팔공산 제천단의 복원과 갓바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통한 팔공산 정체성 확보와 대구의 브랜드 가치제고를 위한 마스터플랜이 마련되어야 한다. 5) 팔공산의 개발방식은 ``느림``에 토대를 둔 ``슬로우 라이프 타운`` 형태가 바람직하며, ``팔공산 박물관`` 조성을 통해 탐방객들에게 팔공산에 관한 모든 정보를 한 자리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즉, one stop service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value in culture, history and ecology of the Mt. Palgong. It attempts to build the strategy for making use of The Mt. Palgong by literature survey, interview, and field surve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oundary of physical geography of the Mt, Palgong is classified into two. The boundary of the Mt. Palgong limits to granite mass block in a narrow sense, while in a broad sense, the boundary of the Mt, Palgong includes a contact aureole to be bordered on the Mt. Palgong granite mass block. The boundary from a cultural viewpoint limits to Daegu city (excluding Dalseong county) and Gyeongsan city, Yeongcheon city, Gunwi county and Chilgok (Dongmyeong-myeon, Giseong-myeon) in Gyeongbuk province, 2) In the geological boundary, one of the south-west slope is clearer than that of the north-east slope of the Mt. Palgong. The landforms such as tor, sheeting joint and gutter are well developed as a whole. Mountain landform such as boulder stream, polygonal cracking is relatively well developed on the south-west slope, while river landform is relatively well developed on the north-east slope of the Mt. Palgong. 3) It is necessary to develope various masterpiece of interesting stories related to Mt, Palgong in order to make the Mt. Palgong excellent tour complex, 4) It is desirable to designate the Mt. Palgong as a national park for systematic management. A master plan should be ultimately designed to raise brand value of Daegu city, and make good identity of the city by restoring ``he Mt. Palgong Jecheondan`` and registering ``atbawi`` as world heritage. 5) It is reasonable that the method of development in The Mt. Palgong should be based on the pattern of ``low life town`` ``he Mt. Palgong museum`` will then be designed to give visitors all the informations on The Mt. Palgo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구 지명유래에 관한 연구

        전영권(Young Gweon Je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3

        첫째, 동명 유래는 주제별로 10가지(자연경관, 인문경관, 위치 등)로 분류된다. 동명 유래에 있어 자연경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구의 경우 그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동구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팔 공산과 금호강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대구의 중심지인 중구와 대구 정체성이 비교적 강한 북구의 경우 지명은 주로 인문경관이나 위치와 관련한 경 우가 많았다. 특히 중구의 경우, 동명과 관련하여 대구읍성이 가장 중요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1914년 행정구역 통합으로 새롭게 나타나는 동명은 기존 동명에서 한 자씩 차용하여 만든 경우가 대부분이다. 넷째, 1980년대 이후 새롭게 신설된 수성구와 달서구의 경우, 자연경관을 지명 제정에 활용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 성구의 지명유래에 해당하는 ‘수성들’과 달서구의 중요한 자연경관인 ‘성당지’, 와룡산 등은 주요한 대상지로 인식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동구에는 역사와 관련한 지명이 많은데, 이것은 927년의 ‘공산전투’가 주요인이다. 특히 공산전투와 관련된 역 사적 지명이나 설화에 바탕을 둔 지명들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 관광활성화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results that can be drawn from the thematical analysis, based on 173 geographical names of Dong(洞) in Daegu city, are as follows. Firstly, the origin of the geographical name of Dong is divided into 10 groups such as natural landscape, human landscape, situation, and so on. Thematically, natural landscap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m. In particular, Dong-gu is such a case since Mt. Palgong and Geumho river are widely distributed around the area. Secondly, the origins of the geographical name of Dong in Jung-gu and Buk-gu are mainly concerned with human landscape and situation. Especially, Daegu-Eupseong(大邱邑城)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origin of the geographical name of Dong in Jung-gu. Thirdly, in 1914,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established new Dongs(洞) and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new Dongs were made by borrowing each word from the existing geographical names of Dong. Fourthly, the geographical names of Dong in Suseong-gu and Dalseo-gu made after 1980s` were made in many cases by utilizing the existing natural landscapes. However, it is identified that Suseong field in Suseong-gu, Seongdang lake and Mt. waryong in Dalseo-gu have been recognized as the important natural landscapes. Lastly, the geographical name of Dong is commonly concerned with historical place names such as Gongsan battle in Dong-gu. It is judged that the geographical names of Dong based on Gongsan battle or a most intriguing piece of legend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on developing the regional tourism by storytelling.

      • KCI등재

        대구 신천과 금호강 일대의 문화지형 발굴과 스토리텔링 구성

        전영권 ( Young Gweon Jeon ) 한국지형학회 2010 한국지형학회지 Vol.17 No.3

        대구를 대표하는 하천인 신전과 금호강에 발달하는 문화지형을 발굴하여 이야기 꺼리를 구성하였고 그것의 활용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신천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지형으로논 용두바위(하식애), 하식애, 바위그늘(암음), 판상절리지형, 하식 동, 토르 등이다. 2) 금호강변에 발달하는 대표적인 문화지형으로는 습지, 나루터 포인트바, 하식애. 화담(소), 동화전, 무태, 침산, 연암산. 상화대(하식애) 등이다. 3) 신천변과 금호강변에 발달하는 문화지형의 보존을 위해서는 방치되어 있는 문화지형의 발굴과 복원이 절실하며, 가치 있는 문화지형은 문화재로 지정하여 멸실이나 훼손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4) 활용방안의 경우 신전에서는 문화, 역사 생태환청 체험을 위한 자연관찰학습장 초성이 필요하다. 금호강의 경우 `대구 금호강 문화지형 탐방로`를 조성하여 탐방객 스스로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자기주도형 탐방(seLfmJided tour)`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is paper aims to excavate and make storytelling of cultural landforms around Shincheon, Geumho liver in Daegu and then to build the strategy for making its applica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are main cultural landforms such as Yongdubawi(龍頭巖), river c1im, liver cliff, rock shelter(巖蔭), sheeting joint landform, river cave, tor, etc. around Shincheon. 2) there are main cultural landforms such as riverine wetland, ferry, point bar, liver cliff, Hwadam(畵潭, pool), Donghwacheon(streaml), Mutae(無怠.), Chimsan(hill), Yeonamsan(hill), Sanghwadae{river cliff), etc. around Geumho river. 3) It is necessary to excavate and restore cultural landforms around Shincheon and Geumho river for protection, Also the valuable cultural landforms should b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in order to prevent damage. 4) Considering from application of cultural landforms around Shincheon, natural observation site need to be designed for experiencing culture, history and ecological environment. However, in viewpoint of application of cultural landforms around Geumho river, it is much better to plan a few of Geumho river cultural landform trails for self-guided to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