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詩藪≫의 조선조 수용에 대한 일고찰

        전염순 중국인문학회 2015 中國人文科學 Vol.0 No.61

        ≪诗薮≫是明代文人胡应麟编撰的一部诗话,共二十卷,分为内编六卷、外编六卷、杂编六卷、续编二卷。此书以朝代和诗体为两大划分标准,对周朝至明朝的古诗、近体诗进行了论述。编者胡应麟被王世贞称为“末五子”,其诗学思想深受后七子,尤其是王世贞的影响,重视“格调说”,主张复古。此书成书刊行后,得到王世贞等人的高度推许,然而却受到后世反对前后七子诗歌理论之人的贬低、批判,尤其以钱谦益为代表。 目前尚无记录表明此书何时经由何种途径传入朝鲜,然而朝鲜文人的文集中存在诸多与此书有关的记录,由此可知,此书传入朝鲜后,在文人之间流传较广,受到文人重视。本论文考察了此书在朝鲜朝的接受状况,具体而言,本论文主要分析了朝鲜文人对此书持何种态度,以及受到此书的何种影响。 研究发现此书自传入朝鲜之后,大致从朝鲜中期直至朝鲜末期持续为文人所阅读和评论。此书因其规模庞大,拥有不少独到见解,从而成为不少朝鲜文人的爱读之书,以至于张混将其选为百部“清宝”(书籍)之一。较多文人在解开疑惑或判别、对比两首或以上诗歌作品时,将此书作为依据。这反映出此书在文人中普遍阅读的程度以及拥有的可信度。部分文人接触此书后,诗学观念发生了转变,李植和金万基可谓代表文人。朴沵受此书影响,编写了诗选集≪手编≫。然而此书的某一主张也受到部分文人的反对,或其主旨遭到一些文人的批判。例如金春泽对“虽无≪滁州西涧≫,不害有韦应物绝句”的观点提出异议。关于杜甫哪首诗当为其七律之冠,曹兢燮和胡应麟持不同意见。而且曹兢燮以杜甫诗句为论据,反驳了胡应麟对严羽“诗有别才不关书,诗有别趣不关理”的推崇。李宜显则当是受到钱谦益观点的影响,指出此书的主旨在于奉承王世贞。洪奭周以性情论、天机论、教化论的角度,撰写较长篇幅的文字对此书强调的复古思想、诗歌不可议论、诗歌不必切题等观点进行了较为透彻的反驳。

      • KCI등재후보

        眉山 馬聖麟 「平生憂樂總錄」 연구

        전염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9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yeongseong Urak Chongrok(平生憂樂總錄) written by Mishan(眉山) Ma Seong-Lin(馬聖麟) who is a calligrapher and Wihang siin(委巷詩人)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 Seong-Lin exchanged poems with many other Wihang Munin(委巷文人), widely interacted with Wihang artists such as kagaek(歌客), keumgaek(琴客), hwawon(畵員), and he was a patron of Wihang Munin as well. His anthology Anhwadang Sajip(安和堂私集) contains lots of suchangsi(酬唱詩) with other Wihang Munin and several articles about Wihang Munin's cultural exchange. Especially his autobiography Pyeongseong Urak Chongrok records his growth process, learning process, social intercourse and so on in detail. Therefore, the study on his life, sentiments and social intercourse through Pyeongseong Urak Chongrok will be of help to the studies on Ma Seong-Lin and the culture and literature of Wihang Munin. In addition, Ma Seong-Lin selected important events from the joys and sorrows of his whole life and then wrote a chronology of his life by himself. And this is also a quite unique point of Pyeongseong Urak Chongrok. Also, till now there not many studies on Ma Seong-Lin and there's no research paper on Pyeongseong Urak Chongrok. Thus his anthology, especially his autobiography Pyeongseong Urak Chongrok is well worth researching. So this paper h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yeongseong Urak Chongrok. The characteristics of Pyeongseong Urak Chongro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rist, he wrote about his learning in detail. He wrote when, where and what did he learn, the people who learned with him, and how long and which famous calligrapher's copybook did he learn. Secondly, he described graphically the natural scenery. And through these many vivid descriptions, we can know that he loves the natural so much. Thirdly, he expressed sensitively the sorrow of losing his family. He wrote down the deaths of his family one by one, and expressed his feeling about his family's deaths in detail. While facing his family's death, he felt sorrowful and guilty, and he thought his family's death was his family's unhappiness and his misfortune. Lastly, he described graphically the cultural exchange among Wihang Munin. Through his writings, we can know that at that time there were many reasons for Wihang Munin's meetings. For instance, sometimes they met in order to appreciate flowers, and sometimes they met because they thought it was a pity to pass time aimlessly. When they met, they enjoyed poems, songs, paintings, alcohol or made academic exchange. And the palaces where they often met were jeokchwidae(積翠臺), hamchwiwon(涵翠園), songseokwon(松石園), etc. 본고는 조선후기 서예가이자 여항시인인 眉山 馬聖麟의 「平生憂樂總錄」의 서술 특징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馬聖麟은 여러 여항문인들과 시를 주고받았고, 歌客, 琴客, 畵員 등의 여항 예술가들과도 폭넓게 교류하였으며, 여항문인의 후원자로 활약하던 인물이다. 그의 시문집 『安和堂私集』에는 여항문인들과의 수창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여항문인의 교유양상을 기록한 글도 여러 편 수록되어 있다. 특히 그의 자찬연보 「平生憂樂總錄」은 그의 성장과정, 학습과정, 교유양상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平生憂樂總錄」을 통한 馬聖麟의 삶과 정서, 교유양상 고찰은 馬聖麟에 관한 연구는 물론이고, 여항문인들의 문화와 문학에 대한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외에 자찬연보의 형식으로 자신이 일생동안 겪었던 일 가운데 기록할 만한 내용을 뽑고, 이를 슬픈 일과 즐거운 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는 점은 「平生憂樂總錄」만의 독특한 특징으로 눈여겨 살펴볼만 하다. 또한 지금까지 馬聖麟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았고, 「平生憂樂總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의 시문집, 특히 「平生憂樂總錄」의 연구 가치는 이미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平生憂樂總錄」의 내용을 고찰하고, 서술 특징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하였다. 첫째는 勉學 과정에 관한 상세한 기술이다. 馬聖麟은 「平生憂樂總錄」에 언제 어디서 무엇을 배웠는지, 누구와 함께 공부하였는지, 어느 옛 명필의 글씨를 얼마동안 模寫하였는지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둘째는 山水自然에 대한 핍진한 묘사이다. 자연경치에 대한 생동감 넘치는 다양한 묘사 속에 山水美景을 진정으로 즐기고 좋아했던 그의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셋째는 가족 잃은 슬픔에 대한 섬세한 표현이다. 가족의 죽음을 일일이 기록하고, 또한 이에 따른 자신의 내면 변화도 구체적으로 드러냈다. 그는 가족의 죽음을 마주하며 슬픔, 자책감을 느끼기도 하고, 가족의 죽음을 家門의 불행, 자신의 薄福으로 여기기도 했다. 넷째는 여항문인 교유에 관한 생생한 기록이다. 기록에 따르면 당시 여항문인들은 꽃을 감상하기 위해, 때로는 그저 좋은 때를 헛되이 보내기 싫다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함께 모여 어울리곤 했다. 그들은 모여서 시, 노래, 그림, 술을 벗 삼아 즐겁게 노닐거나 학문을 교류하였다. 그들이 자주 모이는 장소는 積翠臺, 涵翠園, 晩香園, 松石園등이었다.

      • KCI등재

        ≪藝苑巵言≫과 ≪芝峯類說≫의唐宋詩 批評 일고찰 - 시의 作法論을 중심으로

        전염순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6 No.-

        Wang Shizhen is the leader of the Ming dynasty "After Seven". After Li Panlong died, he led the literary world for many years. His poems and theories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China and Joseon. Lee Soo-Gwang lived in the Middle Joseon Period. At that time, Poetry gradually changed from Song poems into Tang poems. And Literati of Joseon began to accept Wang Shizhen. The changes of Joseon poetry happened because Literati of Joseon wanted get rid of disadvantages of Song poems, and also because they introduced the theory of the revivalists in Ming Dynasty. Lee Soo-Gwang’s Jibongyuseol quoted extensively the contents of Yiyuan Zhiyan. And as Wang Shizhen, Lee Soo-Gwang thought poem in the high Tang Dynasty is a paradigm. The study on the criticism of Tang poems and Song poems made by Wang Shizhen and Lee Soo-Gwang will be very helpful to the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m. So this paper will study the criticism of Tang poems and Song poems made by them. 王世貞은 ‘文必秦漢, 詩必盛唐’을 주장하는 明代 後七子의 핵심인물이다. 그는 李攀龍이 죽은 뒤 오랫동안 문단을 주도하였고, 중국에서뿐만 아니라 조선에서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李睟光이 살던 穆陵盛世는 宋詩風에서 唐詩風으로 변해가는 시기였고, 또한 王世貞 수용의 초기단계에 해당한다. 당시 조선시단의 변화는 宋詩風의 폐단을 극복하려는 조선 문인들의 자기 반성적 성찰에서 기인했고, 明代 復古派 이론의 유입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李睟光은 ≪芝峯類說≫에서 王世貞의 ≪藝苑巵言≫을 대량으로 인용했고, 王世貞처럼 盛唐의 시를 모범으로 삼았다. 그들의 唐宋詩 비평에 대한 고찰은 그들 사이의 영향 관계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리라 본다. 따라서 본고는 그들의 唐宋詩 비평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허균(許筠)과 왕세정(王世貞) 시론 비교연구

        전염순 ( Qian Nianchun )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80

        본고는 명대 王世貞과 조선 중기 문인 許筠의 시론의 유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許筠의 예를 통해 王世貞 시론의 조선 수용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宣祖 시기는 조선 문단이 宋詩風 위주로부터 唐詩風 위주로 변해가는 시기였다. 그리고 당시 조선 문단의 學唐風 성행에 명나라 복고시파의 영향도 있었다. 이 시기에 활동하던 許筠은 唐詩風의 盛行과 정착에 크게 기여를 하고, 또한 명나라 복고시학이 조선에서 영향을 확대해 나가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許筠과 王世貞 간 관련성에 대한 논문이 많지 않고 또한 보충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고는 時代로 優劣을 논하지 않음, 性情之眞의 중시, 法古創新 등의 세 방면에서 두 사람의 시론을 비교해 봤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에 대한 許筠과 王世貞의 기본적 태도는 古詩에 있어서는 漢魏를 최고로 여기고 近體詩에 있어서는 唐詩를 숭상하고 宋詩를 낮게 보는 것이다. 그런데 그들은 기타 시대의 시를 무조건 배척하는 것이 아니고 그 시들도 읽고 자신의 시의 체제와 내용을 풍부하게 하려고 했다. 그런데 王世貞은 漢魏, 盛唐이외의 시를 읽을 때 자신의 作詩 기법과 풍격이 이미 고정되었음을 전제 조건으로 해야 한다고 밝혔지만 許筠은 이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王世貞과 許筠은 모두 시가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을 드러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許筠은 성리학의 전성기에 살았지만 성리학의 구속을 받지 않으려고 하고 인간의 眞情을 중요시했다. 전후칠자가 館閣體, 道學詩를 반대하려고 인간 본래의 情을 표현하는 漢魏詩, 唐詩로 돌아가고자 했다. 후칠자의 한 領袖인 王世貞도 자연히 시에서의 참된 을 중시했다. 許筠과 王世貞이 강조한 “情”, “ 性情”은 성리학에서 말하는 “性情之正”이 아니라 “性情之?”이다. 王世貞은 복고를 주장하는 동시에 모의, 표절의 병폐를 항상 경계하였다. 그는 漢魏, 盛唐의 시를 배우는 것을 주장하는 동시에 “自得之趣”를 숭상했다. 許筠은 시를 평가할 때 “似盛唐人作” 등 唐詩를 비평의 기준으로 삼고 唐詩와 비슷하게 짓는 것을 높이 평가하였다. 그런데 한편 그는 個性과 獨造를 중시해 그 자신만의 특징과 풍격을 창출하여 일가를 이루려고 했다. 그런데 王世貞은 許筠이 “許子之詩”라고 외친 것처럼 격렬하게 자신을 내세우지 않았다. During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Joseon`s poetical arena changed from Song poetry to Tang poetry, and the Ming Dynasty`s reactionism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But by now, there are not many papers on the relation between Heo Kyoon and Wang Shizhen. In this paper, I compared two people`s poetry in three way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ir basic attitudes to the poetry are to regard Han Wei as the best in ancient poetry, and to respect the poetry of Tang as the best in the near poetry. However, they did not reject the poetry of the other era unconditionally. They both insisted that poetry should reveal human`s natural feelings. And "Emotions" and "feelings" emphasized by Heo Kyoon and Wang Shizhen are not "性情之正" but "性情之眞". Wang Shizhen insisted on learning the poems of Han Wei and Sheng Tang while at the same time, he adored the "self-interest". Heo Kyoon praised Tang poetry as a criterion of criticism such as "似盛唐人作" and made it similar to Tang poetry. Meanwhile, he emphasized individuality and individuality and cried "Heo Kyoon`s poem".

      • KCI등재후보

        『지봉유설』 「문장부」의 『예원치언』 인용양상에 대한 소고

        전염순 ( Qian Nianchu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4 No.-

        왕세정(王世貞)은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후칠자(後七子)의 영수(領袖)로, 이반룡(李攀龍)이 죽은 뒤 20년 동안 문단을 주도하였다. 그의 시문 및 시문 이론은 당시 및 후세의 많은 문인들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복고를 주장하여 "시필성당(詩必盛唐)"을 역설하면서도 표절과 모의를 반대하였다. 당시를 숭상하고 송시를 배격하지만 만년에는 송시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했다. 『예원치언(藝苑?言)』은 그의 시문 이론을 집중적으로 나타내는 저작으로 여러 해에 걸쳐 수차례의 수정 끝에 정문 8권, 부록 4권의 판본을 완성하였다. 이 책은 조선에 유입된 이후 문인들에게 널리 읽혀 그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수광은 그 영향을 받은 사람 중의 한 명이다. 이수광은 조선 중기 문인이다. 당시 조선 시단이 전에 지배적인 지위를 차지하던 송시로부터 당시로 점차 변해 가고 있어 삼당시인, 이수광 등 문인들이 당시풍(唐詩風)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였다. 『지봉유설(芝峰類說)』은 조선 백과전서 성격의 저작이라고 불린다. 총 20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8부터 권14까지는 「문장부」이다. 권8은 주로 산문을 논하고, 권9부터 권14까지는 시를 위주로 논하고 간혹 사(詞)에 대해도 논한다. 「문장부」는 왕세정의 『예원치언』을 대량으로 인용하였다. 지금까지 이수광과 왕세정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고 『예원치언』이 『지봉유설』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고찰이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지봉유설』 「문장부」가 어떻게 『예원치언』을 인용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지봉유』과 『예원치언』 간의 영향 관계를 깊이 있게 고찰하기 위한 선행적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Wang Shizhen(王世貞) and Li Panlong(李攀龍) were the leaders of the Ming dynasty "After Seven(後七子)". After Li Panlong(李攀龍) died, Wang Shizhen(王世貞) led the literary world for twenty years. His poems and theorie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literati of that time and later generations. Wang Shizhen(王世貞) advocated restoring ancient ways, urged that poets must imitate Tang Poetry, but he also against imitation. He valued Tang Poetry, debased Song Poetry, but when he was old, he changed his attitude towards Song Poetry. Yiyuan Zhiyan(藝苑?言) is a book that reflected his theory of poetry and prose. This book went through several revisions in many years, and finally it included the main text eight volumes and appendixes four volumes. Since introduced into Joseon, Yiyuan Zhiyan(藝苑?言) was widely read by Joseon literati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m. Lee Soo-Kwang(李?光) was one of them. Lee Soo-Kwang(李?光) lived in the Middle Joseon Period. At that time, Poetry gradually changed from Song poetry into Tang poetry. Sam Dang poets(三唐詩人) and Lee Soo-Kwang(李?光) aggressively pursued the Dang``s poetical style. Jibongyuseol(芝峯類說), being described as the frist encyclopedic book, includes twenty volumes. And from the eighth volume to the fourteenth are munjangbu(文章部). The eighth volume mainly deals with prose, and the rest volumes mainly discuss poetry and a few Ci(詞). Munjangbu(文章部) has quoted extensively the contents of Yiyuan Zhiyan(藝苑?言). Until now, there are not many papers abou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Lee Soo-Kwang(李?光) and Wang Shizhen(王世貞), and there is no paper abou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Yiyuan Zhiyan(藝苑?言). So this paper will study on how did the munjangbu(文章部) of Jibongyuseol(芝峯類說) cited Yiyuan Zhiyan(藝苑?言). And it could be argued that this study needs to carry on frist before we give a deep reseach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Yiyuan Zhiyan(藝苑?言).

      • KCI등재

        ≪藝苑巵言≫과 ≪芝峯類說≫의 唐宋詩 批評 일고찰

        전염순(QIAN NIANCHUN)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6 No.-

        王世貞은 ‘文必秦漢, 詩必盛唐’을 주장하는 明代 後七子의 핵심인물 이다. 그는 李攀龍이 죽은 뒤 오랫동안 문단을 주도하였고, 중국에서 뿐만 아니라 조선에서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李睟光이 살던 穆陵盛世는 宋詩風에서 唐詩風으로 변해가는 시기였고, 또한 王世貞 수용의 초기단계에 해당한다. 당시 조선시단의 변화는 宋詩風의 폐단을 극복하려는 조선 문인들의 자기 반성적 성찰에서 기인했고, 明代 復古派 이론의 유입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李睟光은 ≪芝峯類說≫에서 王世貞의 ≪藝苑巵言≫을 대량으로 인용했고, 王世貞처럼 盛唐의 시를 모범으로 삼았다. 그들의 唐宋詩 비평에 대한 고찰은 그들 사이의 영향 관계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리라 본다. 따라서 본고는 그들의 唐宋詩 비평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Wang Shizhen is the leader of the Ming dynasty “After Seven”. After Li Panlong died, he led the literary world for many years. His poems and theories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China and Joseon. Lee Soo-Gwang lived in the Middle Joseon Period. At that time, Poetry gradually changed from Song poems into Tang poems. And Literati of Joseon began to accept Wang Shizhen. The changes of Joseon poetry happened because Literati of Joseon wanted get rid of disadvantages of Song poems, and also because they introduced the theory of the revivalists in Ming Dynasty. Lee Soo-Gwang’s Jibongyuseol quoted extensively the contents of Yiyuan Zhiyan. And as Wang Shizhen, Lee Soo-Gwang thought poem in the high Tang Dynasty is a paradigm. The study on the criticism of Tang poems and Song poems made by Wang Shizhen and Lee Soo-Gwang will be very helpful to the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m. So this paper will study the criticism of Tang poems and Song poems made by them.

      • KCI등재후보
      • 종결어미 ‘-지’의 의미기능에 대한 고찰

        조가역(曹佳?),전염순(?念?)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4 중국조선어문 Vol.- No.2

        본 론문은 종결어미 ‘-지’의 핵심의미를 밝히고 ‘-지’의 의미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가 중요한 양태어미중의 하나라는 사실에 립각하여 기존 론의와 실제 용례들을 검토함으로써 ‘-지’의 의미기능을 고찰하였다. ‘-지’의 인식양태의미에 대해 기존의 [(사유과정을 포함한) 이미 앎]과 [수용의 당위성 전제]를 핵심의미로 받아들이고 행위양태의미에 대해서는 ‘-지’에 의한 부드러운 어감표출에 주목하여 [수용요청]이라는 핵심의미를 설정하였다. 이 세가지 핵심의미는 모두 서로 유연성을 가지므로 ‘-지’의 의미기능은 보다 체계적으로 기술할 수 있게 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