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실과(가정)의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관한 연구

        전세경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 199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identify the position and the problems of Home Economics in Elementary School, and 2) to propose orientation for the future curriculum revision. Elemntary Home Economics, historically, has been partially practiced as a par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s a results,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as been distorted and lacked the disciplinary consistency with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gnored the importance of the understanding family life as well as underscored the technical skills. The identified status and problems has an implication for the subject's further development. The propositions for Elementary Home Economics Education which has the original intention, are as follows: (1) the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Education must be built on theorectical base and criteria. (2) the name of subject, Practical Arts Education, must be changed to [Technology·Home Economics]. (3) the contents of the subject must be practical which enable to promote motivations and interest of students.

      •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전세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97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Vol.1997 No.-

        이상 7차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초등학교 실과의 현실을 가정과교육의 입장에서 살펴 보았다. 초등학교 가정과 교육은 역사적으로 [실과]라는 교과목에서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때문에 실과라는 교과목의 개념과 성격이 규정되는 과정속에 가정과교육의 개념도 왜곡되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실과]학문의 구조적 위치로 보아도 초등 가정과교육은 중등의 가정과와는 다른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입지는 현행 6차교육과정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는데, 그것은[실과]가 학습의 대상이 되는 '가정생활'에 대한 이해나 철학이 우선 전제되어 갖추어져 있지 못하고, 방법적인 면을 강조하여 각 학문분야별로 생산적이고 실천적인 활동을 다룰 수 있는 내용이 선정·구성되어 있을 뿐, 따라서 그것이 가정생활과 어떻게 관련된 것인지에 대한 설득력이 부족하다. 특히 6차교육과정에서의 실과의 내용은 일의 세계에 대한 경험, 노작활동등 생활에 직접 필요하면서도 실천가능한 것을 정선하여 구성한다는 전제가 강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는 4차교육과정 개정시부터 실과시간의 축소 및 존폐문제가 심각하게 논의된 후, 실과내용이 농업중심에서 가정중심으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용성과 효율성의 문제가 계속 제시되면서 6차에 와서 주당1시간씩으로 축소되는 과정에서 제시된 하나의 처방전이 아니었던가 생각된다. 이 과정에서 실과내 가정과교육은 기능중심의 학습만이 강조되다 보니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가정성'에 대한 기본적 철학은 무시되고 따라서 중등학교의 가정과교육과는 크게 그 성격이 변질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실과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과]교과목의 역사이래 반복되어 오던 가정과교육의 왜곡된 본질과 의미를 살리기 위하여 새 교육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전개 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실과의 내용의 구성에는 변치않는 어떤 이론적인 원칙과 준거가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그것은 실과교육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을 왜 가르치는가에 대한 분명한 준거가 될 수 있다. 가정생활의 구조를 분석하여 그 틀안에서 아동의 발달수준에 맞게 구성된 내용들은 아동들의 가정생활 중 의미있는 경험임이 규명 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실과교육이 방황하지 않고 교과로서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시키는 우선적인 길이다. 둘째, [실과]의 교과목명을 [기술·가정]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과교육의 문제점 해결방안일 뿐만 아니라, 신교육개혁의 체제와 방침에도 따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제안이다. 셋째, 실과는 유용한 교과로 인식되고 교육의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그 내용이 현실적이고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과감히 개선할 필요가 있다.이외에도 실과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구성 뿐만 아니라, 교사교육이 충실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우리나라 가정과교육이 안고 있는, 가정학의 본질과 의미를 어떻게 전달 할 것인가에 대한 과제해결에 비로소 제 몫을 하고 발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을 위한 교사교육 강좌의 실태 및 방향 탐색

        전세경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는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다문화교육 교사교육의 타당성과 합리성을 준거로 예비교사들을 위한 다문화교육 강좌의 내용 구성과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교육 강좌 구성과 운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10개의 초등교원양성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강좌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강의계획서를 토대로 비교함으로써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강좌의 양적인 성장만큼 교육목표, 내용, 방법에서도 논리적인 질서가 요구됨을 강조하였다. 현재 각 교육대학마다 매우 개별적이고 차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 강좌에 대해서는 보편성과 교육적 기능을 감안하여 우선적으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및 구성과 운영의 접근성과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표준화된 강좌의 모델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nts and oper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s for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validity and ration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this e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lectur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by 10 elementary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was analyzed; problems and improvements were also sought. In this process, we examined related researches and compared them based on the lecture plan, and emphasized that we need to actively consider factors of teacher capac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at logical order is required in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s as well as quantitative growth of lecture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that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individually and differently for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tandardized lecture model should be agreed upon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and utility of teacher capacity, composition, and oper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universality and educational function .

      • KCI등재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효율적 추진 방안

        전세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1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e and directions of dietary life education (DLE) in school education. The major interest and contexts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functions and communication ways of DLE in the children and youths' educational systems including:a. meaning of eating in human life, meaning of DLE, and meaning and responsibilities of school education,b. re-defining school DLE in terms of social changes and learn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comparing with FSE parts in the existing curricular such as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Education,c. what should be taught in DLE with orientation, structures, elements, educational philosophy and backgrounds, and instructional techniques of DLE, and d. effective strategic plans for DLE by suggesting the New DLE's paradigms and educational aims, programs in the curriculum, reinforcement of teacher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home economic educational teachers, school facilities expansions, diverse program, materials and networking development. 이 연구는 학교교육에서의 식생활교육의 본질과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식생활교육이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교육이라는 시스템 속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소통하여야 하는가를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관심과 맥락이다. 이 연구에서 다룬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식생활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인간의 삶에서 먹는다는 것의 의미, 식생활을 교육한다는 것의 의미, 학교 식생활교육의 의의와 책무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학교 식생활교육을 재조명하기 위해 사회, 학습자, 교과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즉, 식생활과 관련된 사회적 현상과 변화,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특성, 실과와 가정과교육과정에서의 식생활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학교 식생활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학교 식생활교육의 지향점, 구조, 요소들에 대해 해석하고,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철학과 배경, 학교 식생활교육의 내용 체계와 구조, 교수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 식생활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학교 식생활교육의 목표와 내용설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탐색하고, 교육과정에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며, 식생활교육을 담당할 초등교사와 가정과교사의 교육 강화, 시설설비의 확충,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수․학습자료의 마련, 다양한 주체들 간의 유기적 협력과 네트웤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집안일’ 수행의 교육적 의의를 통해 본 실과 교과에서의 ‘가족의 일’ 교육의 방향에 관한 개념적 연구

        전세경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 the nature of the division of labors in the family, (b) the educational meaning of chores performed by child, and (c) to reconstruct the scope of 'division of labors in the family' part in the Practical Art Education. The strengths of study are its efforts of reconceptualization of chores performed by child and educational approach of the division of labors in the family which used to be analyzed with the Economics or Women's Study's perspectives. The author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ractical Art Education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nature of the division of labor in the family and include its relations with communication and cohesion in a family, socialization of the family culture, and in turn, overall quality of life. Thus, the housing chores performed by child should be accounted in terms of optimal development and wholesome education in the Practical Art Education. In conclusion, the scop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gender equity were discussed with the division of labors in the family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이 연구는 실과 교과에서 다루는 '가족의 일'에 대한 개념적 재정립을 통해 그 교육적 의의와 방향에 대해 모색한 연구이다. 가족의 일은 흔히 집안일이나 가사노동으로 표현되면서 그 가치가 평가절하 되어 온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 일감을 포함한 총괄적 의미에서 집안일의 본질과 의의, 가치를 재조명함으로써 집안일의 수행 과정에는 아동교육으로서의 교육적 의의와 효과가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집안일 수행이 갖는 교육적 의의를 재개념화 함으로써 실제로 실과 교과에서 전개되는 ‘가족의 일’에 대한 교육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집안일 수행에 대한 교육은 집안일의 본질을 재조명하고, 집안일 수행이 제공하는 아동의 전인교육적 측면에 주목해야 하며, 아동의 진로교육으로서의 역할, 양성평등교육을 구현하는 주제로서 기능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