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박꽃과실파리 성충의 수명과 생명표분석

        전성욱,강택준,조명래,김광호,이상계,김지수,박해웅,Jeon, Sung-Wook,Kang, Teak-Jun,Cho, Myoung-Rae,Kim, Kwang-Ho,Lee, Sang Guei,Kim, Ji Soo,Park, Hae Wo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a Hendel)의 성충 수명과 산란수를 7개 온도(15, 18, 21, 24, 27, 30, $33{\pm}1.0^{\circ}C$, RH $65{\pm}5%$, 14L : 10D)에서 조사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온도별 성충수명은 $21^{\circ}C$에서 수컷이 138.0일 암컷이 131.2일로 가장 오래 살았으며, $21^{\circ}C$를 기준으로 저온부와 고온부로 갈수록 수명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온도별 암컷은 $18^{\circ}C$이하의 온도에서 산란을 하지 않았으며, $33^{\circ}C$에서는 짝짓기가 가능한 시기까지 살지 못하고 모두 사망하였다. 짝짓기한 암컷의 총 산란수는 111.4개, 일일 산란수는 1.0개로 $24^{\circ}C$에서 가장 많은 산란수를 보였고 순증가율($R_o$)은 $21^{\circ}C$에서 52.2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내적자연증가율($r_m$)은 $27^{\circ}C$에서 0.07을 보였으며, 배수기간(${\lambda}$)은 $27^{\circ}C$에서 10.02로 가장 짧았다. 기간증가율($D_t$)은 $27^{\circ}C$에서 1.07로 가장 큰 값을 보였고, 평균세대기간(T)은 $27^{\circ}C$에서 50.39였다. The life table of the Striped Fruit Fly, Bactrocera scutellata, was analyzed by using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of B. scutellata at seven constant temperatures (15, 18, 21, 24, 27, 30, $33{\pm}1.0^{\circ}C$) with 65% RH and 16L:8D in the laboratory. The highest values of longevity were observed at $21^{\circ}C$ with the values of 138.0 days for male and 131.2 days for female, respectively. Females of B. scutellata did not oviposit under $18^{\circ}C$ and larvae of B. scutellata could not survive to adulthood over $33^{\circ}C$. The highest value of total fecundity was observed at $24^{\circ}C$ (111.4 eggs) and daily fecundity per female was observed at approximately 1.0. The parameters of the life table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data from eggs to adults of B. scutellata at 4 different temperatures. Net reproduction rate ($R_o$) was highest at $21^{\circ}C$ (52.27). The intrinsic rate of increase ($r_m$) and the finite rate of increase per day (${\lambda}$) were highest at $27^{\circ}C$ (0.07 and 1.07), respectively. The doubling time ($D_t$) was shortest at $27^{\circ}C$ (with 10.02). The mean generation time (T) was shortest at $27^{\circ}C$(50.39).

      • KCI등재

        갈색날개매미충 알 기생봉인 날개매미충알벌(Phanuromyia ricaniae)의 생물 특성

        전성욱,김광호,이관석,서보윤,김지은,강위수,조점래,Jeon, Sung-Wook,Kim, Kwang-Ho,Lee, Gwan-Seok,Seo, Bo Yoon,Kim, Ji Eun,Kang, Wee Soo,Cho, Jum Rae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갈색날개매미충을 생물적 방제인자로 활용하기 위해 알 기생 천적인 날개매미충알벌의 발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25℃에서 알은 3.8일, 유충 11.1일 및 번데기 16.3일, 30℃에서는 알 3.4일, 유충 7.8일 및 번데기 15.3일이었다. 유충 기간을 제외하고 온도에 따라 유의미한 발육 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알~번데기까지 전 발육기간은 25℃에 비해 30℃에서 발육기간이 짧아 온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루 중 날개매미충알벌의 우화는 불이 켜져 있는 명 기간에 모든 개체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우화율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 10:00~12:00 사이였고(34.5%), 그 다음으로 12:00~14:00 사이였다(22.99%). 암 기간(00:00~08:00)에서는 성충으로 우화하는 개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날개매미충알벌 성충의 성비는 암컷이 75.8%, 수컷이 24.2%로 암수 비율은 약 3 : 1이었다. 성충의 수명은 20℃에서 암컷과 수컷이 각각 49.0일, 44.0일, 25℃에서 27.6일, 28.4일 및 30℃에서 18.0일, 14.0일로 조사한 온도 중 암수 모두 온도가 낮은 20℃에서 수명이 길었고, 온도가 높을수록 수명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컷 성충은 00:00~02:00 사이를 제외하고 모든 시간대에 걸쳐 산란하였고, 산란수가 가장 많은 시간대는 20:00~22:00 사이로 26.1%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10:00~12:00 사이에 15.7%로 조사되었다. 날개매미충알벌은 수컷을 생산하는 단위생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 날개매미충알벌은 갈색날개매미충을 방제하는 중요한 생물적 방제 인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anuromyia ricaniae (Hemiptera: Platygastroidea), an egg parasitoid of Ricania sp. (Hemiptera: Ricaniida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to control Ricania sublimata. The developmental period of P. ricaniae was 3.8 days for eggs, 11.1 days for larvae, and 16.3 days for pupae at 25℃, and 3.4 days for eggs, 7.8 days for larvae, and 15.3 days for pupae at 30℃. Except for the larval stage, the developmental perio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egg-to-pupa period at 30℃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at 25℃. P. ricaniae emerged at the photophase in 24 hours, but not at the scotophase. A higher emergence rate (34.5%) was seen from 10:00 to 12:00 after the lights were turned. The female-to-male ratio of P. ricaniae was 3:1. The longevity of P. ricaniae adults was 49.0 days for females and 44.0 days for males at 20℃, 27.6 days for females and 28.4 days for males at 25℃, and 18 days for females and 14.0 days for males at 30℃. Its longevity at a low temperature (20℃) was longer than that at higher temperatures (25 and 30℃). Adult females laid eggs during all days except from 00:00-02:00 (scotophase time). The ovipositional distribution rate was 26.1% from 20:00 to 22:00, which was the peak, and the next peak was 15.7% at 10:00 to 12:00. P. ricaniae showed arrhenotokous parthenogenesis in which unfertilized eggs develop into males.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P. ricaniae may be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R. sublimata.

      • KCI등재

        호박꽃과실파리 온도 발육모형

        전성욱,조명래,김양표,이상계,김소형,유진,이종진,황창연,Jeon, Sung-Wook,Cho, Myoung-Rae,Kim, Yang-Pyo,Lee, Sang-Guei,Kim, So-Hyung,Yu, Jin,Lee, Jong-Jin,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4

        호박의 주요 해충인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us (Hendel)]를 항온항습기($24{\pm}1.0^{\circ}C$, $70{\pm}5%$ RH, 14L: 10D) 7개 온도(15, 18, 21, 24, 27, 30, $33{\pm}1.0^{\circ}C$, RH $70{\pm}5%$, 14L:10D)에서 온도발육실험을 수행하였다. 알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15^{\circ}C$에서 4.2일로 가장 길었고 $33^{\circ}C$에서 0.9일이 걸려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충은 2령을 제외한 1, 3령에서 온도가 증가 할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지다가 $27^{\circ}C$ 이상에서는 발육 속도가 둔화하였다. 번데기 기간은 $15^{\circ}C$에서 21.5일로 가장 길었고 $33^{\circ}C$에서 7.6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짧아졌다. 알의 사망율은 $33^{\circ}C$에서 22.9%로 가장 높았으며, 유충의 사망율은 $15^{\circ}C$에서 1, 2, 3령 각각 24.1, 27.3, 18.2% $33^{\circ}C$에서는 14.8, 17.4, 31.6%를 보여 고온과 저온에서 가장 높았다. 번데기 발육기가간증의 사망율은 $15^{\circ}C$에서 18.2, $33^{\circ}C$에서 23.1%였다. 알, 유충, 번데기 기간의 발육영점온도는 12.5, 10.7, $6.3^{\circ}C$였고, 발육기간 동안의 발육영점온도는 $8.5^{\circ}C$였으며 알 유충, 번데기의 발육단계별 유효적산온도는 33.2, 118.3, 181.2일도였다. 각각의 온도에서 개체들의 발육기간을 평균 발육기간으로 나눈 값들을 3-parameter의 Weibull 함수에 적용한 결과 r2 값이 0.78-0.86 이었다. The striped fruit fly, Bactrocera scutellata, damages pumpkin and other cucurbitaceous plants. The developmental period of each stage was measured at seven constant temperatures (15, 18, 21, 24, 27, 30, and $33{\pm}1.0^{\circ}C$). The developmental time of eggs ranged from 4.2 days at $15^{\circ}C$ to 0.9 days at $33^{\circ}C$. The developmental period of larvae was 4.2 days at $15^{\circ}C$, and slowed in temperatures above $27^{\circ}C$. The developmental period of pupa was 21.5 days at $15^{\circ}C$ and 7.6 days at $33^{\circ}C$. The mortality of eggs was 17.1% at $15^{\circ}C$ and 22.9% at $33^{\circ}C$, Larval mortalities (1st, 2nd, 3rd) were 24.1, 27.3 and 18.2%, respectively, at $15^{\circ}C$, Pupal mortalities were 18.2% at $15^{\circ}C$ and 23.1% at $33^{\circ}C$.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rate and temperature fit both a linear model and a nonlinear model.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s of eggs, larvae, and pupae were 12.5, 10.7, and $6.3^{\circ}C$, respectively, and threshold temperature of the total immature period was $8.5^{\circ}C$. The thermal constants required to complete the egg, larval, and pupal stages were 33.2, 118.3, and 181.2 DD,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each development stages was described by a 3-parameter Weibull function.

      • KCI등재

        논문 : 전후의 현실과 섹슈얼리티: 손창섭의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전성욱 ( Sung Wook Je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인문학연구 Vol.0 No.17

        이 글은 손창섭의 전반기 단편소설들을 중심으로 작중인물들의 성격과 전후 현실의 상관관계를 `남성`과 `여성`이라는 섹슈얼리티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손창섭의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남성 중심적 세계에서 희생된 피해자로서의 여성이며, 다른 하나는 악녀 혹은 요녀의 이미지로 나타나는 부정적 형상의 여성이다. 손창섭은 전후라는 시공간 속에서 집필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만큼, 그의 소설에는 `전후`라는 역사적 상황이 중요한 컨텍스트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그의 작품에 전후의 현실 상황은 직접적인 주제로 표현되지 않는다. 손창섭의 소설은 `인간`을 주제로 하며, 그의 소설에서 인간은 `신의 희작`으로 풍자된다. 불구화된 신체와 위선과 위악으로 가득 찬 인물들, 그리고 비오는 습한 날씨의 음습함은 손창섭 소설에서 일관되는 음울한 정조의 근거다. 손창섭은 바로 이 음울한 정조를 통해 전후의 상황을 간접적으로 표현한다. 하지만 손창섭의 초기 단편들은 전후의 어떤 소설들보다도 전후의 퇴폐적이고 부조리한 역사적 현실을 적나라하게 묘파하고 있다. 손창섭 소설의 남성인물들과 1930년대 이상의 소설에 등장하는 자폐적 인물들과의 유사성은 주목할 만하다. 고학력의 지식인이 생활의 능력을 상실하고 여성에게 의존하는 상황이나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의지 대신 삶의 부정성에 대한공상만을 일삼는 인물들의 태도는 닮은 부분이 많다. 물론 양자 사이엔 분명한 차이도 있지만 이 글에서는 현실인식의 부정성이라는 공통분모만을 주목하였다. 손창섭의 소설은 섹슈얼리티의 관점으로 읽혀질 때 풍요롭게 드러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그것은 손창섭의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의 의미가 각별하기 때문이다. 손창섭의 소설에서 여성은 현실의 모순에 희생당하는 피해자로 등장하는 유형과 현실의 부정성 그 자체를 드러내는 요부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둘은 서로 다른 유형이면서도 현실의 부정적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서사적 위상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short stories of Sohn Chang Seob in the post war Korean Society. Sohn`s story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in the post war Korean Society. This paper studies Sohn`s early novels. I have studied the about the relationship Characters and Korean Society in post war. female characters in his novels are two types. The first is the type of victim. The second is the type of villainess. The two types of female characters reflects the Korea Society of post war. He creates a feeling of melancholy through two types of female characters. the feelings of melancholy have shown Korean Society of post war. short stories of Sohn Chang Seob is Representation of the post war Korean Society through the characters.

      • KCI등재

        이어령의 일본문화론과 전후세대의 식민주의적 무의식

        전성욱(Jeon, Seong-Wook)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5

        본 논문은 전후세대로 분류되는 이어령의 일본문화론을 통해 포스트식민주체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어령과 같은 전후세대는 식민지 통치와 한국전쟁이라는 두 개의 집단적 체험이 그들의 주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중언어 상황에 놓였던 식민지 경험은 그들의 언어적 무의식에 깊은 흔적을 남겼으리라 추정된다. 이어령의 방대한 글쓰기는 식민통치와 전쟁이 가한 폭력성에 대한 일종의 환상적 저항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주체의 형성에 관한 사사키 아타루의 논의를 빌려 이어령의 주체형성을 둘러싼 복합적인 맥락들을 추적한다. 그의 한국문화론과 그 거울상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문화론에 내재하는 그의 자아상(주체성)을 탐색해 본다. 여기서 중요한 개념이 ‘절대적 향락’에 대비되는 ‘합법적 향락’이다. 쉽게 말해 이어령의 글쓰기는 겉으로 저항을 말하고 있지만, 대단히 체제적이고 탈정치적이다. 그의 한국문화론은 탈농경시대, 산업화시대로 가는 한국의 근대화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거기에는 미개발의 조국에 대한 모종의 콤플렉스가 작동하고 있다. 그 콤플렉스의 합리화와 탈정치성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일본문화론에는 포스트 식민주체의 복잡성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는 단서들이 있다. 그의 일본문화론에 대한 연구는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비롯한 여러 저술과 대담을 대상으로 한다. 트랜스내셔널한 기억공간에서 벗어나 내셔널한 주체되기의 과정을 살펴본다. 더불어 이어령의 기호학적 방법론이 갖고 있는 탈정치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기의 이어령에게서 확인할 수 있는 지속과 변화의 지점을 확인해 본다. 먼저 그의 사상적 지향점의 이동이 확인된다. 서구적 근대에서 아시아적 포스트모던으로의 변화가 그것이다. 그럼에도 여전이 일관되는 것은 가치중립성이며 탈정치성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ost-colonial identity of the postwar generation using the Japanese culture theory by Lee O-Young. In the postwar generation, such as that of Lee, the two collective experiences of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people’s subjectivity. In particular, the colonial experience and the bilingual context it presented is thought to have left a deep trace in their linguistic unconsciousness. Lee’s extensive writings formed resistance to the violence of colonial rule and war. This paper borrows from Sasaki Ataru"s discussion of his self-image (subjectiveness) inherent in his theory of Korean culture and Japanese culture, that is, the mirror image. His theory of Korean culture is deeply connec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 in the post-farming and industrialization eras. He argues that there is for the undeveloped country.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ization and of the complex can be confirmed. In his theory of Japanese culture, there are clues about the complexity of post-colonial subjects. His research on the theory of Japanese culture focuses on writings and talks which are oriented.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becoming a national subject transnational memory space. In addition to that, we can also assert the depolitical significance of Lee"s semiotic methodology.

      • YACC을 이용한 속성문법 처리

        전성욱(SungWook Jeon),김정훈(JungHoon Kim),장천현(ChunHyon Chang)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CFG를 기본으로 한 LR파서인 YACC은 구문분석 도구로써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YACC은 자료의 하향전달이 어렵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용지식이 필요한 별도의 처리가 요구된다. 이를 자료 전달의 표현이 편리한 속성문법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속성 문법의 적용은 사용자가 자료전달에 있어 하향이든 상향이든 관계없이 편리하게 표현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전달하는 처리는 모두 자동화하므로써 불필요한 오버헤드(over head)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컴파일러 작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이런 자동화 처리를 YACC 전처리기에 형태로 만들어 이용하므로써 기존의 YACC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 KCI등재

        비평으로서의영화, 영화적주석(註釋)으로서의메타시네마

        전성욱(Seong Wook Jeon) 동남어문학회 2022 동남어문논집 Vol.1 No.53

        이 논문은 ‘문학 매체의 변용과 스토리텔링’이라는 관점에서 구상되었다. 비평이라는 전통적 글쓰기의 형식이 영화라는 시각 매체를 통해 구현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임권택과 그의 영화세계를 다룬 정성일의 다큐멘터리 <녹차의 중력>과 <백 두 번째 구름>이다. 이 영화들을 ‘메타시네마’의 개념을 통해 필름으로 구현한 비평(임권택론)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구해보았다. 정성일은 비평가로 활동하며 영화를 직접 연출한 감독이다. 그러나 그는무엇보다 영화에 대한 진지한 사랑을 적극적으로 표현해왔던 ‘시네필’이다. 그래서 그가 쓴 비평과 그가 연출한 영화에는 시네필의 ‘자의식’이 강렬하게 표출되어 있다. 정성일은 영화를 사랑하는 가장 적극적인 방식이 그 영화(대상텍스트)가 제기하는 질문에 응답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에게 영화의 존재론에대한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 것이 임권택이라고 했다. 정성일은 임권택에 대한 작가론 단행본을 기획하였고, 방대한 분량의 인터뷰와 비평작업을 수행하였고, 마침내 영화라는 형식 그 자체로써 임권택의 영화가 제기하는 질문을 비평적으로 성찰하게 되었다. 정성일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서 수행하는 비평작업은 ‘자기 반영성’의 영화에 대한 고다르의 심오한 작업들에서 크게 영향을 받았으리라 추정된다. 그에게서 영화는 단지 여러 예술 장르 중의 하나가 아니다. 정성일에게 영화는어떤 존재론적 ‘물음’을 통해서 자기를 확인하는 실존적인 자기 증명의 매개체라고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정성일에게 고다르와 임권택은 그와 마찬가지로 강렬한 영화사랑을 바탕으로 실존적 자기 확인을 실천한 선배이자 선생이었다. 여기서 다룬 두 편의 영화 <녹차의 중력>과 <백두 번째 구름>은 메타시네마적 성찰이라는 고다르적 방법을 통해서 임권택의 영화 현장에서 얻어낸 존재론적 질문과 그 해답의 천착을 다루고 있다. 본고는 그것을 시대사의 흐름이라는 통시적인 관점이 아니라 비평을 통한 실존적 성찰이라는 공시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 비평적 ‘성찰’을 공부(工夫)와 교양(敎養)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배움과 깨달음의 학교로서의 ‘현장’에 대한 정성일의 뚜렷한 자의식을 확인한다. 그리고 그것이 본 논문에서 다루는 두 텍스트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 정성일이 필름을통해서 수행한 비평으로서의 메타시네마적 특성과 의미가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영화라는 매체이지만 활자를 적극 활용한다든가, 인쇄 매체로 출간된텍스트를 즐겨 인용하는 특징들이 드러난다. 그리고 연출의 현장을 엄밀하게관찰함으로써 도출하는 영화에 대한 앎과 깨우침의 과정을 주관적인 감수성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메타시네마로서의 비평은 정성일이 글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표현할 수 없었던 ‘현장’의 생생함을 자기의 주관적 감성으로써 포착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was submitted as one of the planned topics of 'Transformation of Literary Media and Storytelling'. The aspect of how the form of writing called criticism is realized through the medium of film was reviewed. The subject of review is <The Gravity of Green Tea> and <The Hundred Second Cloud>, a documentary by Jeong Seong-il, which deals with Im Kwon-taek and his film world. Through the concept of 'meta cinema', these films were analyzed as a critique and their meaning was explored. It is presumed that the critical work performed by Jeong Seong-il through the medium of film was greatly influenced by Godard's profound works on films of 'self-reflection'. As two teachers and pioneers who awakened Jung Sung-il to the most intense awareness of the ontology of cinema, we examine his influence on Godard and Im Kwon-taek. This thesis confirms Jung Sung-il's clear self-consciousness about the 'field' as a film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kung fu (工夫) and culture (敎養). And how it is reflected in the two texts dealt with in this paper was reviewed. In this part, the meta-cinema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a critique performed by Jung Sung-il through film were intensively discussed. Although it is a medium of film,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ly using type and quoting texts published in print media are reveal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knowing and awakening about the film derived by strictly observing the production site is expressed with subjective sensitivity.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ritique as a meta-cinema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apturing and expressing the vividness of the 'field' that could not be expressed through the medium of writing through his subjective emotions.

      • KCI등재

        경제인문사회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생산성 변화 분석

        전성욱(Jeon, Seong-Wook),김성종(Kim Sung-J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논문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2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2006년도부터 2010년도까지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 고 생산성 변화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DEA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중 연구기관의 평균 생산성은 6.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효율성 변화와 기술변화로 나누어 본 결과, 효율성은 평균 4.7% 향상되었지만 기술변화율이 평균 10.8%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기간 중 정부출연연구기관 의 구조조정과 경영합리화에 대한 외부 압력이 높았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추격효과로 해석되는 효율성 향상은 내부적 경영 합리화의 긍정적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기술변화율의 하락은 전체적인 생산성 저하에 영향을 주고 있어, 향후 급변하는 외부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핵심 연구인력 확충, 연구개발비 확대, 연구개발방식 변화 등 연구개발 기능 강화를 통한 기술진보 를 도모해야 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개별 연구기관들도 생산성변화의 원인이 효율성변화인지 기술변화인지를 파악하여 내부 경영합리화 또는 연구개발 강화 등의 발전전략을 수립하여 생산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changes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for Economics &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rom Malmquist total factor productivity index analysis, the average productivity decreased 6.5% between 2006 and 2010.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technical efficiency increased 4.7% annually while the technology change rate decreased 10.8% on average. Under pressure for innovation from the outside, research institutes responded to managerial efficiency improvement, which lead to increases in technical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of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they must pursue technological advances by securing an outstanding research workforce, expanding the R&D budget, and changing the R&D method. Each institute must perceive the cause of an individual institute's productivity change,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increasing produ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