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6년 개정된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나타나는 청일·러일전쟁 서술 : 이쿠호샤(育鵬社)와 지유샤(自由社) 교과서를 중심으로

        전상원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0년대 이후, 일본의 역사교과서는 동아시아 국제사회에서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이러한 논쟁은 2001년 일본에서 우익이라 볼 수 있는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新しい歴史教科書をつくる会, 이하 새역모)’에서 펴낸 후소샤(扶桑社) 교과서가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후소샤의 교과서는 일본의 제국주의와 침략에 대해 미화했을 뿐 아니라 피해국에 대해 가해사실 축소·은폐하려 하였다. 이에 후소샤 교과서의 검정통과는 한국뿐 아니라 주변국가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년까지 후소샤 교과서는 큰 문제없이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하였다. 그러나 새역모 계열의 집필진이 이쿠호샤(育鵬社)와 지유샤(自由社)로 이동하여 역사교과서 집필을 계속하였다. 이와 같은 일본 역사교과서에 대한 기존연구는 2000년대부터 2010년대에 집중되었다. 이 연구들은 대부분 새역모의 후쇼샤 교과서 서술의 객관성과 그들의 역사인식을 살펴보는 분석이 주류였으며, 그외 교과서에 나타난 역사인식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일본 역사교과서의 역사인식에 대한 연구는 2010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새역모 계열의 역사교과서가 역사적 사실을 은폐하거나 축소시키는 서술로 돌아서면서, 비판을 받는 오류가 적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본의 역사인식이 변화한 것이 아니라 단지 서술방식만 바뀐 것이기 때문에 일본 역사교과서는 지속적으로 연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의 일본 역사교과서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 중, 2016년부터 사용되는 새역모 계열의 이쿠호샤와 지유샤의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를 기준으로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살펴볼 것이다. 본고에서는 내용상으로 한국과 일본의 의견차가 가장 큰 근현대시기의 전쟁인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이 두 사건에 대해 역사교과서에 나타나는 서술 내용을 분석하고, 그 내용이 타당한지 고찰하고자 한다. 나아가 교과서의 서술상 오류 혹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축소가 있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분석을 통해 일본의 역사인식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전상원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important to help social workers who plan and provide service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o feel sense of self-efficacy continuously through job satisfaction. Social welfare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the human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or family with problem and social worker providing that the goal of social welfare is to provide effectively the most suitable service to clients.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succes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depends on securing talented manpower and keeping sense of self-efficacy effectively. In this perspective,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for securing the expertise of social workers and providing high-quality service. Thus, I tried to find ways to contribute to improving sens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by using Bandura's(1977) motivative factor and cognitive factor as the measure for the sense of self-efficacy in social workers' personal perspective who are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institutions in Geonggi province and by using Lawler's(1973) 4 satisfaction factors such as work contents, compensation system, human relationship and work environment as the measure for job satisfaction in organizational perspective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in the field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in Geonggi province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of sense of self-efficacy of social workers were high and motivational factor played stronger role than cognitive factor among subordinate factors and work contents played the highest role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human relationship, work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system.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Men had higher level of sense of self-efficacy than women and in terms of age, social workers in their 50s had the highest level of sense of self-efficacy followed by people in their 40s and people with age of 60 and more showed low level of sense of self-efficacy. It is considered that older workers have higher level of sens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ecause they became used to their job and have stable position at the work.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seemed to be more satisfied and it is necessary to make work environment appropriate for their academic background considering that most social workers are college graduates and their expertise are needed. Third, it was conclud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ens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y factors was very hig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factors of sens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relation between factors, such as motivational and cognitive factors of sense of self-efficacy and relationship, work contents, work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system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s relatively high.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by factors, it was concluded that social recognition had highest influence followed by relationship with senior and colleagues, relationship with client, work contents, work environment, chance for promotion, employe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salary. This agrees with the research result that the higher sense of self-efficacy, the higher job satisfaction is. I will suggest the following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First, it is needed to standardize the social welfare work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Second, It is needed to diversify compensation system for social workers and realize the compensation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work environment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Fourth, it is necessary for institutions to provide various programs to improve sense of self-efficacy. As a result, I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ens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social workers in Geonggi province even though the issue has been deal with in existing researches. The research provided a motive for suggesting direction for intervention and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sense of self-efficacy in the field by reviewing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sense of self-efficacy. In this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sense of self-efficacy had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or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thus there should be deeper research to improve sens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is result. 사회복지기관에서 복지서비스를 계획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직무만족을 통해 지속적으로 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유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의 목표가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때, 사회복지서비스는 문제를 가진 개인이나 가족과 사회복지사의 인간적 상호작용을 통해 전달된다. 따라서 사회복지기관에서의 복지기대감에 대한 성패는 유능한 인력확보와 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선상에서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확보와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기도내 사회복지시설․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사 개인적 관점의 자기효능감 척도로 반두라(Bandura, 1977)의 동기요인과 인지적 요인을 채택하였다. 또한 조직적 관점에서의 직무만족 척도는 라울러(Lawler, 1973)가 제시한 직무내용, 보상체계, 인간관계, 근무환경의 4가지 요인별 만족(fator satisfaction)으로 구분하여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 분석하여 사회복지조직내에서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로 경기지역의 사회복지시설․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수준에 대한 것으로 전반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은 높았으며, 하위요인 중에서 인지적요인 보다는 동기적 요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의 수준에서는 직무내용, 인간관계, 근무환경, 보상체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자기효능감이 높으며, 연령별로는 50대가 가장 자기효능감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40대가 높았고 60대 이상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연령이 많을수록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이 높은 것은 자신의 직무에 익숙해지게 되고 안정적인 위치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학력에 있어서는 고학력자가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사회복지종사자가 최근 대졸이상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강조되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학력에 상응하는 적합한 근무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요인별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는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각 요인과 직무만족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인지적요인과 동기적 요인, 직무만족의 인간관계와 직무내용, 근무환경과 보상체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직무만족에서는 사회적 인정, 상급자와 동료,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직무자체, 근무여건, 승진기회, 참여적 의사결정, 급여 순으로 직무만족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다고 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하겠다. 위와 같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제고하는 방안으로서 사회복지업무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상체계의 다양화와 현실화가 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조직차원에서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일부 다루어지기는 했지만 경기도내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자기효능감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함으로서 사회복지정책이나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개입과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 시설․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토대로 자기효능감 증진과 직무만족을 위한 보다 심화된 연구로 발전되기를 바란다.

      •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에 의해 증착된 태양전지용 ZnO:Al막막의 특성

        전상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하면서 전도성이 높은 투명전도막으로는 ITO(In2O3 :Sn), FTO(SnO2:F), ATO(SnO2:Sb),ZO(ZnO),AZO(ZnO:Al)등이 개발 되어 있다1). 이들의 응용분야로는 태양전지, Heat Mirror2), 평판 디스플레이, 광전소자, 가스센스3) 등으로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투명전도막 재료로는 ITO, FTO, intrinsic ZnO나 Al, In, Si, F 등으로 도핑한 ZnO막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ITO는 원료물질(Indium)이 고가이고, 수소 플라즈마에 노출되면 열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ZnO나 SnO2 등에 여러 가지 불순물을 첨가한 연구가 진해중이며 ZnO계열이 FTO, ITO막보다 plasma 내에서 화학적 안정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4). 특히, Al 도핑된 ZnO박막의 경우 넓은 밴드갭을 가진 n-type 반도체로서, 적외선 및 가시광선영역에서의 높은 투과성과 우수한 전도성을 가지며, 수소 플라즈마 노출에 안정하며, 고온에서 안정된 전기적 특성, 낮은 원가 등의 이점을 지녀 그 응용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5~9). 일반적으로 투명전도막의 투과도와 전기전도도는 제막법과 제막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ZnO을 기본으로 하는 투명전도막의 제조 방법으로는 열분무 코팅(spray pyrolysis coating)10), 광-유기금속 화학 기상 증착법 (photo-MOCVD)11), DC 와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12), ARE(Activated Reactive Evaporation)13)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중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법이 우수한 전기전도도를 구현 할 수 있는 최적의 증착 법으로 알려져 있다14~15). 태양전지는 그 효율이 실리콘 박막의 조건에 따라서도 좌우되지만 기판으로 사용되는 투명전도막의 계면특성 및 광학적 특성에 따라 효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ZnO 계열의 박막특성으로는 적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높은 투과도(> 80 %)와 낮은 비저항 그리고 p-i-n 구조에서 p층과의 낮은 접촉저항 등이 있고, 산란(scattering)에 의한 빛의 광학적 길이(optical path) 증가로 활성층(active layer)에서의 광흡수도 증가 및 입사광의 재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표면형상(morphology)의 제어도 중요하다. 이러한 표면형상 제어를 위해 HCl을 이용하여 표면을 거칠게 할 수 있다. 식각된 투명전도막 표면은 태양전지의 광학적 특성을 증가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며 특히 미세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에 중요하다. 왜냐하면, 실리콘을 기본으로 하는 박막들은 태양전지의 제조에 이용되는 다른 어떤 재료보다 낮은 흡수 계수를 가지며, 식각된 표면은 빛을 산란시켜 태양전지에 약하게 흡수된 빛의 평균 자유행로(mean free path)를 증가시켜 준다. 특히, 광학적 길이의 증가는 EHP(electron hole pairs)의 생성 확률을 증가시켜 태양전지의 단락전류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식각된 표면은 균일한 패턴의 분화구 형태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J. A. Anna 등에 의해보고 되었다16~17). 본 논문에서는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ZnO:Al막을 제조 하였다. 제조된 ZnO:Al막은 입자의 크기 및 결정성 그리고 입계구조 등과 같은 미세구조에 의해 그 물리적 성질이 크게 좌우되며 이는 기판온도, 증착압력(PAr) 그리고 스퍼터 power 등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기판온도(300℃~350℃), 증착압력(0.5 ~ 10 mTorr)등을 변화시켜 제조한 막의 전기적,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증착 후 1% HCl에 습식 식각 하여 표면 거칠기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광학적 특성을 개선시킨 multi-layer를 single-layer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식각된 ZnO:Al 막과 Asahi U-type SnO2:F 박막위에 제조한 a-Si:H, 식각된 ZnO:Al박막과 식각되지 않은 ZnO:Al막에서 제조한 μc-Si:H 그리고, 식각된 ZnO:Al박막과 Asahi U-type SnO2:F 박막을 투명전도막으로 사용한 각각 a-Si:H/μc-Si:H tandem 태양전지를 제조하여 태양전지 동작특성을 비교하였다

      • 不安 症狀을 同伴한 憂鬱症 患者에서 escitalopram vs. desvenlafaxine vs. vortioxetine vs. escitalopram과 aripiprazole의 倂合 間의 急性期 治療 效果 및 安定性 比較 : 無作爲配定, 評價者 盲檢, 6週 臨床 硏究

        전상원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 높은 불안 증상을 동반한 주요 우울장애 환자의 급성기 치료에서 escitalopram, desvenlafaxine, vortioxetine, escitalopram + aripiprazole 부가요법 간의 치료적 효과와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한 약물 대조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189명의 불안증상 (HAMA 14점 이상)을 동반한 주요 우울장애 (DSM5 진단과 HAMD 14점 이상) 환자들이 균등하게 4개의 약제 군으로 배정되어 6주간, 전향적, 평가자 맹검, 대조 연구가 진행되었다. 등록된 환자는 우울 및 불안증상을 포함한 전반적인 정신과적 증상에 대하여 6주간 총 4차례에 걸쳐 평가가 진행되었다 (0주, 2주, 4주, 6주). 연구결과 : 통계적 검증에서 모든 약제 (3군 비교 [E vs. D vs. V])와 요법 (2군 비교 [E vs. E+A])들은 불안 및 우울증상의 치료 반응율, 치료 관해율, 척도별 총점 감소, 시기별 증상 개선 정도에서 유사한 치료 효과를 보였으며, 신체화 증상, 기능, 삶의 질, 인지기능에서도 유의한 우위성이 있는 약제는 없었다. 개별적인 우울증상과 불안증상의 분석에서는 desvenlafaxine 이 타 약제들에 비해 신체 불안 (p=0.013), 건강염려증 (p=0.014), 심혈관계 증상, (p=0.005), 호흡계 증상 (p=0.013) 감소에서 더 우수하였다. 부작용 및 안정성 (safety) 부분에서는 모든 군이 유사한 부작용의 종류, 분포, 빈도를 보였으며, 단 치료 탈락율에서는 D 군이 유의하게 적었다. 결론 : 불안증상을 동반한 우울장애 환자에게서 E, D, V 모두 효과적이고 안정성이 높은 1차적 치료제로 선택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불안증상을 동반한 우울장애 환자에서 aripiprazole 의 부가요법은 치료 효과와 경제성 면에서 1차적 치료제로 추천되지 않는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escitalopram, desvenlafaxine, vortioxetine, and aripiprazole augmentation with escitalopram in the acute treatment of anxious depression. Methods : Patients (n=189) with DSM5 major depression and high levels of anxiety were evenly randomized to escitalopram, desvenlafaxine, vortioxetine, and aripiprazole augmentation with escitalopram in a six-week, randomized, rater-blinded, head to head comparative trial. Changes in overall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were assessed. Results : Patients demonstrated similar baseline-to-endpoint improvement in HAMD and HAMA total scores. Patients also demonstrated similar response rate and remission rate in HAMD and HAMA. In analysis of individual HAMD and HAMA items, desvenlafaxine had greatly reduced scores for anxiety somatic (p=0.013), hypochondriasis (p=0.014), cardiovascular symptoms (p=0.005), respiratory symptoms (p=0.013) compared to escitalopram or vortioxetine. Each treatment were well tolerate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escitalopram, desvenlafaxine, vortioxetine, and aripiprazole augmentation with escitalopram in this subtype of patients with anxious depression during the acute phase treatment.

      •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 of resin cements

        전상원 부산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보철물 합착재로써 레진시멘트의 구조적 일체성과 안정성이 중요한 바 그 일환으로 본 연구는 레진시멘트의 물흡수와 용해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5종의 레진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시료제작과 실험은 ISO 4049 규정을 따랐다. 제작된 시료는 온도가 각각 4, 37, 60℃인 실험용액과 pH가 각각 6, 4, 3인 용액에 담갔고, 시료에서 일어나는 물흡수와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을 통해서 얻은 값들은 통계처리 하였다. 1. 본 연구의 범위내에서 MC와 BC는 ISO 4049가 규정하는 최대치 (40 µg/mm3) 보다 많은 물흡수를 보인반면에 CA와 RX는 그보다는 적은 물흡수를 보였다. 2. 모든 레진시멘트의 물흡수는 용액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pH와는 이러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용해도의 경우 MA와 RX는 ISO 4049가 규정하는 최대치 (7.5 µg/mm3) 보다 적은 용해도 (60℃의 경우는 제외)를 보였다. MA를 제외하면 용액의 온도가 증가하면 용해도도 함께 증가하였다. 한편, pH의 경우 pH가 낮아지면 일부에서만 용해도가 선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 엘리엇의 음악하기(musicing)에 의한 수업지도방안 연구

        전상원 부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 due to the current educational conditions,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is being neglected. However, music education is one of the crucial educations across all the ages and countries of the worl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music through introduction, and examine teaching guide needed for actual music class through D. Elliott’s Musicing.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and ‘premise’ of Elliott’s practical philosophy, and discussed ‘Musicing’, ‘Musicianship’, and ‘Context in Musicing’ through an analysis of Music Matter. Then, it investigated Yeongsanhoesang, a topic of class, taryeong (traditional Korean ball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nso (short bamboo flute) needed to play taryeong. For teaching guide, each activity was made to coincide with musicing, and various methods were researched considering Musicing for students to approach difficult parts more easily. Based on the results, students would be able to build up their knowledge of music, improve Musicianship, and feel fun and satisfied with music class. Although education is given by teachers, those that stay at center of education should be students. Thus, it is necessary to make, do, and improve much effort, research, and ability to enhanc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ass. Accordingly, music class through Musicing will focus on students’ musical behaviors, arouse their interest, and become the foundation of music education with which they could develop Musicianship on their own.

      • 말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요인과 효율적인 말하기 수업활동 : 중학교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전상원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English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and focused on the enhancement of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skills since 2000 in Korea. However, it is true that the Korean English education has still conducted and emphasized on grammar or reading translation rather than communicative speaking skills. This study is therefo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ollowings in view of the students; First, are Middle Schools' English classes primarily focused on speaking skills and do the students regard speaking classes as essential and necessary ones? If so, how many hours of speaking classes a week are conducted at school? Second, What are the affective factors of English speaking skills? Third, What are some effective ways and methods to improve the students' speaking skills? To find out the results, 185 of the 2nd graders were participated in the written questionnaires including 32 questions in total. To analyze the results, SPSS (ver.17.0) was used to verify the data gathered from the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Students believe that speaking in English is necessary and essential because English has become very important under the globalization. However, only thirty minutes per week is only allocated for speaking by their English teachers. In According to the research, students do not speak as much as their strong motivations for speaking in English. The reasons why they are reluctant to speak in English are showed the anxiety about making a mistake especially students who belong to the lowest classes. Grades are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factors to have speaking competence. To make speaking classes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students want to have various speaking activities such as debate on a certain topic, group activity, pair work, watching soap dramas, etc. Based on these result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eachers should try to provide constantly the learner-centered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the classroom English to encourage students' practical English speaking. Additionally, levels are also reconsidered to customize the students' speaking levels and some factors which can be affected to speak out in the classroom.

      • 한국과 호주의 암반사면 특성 및 보강공법 비교에 관한 연구

        전상원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compa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ock cut slope and reinforcement methods between South Korea and Australia.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and acceptable reinforcement methods of rock cut slopes were investigate to compare the various features such as the climate, geological features, and rainfall between Korea and Australia. It shows that the climate, top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rocks in Korea are complicated and various, but these are monotonous in Australi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is reasonable to apply gradient mitigation method with circular failure; rock bolt method with plane and toppling failures; and Rock bolt and/or rock anchor methods with wedge failure for application of reinforcement method at rock cut slope. It shows that predominating failures type at 9 sites of rock cut slopes in this study are locally plane failure, and the best treated method considering to financial, safety and construction aspect may be rock bolt with locally reinforcement. It is also very important that reinforcement method should be applied after adjustment of the limit equilibrium state(LES, Fs≒1) of cut slope using gradient mitigation method in the case of a safety factor of originally designed cut slope is less than LES. Finally, the reinforcement methods in Australia are mainly constructed using the Rock Bolt and shotcrete methods monotonously. However, the various reinforcement methods should be needed in case of the abnormal changes of weather many earthquak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etc in the future. Because the rocks may be weathered partially and/or completely these environmental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