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제3자에 대한 반소의 적법성 - 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4다235042, 235059, 235066 판결 -

        전병서1 ( Chon Byungseo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7

        대상판결(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4다235042, 235059, 235066 판결)은 피고가원고 이외의 제3자도 추가하여 반소피고로 하는 반소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하고, 다만 피고가 제기하려는 반소가 필수적 공동소송이 될 때에는 민사소송법 제68조의 필수적 공동소송인 추가의 요건을 갖추면 허용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제3자에 대한 반소의 적법성에 관한 첫 번째 대법원 판결로 그 의의가 크다. 다만, 본 글에서는 대상판결의 사안과 같이 필수적 공동소송 관계가 아닌 경우의 제3자에 대한 반소를 부적법으로 본 대상판결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범위를 좀더 넓게 허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소송의 소극적 당사자의 지위에 몰리게 된 피고로서는 사안에 따라 수동적 입장에서 오히려 주도적 입장으로 전환하여 본소와 무엇인가 관련관계에 있는 제3자에 대하여 반소를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Supreme Court Decision No. 2014 Da 235042, 235059, 235066 rendered on May 29, 2015 (Decision) holds that a defendant, in principle, may not file a counterclaim against any third party, in addition to a plaintiff. It also states, however, that if a counterclaim to be instituted by the defendant constitutes a mandatory joint action, such counterclaim may be permitted upon satisfaction of the requirement for addition of a mandatory joint litigant under Article 68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e Decision is of great significance since it is the Supreme Court``s first ruling on the lawfulness of a counterclaim against a third party.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Decision which finds a counterclaim against a third party illegal when it is not a mandatory joint action as in the case subject to the Decis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cope of a lawful counterclaim against a third party should be broadened. It also emphasizes that a defendant, who passively became a party to litigation, should be allowed to shift to a proactive stance according to relevant circumstances and file a counterclaim against an appropriate third party related to the original claim in any manner whatsoever.

      • KCI등재후보

        파산선고시 현존액주의와 물상보증인의 일부변제의 취급

        전병서(Chon Byungseo) 한국법학원 2006 저스티스 Vol.- No.95

        채권의 전액을 신고한 채권자가 파산선고 후에 물상보증인 등으로부터 채권의 일부의 변제 등을 받은 경우에 그 채권자 및 물상보증인 등은 각자 파산절차에 있어서 어떠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가 하는 해석 문제에 대하여 처음으로 하급심 재판례(서울남부지방법원 2005.1.14. 선고 2004가합 9603 판결)가 나온 바 있으므로 이를 기회로 관련 규정들이 의미하는 바를 검토하였다. 일본에서는 그 동안 논의가 분분하다가 2002년 최고재판소 판례 및 2005년 시행의 신파산법에 의하여 일단 결말을 보았는데, 우리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서는 회생절차에 있어서는 일본 신파산법과 마찬가지 내용으로 규정을 바꾸었지만, 반면 파산절차에 있어서는 종전 그대로 이에 대하여 분명히 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앞으로 파산절차에 있어서도 이를 분명히 할 것을 주장하였다.

      • KCI우수등재

        이해의 대립 내지 상반된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에게의 보충송달의 효력 - 대법원 2016. 11. 10. 선고 2014다54366 판결 -

        전병서 ( Chon Byungseo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3

        추심금청구의 소에서 법원은 피고의 본점 소재지로 소장부본, 판결정본 등을 송달하였고, 채무자인 피고의 사무원이 위 장소에서 위 소송서류를 수령하였다. 그러나 이를 피고의 대표이사에게 전달하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사안에서 대법원2016. 11. 10. 선고 2014다54366 판결(대상판결)은 우선 송달받을 본인과 사무원 등의 수령대행인 사이에 이해의 대립 내지 상반된 이해관계가 있는 때에 보충송달로서의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는 취지를 밝힌 뒤, 그리고 위 경우에 법원이 소송서류 및 판결정본을 보충송달의 방법으로 송달한 것은 부적법하고, 이에 따라 항소기간은 진행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위 사안과 같은 경우에 보충송달의 효력에 관한 최초의 판례로, 이후 위 판례는 리딩케이스로서 실무상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이에 대해 필자 나름의 별개의 이론적 전개, 즉위 보충송달은 유효이고, 그 구제수단으로 재심을 검토하였다. In a suit for collection against a third party obligor, the competent court served a duplicate of the complaint, the original copy of its decision and the like on the defendant (debtor) at its principal place of business. A clerk of the defendant received those litigation documents at the place above, but did not deliver them to its CEO. Regarding this case, Supreme Court Decision No. 2014 Da 54366 rendered on November 10, 2016 holds that the effect of substituted service is not acknowledged if the principal and its clerk (agent for service) have conflicting or divergent interests. The ruling specifically states that the court`s substituted service of the litigation documents and the original copy of its decision is unlawful, thereby precluding a period for filing an appeal. This constitutes the first judicial precedent in Korea on the effect of substituted service, which, as a leading case, is expected to greatly affect practical legal affairs.

      • KCI등재후보

        督促節次의 改善에 관한 약간의 검토

        田炳西(Chon Byungseo)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07 法學論文集 Vol.31 No.1

          According to a Statistical Yearbook of Justice, demand procedure occupied 20.8% of civil cases in 2005. Although, the demand Procedure seized considerable rate, practical and theoretical concern was indifferent to it all the while.<BR>  However, the demand procedure has a number of issues to be researched in order to act effectively and adequately in judicial procedure.<BR>  This study andlyzes legislative history of the demand procedure in Germany and Japan as these countries" respective procedures have influenced our procedure.<BR>  After examining the latest revision of our demand procedure in that order, I suggest the proposal of improvement of the demand procedure.

      • KCI등재

        일본의 파산법 동향 : 최근 우리 파산절차 개정 관련 쟁점을 중심으로

        전병서(Byungseo Ch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09 비교사법 Vol.16 No.3

        There are four insolvency proceedings in Japan ① Bankruptcy under the Bankruptcy Law ② Special liquidation under the Commercial Code ③ Corporate reorganization under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Law ④ Civil rehabilitation under the Civil Rehabilitation Law, formerly the Composition Law These insolvency proceedings had not been materially revised since 1927, while the economic and social circumstances in Japan had changed radically. Against this background, since October 1996, the Ministry of Justice has been discussing reforming the entire insolvency regime. As a result, the Civil Rehabilitation Law, the Rehabilitation Proceedings for Individual Debtors(amendment to the Civil Rehabilitation Law), the Law relating to Recognition and Assistance for Foreign Insolvency Proceedings, and the amendments to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Law have been enacted. The recent revision of the Bankruptcy Law(including the substantive insolvency laws) and the Commercial Code are characterized as the final step of a decade of revising the entire insolvency regime. This paper has reviewed the trends of the bankruptcy procedure in Japan.

      • 제3자에 대한 반소의 적법성 - 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4다235042, 235059, 235066 판결 -

        전병서 ( Chon Byungseo ) 법조협회 2016 최신판례분석 Vol.65 No.7

        대상판결(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4다235042, 235059, 235066 판결)은 피고가원고 이외의 제3자도 추가하여 반소피고로 하는 반소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하고, 다만 피고가 제기하려는 반소가 필수적 공동소송이 될 때에는 민사소송법 제68조의 필수적 공동소송인 추가의 요건을 갖추면 허용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제3자에 대한 반소의 적법성에 관한 첫 번째 대법원 판결로 그 의의가 크다. 다만, 본 글에서는 대상판결의 사안과 같이 필수적 공동소송 관계가 아닌 경우의 제3자에 대한 반소를 부적법으로 본 대상판결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범위를 좀더 넓게 허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소송의 소극적 당사자의 지위에 몰리게 된 피고로서는 사안에 따라 수동적 입장에서 오히려 주도적 입장으로 전환하여 본소와 무엇인가 관련관계에 있는 제3자에 대하여 반소를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Supreme Court Decision No. 2014 Da 235042, 235059, 235066 rendered on May 29, 2015 (Decision) holds that a defendant, in principle, may not file a counterclaim against any third party, in addition to a plaintiff. It also states, however, that if a counterclaim to be instituted by the defendant constitutes a mandatory joint action, such counterclaim may be permitted upon satisfaction of the requirement for addition of a mandatory joint litigant under Article 68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e Decision is of great significance since it is the Supreme Court``s first ruling on the lawfulness of a counterclaim against a third party.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Decision which finds a counterclaim against a third party illegal when it is not a mandatory joint action as in the case subject to the Decis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cope of a lawful counterclaim against a third party should be broadened. It also emphasizes that a defendant, who passively became a party to litigation, should be allowed to shift to a proactive stance according to relevant circumstances and file a counterclaim against an appropriate third party related to the original claim in any manner whatsoever.

      • KCI등재
      • 이해의 대립 내지 상반된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에게의 보충송달의 효력 - 대법원 2016. 11. 10. 선고 2014다54366 판결 -

        전병서 ( Chon Byungseo ) 법조협회 2017 최신판례분석 Vol.66 No.3

        추심금청구의 소에서 법원은 피고의 본점 소재지로 소장부본, 판결정본 등을 송달하였고, 채무자인 피고의 사무원이 위 장소에서 위 소송서류를 수령하였다. 그러나 이를 피고의 대표이사에게 전달하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사안에서 대법원 2016. 11. 10. 선고 2014다54366 판결(대상판결)은 우선 송달받을 본인과 사무 원 등의 수령대행인 사이에 이해의 대립 내지 상반된 이해관계가 있는 때에 보충송 달로서의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는 취지를 밝힌 뒤, 그리고 위 경우에 법원이 소송서류 및 판결정본을 보충송달의 방법으로 송달한 것은 부적법하고, 이에 따라 항소기간은 진행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위 사안과 같은 경우에 보충송달의 효력에 관한 최초의 판례로, 이후 위 판례는 리딩케이스로서 실무상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이에 대해 필자 나름의 별개의 이론적 전개, 즉 위 보충송달은 유효이고, 그 구제수단으로 재심을 검토하였다. In a suit for collection against a third party obligor, the competent court served a duplicate of the complaint, the original copy of its decision and the like on the defendant (debtor) at its principal place of business. A clerk of the defendant received those litigation documents at the place above, but did not deliver them to its CEO. Regarding this case, Supreme Court Decision No. 2014 Da 54366 rendered on November 10, 2016 holds that the effect of substituted service is not acknowledged if the principal and its clerk (agent for service) have conflicting or divergent interests. The ruling specifically states that the court`s substituted service of the litigation documents and the original copy of its decision is unlawful, thereby precluding a period for filing an appeal. This constitutes the first judicial precedent in Korea on the effect of substituted service, which, as a leading case, is expected to greatly affect practical legal affairs.

      • KCI우수등재

        화상공증제도의 도입에 관한 검토

        전병서 ( Chon Byungseo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8

        새롭게 도입된 전자공증제도가 그다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로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을 것이나, 그 가운데 하나는 공증인을 직접 대면하여야 한다는 요건과 관련하여 촉탁인이 반드시 공증인 사무소에 출석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전자공증이 일반공증과 그다지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즉, 공증의 모든 프로세스가 온라인상으로 사이버공간에서 완결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용자 측에서 본다면, 전자문서를 온라인으로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결국은 공증의 직접 대면성 때문에 공증인 사무소에 출석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번잡하고 불편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공증인과 촉탁인의 대면 요건과 방식을 완화하거나 변형하는 차원에서 영상의 실시간 쌍방향 전송기술을 이용한 화상공증제도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The electronic notarization system recently introduced in Korea is not being actively used for several reasons. One of the reasons is that a client must visit a notary office, which means that the requirement for a face-to-face meeting with a notary public applies both for electronic and non-electronic notarization. Considering users` expectations that all processes of notarization will be completed online, they are likely to find it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ultimately visit a notary office for a face-to-face meeting while they are allowed to upload electronic documents onlin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s possible introduction of the video(remote) notarization system utilizing real-time bi-directional image transmission technology in a bid to relax or modify the requirement and method of a face-to-face meeting between a notary public and a client.

      • KCI우수등재

        자(子)의 인도청구의 집행방법에 관한 연구

        전병서 ( Chon Byungseo )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3

        친권자에 의한 子의 인도청구의 강제집행을 어떠한 방법에 의하여 행할 것인가에 대하여 현행 민사집행법상 명문 규정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子의 인도청구를 어떠한 강제집행의 방법에 의할 것인가를 검토한 것이다. 우선 子의 인도에 관한 집행방법에 관한 현재의 상황을 개관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최근 상당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는 일본의 입법적 작업을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최근 국회에 제출된 가사소송법 개정법률안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전제로 子의 인도집행의 특성에 비추어 子의 이익이나 복지에 충분한 배려를 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그 규율의 정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The Civil Execution Act in force contains no provision on how to enforce a request for child handover made by a person with parental authority.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possible enforcement methods regarding a request for child handover. This study firstly provides a brief look at the current situation concerning how to enforce child handover in order to identify any outstanding issues. Then, it introduces the ongoing legislative process in Japan which has been subject to intense debate recently. Lastly, it analyzes the bill on amendment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recently submitted before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Based on this, the study shed lights on possible overhaul of applicable law, given that children’s interests and welfare deserve sufficient consideration in light of the unique features of child handover enfor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