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想蘊의 인지과정 고찰

        전미옥 한국불교학회 2011 韓國佛敎學 Vol.59 No.-

        The human existence coming in sight or mind out of hiding appears by experience, the direct relation of process forming this experience is cognition process. In Buddhism, we call this cognition process Saññākkhandha(想蘊), therefore, the writer is going to analize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meaning in Saññākkhandha(想蘊). In the early Buddhism, the Saññākkhandha(想蘊) works on our perceiving the world we are living, through forming an image of an object, we express it again in a symbol or other form and the Saññākkhandha(想蘊) works on making an abstract concept. And it works on ideating the concept or thought made by such cognitive behavior. Accordingly, we can find the Saññākkhandha(想蘊) make us cognize many objects in many differen ways. Thus, it turns out the fact that through analysing the human experience by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Saññākkhandha(想蘊), in the cognitive circularity, only experienced self is functioning, there is no metaphysical self. It is impossible to find out the substantial 'self' anywhere in the process of cognition. That is to say; the cognitive circulation of repeated turning up of experience shows distinctly there is no self, there is only self existing insubstantially in the only experience. And as analyzing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Saññākkhandha(想蘊) signifies, in fact, what we know, 'self' is forming in the cognitive precess of the Saññākkhandha(想蘊), it is a wrong conception formed by the perception and notion polluted by delusion. It is only an insubstantial, imitated morphosis. The truth is that it is only a form of 'selflessness'. 인간의 존재를 이루고 있는 것은 경험이며, 이러한 경험을 만들어내는과정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것이 인지과정이다. 이런 인지과정을 불교에서는 想蘊이라고 부를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상온에 담긴 인지과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초기불교에서 상온은 우리가 사는 세계를 지각하는 작용을 하고, 取像을 통하여 대상을 상징이나 다른 형태로 재표현 하거나 추상화하는 表象작용을 하며, 이러한 인지작용에의해 만들어진 개념이나 생각을 관념화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상온은대상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인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인간의 경험을 상온의 인지과정으로 분석함을 통해서, 인지의순환성 속에서는 경험적인 자기가 기능할 뿐, 형이상학적인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밝혀진다. 인지의 과정 그 어디에서도 ‘자아’라는 실체는찾을 수 없다. 다시 말해 경험의 계속적인 출몰의 인지적 순환은 명백하게자아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오직 경험 속에서만 가립하고 있는 ‘나(我)’가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상온의 인지과정 분석이 함축하는 바는, 자아라고 알고 있는것이 사실은 상온의 인지과정에서 생성되고 ‘희론(망상)에 오염된 지각과관념’에 의해서 만들어진 잘못된 관념으로서, 실체성이 없는 가립태일 뿐이고 결국 無我일 따름이라는 점이다.

      • 공동운명체-파트너와 라이벌

        전미옥,Jeon, Mi-Ok 대한간호협회 2007 대한간호 Vol.46 No.2

        대한민국 VS 일본, 코카콜라 VS 펩시, 나이키 VS 리복, 삼성 VS 소니. 빌 게이츠 VS 스티브 잡스. 어떤 분야에서든 'VS'를 사이에 둔 라이벌의 관계는 오랜 세월 그 둘을 바라보는 구경꾼들에게는 참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를 제공한다. 오랜 세월 강자로 군림했던 한쪽이 팽팽하게 접전을 벌이던 라이벌의 추격을 따돌리지 못하고 역전당하는 사례가 종종 일어날 때는 내 기업, 내 나라, 나와 관련된 사람이 아닌데도 화제의 진원이 되는 곳을 흥미진진하게 바라보게 된다. 그렇다면 라이벌은 독일까? 약일까? 라이벌은 라이벌로서 경쟁만 하다가 마는 사이일까? 전격적으로 파트너가 되는 길은 없을까? 라이벌 사이에서 긍정적인 관계는 어떻게 형성될 수 있을까?

      • Life & Communication - 협업이 수라상을 차린다!

        전미옥,Jeon, Mi-Ok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7 TTA저널 Vol.170 No.-

        인간은 왜 모여서 살까? 서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혼자 모든 것을 다 하면서 살 수는 없다. 개인의 경제활동이 그러한데 기업의 경제활동도 마찬가지다. 서로 경쟁할 때가 많지만 경쟁사끼리도 때로 손을 잡아야 할 때도 있다. 서로 서로 좀 더 큰 이익을 창출해 나누기 위해 손을 잡는 '전략적 제휴'는 예전부터 있어왔지만, 이제 기업환경은 일시적 제휴가 아닌 지속적 성장 가능성을 내다본 협업이 대세다.

      • 연약지반상 보강성토 설계용 안정관리 프로그램개발

        강연익,임종철,전미옥 釜山大學校 都市問題硏究所 1999 都市硏究報 Vol.7 No.-

        선행재하공법은 압밀에 의해 침하를 발생시켜 구조물에 유해한 침하를 미리 끝나게 하여 잔류침하를 방지하고,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켜서 구조물 기초지반의 전단파괴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선행재하공법을 위한 성토시 연약지반의 강도가 대단히 약해서 재하 하중에 의해서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과도한 성토를 할 경우 활동파괴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활동파괴를 미연에 방지하고 공기 단축의 목적으로 보강토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보강토 공법은 성토체내에 보강재를 매설하여 시공함으로써 전단강도를 증가시켜 활동파괴에 대한 안전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보강재력은 극한 인발력에 일정한 안전율을 나누는 방식으로 구하고 있지만 이 값은 보강재력을 과대 평가하게 되어 불안전측 설계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 성토시 적절한 보강재 위치를 결정하여 흙과 보강재의 상대변위에 의해 발생된 보강재력을 구하였다. 이는, 변위에 의해 발생한 보강재력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인장력을 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이 값을 보강재에 의해 증가된 저항모멘트 항으로 고려하여 보강성토시의 안전율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REAP)은 연약지반상 성토설계시의 안성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Preloading method is used to prevent structure from hurtful settlement of ground an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ground by consolidation. Then, the strength of soft clay ground is very low. So, the excessive displacements occur in this kind of soil layer during loading. Sometimes, this displacement will be able to make slope sliding of embankment. One of the method to prevent from failure and to decrease the construction period in embankment if earth reinforcing method. Reinforced embankment increases in shear strength of ground by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which is installed in embankment. So, the safety of slope stability will increase by soil reinforcement. By using reinforced embankment analysis program (REAP), following facts can be obtained ① Determine location of geotextile. ② Calculate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by displacement at an intersecting point of sliding surface. In ordinary method, the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is obtained bγ dividing the ultimate tensile stress by safety factor. This method does not have enough safely, because the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is overestimated. In this paper, tensile strength is calculat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 of displacement. ③ Calculate increment of resisting moment from tensile of geotextile. ④ Stability control of reinforced embank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