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과서에 재현된 노인에 관한 연구

        전미경(Mi-Kyung Jun),김정현(Jeong-Hyun Kim)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과서에 '노인'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교과서의 내용이 국가의 관리아래 발행되는 현행 교육제도에서 교과서는 우리 사회에서 보편타당하다고 여겨지는 노인에 대한 통념을 읽을 수 있는 유용한 장(場)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 <수학>, <도덕>, <사회>, <실과>, <체육> 교과의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77권의 교과서를 담론 분석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은 한복, 쪽진 머리, 수염, 보따리와 배치되었다. 둘째, 학습주제가 전통, 친절ㆍ봉사ㆍ돌봄, 통일과 이산가족, 가족윤리ㆍ전통윤리일 때 노인이 자주 등장하였다. 그러나 공중질서나 공중위생 등 시민윤리를 설명하는 장면에 노인은 없거나 소수만이 등장하였다. 또 노인의 물리적 공간은 주로 양로원과 노인정, 시골로 나타났고, 시간적 공간은 과거와 함께 배치되었다. 이러한 배치는 노인을 초등학생과 뚜렷한 경계를 지닌 비일상적이고 수동적 존재로 만들었다. 또 노인의 개인적 경험이 드러나지 않아서 노인은 획일적 집단으로 묘사되었다. 교과서의 노인에 대한 이러한 배치는 우리사회의 노인에 대한 통념이 반영된 결과이다. 노인을 이해하고 노인과의 소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노인이 공경 받고 돌봐야 할 존재로만 재현될 것이 아니라 노인의 경험과 관점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이 교과서에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ways of representation of the elderly in elementary textbooks. By virtue of the mechanism of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under the control of government, the national textbooks tend to embody the stereotypes on the old people in Korean society.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discourses on the elderly which appear in 77 textbooks(from the first grade to sixth grade). In the first place, the elders usually wear Korean traditional old-fashioned clothes. Second, the elderly often appear when the aim of the lesson is learning 'Korean tradition'. Third, the old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the subjects such as 'kindness,' 'reverence,' 'caring'. Fourth, old people are mostly buried in grief over their family members who were dispersed and separated in Korean War. Fifth, while they are mostly associated with family obligations and traditional moral codes, the elders are not mentioned in the discourses on the public morals or the public hygiene. Sixth, the elderly are represented to live in the countryside, not in the cities. As a result, the elementary schoolbooks tend to regard the elders as passive in everything and remote from the ordinary living, thus making them totally different from the young people. In additi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are also excluded from their representation, which reproduces the stereotype about them as a fixed and unified group. This analysis therefore leads to the suggestion that elementary textbooks provide the opportunity to share the experiences and the points of view of the elderly with elementary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20~1930년대 "남편"을 통해 본 가족의 변화 -『신여성』과 『별건곤』을 중심으로-

        전미경 ( Mi Kyung Jun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신여성』과 『별건곤』을 중심으로 1920~30년대 가족담론에 나타난 `남편`을 통해 가족관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가 `남편`에 주목하는 이유는 식민지기 매체에서 `남편`이 자주 논해졌는데,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는 여성의 관점에서만 당시의 가족을 논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다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통해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남편`이 등장한 사회적 배경을 조선총독부의 가족정책과 결혼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매체에서 `남편`은 어떻게 드러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남편`은 가족 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총독부는 민적법을 실시하면서 호주권을 강화시켰고, 법률혼주의를 채택하였으며, 기혼여성 즉 아내의 법률적 행위를 남편에게 위임하도록 함으로써 법적 권한을 제한하였다. 이러한 법률적 장치는 남편의 지위와 권리를 강화시키면서 남편에 대한 여성의 종속을 강제하는 효과를 낳았다. 둘째, 성과학 담론은 여성의 성적욕망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설명하면서, 이것을 `결혼`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여성이 노처녀와 같은 비정상으로 남지 않으려면 `남편`이 있어야 했다. 셋째, 『신여성』과 『별건곤』에서 `남편은 논설, 수필, 소설, 토론회, 탐방기, 만문만화, 설문 등의 매우 다양한 형식으로 비교적 자주 논해졌으나, 이러한 `남편` 이야기는 `남편`으로서의 정체성이나 `남편됨`의 중요성을 논하는 방향으로 흐르지 않았다. 넷째, 법률혼주의는 `제2부인`인 첩이 정식 아내가 될 수 있는 길을 만들었다. 즉 남편이 `제1부인`과의 이혼이 가능하고, 또 남편의 `인지`로 첩의 자식도 家의 정식 구성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은 `아내`의 지위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다섯째, 남편들은 가사 일체를 아내에게 일임하였고, 아내들은 그런 남편을 수용하면서 남편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아내, 어머니, 주부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했다. 결국 `남편` 담론은 가정생활에 필요한 남편의 역할이나 규범을 말하기 보다는 가정 안에서의 여성 역할을 강화시키면서, 아내, 어머니, 주부의 규범을 만들었다.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changes in family discourse in the 1920s and 1930s through the position of `husban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xts of family discourse and family policy in 『Shin yeosung』 and 『Byolgeongon』 were referred, and the major issu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mily register(hojeok) system and renaming policy(chang ssi gae myong) in Japanese Colonialism consolidated the right of head of family(hoju). Secondly, the means of marriage and husband was changed while it had been claimed that `husband` is the answer for dealing with sexual desire in women. Thirdly, the concept of master-servant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strengthened as the legal marriage system was adopted and the legal rights of wife were delegated to husband. Fourthly, `wives` status could not be guaranteed as in the past with the appearance of `second wife` and the diffusion of `free love`. Fifthly, male gender roles in domestic affairs were not expected as the roles of women in a family were emphasized. Lastly, the discussions on `husband` had no impact on the identity as husband, and rather strengthened gender norms for women as a wife, a mother and a housewife.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기 본부살해(本夫殺害)사건과 아내의 정상성

        전미경(Mi-kyung J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0 아시아여성연구 Vol.49 No.1

        이 연구는 식민지기에 본부살해사건이 많이 발생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이 시기의 본부살해 양상과 이에 대한 지식인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또 식민지기 본부살해녀에 대한 논의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조선시대의 본부살해녀에 대한 논의도 조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동아일보』, 『조선』을 통해 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왕조실록』의 본부살해녀는 예외 없이 사형에 처해졌고, 조선 중기 이후에는 본부살해녀가 출현한 고을의 행정단위가 강등되고 수령이 파직되었다. 또 본부살해사건은 남편을 죽인 이유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고, 진범 여부에 초점이 맞추어져 다루어졌다. 둘째, 식민지기 본부살해녀의 연령은 20세 이하가 가장 많고, 독살, 교살, 자살(刺殺), 타살 등의 방법으로 남편을 죽였다. 살인 동기는 학대, 불화, 가난, 남편의 만성적 질환, 성생활의 부적응, 불륜 등이다. 셋째, 일본인 의사 구도 다케시로는 조선의 비정상적인 혼속(婚俗)특히 조혼과 남편의 신체적, 정신적 결함 때문에 조선에 본부살해녀가 많다고 했다. 1930년대 이후의 동아일보 도 본부살해의 원인을 조혼이나 남편 때문이라고 규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조선 혼속과 남편의 비정상성이 본부살해사건의 원인이라는 해석 속에서 이 사건은 결혼과 부부관계에 있어 유교적 원리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효과를 낳았다. 아내의 지위와 역할을 포기한 남편살해라는 극단적인 사건은 새로운 규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근대적 여성관은 여성의 발전보다는 가족에서의 여성 역할을 강조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This paper studies husband murder cases committed by their wives that occurr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of issues related to the husband murder cas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also take a close look at the husband murder cases during Joseon Dynasty. The findings upon investigating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 『DongaIlbo東亞日報』, and 『Joseon朝鮮』 are following. First of all, a women who killed her husband in 『Joseonwangjosilrok』 was put into capital punishment without exception, and after the middle period of Joseon, her village's administrative level was degraded while the local governor of the village was dismissed. Second, the age of the woman who killed her husbands was mostly under 20. Most of the killing methods were poisoning, strangling, or homicide while the murder motives were abuse, conflicts, poverty, husbands' chronic diseases, maladjustment to marital sexuality, or adultery. Third, Japanese doctor Kudo Dakesiro said Joseon had many husband murder cases because of its abnormal marriage culture (especially an early marriage) and the husbands' physical and mental disorders. 『DongaIlbo』 after 1930s also attributed the causes of husband murder cases to an early marriage or husbands'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Likewise, intellectuals defended the wives who killed her husbands both from a civilized man's perspective and from a national perspective. Fourth, the husband murder cases covered in the mass media brought out the effects of controverting the Confucian family ethic. The extreme cases of wives' murdering her own husbands by giving up the position and role as a wife demanded the necessity of a new family nor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20~30년대 가정탐방기를 통해 본 신가정

        전미경(Jun Mi-Kyung)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1920~30년대 신가정 담론이 말하는 새로운 가족상의 구체적 개념과 그 성격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여성「」(1926~1934), 「별건곤」(1926-1934), 「여성」(1937~1940) 잡지의 가족담론과 여기에 실린 54사례의 가정탐방기를 분석하였다. 가정탐방기는 잡지사 기자가 유명인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아내 혹은 남편과 아내에게 그들의 가정생활을 인터뷰한 글이다. 그 결과 신가정은 핵가족의 가족형태, 남자는 사회에서 일하고 여자는 가정에서 어머니ㆍ아내ㆍ주부로서 일하는 뚜렷히 이분화된 성역할, 쉼터로서의 가정(사적공간으로서의 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한 가족생활을 특징으로 하였다. 가정탐방기에서 함께 사는 시부모는 인터뷰하지 않았으며, 부부에게 며느리와 아들의 역할을 질문하는 경우도 없었다. 또 가족탐방기에 실린 사진은 후기로 갈수록 부인 혹은 모자사진에서 가족사진으로 바뀌었는데, 이 가족사진은 부부와 그 자녀중심의 핵가족 사진이 많았으며, 드물게 시어머니가 함께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시아버지와 함께 찍은 사진은 없었다. 10여년 지속된 가정탐방기는 초기에 근면ㆍ청결ㆍ검약한 가정생활을 중시하는 것에서 가정의 단란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변하였고, 이것은 신가정의 성격 변화를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ew Home(Singajong)"" discourse from 1920s to 19305 which had been produced mostly in women"s magazines such as New Women(Shinyojong, 1926-1934), Byolgeongon(1926-1934), Women(Yosong, 1937-1940). The new image of "family" had been suggested and prevailed through the discourse, in the form of "full reports on families" which described the details of the "family life" of the celebrities (or their wives) based in the interviews which took place at their home. As the result of our analysis of the 54 family reports among them, the concept of "new home" is found to be based on the nuclear family structure, the gender role which was differently assigned to husband and wife, the "domestic", and the priority of children. Also, the emphasis which was put on the domestic virtues such as industry, cleanliness frugality in early reports had later been shifted to the "sweet home" life style.

      • 개화기 "청년"과 부모자녀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전미경 ( Mi Kyung Ju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0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7 No.2

        This is a study of discourses on youth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Thus far, I have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ditorials taken from the Taehan Maeil Sinbo of the relevant peri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se Enlightenment period discourses regarded youth as the driving force of Korea and the same point of view was repeated in discourses of `boys`, `students` and `heroes`. 2. Enlightenment discourses regarded the old generation as the opposing concept of youth, defining youth as "civilization" while regarding the old generation as "savageness". The image of the old people, described above, was also applied to parents at family. 3. In order to complete the "national state", Enlightenment discourses regarded the youth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nation and its people. 4. The demand for school education and independent partner and/or spouse selection of youth resulted in parent-children confl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