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공감과 다문화 청소년에 관한 편견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전란영(Jeon, Ran Yeong)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0 교육과 문화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공감,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청소년에 관한 편견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공감이 다문화 청소년에 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문화 태도의 매개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1-3학년 남녀 청소년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기술통계,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공감, 다문화 태도, 다문화 청소년에 관한 편견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공감은 다문화 청소년에 관한 편견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문화 태도를 완전매개하여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사회의 주요 집단인 다문화 청소년에 관한 청소년의 편견과 관련된 요인을 이해하게 하며 청소년의 편견 감소를 위한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mpathy and prejudice towards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deter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multicultural attitudes. The participant sample was derived from Seoul and Busan in Korea, and the data of 261 high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To process th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As a result, first, the adolescent’s empathy, multicultural attitudes, and prejudi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each other. Secondly, the adolescent’s multicultural attitudes was shown to fully mediate the effect of empathy on the prejudic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futur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decline adolescent’s prejudice.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학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

        전란영(Jeon, Ran Yeong)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1 교육과 문화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두 변인의 관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여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 방안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2010의 중학교 1학년 패널 7차 연도 자료(1,348명)를 사용하였고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 1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우울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쳐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을 수록 우울 수준은 낮아졌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대학생활만족도에 의해 조절되었다. 대학생활만족도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자아정체감이 우울에 미치는 부적 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정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대학생활만족도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모색기 발달과업인 자아정체감이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며 대학생의 우울을 중재하기 위해 대학생활만족도를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upon self identity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 sample was derived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2010) 7ᵗʰ data, and the data of 1,881 college students collected was analyzed. To process th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Hayes(2013)’s Process macro Model 1 were employed. As a result, first, self ident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ly, level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elf identity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promotion of self identit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lleviate college student’s depression.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이 아동의 그릿을 매개로 아동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전란영(Jeon Ran 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 아동의 그릿 및 협동심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이 아동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그릿의 매개역할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1차 연도 자료(초등학교 4학년 아동 2,607명)를 사용해 변인 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 아동의 그릿 및 협동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아동의 협동심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아동의 그릿에 정적 영향을 미쳐 아동의 협동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아동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을 아동의 그릿이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부모의 구조제공은 아동의 협동심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의 그릿을 부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동의 협동심을 향상하기 위해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 아동의 그릿이 중요함을 밝힌 것으로 아동의 협동심 증진 방안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on child s cooperation. This study deter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s grit. The participant sample was derived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0), and the data of 2,607 children(4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To process th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As a result,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child s grit, cooperation. Second,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don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child s cooperation. The child s grit was shown to fully mediate the effe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the child s cooperation. Thirdly, the child’s grit was shown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the parental structure on the child coopera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futur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enhance child s cooper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삶의 만족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관계 및 사회기여 생애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란영 ( Jeon Ran Y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리라 예상되는 개인 내적 요인인 삶의 만족과 관계 및 사회기여 생애목표에 주목하여 변인 간 종단적 관련성을 확인하므로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향상 방안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삶의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타인과 좋은 관계를 맺고 사회에 기여 하려는 생애목표를 추구할 가능성이 크고, 민족이나 문화 배경이 다른 사람에 대한 수용성 수준이 높아지리라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이 관계 및 사회기여 생애목표를 매개하여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5-7차 연도(중학교 2학년-고등학교 1학년)의 3개년 종단자료를 사용하였고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및 다중집단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삶의 만족은 다문화 수용성에 종단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청소년의 삶의 만족은 관계 및 사회기여 생애목표를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청소년의 삶의 만족이 관계 및 사회기여 생애목표를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에서 성별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삶의 만족이 관계 및 사회기여 생애목표를 통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과정을 규명한 것으로 행복의 사회적 유용성을 지지하며 추후 다문화 수용성 향상 방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is study deter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intrinsic life goals that focu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ntribution to society. The participant sample was derived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2010), and the data of 2,378 adolescents collected within the same period among 8th, 9th, 10th grade was analyzed. To process th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 group analysis were employed. As a result, first, th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longitudinal effect on the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Secondly, the adolescent’s intrinsic life goals were shown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Thirdly, thes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were the same in both men and women in this stud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futur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enhance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역량이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전란영(Jeon, Ran Yeong),서은주(Seo, Eun Ju),윤정진(Youn, Jung Jin),정수정(Jeong, Su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역량을 매개로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사회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8차(2012년) 및 9차(2014년) 연도 자료를 사용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2,447명을 대상으로 변인 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 1, 4, 7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역량을 부분 매개하여 창의융합역량에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역량과 창의융합역량 수준이 높아졌고, 학습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창의융합역량수준이 높아졌다. 둘째,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성 수준에 따라 달라졌다. 사회성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역량에 미치는 효과가 컸다. 셋째,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역량을 매개로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성 수준에 따라 달라져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학습역량의 매개효과는 사회성 수준이 높을수록 커졌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을 향상하는 교육방안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learning competency (mediation effect) among college students. The focal point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direct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via learning competency is dependent on the level of sociality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utilizing PROCESS Macro Model 1, 4, 7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compete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Second, socia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competency such that the relationship was stronger when the level of sociality was higher (moderating effect). Third, sociality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such that the indirect effect was stronger at higher levels of socia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levels of sociality strengthen the positive mediated effect of learning 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다양성수용도가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은주(Seo, Eun Ju),전란영(Jeon, Ran Yeong),윤정진(Youn, Jeong Jin),정수정(Jeong, Su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부산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와 다양성수용도가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194부의 설문지를 SPS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다양성수용도, 양성평등의식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다양성수용도가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다양성수용도가 양성평등의식 전체변량의 35%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의 상대적 중요도는 생활스트레스가 다양성수용도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양성평등의식 향상을 위해서는 먼저 생활스트레스 감소 및 다양성 수용도 향상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양성평등의식 향상을 위한 방안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diversity receptivity on gender equity awareness in students in a four-year university in Busan. 19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3.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ll the life stress, diversity receptivity and gender equity awareness of the university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life stress and diversity recep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affected their gender equity awareness, life stress and diversity receptivity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to explain 35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 of gender equity awareness. As for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fluences of the two on gender equity awareness, life stress was more important than diversity receptiv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gender equity awareness, it s first required to relieve life stress and boost diversity receptivity, and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on how to enhance gender equity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