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로당 기능 활성화를 위한 경로당 이용실태 연구 - 경상북도 농촌 경로당을 중심으로 -

        전동진,이상홍,김영화,Jeon, Dong-Jin,Lee, Sang-Hong,Kim, Young-Hwa 한국주거학회 2014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5 No.4

        The study is aimed to suggest user-oriented improvement strategies for spatial plan of senior centers that provide the elderly with leisure and welfare functions for in rural areas. Five counties with the highest ratio of the elderly of 65 or over were selected from Gyeongsangbuk-do rural areas. The study classified the senior centers into 5 types depending on their floor plan,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on the representatives and users of the centers using open-end questions through one-day observation on the spot, and performed actual measurement of the floor and analysis of current use. Based on above research, the result was drawn by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current use, and requirements. The study is intended to serve as preliminary data for future plan of senior centers in rural areas.

      • KCI등재

        `모닥불`의 문화시학과 공동체의 현상학

        전동진 ( Jeon Dong-ji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9

        문화적 글쓰기는 언어적 측면에서 문화시학을 지향하고 있다. 우리는 신역사주의와 문화시학을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경우를 종종 보아왔다. 이 둘 모두는 사실성과 객관성을 추구하는 역사주의를 비판한다. 그런데 둘은 다음과 같은 지점에서 서로 입장을 달리한다. 신역사주의 비평가들은 개별적 존재자들의 일화가 사회적 의미로 확장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개인의 일화를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다. 반면 문화시학비평가들은 특정 사건, 사물에 대한 글쓰기를 통해 마련되는 스타일에 주목한다. 인간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특정한 시공간에 대한 이야기들은 다채로운 방식으로 전달된다. 문화시학 비평가들은 특별한 일에 대해 반복되는 수많은 스타일의 이야기를 통해 형성되는 플롯을 목도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나는 시편들에 나타난 모닥불의 문학문화사를 구축했다. 모닥불은 마을의 중심에서 타올랐고, 모닥불이 곧 텍스트이기도 했다. 또 우리는 변혁과 혁명의 모닥불, 민족의 역사를 담고 있는 모닥불도 만날 수 있었다. 문화어로서 모닥불의 플롯은 모닥불에 대한 다채로운 글쓰기 스타일을 통해 역동적으로 흐르고 있다. 문화적 플롯은 운동경기의 규칙과 달리 규정되지 않는다. 이것은 또한 특별한 목적을 상정하지도 않는다. 우리는 문화 플롯을 반복되는 물결무늬를 지칭하는 `무아레`라고 부를 수 있다. 문화적 플롯은 공동체의 기억을 저장하고 있다. 이것은 화석처럼 굳어진 것이 아니라 생생하게 살아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 기억들을 새로운 시·공간에서 끊임없이 재현해 냄으로써 생활 세계에 역동성을 불어넣을 수 있다. 공동체의 기억이 건강해야, 이것이 새롭게 재현될 미래 역시 건강하고 정의로울 수 있는 것이다. Cultural writing has intended cultural-poetics aspect of words. We had seen a case that hadn`t separated new-history and cultural-poetics occasionally. They have criticized historicism that had pursued factuality and objectivity. They were divided direction at this point, New-historicism critics believed that happening of being of individual could expand to social-cultural meanings. A episode was taken very seriously to new-historicism critics. Otherwise, cultural-poetics critics have paid attention to style through writing to things. Story-telling has many way to transmit about story of Lifeworld here and now. Cultural-poetics have a goal to seize a plot that was formed through to repeat multifariousness style of specific case. By such a understanding, I constituted a literary-cultural history of a bonfire that was represented on poems. A bonfire burned at the center of village and was text itself. We could have met a bonfire as a change and a revolution, history of nation and so on.. A plot of bonfire as cultural-word can flow dynamically through many written style of a bonfire. A cultural plot is not specified otherwise than the rules of sport. It also does not address specific goals. We could call cultual-plot to be `Moire` that was seemed to like a coastline that has the characteristic of either fixed mapping or unspecified changing by waves. Cultural polt is storing the memory of the community that is not a hardened fossil but is alive. One day in the future by reproduce them, we will be able to configure new TimeSpace to unfold our Lifeword. So the memory of the community must be healthy. So that our future can b healthy and justice.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시적 의미의 비변증법적 지향성 연구 -서정주와 이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전동진 ( Dong Jin Je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50

        이 논문의 족적은 비변증법적 지향성의 측면에서 시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시적 언어의 지향성은 텍스트의 바깥을 향하지 않고 텍스트 내부를 향한다. “자유시”라는 용어는 시적언어의 자율성을 장렬하게 표상하고 있다. 한국시에서 자유시는 “언어의 자유”를 말하는 것이지 단순하게 영어로 “free verse”로 번역할 수 없는 말이다. 사회적으로 시 텍스트에 주어진 역할을 마치 수영장의 정화장치와 같이 오염된 언어를 순화시키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서정주와 이동주의 시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언어의 정화적 기능이 작동하는 원리를 탐색했다. 첫 번째로 필자는 일과 놀이가 무화 되는 지점을 탐색했다. 이어서 단순히 같은 언어를 쓰는 공동체가 아니라 언어의 의미로부터 탈주하는 공동체에 대해 논의했다. 시를 쓰는 행위는 일과 놀이를 질적으로 극대화하는 것이다. 게다가 시에 대해 쓴 시는 시의 부재와 매우 밀접하고 연관을 맺고 있다. 마지막으로 언어적 공동체와 함께 의미의 지향성을 공유하고 있는 절대 부재로서의 죽음을 통해 형성되는 공동체를 살폈다. 이 논문은 시 텍스트 내에서 표상된 일과 놀이에 초점을 맞췄다. 우리의 현실세계에는 언어의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는 이분법적 언어가 광범위하게 펼쳐져 있다. 이러한 대립의 언어들이 서정시를 통해서 어떻게 통합하고, 스스로를 정화하는지를 좀 더 폭넓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문학 전반으로 확대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poetic meaning aspect non-dialectic intentinality. The intention of poetic words is not to outside of text but to them selves inner. A term of “Jayu-si” intensely is emblematic of autonomy of poetic language. Jayu-si in Korean poetry that has meaning of “Free of language” could not translate to “free verse” into English A role of text as poem like a water-purification system in a swimming pool is to purify polluted language. I searched the working principle of linguistic purification to this paper through to analysis of Seo, joeng-ju and Lee, dong-ju`s poems. Firstly, I searched a spot that is becoming zero with work and play. Secondly, I took argument about the community that got a character of community not sharing of language but to take off meaning in language. To write of poem takes at the same time, extreme qualities of work and play. Futhermore, poems that was written about poetry closely associated with to absence of poetry. Lastly, I checked the community that was formed through death as the absolute absence sharing meaning-intentionality with literal community. This study highlighted to work and play in poetic texts. Dichotomy words that come into ideology of language widely spread out in our actual world. By this study, I want to be provide of a moment that widely will discuss character of combination of poetic language.

      • KCI등재

        서정시의 위상적 해석 방법 -백석의 「모닥불」을 중심으로-

        전동진 ( Jeon Dong-ji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0 No.-

        시의 가장 큰 매력은 해석의 다양성에 있다. 다의성은 애매모호성과 불확정성에서 온다. 사회·문화적 소통이 장르 중심에서 매체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동영상, 사진, 텍스트 등 매체는 자신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요구하고 있다. 시가 지향했던 애매모호성, 불확정성을 바탕으로 한 기존의 다의성으로는 매체가 요구하는 속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위상적 변화가 용이하려면 새로운 다의성으로서 ‘선명한 다의성’, ‘확정적 다의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상적 다의성으로 보고 백석의 「모닥불」을 통해 탐구하였다. 서정시의 위상성은 ‘플롯화’, ‘서정 스토리’, ‘서정의 위상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백석의 「모닥불」은 두 개의 위상적 공간을 형성한다. 재로 소멸하면서 빛과 온기를 내뿜는 모닥불의 공간이 하나 있다. 이 장소에서 온갖 사연을 지닌 것들이 타들어 간다. 모닥불을 둘러싼 사람들이 여는 위상적 공간이 다른 하나다. 저마다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사람들이 빛과 어둠, 온기와 냉기의 사이공간으로 자리한다. 좀 더 다양한 비평 담론을 통해 「모닥불」을 읽어내는 작업이 뒤따를 필요가 있다. 이것은 비평의 성과를 위한 것이 아니다. 백석 시에서 탐색한 새로운 지향의 위상적 다의성이 서정시의 미학적 가치를 평가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greatest attraction of poetry is the versatility of interpretation. It was common to see that polymorphism comes from ambiguity and uncertainty. Soci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is rapidly changing from genre to media. Content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such as videos, photos, and texts are requested. It is difficult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speed and phase required by the media with the multipurpose based on the ambiguity and uncertainty that the poetry had previously pursued. The possibility of “clear multi-uidity” and “definite multi-uidity” as new multi-uidity was explored through Baek Seok’s Bonfire. The topology of poetry was divided into 'plotting', 'lyrical story', and 'the phase of poetry'. Bonfire forms two topological spaces. There is a topological space in which a bonfire that exudes light and warmth opens up as it extinguishes with ashes. Things that have gone through all kinds of stories burn here. The topological space opened by people surrounding the bonfire is another. People who have their own stories stand as a space between light and darkness, warmth and cold air. It is necessary to follow the work of reading Bonfire through more diverse criticism discourse. This is not for criticism. Interpretations form part of the topological interpretation. It is hoped that the new oriented versatility explored in Baek-seok's poems can be a way to evaluate the aesthetic value of lyric poet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문학의 정치성 연구

        전동진(Jeon Dongjin) 한국언어문학회 2009 한국언어문학 Vol.70 No.-

        I tried to investigation of the politic of literature that is first aim in this study. The politic was discriminated between actuality and literature. Both the all take cheating to essential property. But the former is to cheat others, the latter is to cheat self. That is to say, the actuality-politic is a 'politic of others', the literature-politic is a 'politic of self'. In this study, I made <The may poetry> group and their works the subject of my study that has been valued through the view point of 'actuality-politic'. I, by the way, investigated their poems with the view point of 'literature-politic'. In the end, I wanted to examine the literature-politic by means of this study. The actuality-politic made harmony between the individualization and the totality to presupposition, the other side, the literature-politic made inharmony between the individualization and the totality to presupposition. I tried to get over a established position that has emphasized one of the both because of the literature-politic was obtained in mutual-subjectivity. I analyzed poems with to get the subject, ‘Hub' among <The may poetry> group's works and indicated a direction of formation of politic. individual The actor that makes meaning in 'the politic-nature' as the passageway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 is 'poetic-I'. Poetic-I was showed two aspect. One was formed to get autonomy. Such a autonomic subject was based the other-nature on formation. I observed poems to reveal 'other's face to centered. In oder to get over one of this study's goals that gets over an autonomic subject, I expanded discussion to 'self-politic'. Through analyzing poems to subjected 'poem', I observed the self-politic that was formed with being piled one on another. Lastly, I discussed about community or society subject to be formed selfexpansion. In poems of <The may poetry> group, community subject was formed through to call 'the memory of the past', 'the memory of family-community', 'the memory of history'. The memory about 'the may community' in 1980 cloud not write to language with ease, so we cannot help mobilizing such diverse circuitous methods.

      • KCI등재

        용아 박용철의 ‘언어관’에 대한 연구

        전동진 ( Jeon Dong-ji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2

        박용철은 1930년대 순수시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이론가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그의 일면에 해당한다. 그는 낭만주의와는 다른 순수를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추구했다. 박용철에 대한 다채로운 평가를 위해서 출발점으로 삼아야 할 것은 그의 언어관에 대한 분석이다. 그는 사물간의 신발견으로서 언어의 규칙성, 공통성, 복기성의 성립을 들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박용철의 비평에서도 연구자에게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이 글은 세 가지 언어의 속성을 박용철의 비평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박용철이 추구한 시적 언어의 지향성을 ‘수단에서 목적의 언어로’, ‘시적 언어의 즉물성’, ‘영감과 자유의 언어’ 살펴보았다. 그가 추구한 순수는 초월적인 것이 아니라 내재적인 것이었다. 내적 영감과 외적 자유의 사이를 메우는 언어는 문화적으로 변용하고 확장할 가능성으로 충만해 있다. 박용철은 ‘민족의 이상적 언어의 완성’을 통해 왜곡된 질곡의 현실을 떨쳐버리기를 바랐다. 이때 이상적인 언어는 민족을 이끄는 등대와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이상적 세계를 상정하고 그것을 추구하는 삶을 지향하면, 우리의 현실은 비루한 것이 되고 만다. 우리가 최선을 다해서 가장 사랑하면서 사랑해야 하는 것은 바로 우리의 일상인 것이고 문화적인 것이다. 후기의 박용철이 생활세계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이와 무관치 않다. Park Yong-cheol was a poet and theorist who represented the pure-poem in the 1930s. However, this assessment is one aspect of his literal-acts. He pursued the pure without turning away from reality unlike romanticism. One of the starting points for the colorful evaluation of Park Yong-cheol is a analysis of his viewpoit of language. He was a new discovery between things, holding the regularity, commonality, and re-rise of language. A specific reference to this have been not found in researchers’s study and in Park Yong-cheol’s criticism. This article explored the attributes of these three languages through Park Yong-cheol’s criticism. On the basis of this, I examined the directivity of poetic language pursued by Park Yong-cheol: ‘from the language of mean to the language of purpose’, ‘the physical property of poetic language’, ‘the language of inspiration and freedom’. The pureness he pursued was not transcendental but intrinsic. Between intrinsic inspiration and external freedom, the language is full of possibilities for cultural-meaning transforming and expanding. Park Yong-cheol hoped to shake off the distorted reality of suffering through completion of the ideal language in the nation. The ideal language was not different from the lighthouse that leaded the people. Bus when we imagined an ideal world and aim for a life that pursues it, our reality becomes corrupt. It is our daily life and cultural thing that we should do our best and love the most. It was for this reason that Park Yong-cheol in the latter day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living world.

      • KCI등재

        백석 시의 영상 상상력 연구 ― 「힌 바람벽이 있어」를 중심으로

        전동진 ( Jeon¸ Dong-ji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6

        20세기가 영화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영상의 시대라고 할 만한다. 영화는 제작시스템과 기술을 갖춘 소수의 전문가들이 제작할 수 있었다. 반면 영상의 제작과 유통은 다양한 영상플랫폼을 통해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다. 누구나 어렵지 않게 영상의 제작, 유통, 소비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매체로서 영화는 종이 매체와는 다른 위상을 가진 까닭에 둘의 공존은 가능했다. 특히 영화와 소설은 공동 작업을 통해 매체의 상승효과를 누리기도 했다. 21세기는 텍스트의 시대도 영화의 시대도 아니다. 동영상의 시대로 빠르게 전환되었다. 제작자와 소비자는 구분되지 않고 누구나 ‘크리에이터’로서 자리하게 되었다. 대중이 손에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은 동영상의 소비매체이자, 생산도구이다. 오늘날은 과학기술이 세계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인문성의 강화에 대한 요구는 절실하다. 종이 매체를 중심으로 한 인문콘텐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날로 줄어들고 있다. 문화적인 균형과 조화를 위해서는 대중들이 선호하는 문화콘텐츠의 인문성 강화에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은 단순히 인문학 텍스트를 동영상 콘텐츠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대중문화 콘텐츠의 인문성을 강화하는 하나의 방안을 백석의 시 「힌 바람벽이 있어」의 분석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19세기 말에 영화가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1930년대의 대중 매체는 영화가 장악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1950년대 중반에 TV가 들어왔다. 스크린과 브라운관이 공존하는 시대가 열린 것은 1960년대라고 할 수 있다. 백석의 「힌 바람벽이 있어」에 대한 기존의 분석과 해석은 대부분 영화적 상상력에 집중되어 있었다. 백석의 시가 전대미문의 새로움이라는 평가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면, 영화적 상상력은 그다지 새로울 것이 없는 것이다. 이 시를 생방송 상상력으로 읽을 수 있다면 이것은 시대를 한참 앞선 상상력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동영상 상상력을 통해 읽어낸다면 백석의 시에 대한 ‘전대미문의 새로움’이라는 평가에 값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과 해석 과정이 동영상 제작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동영상 제작 전략의 하나로 시적 상상력이 활용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좀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인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f the 20th century was the age of cinema, the 21st century can be said to be the age of video. A film could be produced by a small number of professionals with production systems and skills.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videos is open to everyone through various video platforms. Anyone can participate independently i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videos without difficulty. The coexistence of the two was possible because film as a media has a different status from that of paper. In particular, films and novels enjoyed a synergistic effect as a medium through collaboration. The 21st century is neither the age of texts nor the age of films. The transition to the age of video has changed rapidly.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everyone is positioned as a 'creator'. smartphone carried by the public are both a consumption medium and a production tool for video. Today, science and technology are leading the change in the world. The demand for strengthening the humanities is urgent, but the public is not interested in the contents of humanity in paper media, which have traditionally represented the humanities. There is no choice but to actively utilize the cultural contents preferred by the public. This should go beyond the primary requirement of simply producing Humanities content as video content. This possibility is to be explored focusing on Baek-seok's poem "There is a White Wind Wall".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inema came to Korea. It would no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movies dominated the mass media in the 1930s. Television came in the mid-1950s. The era of coexistence of screens and CRTs opened in the 1960s. Most of the previous analyzes and interpretations of Baek Seok’s “There is a White Wind Wall” focused on the ci6nematic imagination. If it is possible to evaluate Baek Seok's poetic novelty as never before, his cinematic imagination is nothing new. If this poem can be read with the imagination of a live broadcast, that is, the imagination of a cathode-ray tube,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imagination far ahead of its time. If it can be read with video imagination, that is, 'monitor imagination', it will be valuable in the evaluation of 'unprecedented novelty'. If thi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is used for video production, poetic imagination can be utilized as one of the video production strategies. At a more fundamental level,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humanities of video cont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