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표현의‘융합’ -시각포지셔닝에 따른‘초월과 해석’의 융합에 관하여-

        전기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3

        The Consumer subject catch on the objects through the process integration of 'Transcendentalism/Hermeneutics' which is a unique aesthetic area of its own. This is a‘the possible basis for the object which is a transcendental constitutional action of a hermeneutical pure-sensory appeal, and so No object has any meaning to us without a fusion of transcendental pure-senses and hermeneutical constructions’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theory of a Merleau-Ponty. This study deals with two aspects of the body as a consumer subject, namely, Transcendentalism and Hermeneutics which is merged to correlation so called pure(T)/sensation(H), meaning(T)/interpretation(H), modality(T)/consciousness(H), background(T)/shape(H). We will emphasize get through the fusion action creates an original aesthetic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marketing viewpoint of advertising expression. As a result, the impact of the advertisement expression starts from the transcendental pure sensation of the consumer subject and secured the aesthetic by the fusion of the analytic composition.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photo', 'character', 'illustration', and 'typography' among the various visual positioning methods. For the research method, subjects who acquired pre-understanding of 'convergence'. It was done by checking the experimental sheet. In conclusion, the experiment with the visual positioning of the advertisement expressions such as photo, character, illustration and typography is interpreted as pure(T)/sense(H), meaning(T)/consciousness(H) and background(T)/shape(H)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sion activities. 소비자주체는 자신만의 고유한 미적 영역인‘초월(Transcendentalism)-해석(Hermeneutics)’의 과정적 융합을 통해 대상을 파악한다. 이것은 철저하게‘초월론적인 순수감각작용에 의한 해석학적인 구성작용(Constitution)은 대상에 대한 경험 가능한 근거이며, 그 어떤 대상도 초월론적인 순수감각과 해석학적인 구성작용에 대한 융합이 없이는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를 제공할 수 없다.’고 주장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이번 연구는 소비자주체로서 신체가 지니고 있는 두 가지의 영역인 피부(내피, 외피)를 초월(Transcendentalism)-해석(Hermeneutics)의 등식으로 조작하여 순수(T)-감각(H), 의미(T)-해석(H), 양태(T)-의식(H), 바탕(T)-형상(H)의 상관관계로 융합하였다. 이와 같은 융합작용을 통해 광고표현의 마케팅적 관점과는 전혀 다른 독창적인 미의식이 생성함을 강조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광고표현이 지니고 있는 임팩트가 소비자주체의 초월론적인 순수감각작용에서 출발하며, 해석적 구성작용의 융합에 의한 미의식이라는 점을 확보하였다. 이를 위한 실험물은 다양한 시각적 포지셔닝 가운데 사진, 캐릭터, 일러스트, 타이포그래피로 나누어 각 각 선정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융합’에 대한 사전 이해를 습득한 피험자가 각 각 실험물을 체크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결론적으로 광고표현의 시각 포지셔닝인 사진, 캐릭터, 일러스트, 타이포그래피에 따른 실험물이 순수(T)-감각(H), 의미(T)-해석(H), 양태(T)-의식(H), 바탕(T)-형상(H)의 제각기 다른 융합작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광고표현의 ‘교차’ -시각포지셔닝에 따른 교차의 차이에 관하여-

        전기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2

        The subject of consumer attracted in living the world grasp the object of a get through the intersectional comparison as to a Priority & Consciousness dimension of an ontology seeing as a aesthetic perspective himself. Equally the intersectional comparison as to a Nature & Culture dimension is created a various value as a dimension culturology. and also the intersectional comparison as to a Visual & Language dimension is formed the feeling of a visual degree and the interpretation of a language degree as a dimension semiology. Further the intersectional comparison as to a Symbol & Meaning dimension is located in as to symbolism the image of figurative and as to semantic the thought of linguistics Jacques Derrida has studied to maximize close the estrangement as to infinite different the inter sectional point of a Binary opposition structure according to each a territory scholarship get through the philosophy of <Differance>. This study intend to find the attractive hall of a intersectional point so called not only <Differance> as a characteristic common to all but also A recognition as a variousness containing to attract in a consumer’s subject from the inter sectional system 4 types as previously mentioned correspond to a various binary opposition structure acc ording to ad’s expression. As a result, This study systematized a theory in order to possibly experimental treatment supply to the 4types of new clues Also The experimental sheet of a ad’s expression adopt to the visual positioning means general method to analysis Form, Model, Illustration, Text and The procession of studying make up a checklist the 4types feeling of a intersectional dimension through the sequential access of subject population. In its final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attractive intersection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o 4types according to a experimental sheet by means of the visual positioning of a ad’s expression. 생활세계의 끌림체로서 소비자주체는 자신의 스타일을 통해 대상을 쳐다보며, 존재론적 차원의 선험/의식에 대한 교차적 아우름을 통해 대상을 파악한다. 마찬가지로 자연/문화의 교차를 통해 이질적인 차성에 의한 문화론적 차원의 다양한 가치의 메타가 생성되며, 시각/언어의 교차에 의해 시각적 감성 느낌과 언어적 해석에 의한 표현 역시 기호론적인 토대의 끌림 과정이 생성된다. 대상에 나타난 상징/의미의 교차 역시 상징에 대한 도상적인 이미지와 의미에 대한 언어적 사고에서 선택적인 끌림 과정이 생성된다. 이러한 각 학문 영역의 이항대립구조에 의해 생성하는 메타적인 차성을 자크 데리다는 <차연(差延)>을 통해 교차점의 끝없는 간극을 최대한 좁히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는 광고표현에 나타나는 다양한 이항대립구조가운데 위에서 언급한 4가지의 교차적 대립구조를 통해 소비자주체의 끌림체가 지니고 있는 차이와 동일성을 지니고 있는 <차연>으로서 교차점의 끌림 홀을 발견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교차점의 새로운 단서인 선험/의식, 자연/문화, 시각/언어, 상징/의미의 체계를 통해 실험적인 처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광고표현의 실험물은 조형, 모델, 일러스트, 텍스트의 객관적인 시각 포지셔닝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실험물에 대한 교차적인 느낌을 피험자가 순서적으로 체크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결론적으로 광고표현의 시각 포지셔닝인 조형, 모델, 일러스트, 텍스트에 따른 실험물이 4가지 차성인 선험/의식, 자연/문화, 시각/언어, 상징/의미의 끌림 교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광고표현의 ‘자리’ -끌림 포지셔닝에 따른 ‘자리체계’의 차이에 관하여-

        전기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The ‘Seat’ of advertising expression is an attractive system of a mood take the form in processing layout the element of advertising expression. As a Attraction System, The meaning of a seat take form in the Empty Point of a center-seat and in the Attraction Point of a border-seat containing the attractive physics as if it were really so a non-matter physics of consumer subjective. and It is a perception horizon of a attractive-whirlwind by adapting and by changing as conditioning a consumer subjectivity self-seat and a advertising expression other-seat As according to correlation a Core-Target self-seat and a advertising expression other-seat is revealed new creativity attractive-whirlwind by occurring changing-seat and fusion-seat with all ads creator’s influence. This study make a seat-system of advertising design by emphasizing it is building up to the attraction-seat of a self-seat, other-seat, changing–seat, fusion-seat with all influence ads creator, consumer-subjective, advertising expression. Finding, The attraction-seat of 4 types seat having been established the different of meaning at the advertising expression concept In conclusion, By means of 4 types seat’s attraction positioning, we find out the ‘seat’ of ads expression has differential meaning interpretant in an attractive intention. so it also stresses to the necessary ‘seat aesthetics’ of a creative processing. 광고표현의 ‘자리’는 주어진 광고표현 요소의 배치과정에서 형성되는 분위기의 끌림 체계이다. 끌림 체계로서 자리에 대한 파악은 소비자주체의 비물질적인 신체인 ‘끌림체’가 지니고 있는 ‘가장-자리’의 끌림 점(ap)과 ‘중심-자리’의 공점(ep, 空點)에 의해 구체화된다. 또한 소비자주체로서 조건화되어진 ‘자기-자리’와 대상인 광고표현, ‘타자-자리’로 구분되어 서로 동화(同化), 변용(變容)되는 가운데 발현되는 끌림 회오리의 인식지평이다. 또한 핵심 소구의 ‘자기-자리’와 광고표현의 ‘타자-자리’의 상관관계에 따라 광고크리에이터의 ‘변형-자리’와 ‘융합-자리’가 생성되어 새로운 끌림 회오리가 발현된다. 이번 연구는 광고크리에이터, 소비자주체, 광고표현에 의해 생성된 자기-자리, 타자-자리, 변형-자리, 융합-자리에 의해 끌림-자리가 형성됨을 강조하여 자리디자인의 자리체계를 만들었다. 연구결과, 4가지의 ‘끌림-자리’는 광고표현 컨셉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광고표현의 ‘자리’는 자리가 지니고 있는 4가지의 끌림 포지셔닝에 따라 광고표현의 끌림에 대한 해석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함으로써 광고크리에이터의 창의적인 ‘자리미학’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광고표현의 ‘의미역(意味易)디자인’ -기(氣)를 해석체(Interpretant)로 이용한 미적감수(美的感受)의 코드가능성에 관하여-

        전기순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4

        Whether the final ads expression is 'good' or 'bad' depends on the feeling ads creators have. Therefore, ad creators are required to sharpen their insight so that they can be responsible for the overall process for the ads campaigns and their final products. But, the belief that it will become ads products for the successful ads campaigns is confronted difficulty by the various cultural sensitive with consumer. Some people point out that it is because of the limit of the logical and empirical approaches to ads campaigns while others do that the reinterpretation about ads expression is necessary in terms of consumer sensitivity or culture. So, The final results of an ads expression is due to appear a category of cultural value, design-style and feeling according to the being-ontology of a ads-creators. It is utterly depend on the mutual sensitivity to relate ads-creators and ads -expression that how to scientific solve the cultural creation of new impression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words' and 'pictures'. This study should be access through 'the Book and Changes' of the oriental philosophy especially that is called 'Ki' to deeply perception of ads-creators keep with various cultural sensitive. Moreover, this study should be make the systematic of 'the meaning of the Book and Changes' for the sensitivity of 'Ki'. so it is make use of the blanche's semantic six angles to apply interdisciplinary approached . 최종적인 광고 표현의 ‘좋고’ ‘나쁨’은 광고크리에이터의 감각(Feeling)에 달려있다. 광고캠페인의 과정과 최종 결과물에 대한 성패는 광고크리에이터의 감각(Feeling)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그러나 광고제작물이 성공적인 광고캠페인이 될 것이라는 확신은 소비자의 다양한 문화적인 감성으로 인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혹자는 그것을 이성적 논리 접근의 한계라고 지적하거나 또는 문화과학으로서 광고표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을 적극 주장한다. 즉 광고표현의 최종결과는 광고크리에이터의 문화 존재론적 전체성(Identity)에 따른 디자인스타일과 느낌, 문화적 가치의 차원에서 표출되기 때문이다. 광고 표현에 있는 ‘말’과 ‘그림’이 융합하여 나타나는 문화적인 범주를 어떻게 과학적으로 표출할 것인가는 광고크리에이터와 광고 표현물과의 攀죠지딕키(오병남 역), 현대미학, 서광사, p49攀攀상호감수성(Mutual Sensitivity)에 달려 있다. 이번 연구는 광고크리에이터의 다양한 감수성(感受性)가운데 우리문화의 의식에 깊이 잠재되어 있는 ‘기(氣)’의 물성(物性)적인 요소를 조형적인 측면에서 발견하여 이를 ‘주역’을 통해 광고표현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였다. 특히 주역의 과학적인 접근의 가능성을 위해 블랑쉐의 기호육각형과 함께 ‘의미주역(意味周易)’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의미주역의 기(氣)적 감수(感受)를 통해 광고표현의 좋고, 나쁨의 평가는 가능하였으며 향후 광고제작과정으로서 좋은 광고를 만들기 위한 미적감수코드로서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 KCI등재

        알모도바르의 ‘영화 속 영화’

        전기순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3

        알모도바르는 초기영화에서부터 최근에 영화에 이르기까지 텍스트 내부에서 영화 작업의 과정을 노출시키는 자기반영적 자세를 유지해왔다. 특히 ‘영화 속 영화’라는 자기반영적 기법은 그것의 관습적으로 사용으로 말미암아, 알모도바르의 영화스타일의 핵심적 성격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렇게 알모도바르 영화에 관습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는 ‘영화 속 영화“의 의미가, 이 구조에 대한 지금까지의 평가와 다른 방식으로 새롭게 독해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알모도바르의 세 편의 영화를 분석하였다.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들>(1988)은 오프닝 신에서부터 엔딩에 이르기까지 대중 문화적 텍스트에 대한 패러디와 패스티쉬로 구성된 영화로, 사용된 ’영화 속 영화‘ <자니기타>는 이 영화의 장르적 특징인 로맨스 코미디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것은 ‘하이 컬처’에서의 ‘영화 속 영화’ 같은 자기반영적 구조가 관객들에게 영화텍스트에 대한 몰입을 방해하고 브레히트적 의미에서 거리두기를 유발하는 것과는 다르게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들>에서 ‘영화 속 영화’는 이 영화의 하부 문화적 성격 때문에 영화가 지향하는 아이러니의 정서를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영화 <내 어머니의 모든 것>(1999)에서 시뮬레이션이나 연극 같은 가상의 세계는 여자들의 욕망을 투영하는 공간이 된다. 시뮬레이션이 현실이 된 것은 주인공 마누엘라에게는 처음있는 일이 아니다. 마누엘라가 겪은 비극적 운명에는 언제나 연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가 함께 했다. 영화의 핵심적 메시지를 전해주는 아그라도의 대사는 영화 전체로 놓고 볼 때, 연극이나 영화라는 예술적 시뮬레이션을 성형수술이라는 신체의 시뮬레이션과 동일한 맥락에서 바라보게 한다. 결국, 영화가 말하고 싶은 것은 여자의 인생이 시뮬레이션을 닮아간다는 것이다. 이렇듯 영화 <내 어머니의 모든 것>에서 주인공 마누엘라의 존재는 애초부터 ‘영화 속 영화’ <이브의 모든 것>의 이브를 모방한 것으로, 이브는 영화라는 매체 안에서 욕망을 실현하는 캐릭터이며, 우리가 보고 있는 주인공 마누엘라의 탄생과 그녀의 삶을 진행시키는 플롯은 운명적으로 영화 속 텍스트의 실재를 모방하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 영화 <그녀에게>(2002)에서 ‘영화 속 영화’<애인이 줄었어요>는 영화 속에서 다층적으로 의미화 된다. 이 ‘영화 속 영화’는 영화의 실재, 즉 육체적 사랑은 할 수 있지만 대화를 나눌 수 없는 상황을 전복적으로 보여준다. <애인이 죽었어요>가 관객들에게 제시되는 동안 베니그노의 목소리가 차단되는데, 이것은 ‘영화 속 영화’가 끝나고 실재로 돌아왔을 때 베니그노와 알리시아 사이에 육체적 관계가 있었음을 암시한다. 영화의 실재와 ‘영화 속 영화’의 실재는 중첩되고 하나가 되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에서, 자기반영성은 관객들로 하여금 영화의 몰입과 감정이입을 방해하는 거리두기 혹은 브레히트 적 의미에서 소외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영화 텍스트와 대중문화의 제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알모도바르의 영화들은 관객들에게 상호텍스트성을 관습적으로 받아들이게 함으로서, ‘영화 속 영화’를 다른 방식으로 독해하도록 유도한다. 패러디 혹은 패스티쉬의 전략으로 사용되는 ‘영화 속 영화’가 자기반영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 자체가 역설적이다. 분석한 ‘영화 속 영화’들을 볼때, 그의 영화에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비교 논의에서 태동한 사실주의의 진정성이나 자기반영성 같은 개념들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알모도바르의 영화에서 재현의 대상은 역사적 실재가 아니라, 실재의 물화(物化)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알모도바르 영화에서 핵심적 전략으로 사용되는 ‘영화 속 영화’는 관객들에게 거리두기나 매체에 대한 환기를 생산하지 않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survey the structure and characters of "Film in film' in the filmography of spanish director Pedro Almodóvar. This kind of narrative strategy is one of the most personalized styles of Almodóvar and his audience is deeply conventioned to this structure. In the narrative theory about novel and film, ‘Film in film’ has been considered as the structure that works producing reflexive effect or ‘self-reflexivity’. In the theoretical meaning of Bertold Brecht, ‘self-reflexivity’ provocates alienation effect from the audience, but which can be affirmed only in texts foregrounded within high culture. The texts of Almodóvar are based on parody and pastiche in the context of pop culture, so his films in film lead the different meaning and emotion to us. We are dedicated to analyze three movies of Almodóvar and the correspondent three films in film: <Las Mujeres al Borde de un Ataque de Nervios>(1988) and its film in film “Johnny Guitar”, <Todo sobre Mi Madre>(1999) and “All about Eve”, <Hable con Ella>(2002) and “Amante Menguante”. Through these analyses, we have discovered that the concepts like self-reflexivity and alienation produced from the comparative discussion about Modernism and Postmodernism or from the Realism theory do not work any more in the film texts of Almodóvar, because in the analyzed movies the objects of representation are not dependent on historic reality but on its reificated reality.

      • KCI등재
      • KCI등재

        광고표현의 ‘형(形) 디자인' : 관여도에 따른 레이아웃의 차이에 관한 연구

        전기순 한국광고학회 2012 광고학연구 Vol.23 No.2

        광고표현에 있어서 레이아웃(Lay Out)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동일한 광고표현요소도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제각기 다른 분위기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다른 분위기'란 광고표현이 지니고 있는 시각요소의 형(形)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 의한 결과로 판단한다. 다양한 지각의 지향성에 따른 현상학적해석의 차이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광고크리에이터의 감성적인 지각 ‘차이(Different)'역시 개성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John R. Searle, 2009). 이러한 광고표현의 다양한 ‘차이'에 대한 과학적인 해석을 위해 레이아웃의 감성적인 패러다임으로 ‘형(形. Shape) 디자인'을 제시한다. 형(形. Shape)은 모든 대상의 ‘안'과 ‘바깥'이라는 인식의 틀을 만드는 개념적 의미이다. 즉 형(形)을 통해서 우리는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와 내면을 감싸고 있는 세계를 볼 수 있다(Rudolf Arnheim, 1996). 따라서 광고표현에 나타난 다양한 ‘형(形)의 양상(樣相)'을 통해 우리는 레이아웃의 ‘지나침'과 ‘모자람'에 대한 감성적 판단을 할 수 있다. 최종적인 광고표현의 레이아웃은 광고크리에이터의 순수한 ‘형(形)'의 직관에 의해 표출된다. 이번 연구는 직관적인 형(形)의 유형을 도출하여 관여도에 따른 광고표현의 다양한 형(形)의 양상을 확인한다. 결론적으로 광고표현에 있어서 레이아웃은 형(形)디자인에 의해 차별화되어짐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광고표현의 ‘끌채’ -포지셔닝에 따른 ‘끌림과정’의 차이에 관하여-

        전기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4

        The different of Attraction-Processing get througth the attraction clue in Advertising Expression is by and by conforming to a single standard in terms of a highly influential minority of marketing theory in spite of the consumer self perspective. For get out of uniform flow in this situation, It is a very interesting subject of inquiry to re-interpretant as a aesthetic consciousness of attraction means processing clue clearly. It proposes to ‘The Feeling-Filter’ a faculty of sensation as a the clue of the attractive processing makes a ‘Different’ consumer self to individual style. The Feeling-Filter has a act in concert with political communication autopoiesis containing an Expropriation and interdiction aggressively as a attractive object of consumer self. This is a sympathy phenomenon for overcome difference between inner-environment and outer-environment being possessed of the Merleau-Ponty’s ‘The skin’ of surrounding our bodies. This study should be show the ‘different’ of attractive procession regarding advertisement expression get througth the four fundamental principles as it were ‘the feeling-filter of a purity’, ‘the feeling-filter of a vision’, ‘the feeling-filter of a meaning’, ‘the feeling-filter of a perception’ In order to empirical materializing the cause of different means the four fundamental principles. It was directly experiment by dividing the operational stages which is ‘the size’ of purity, ‘the form’ of vision, ‘the overlapping’ of meaning, ‘the value’ of perception In the last analysis, It makes sure of a ‘Interpretant Different’ of attraction get through the attractive procession in terms of ‘feeling-filter’ the four fundamental principles as a consumer self in identical advertising expression. 광고표현에서 끌림 단서를 통한 끌림 과정의 ‘차이’는 소비자 개성의 주체적인 관점에 의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소수의 마케팅이론에 의해 획일화되고 있다. 이러한 획일적인 흐름을 벗어나 소비자주체로서의 끌림에 대한 명확한 과정적인 단서를 새로운 미의식 차원에서 재해석하는 것은 흥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광고표현에서 나타나는 끌림 과정의 단서로서 소비자주체의 ‘차이’를 일으키는 개성적 미의 감각기능인 ‘끌채’를 제안한다. 끌채는 소비자 자신이 끌리는 대상에 적극적으로 수용 또는 차단하는 자기관계적인(Autopoiesis)끌림과 상응(相應)한다. 이것은 신체의 바깥표면에 있는 메를로퐁티의 ‘살’이 지니고 있는 바깥환경과 내면환경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동조현상(同調現象)과 같다. 이번 연구논문에서는 ‘끌채’의 다양한 관점가운데 순수끌채, 시각끌채, 의미끌채, 지각끌채의 4가지의 끌채로 제한하여 광고표현이 지니고 있는 끌림과정의 차이를 보여주고자 한다. 위의 4가지의 끌채기능이 지니고 있는 차이에 대한 원인을 실증적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또다시 순수의 ‘크기’, 시각의 ‘형태’, 의미의 ‘겹침’, 지각의 ‘가치’로서 각 끌채로 조작적으로 나누어 직접실험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4가지의 소비자주체가 지니고 있는 끌채에 의한 끌림과정을 통해서 볼 때 동일한 광고표현에서도 끌림에 대한 해석적인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광고표현의 차이-포지셔닝에 따른 한. 미간 비교-

        전기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1

        Recently, there increases the number of consumers who release their motivation of shopping commodity lies on the image of advertisement expression rather than the need of commodity itself. Accordingly, advertisement creators place a greater weight on differentiation strategy of advertisement expression. Now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differentiation at the ‘unique selling point (usp)’ of products among the various advertisement expression strategies. On the contrary, expression strategy is explored out of brand images for differentiation of products. Among them, the cases that difference over the formal symbolism is introduced to the brand image strategy are on an upward trend. Especially, international communication supported by various advanced media does not save their efforts yet in understanding the cultural form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It is to find out a differentiated logic of advertisement expression by preparing in-depth formal system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formal symbolism of advertisement expression plays a role in representing a local culture and emerges as a very significant media in visually positioning the product image to customers. ※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a visual positioning through differences between the advertisement expressions in Korea and those in the U.S.. which is prominent among various international studies on advertiseme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analyzed consumers' original perspectives through Gilles Deleuze's phenomenal perception on difference and Peirce's Three-part-theory and it identified a meaning structure of the visual positioning through a symbol quadrilateral. Furthermore, in order to avoid an arbitrary of phenomenal perception and semantic approach to the most extent, statistics was us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As a result, advertisement expression in Korea shows a visual positioning with more of ‘point' and ’line’ which give a stable feeling while that in the U.S. has it with more of ‘surface' and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