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제품디자인의 퓨전 경향에 관한 연구

        전관중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컴퓨터와 통신의 융합(Convergence)으로 디지털 환경은 제품의 기능강화와 다양화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디지털 환경의 특징 중에 멀티미디어(Multimedia)화는 제품의 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양하게 만든다. 이는 정형성을 벗어나 다양한 표현 방식과 기능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제품의 멀티미디어화는 제품의 경계를 허물고 기존 제품간의 융합을 유도함으로써 새로운 제품의 출현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달과 사회의 다변화 경향, 범세계화 추세는 문화계에도 영향을 미쳐 이제는 어느 한 나라만의 고유한 문화라는 개념이 점점 모호해지고 있는 가운데 문화 전반에 걸쳐 각 장르간의 혼성적 결합이라 할 수 있는 퓨전(Fusion) 현상은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용어가 되고 있다. 사회 문화적으로 큰 이슈를 불러일으킨 퓨전은 새로운 트랜드를 창출하는 디자이너 입장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디자인적 키워드인 것이다. 이런 이유로 사회 변화 속에서 생성될 혼성적 표현을 예측하기 위해 지금의 퓨전 경향과 특성을 고찰하고 제품 디자인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퓨전을 키워드로 디지털 제품을 대상으로 하여 디자인 경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2장에서는 디지털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디지털화에 따른 기술변화와 특징으로 인한 사회영향과 그에 따른 디지털 제품의 디자인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3장에서는 혼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문화, 예술, 과학 전반에 나타난 혼성적 표현의 전개양상과 현재의 퓨전 경향을 규명하기 위해 혼성 표현이 두드러진 시대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퓨전 양상이 강한 대표적 작품을 선정, 사례를 통하여 표현양상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간적, 지역적, 장르적 혼성 특성 중 대표적 성향을 기준으로 추출, 디지털 제품디자인에 나타난 퓨전 경향을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본 논문의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연구된 1990년대 이후 디지털 제품디자인의 퓨전 양상 및 변화추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분석표를 분석한 퓨전 경향은 1) 시간적, 지역적, 장르적 혼성 중 장르적 혼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2) 시간적 혼성은 시간성을 소거한 과거와 현재의 스타일의 병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3) 지역적 혼성의 표현 양상으로는 스타일의 병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디지털 제품에 동양적 소재를 적용한 경우가 90년대 중반 이후 새롭게 나타난다. 4) 장르적 혼성의 표현 양상으로는 97년 이후부터 오브제화 양상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기능의 중층화는 전체적인 혼성 양상 중 가장 많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5) 시간적, 지역적, 장르적 혼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그 개념의 복합적 의미와 같이 둘 이상의 퓨전이 나타나는 경우가 다수 나타난다. 둘째, 년도별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1) 시간적 혼성은 90년대 중반부터 고전양식의 혼성이 증가하다가 장식적 요소로 사용이라는 표현이 새로이 나타나면서 90년대 후반에는 스타일의 병치가 많이 나타나면서 다양한 퓨전 양상을 보인다. 2) 지역적 혼성은 이전보다 90년대 중반 이후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점점 증가하여 나타났다. 특히, 동양적 스타일의 병치가 중반 이후 새롭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3) 장르적 혼성은 기능과 기능이 결합하는 기능의 중층화가 가장 두드러진다. 97년 이후에는 제품의 구조들을 오브제화 되고 그래픽과 결합하여 기능성 이외에 시각적 다양성을 표현하는 양상이 새롭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In these days there are a lot of revolutionary digital environment internet cultual because of Convergence of Communication. This also bringing us the new conception of space that is the extension of main net-work commercial center between home to home, home to community and home to the World. Digitalization,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is not only a leap forward in a technological point of view, but it has also been affecting our social, cultural life. Digital technology, in the basis of network technology, enabled us to save, transform and compress information thus allowing us to communicat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where standardization was made in order to enlarge the production quantity, more emphases were set on the popular culture rather than the individual value, but in the digital era where rapid public ownership of information became possible through the network, multi value culture, such as emotional, intuitional and personal value cultures are leading the culture. Digital products capable of supporting rapid public ownership of information through network have eliminated the line, which used to distinguish office from home, thus becoming the foundation in opening the new era of Mobility. Such a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ique and the new generation of a environment had a tremendous impact on culture therefore there are no more unique culture. Now there is word that we a interested in and it is a mixing of a genre which is called "Fusion". Fusion first had been mentioned in Jazz and this new revolutionary trend broke the a genre and a domain and was united new meaning. It is no more exciting event of combination of different genre of music. These trends are effects on art, fashion, architecture, and design , even on food and marketing. Essence of fusion home appliance is some different product combination based on digital technology. However when it comes with the word we imagine "Fusion" it becomes "New luxury thing". The other hand we approach on the corner of analog times even if it is now a digital world. The word we were looking for was not 'Fusion' it was 'division'. Western revolution that divided everything opposition and it starts from Industrial revolution. There are intention of division in Economy, culture and ideology. However the fusion consciousness becoming stronger by developing of internet and cyber world. In this investigation predication of digital product that is based on digital and net-work. User's desire of increase of new information brings the situation of user becomes not clear. We can easily see these trends on music, movie and even on food. On product there should be new terms of analysis and approaches too catch up these tre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ment of the situation of fusion and to confirm the new trends of product design. 1st chapter describe the extent, purpose and the method. 2nd chapter a thesis of history of digital product, a term definition and technology. 3rd chapter the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fusion and application to each genre . 4th chapter examples of fusion and analysis and study for digital product which is shown. To predict the way of product design by analysis previous chapters. Also predict fusion trend with road-map of digital home appliance that is based on new generation culture, environment and new technology. 5th chapter summery of this essay.

      • 컨텍스트 중심의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UX디자인에 관한 연구

        전관중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5

        인구의 고령화로 노인의 경제 활동 증가와 30대 여성의 경제 활동 참가율이 증가하면서 미에 대한 관심이 더불어 늘어나고 있다. 건강에 대한 패러다임이 ‘100세 시대, 아름답게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하다’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의료기기 산업은 인구 고령화와 경제성장으로 미와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의료서비스 및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시장성숙단계에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에 대한 연구를 위해 UX관점의 접근으로 컨텍스추얼 인쿼리를 통해 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컨텍스추얼 인쿼리를 통한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의 사용자 행태 분석에서는 사용자를 의료진(의사)과 의료진(간호사), 환자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12개 피부과의원을 대상으로 의사 10명, 간호사 10명, 환자 23명의 1차 오프라인 질문 진행과 업무수행 관찰 및 상황 재연을 하였고, 구글 설문지를 활용하여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2차 온라인 질문을 추가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관점에서 의료진과 환자의 니즈를 분석하고 의료진에게는 사용성의 편의를 제공하고 환자에게는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를 연구하고자 한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에 대해 의사는 주 사용자로서 화면부와 핸드피스 부분에 활용도가 집중된다. 레이저기기의 경우 의료기기 등급으로 3등급에 해당된다. 의사가 아닌 사람은 사용이 금지되는 품목이다. 이런 이유로 간호사는 레이저기기의 실사용보다는 다른 장소로 이동하거나 보관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관리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레이저기기의 인식이 관리하기 힘들고 무겁고 불편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환자는 시술받을 때 핸드피스가 유일한 접촉 부분이기 때문에 물리적인 접촉보다는 심리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 레이저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실제 기기의 소음으로 인해 레이저기기에 대한 이미지가 안 좋게 인식되는 것이다. 환자가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의 형태를 인지하는 요인을 연구하여 보다 좋은 감정을 가질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형태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그 요인들을 통하여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의 모델들을 평가한 후, 그 평가결과를 호감도와 비교함으로써 영향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의 형태이미지에 대한 연구를 위해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A~G까지 7종의 형태이미지 요인과 구성요소 및 호감도에 관하여 설문지를 작성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의 모델별 형태이미지와 호감도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대상은 피부과를 방문했거나 시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20~30대 디자인 관련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 215부 중 20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PASW Statistics 23.0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반복측정 분산분석,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유의수준 9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 형용상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3개의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요인 1은 ‘부드러운-거친’, ‘친근한-새로운’, ‘매력적인-평범한’, ‘신뢰가는-못미더운’의 이미지로 구성되어 ‘감성적 요인’으로, 요인 2는 ‘세련된-투박한’, ‘단단한-무른’, ‘단순한-복잡한’, ‘현대적인-고전적인’의 이미지로 구성되어 ‘외형적 요인’으로, 요인 3은 ‘뭉툭한-뾰족한’, ‘중후한-귀여운’의 이미지로 구성되어 ‘중량적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모델에 따라 ‘전체 차원’의 요인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A,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D,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E는 ‘감성적 요인’이,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B,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C,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G는 ‘중량적 요인’이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F는 ‘외형적 요인’과 ‘중량적 요인’이 ‘감성적 요인’보다 강하게 평가되었다. 셋째,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모델별로 구성요소의 영향도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었다. 1순위만 살펴보면,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A,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B,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E,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F에서 응답자 전체의 평가는 본체가 가장 영향도가 컸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C와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D에서 응답자 전체의 평가는 관절암 & 케이블의 영향도를 가장 크게 평가하였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G에서 응답자 전체의 평가는 핸드피스의 영향도를 가장 크게 평가하였다. 넷째,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각 모델별 전반적인 형태이미지에 대한 호감도는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D가 가장 높았고,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F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낮았다. 표준편차는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B에 대한 호감도 편차가 가장 컸고,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G에 대한 호감도 편차가 가장 작았다. 다섯째,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모델별로 호감도에 대한 형태이미지 형성요인의 영향도의 차이가 있었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A는 ‘감성적 요인’, ‘외형적 요인’순으로 전반적인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B는 ‘외형적 요인’, ‘중량적 요인’순으로 전반적인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C와 D는 ‘감성적 요인’, ‘중량적 요인’, ‘외형적 요인’순으로 전반적인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E는 ‘감성적 요인’, ‘중량적 요인’순으로 전반적인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F는 ‘중량적 요인’, ‘감성적 요인’순으로 전반적인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G는 ‘외형적 요인’만 전반적인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피부과 비전문 개원의의 증가로 레이저기기의 UI 인지 및 사용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의 화면 UI에 대한 연구를 위해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의 모델별 화면 UI 분석 및 GUI 비교 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증연구에서는 아이트래킹을 활용하여 3개의 태스크를 수행하였고 실험 결과에 대해 심층면접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시안을 진행하였다. 시안 검증을 위해 시안에 대한 형태 평가 및 호감도에 관한 질문을 하였다. 조사대상과 방법은 4.3장의 조사내용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동일한 문항으로 진행하되 디자인 진행시 참고 항목이었던 구성요소에 관한 1-2 문항은 제외하고 진행하였다. 7점 리커트 척도 기준으로 모델별 전체호감도 평균과 표준편차와 시안의 전체호감도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시안의 전체 호감도는 7점 리커트 척도 기준, 2점이 전체 응답자의 48%로 가장 많은 수를 보였다. 평균 점수는 1.69점으로 나타나 기존 7개 기종 중 가장 높은 호감도를 기록한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D의 1.66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표준편차는 0.807로 나타났다. 시안의 형태이미지는 1순위 친근한, 2순위 부드러운, 3순위 단순한, 4순위 신뢰가는 순으로 점수가 분포 되었다. 피부치료용 레이저기기 화면 UI 디자인 시안 검증 방법은 5장 실증연구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단, 실질적인 UI 디자인 검증을 위하여 태스크 2와 태스크 3만 진행하였다. 결과는 1그룹, 2그룹, 3그룹 모두 TASK 수행을 원활하게 잘하고 있다. 다만 그룹별 차이가 나는 특징은 이지 모드에서는 2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Standby 버튼에 시선응시 집중분포가 높았다. 프로 모드에서는 1그룹은 레이저 조사>파라미터 설정>설정값 저장 순으로 시선응시 집중분포가 높았고, 2그룹과 3그룹은 파라미터 설정>설정값 저장>레이저 조사 순으로 시선응시 집중분포가 높았다. 시선응시 집중분포를 부분별로 살펴보면 파라미터 설정에서는 3그룹>2그룹>1그룹 순으로 높았으며, 레이저 조사 부분은 1그룹>2그룹>3그룹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설정값 저장 부분은 3그룹>2그룹>1그룹 순으로 나타났다. 그룹별 A~G 모델에 대한 평균 미션 수행 시간과 시안의 평균 미션 수행 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TASK 3 그룹별 평균 미션수행 시간을 비교해 보면 기존 7종의 모델들 보다 시안이 훨씬 미션 수행하기 편안한 디자인임을 알 수 있다. 평균 미션수행 시간이 1그룹과 2그룹의 경우 이지 모드에서 빠른 미션수행 시간을 나타냈고, 3그룹의 경우는 프로 모드에서 조금 더 빠른 미션수행 시간을 보였다. 아이트래킹 실험 후, 전체 피험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태스크 2와 태스크 3에서 분석된 시안의 내용을 수정 및 보완 작업을 하였다. Interest towards beauty is increasing due to the extension of economic activity by elderly and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in 30s. The paradigm of the health has changed into ‘centennial age of life, how to live long and beautiful.’ Because of the ageing phenomenon, economic growth and social attention, medical healthcare device industry has constantly increased its segment and now became a stage of mature marke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ssessment through contextual inquiry in perspective of UX design for the user research. Medical personnel(Doctors), medical personnel(Nurses) and patients were the target of the user behavioural analysis in skincare laser device with contextual inquiry. 12 dermatologists, 10 doctors, 10 nurses and 23 patients preceded the first offline Q&A session, task observance and situation rerun. Towards 60 patients, Google survey was executed for the second online Q&A session. This study analyses the needs of medical team and the patients in the aspect of the user experience perspective in using skincare laser device. It is to present enhanced usability to the medical team and to provide mental stability for the patients. Doctors, as a main user of the skincare laser device, focus on the screen and the hand piece. Laser related devices are third-degree medical device which are only allowed to the doctors. In this reason, nurses take role in not actually using it but in moving and maintaining the device. In this reason, laser devices are considered heavy and hard-to-handle machine to the nurses. For the patient, the hand piece is the only contact point to the device. As so,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patients more than the physical factors. The vague fear of the laser device and the sound of the laser causes negative recognition of the device. Through analysing the patient’s factors of formational perception, this study is to provide positive perception towards the skincare laser device. For this reason, factors forming the shape image need to be defined. After evaluating the models of skincare laser device within the factors, the influence was analysed by comparing the result and the desirability. For the study of shape image of skincare laser device, seven types of shape image factors from A to G, components and desirability was surveyed and statistically analysed. Questions in the survey consists of the shape image and desirability by the models of skincare laser device. Convenience sampling survey target was in the age of 20s and 30s, related in the design field. 200 out of 215 survey was significant in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PASW Statistics 23.0 was used and factorial analysis, repeated measures of ANOVA,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Level of significance was considered awn 95%. Analysis of the result as follows. Firstly, three factors of shape image was extracted by factorial analysis. Factor 1 ‘Emotional factor’ consists of ‘Soft-Rough’, ‘Friendly-New’, ‘Attractive- Ordinary’, ‘Trustworthy-Unreliable’. Factor 2 ‘Physical factor’ consists of ‘Refined -Harsh’, ‘Hard-Runny’, ‘Simple-Complex’, ‘Modern-Classical’. Factor 3 ‘Weight factor’ consists of ‘Stubby-Sharp’, ‘Profound-Cute’.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entire level’ factors were varied by the skincare laser device models. ‘Emotional factor’ was considered significant in skincare laser device A, D, E. ‘Weight factor’ was considered significant in skincare laser device B, C, G. ‘Physical factor’ and ‘Weight factor’ was considered significant in skincare laser device F. Thirdly, components priority for the effectiveness was varied throughout the skincare laser device models. In the first rank, effectiveness of the body component was measured the greatest in skincare laser device A, B, E and F. Effectiveness of the joint arm and cable component was measured significant in skincare laser device C and D. Effectiveness of the hand piece component was measured significant in skincare laser device G. Fourthly, overall desirability of the skincare laser device D was the highest throughout the skincare laser device models, while skincare laser device F marked the lowest. Skincare laser device B marked the greatest standard deviation and skincare laser device G marked the lowest standard deviation. Fifthly, influence of the forming factors of shape image by desirability differed by the skincare laser device models. Skincare laser device A was affecting the desirability by ‘emotional factor’ followed by ‘physical factor’. Skincare laser device B was affecting the desirability by ‘physical factor’ followed by ‘weight factor’. Skincare laser device C and D was affecting the desirability by ‘emotional factor’ followed by ‘weight factor’ and ‘physical factor’. Skincare laser device E was affecting the desirability by ‘emotional factor’ followed by ‘weight factor’. Skincare laser device A was affecting the desirability by ‘weight factor’ followed by ‘emotional factor’. Skincare laser device A was affecting the desirability by ‘physical factor’ only. Along with the study, compared analysis of the screen UI and GUI of the skincare laser device was made. Total three tasks were executed in eye-tracking method for empirical study, and depths interview was used to analyse the result. In draft verification, draft wa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Shape image desirability test was executed with the developed design, and eye-tracking task analysis was followed. Shape image and UI cognition was compared with the prio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