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안개발사업 유형에 따른 해양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

        김인철,전경암,김귀영,엄기혁,김영태,최보람,Kim, In-Cheol,Jeon, Kyeong-Am,Kim, Gui-Young,Eom, Ki-Hyuk,Kim, Young-Tae,Choi, Bo-Ram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 연안개발사업에 따른 일반해역이용협의서 133건을 분석하여 사업유형별 해양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침식방지사업은 정확한 침식원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고 주변 해안의 상태와 구조물 설치 시 추가적인 문제점 발생 가능성에 대해 정확히 예측해야 하며, 사업시행 후 사후모니터링을 통한 침식방지 효과를 입증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호안 및 해안도로 건설사업의 경우, 무분별한 해안도로의 건설은 지양하고 구조물 안정성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하며 반사파 증가에 따른 해안침식의 문제점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침수방지 사업은 평가항목에 파랑을 선정할 필요가 있고 이상 파랑의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친수공간 조성사업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공간계획이 수립되어야 하고, 자연환경을 최대한 보전하고 자연과 융화될 수 있는 개발이 될 수 있도록 검토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연안개발사업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이 내재되어있어 법 제도적 측면에서의 지원과 함께 추후 해역별, 사업별 특성이 다양하게 반영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different types of project by analyzing the consultation on the coastal area utilization(133cases) of the coastal development project for 4years(2010-2013).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erosion protection project needs to precede the accurate analysis of erosion reasons, predict exactly possible problems and establish the systematic system to verify the effect of erosion protection by monitoring after projects. The construction projects of revetments and coastal roads have to require to sublate, examine the reliability in structures, give consideration to the problems of coastal erosion by increase of reflected waves. In addition, flooding protection projects have got to require to select the waves for evaluation items in conjunction with the effects of abnormal waves. furthermore, waterfront construction projects need to establish comprehensive and methodical space plans and reinforce the review to con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onduct nature-friendly development. There are many problems inherently related to coastal development Project. To these problems, however, it is required to support the project on the side of the legislation and conduct additional stud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by sea areas and projects.

      • KCI등재

        바다모래 채취 시 해수 수질 및 생태계 영향에 대한 해양환경조사 개선 방안

        김영태,김귀영,전경암,엄기혁,김인철,최보람,김희정,김진민,Kim, Yeong-Tae,Kim, Gui-Young,Jeon, Kyeong-Am,Eom, Ki-Hyuk,Kim, In-Chul,Choi, Bo-Ram,Kim, Hee-Jung,Kim, Jin-Mi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변 해역에서 바다모래 채취 시 발생되는 현탁류에 대해 5년간(2008년~2012년) 해양환경조사서 내 조사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 기간 동안 연 근해역 내 7곳(남해 EEZ, 서해 EEZ, 서해 EEZ 변경 단지, 태안군 관할 해역, 안산시 관할 해역, 옹진군 관할 해역 2곳)의 바다모래 채취구역 중 2곳(EEZs와 연안역 내 채취 구역 각각 1곳)에서 현탁류 내 부유토사의 확산과 이동에 관한 현장 관측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해역별 해양물리적, 지형적 특성과 기상 조건을 반영한 조사 정점 및 범위를 선정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조류, 파랑, 바람장, 수심, 하계 성층화 등의 영향에 의해 부유토사는 바다모래 채취 구역을 넘어 훨씬 더 먼 거리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다모래 채취 과정에서 해저층 퇴적물의 재부유, 그리고 준설선박의 여수토와 배사관에서 배출되는 월류수 등에서 기인한 부유토사의 확산에 대해 집중 모니터링 방안과 세부 조사 기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현탁류의 확산 경로상에서 부유물질, 영양염,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로 인해 주변 해양환경과 유용 수산생물이 포함된 해양생태계 등에 미치는 누적 영향을 추적하고,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통합 지침안을 마련해야 한다. We reviewed investigation status on turbidity plume in the statement of marine environmental survey(2008 to 2012) associated with marine sand extraction projects. The survey statement from seven marine sand extraction sites (extraction area of Southern EEZ, extraction area of Western EEZ, relocation zone in the Western EEZ, sea area under jurisdiction of Taean-gun, sea area under jurisdiction of Ansan City, and two discrete sea areas under jurisdiction of Ongjin-gun) in the nearshore and offshore of Korea showed that in situ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for the dispersion and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s on two areas (One is a extraction area in the EEZs, the other is an area of coastal sites). However, sampling station and range have not been selected considering physical, geographical factors (tide, wave, stratification, water depth, etc.) and weather conditions (wind direction and velocity, fetch, duration, etc). Especially turbidity plumes originating from three sources, which include suspended sediments in overflow(or overspill) discharged from spillways and reject chutes of dredging vessel, and resuspended sediments from draghead at the seabed, may be transported to a far greater distance outside the boundary of the extraction site and have undesirable impacts on the marine environment and ecosystem. We address that behaviour of environmental pollutants such as suspended solids, nutrients, and metals should be extensively monitored and diagnosed during the dispersion and transport of the plume. Finally we suggest the necessity to supplement the current system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nd establish the combined guidelines on marine sand extraction to collect basic data, to monitor cumulative effects, and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s incurred by the aftermath of sand extraction.

      • KCI등재

        연안준설 사업에 따른 해양 수질 및 퇴적물 영향평가 개선 방안

        김영태,김귀영,전경암,이대인,유준,김희정,김인철,엄기혁,Kim, Yeong-Tae,Kim, Gui-Young,Jeon, Kyeong-Am,Lee, Dae-In,Yu, Jun,Kim, Hee-Jung,Kim, In-Chul,Eom, Ki-Hyuk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2

        2000년대 초반부터 연안준설 사업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고, 기타 연안개발 사업과도 중첩되어 준설토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변해역에 대한 환경 영향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2011년 제출된 해역이용협의서 중 준설이 포함된 사업의 해수 및 해저 퇴적물에 대한 해양환경영향평가 현황을 파악하였다. 해양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일반 항목들의 조사 비율은 대체로 높은 반면,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의 경우에는 세부항목들 간 조사 비율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중금속 분석 시 협의서 작성 지침에 따른 전처리 과정(완전 분해)과 분석 방법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 또한 작성 지침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결과값에 대해 신뢰도 확보를 위한 검증(회수율 및 검출한계 산정) 수행 현황도 매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 인해 연안 준설 및 개발에 따른 주변 해양환경영향평가가 부실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해양 수질 및 퇴적물 환경에 대해 보다 엄정한 평가와 진단을 위해서는 협의서 작성에 관한 세부 지침의 보완이 요구되며, 해역이용협의 제도의 개선을 통해 정확한 해양환경영향평가가 수행되도록 협의서 작성지침의 준수 의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Since the early 2000s, demand for coastal dredging projects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dredged sediments have showed the continuing marked increases through the multiple projects with other coastal development and constructions. As significant or potential degradation of marine environment has been mounting, we checked the current situ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rough marine water and sediment qualities in relation with dredging projects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statements submitted in 2011. While analysis percentages of the general items were usually higher, harmful components such as metals revealed wide variation of analysis percentages. In the event of analysis of metals, the pre-treatment process (full digestion) and analysis method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preparation of consultation statements. Although not specified in the guidelines, verification procedures (tests of recovery efficiency and detection limit) to secure the reliability were almost ignored. As a result, most of developers did conduct poor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coastal dredging and related projects. We suggested that the responsible government authority should establish new detailed guidelines on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for more strict evaluation and diagnosis of marine environment and distinctly request the developer to obey the guidelines by complementing the system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 KCI등재후보

        수산자원보호구역 관리체제 구축을 위한 어장환경 예비진단

        이대인,박달수,전경암,엄기혁,박종수,김귀영,Lee, Dae-In,Park, Dal-Soo,Jeon, Kyeong-Am,Eom, Ki-Hyuk,Park, Jong-Soo,Kim, Gui-You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2

        본 논문은 수산자원보호구역의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관리방향에 대한 정책수립 지원라 체계적인 어장환경실태조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진단적 연구접근으로서 수산자원보호구역에서 계절별로 장기적으로 모니터링된 국가해양환경측정망 등의 자료를 이용해서 어장환경의 실태와 변화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어장환경은 오염이 진행되었거나 진행 중인 것으로 진단되었는데, 각 영역별로 수질과 저질 오염특성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서 오염원과 이용실태 및 지형적 특성 등 제반 환경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수질관리방안 수립이 요구되었다. 또한, 보호구역의 지정면적은 점차적으로 변화되어 왔는데, 2003년도와 처음 시정시의 면적을 비교해 볼 때, 총 면적변화는 $-22.9{\sim}2.4%$ 범위로 완도 도암만은 약 2.4% 정도 미미한 증가를 보였지만, 전체 구역은 평균 약 6.4%가 감소하였고, 한산만이 가장 큰 비율로 감소하였다. 전체 면적 중 육역이 약 6.1%, 해역이 약 6.6%가 감소되었지만, 2008년 시 군별로 고시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지정면적의 감소는 대부분 육역인 것으로 사료 되었다. 보호구역의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효과적인 관리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실효적인 수질관리방안 뿐만 아니라 개발 및 이용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와 데이터(정보)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해역별로 종합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각종 관련 법률을 정비 보완해서 조사, 평가, 협의 등 관리방향과 관련된 요소를 일관성있고 체계적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For preliminary diagnosis on current fishing ground environment and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ment of effective and rational management policy in fisheries resources protection area, water and sediment quality and changes of total area in the 10 marine protection areas designated for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in Korea were assessed. Results showed that environmental quality in these areas has been degraded by pollution sources, coastal utilization and development stress, etc. The pattern and degree of contamination differed by protection areas,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for optimum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total designated area of protection areas in 2003 changed by $-22.9{\sim}2.4%$, on average -6.4%, compared with the first year of designation; Wando-Doam Bay showd the highest increase rate (2.4%), and Hansan Bay has the highest decrease rate (-22.9%) Decrease rate of land and sea in total area showd 6.1% and 6.6%. An integrate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data in protection areas is required for systematic assessment. Therefore, the suitable environmental and information management is needed specifically considering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conditions of land and sea area Furthermore, bemus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eats the junctions of the protection areas, authorized ministry (MIFAFF) should develope and establish monitoring and management procedures based on the related laws.

      • KCI등재후보

        해역이용협의 검토유형 분석 및 제도개선 진단

        김귀영,이대인,전경암,엄기혁,우영석,Kim, Gui-Young,Lee, Dae-In,Jeon, Kyeong-Am,Eom, Ki-Hyuk,Woo, Young-Seok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5 No.4

        해역이용협의에 따른 협의서 검토현황과 연안이용형태를 분석한 결과, 공유수면 점 사용은 공작물설치와 해수 취배수, 공유수면 매립은 산업단지조성, 항만 어항개발과 도로건설의 점유율이 높았고, 점 사용은 서해에서 그리고 매립은 남해에서 우세하였다. 지역별로는 전남, 경남지역과 인천 경기지역에서 이용행위가 많았다. 해역이용협의 검토량은 2008년이 전년도에 비해 약 200건 이상 증가하였고, 협의과정에서 준설토 해양투기, 매립, 준설, 해수 취배수, 바다골재채취와 규사채취에 대해 보완요청이 주로 이루어졌다. 연안이용은 대부분 해양환경기준 I등급 또는 II등급의 지역에서 집중되었고, 특히, 법령상 해양 규제지역인 특별관리해역에서는 항만 어항개발과 관련된 매립과 공작물설치, 국립공원에서는 공작물설치와 호안정비가 많았다. 또한, 수산자원보호구역에서는 호안정비, 공작물설치와 해수의 취배수 행위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제반적인 합리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 등 개선방안을 제도운영 및 정책적인 측면과 협의서 작성과 관련한 해양환경영향평가 측면으로 구분해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review of statements and coast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were diagnosed by the consultation on the coastal area utilization in Korea. The occupation and the use of public water were dominated by installation of coastal structure and seawater supply and drainage whereas the reclamation areas were predominantly utilized for developing industrial complex, harbor, fishing port and road. The occupation and the use were dominant in western coast, but reclamation was dominant in southern coast of Korea. The number of utilization cases was particularly greater in Jeonnam, Gyeongnam, and Gyeonggi Province including Incheon. The number of the statements reviews increased by more than 200 cases in 2008 compared with 2007, and most of them were the simple statements. The statements related to ocean disposal of dredged sediment, reclamation, dredging sediment, seawater supply and drainage, and marine sand mining were submitted for review. Coastal utilization was especially active in the regions of seawater quality criteria I and II. In particular, special management sea areas designated under the relevant marine regulations were utilized mostly by reclamation for developing harbor, fishing port and coastal structure. Development activities in national parks comprised primarily structure installation and coastal maintenance. In the fisheries resources protection areas, 40% of the total cases accounted for coastal maintenance, 31% for structure installation, and 16% for seawater supply and drainage. In addition, alternative plans for the improvement in policies and system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ere suggested to enhance the function and confidence of the consultation on the coastal area utilization in Korea.

      • KCI등재

        어항의 항내 정온도 평가사례 및 개선방안

        탁대호,김귀영,전경암,이대인,Tac, Dae-Ho,Kim, Gui-Young,Jeon, Kyeong-Am,Lee, Dae-I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5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1 No.6

        항내 정온도 평가는 이상파 및 평상파 조건에 대해 수행이 되어야 하나, 어항개발 시 이루어지는 평가는 이상파에 대해서만 수행되고 있다. 축산항, 교암항, 궁평항 및 시산항에 대한 사례를 통해 해역이용협의 시 정온도 평가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대상항 모두 이상파에 대한 항내 정온도를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목표 정온도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평상파에 대한 정온도는 가동률로 평가하며, 가동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파랑관측이 필요하나 수행되지 않고 있었다. 가동률에 대한 평가는 계획의 적정성과 관련 있는 평가항목이기 때문에 개발로 인한 해양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계획의 수립과 어업인들의 정주환경 개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행이 필요하다. 정온도 평가를 위해서는, 정온도 평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장기간의 파랑관측이 수행되어야 하며, 평상파 및 이상파에 대한 평가절차를 명확히 해야 한다. 그리고 실효적인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조석정보와 같은 파랑정보의 제공 및 정온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수립이 필요하다. In order to estimate harbor tranquility, it is needed to simulate wave propagation in a harbor by using both methods under abnormal wave condition and normal wave condition. The problem is the latter case was not simulated in the statement for the Sea Area Utilization Conference. As harbor calmness about normal wave condition has the same meaning as harbor serviceability, in order to assess harbor tranquility, it is needed to survey wave data for long periods but the survey was not done by reason of a lack of budget and shortage of time for plan. It is more important to make a plan for minimizing environmental impact and to assess an improvement of fisherman's living environmental as the assessment of the harbor serviceability is related with the propriety of the plan. In order to assess it, it is needed to understand it clearly, survey for long period of wave data, and clarify the procedure for computation of it. And also providing wave data like tide and tidal current data from KHOA (Korea Hydro 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and making a guideline for assessing it are needed.

      • 조력에너지 개발사업의 해양환경영향평가 스코핑 방안

        감민재,김귀영,전경암,유준,이대인,엄기혁,Kam, Min-Jae,Kim, Gui-Young,Jeon, Kyeong-Am,Yu, Jun,Lee, Dae-In,Eom, Ki-Hyuk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안에서의 조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환경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현재 중점평가항목(스코핑) 및 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한 후, 환경영향평가 스코핑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역이용의 적정성 측면에서 명확한 사업목적과 당위성에 대한 폭넓은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고 이해당사자 및 기관의 적극적인 의견수렴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조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부정적인 영향과 어업인과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코핑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해수교환율 변화와 유속 변화에 따른 침퇴적 양상 변화, 2) 갯벌 감소로 인한 어류의 산란서식지 파괴, 3) 수산자원 및 어장의 영향과 부유사 확산 등이 중점평가사항(스코핑)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민 모두가 환경보전에 대한 의식전환을 통해 자원개발과 환경보전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능동적 계획 수립과 정책 실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ssessed environmental impact of tidal power plant construction in the western sea of Korea, and diagnosed problems of the related assessment. We also proposed key assessment items (scoping) and system improvement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The establishment of a broad consensus of the appropriateness and a clear purpose for business is an important aspect of the aptness of using the waters, and the aggressive collecting of opinions of the stakeholder and institutions will have to be fulfilled. In addition, we presented the following scoping plan in order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arine ecosystem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people who work in the fishing industry which result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tidal power plants. (1) the change in seawater exchange rates and the aspect of erosion/sedimentation which result from the change in the velocity of running fluid, (2) the destruction of spawns/habitats of fish due to the damage of tidal flats, (3) fishery resources, impacts of fishing grounds, and the spread of suspended sediments, etc. will have to be applied to the key assessment items(scoping). In addition, every citizen will have work hard for an establishment of an active plan which achieves the harmony and balanc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for the policy to be applied through changing their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 KCI등재

        동해안 항만 및 어항 개발사업에 따른 해양물리학적 영향평가 개선방안

        김인철,김귀영,전경암,엄기혁,유준,이대인,김영태,김희정,Kim, In-Cheol,Kim, Gui-Young,Jeon, Kyeong-Am,Eom, Ki-Hyuk,Yu, Jun,Lee, Dae-In,Kim, Young-Tae,Kim, Hee-Ju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2

        동해안 항만 및 어항 개발 사업에 따른 해양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동해안의 항만 및 어항 개발 사업에 따른 일반해역이용협의서 33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해안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해류, 파랑, 수심측량 자료의 경우 각각 3건, 12건, 16건 만이 조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동해안에서 시행되는 항만 및 어항 개발사업의 경우 서해, 남해와는 다른 동해안의 해역특성이 고려된 해양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동해안은 조석의 영향이 약하고 해류, 취송류, 파랑의 영향이 우세한 해역으로 동해안의 해수유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류의 영향을 고려해야하고 항내 정온도 및 방파제 기능성 및 안정성 등 협의대상사업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파랑을 평가항목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해안에 발생되는 항내매몰 및 해안침식의 문제점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 및 예방하기 위해서는 해빈류를 표사이동의 기본외력으로 설정해야 하고 인근 하천에서의 토사유입과 해당 해역의 정확한 수심자료를 수치모델링의 검증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This paper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eastern coast as analyzing consultation on the coastal area utilization for development of ports and fishing harbors for 3years in the east coast. The results of survey are only 3cases, 12cases and 16cases each for ocean currents, wave and sounding data. However, for development of ports and fishing harbors in eastern coast, ocean characteristics in eastern coast different than in the West Sea, South Sea is considered to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development of ports and fishing harbors in east coast where the influences of ocean currents, wind-driven current and waves are dominant, the effect of the current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reproducibility of tidal current. The wave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an assessment criteria to obtain the validity of project such as harbor tranquility, functionality of breakwaters and stability. In addition, sediment inflow in river and exact water depth data of the ocean should be applied to numerical modeling and set wave-induced current to external force of sediment transport to predict the problems such as the harbor siltation and the coastal erosion considering ocean characteristics in the east coast.

      • KCI등재후보

        군산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박승윤,최옥인,권정노,전경암,조영조,김형철,김평중,박종수,Park, Soung-Yun,Choi, Ok-In,Kwon, Jung-No,Jeon, Kyeong-Am,Jo, Jo-Yeong,Kim, Hyung-Chul,Kim, Pyoung-Joong,Park, Jo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4

        1972년부터 2006년까지 30년 동안 군산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경향을 조사하였다. 6개 정점에서 수층(표층과 저층)별 계절별로 년 4회 수온, 염분,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산소, 영양염류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 간에는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인산인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표 저층 간의 차이가 컸었다. 공간적 분포특성은 수온과 용존산소 및 부유물질은 정점 간 차이가 없었으나, 그 외 조사항목에서는 정점 간 차이가 컸으며 주성분 분석결과 금강 하구역인 정점 1과 중간해역인 정점 2-4 및 비교적 외해측인 정점 5-6의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계절별로는 화학적산소요구량과 부유물질을 제외한 조사 항목에서는 유의성이 입증되었고, 정점별로 차이가 있어 내측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큰 상태이었고 외해측으로 갈수록 변화폭이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24년 동안 수질의 장기 변동은 표층 네 그룹, 저층 다섯 그룹으로 구분되어 항목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기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염분, 수소이온농도 및 용존산소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화학적산소요구량은 불규칙한 변곡선 형태이며, 영양염류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근래에 약간 안정화되었다가 2006년에 다시 약간 증가하는 특징을 보여 경인연안, 아산연안 및 천수만과 마찬가지로 육수 유입의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Long-term trend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the Gunsan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rea from 1972 to 2006.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6 station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SS), chemical oxygen demand(COD), dissolved oxygen(DO) and nutrient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emperature, DO and SS were not clear among stations but the seasonal variations were distinct except COD and SS. The trend analysi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during 24 years revealed the significant variations in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Spatial water qualities were clearly classified into 3 clusters by PCA; station cluster 1, 2~4, and 5~6. Annual water qualities were clearly classified into 4 surface water clusters and 5 bottom water clusters by PCA. By this multi-variate analysis. The annual trends were summarized as follows; Salinity, pH and DO tended to increase since late 1970's, COD to increase since 1987, and SS to decrease and nutrients to increase in Gunsan coastal waters due to the input of fresh water from land same as in Kyoungin coastal area, Asan coastal area and Choensoo b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