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노의 종합적 이해를 위한 시도

        전겸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000 美術治療硏究 Vol.7 No.1

        정서적 스트레스와 건강간의 밀접한 연관성은 동양과 서양 의학사에서 잘 인식되어 왔다.(전겸구, 김동연, 2000). Spielberger, Rilterband, Sydeman, Reheiser, 및 Unger(1995)에 의하면, 분노, 우울, 및 불안이 가장 핵심적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이러한 세 가지 정서적 스트레스를 핵심적인 징조(vital signs)로 명명한 바 있다. 이제 본 논문에서는 정서적 스트레스와 건강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김교헌, 전겸구, 박영숙, 1999; 전겸구 1996, 1999a,b,c; 전겸구, 권기덕, 김상기, 1999;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1997; Chon, Chon, Ahn, Chang, Kwak, & Spielberger, 1999; Chon, Chung, & Tae, 1999; Chon, Hahn, Chang, Kim, & Oh, 1998; Chon, Hahn, & Lee, 1998; Chon, Kim, & Hahn, 1999; Chon, Kim, & Ryoo, 2000; Chon, Tae, & Ro, 1999) 의 일환으로 분노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다. Recent studies attest that anger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 to cardiovascular diseases and/or cancer in terms of preven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hus, an attempt was made to understand anger in a comprehensive way. To begin with, the rationale on why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nger is needed was provîded. Then some basic natures of anger especially based on a control theory (Chon, 1989), were explored and presented. In order to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anger,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anger and other basic emotíons such as joy, sadness, fear, shame, and guilt among others. Finally, a cross cultural comparison was made, in part, to impmi fruitful implications from Western swdies.

      • 정서 지능의 대안적 접근

        전겸구 大邱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1999 社會科學硏究 Vol.6 No.2

        최근에 한국 사회에서도 정서 지능이라는 개념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정서 지능에 관한 명확한 개념 정립이나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 도구 개발이 미쳐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급속도로 회자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정서 지능에 관한 비판과 함께 대안적 조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반부에서 정서 지능 개념의 심리학사적 배경, 정서 지능의 개념, 및 정서 지능 개념의 타당성을 다루겠다. 이어서 후반부에서는 정서 지능과 관련한 퇴계의 4단 7정론, 심적 조절론과 함께 제어 이론에 기초하여 대안적 접근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 작업 스트레스 척도 개발 : 이론적 탐색 Theoretical exploration

        전겸구 大邱大學校 障碍人綜合硏究所 1998 再活科學硏究 Vol.14 No.1

        본 논문에서는 작업 스트레스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이론적 모형을 탐색하였다. 우선 전반부에서는 (1) 작업 스트레스의 사회적 현황을 소개한 후, (2) 작업 스트레스와 관련된 주요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어서 후반부에서는 지금까지 제안된 다양한 이론들을 통합하기 위하여 제어 이론에 기초한 작업 스트레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3) 제어 이론에 관한 기초적 개념 소개한 후, 끝으로 (4) 제어 이론에 기초한 작업 스트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An attempt was made to understand work stress based on a control theory. This paper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half was devoted to the phenomena of work stress together with major theories of work stress. Then, in the second half, an attempt was made to comprehend work stress based on a control theory. More specifically, a brief sketch on the work stress phenomena in modern life was presented. Then four major theories on work stress were also briefly presented. After presenting major theories on work stress, as a way of theoretical background, a summary of control theory was described. Then, in the final section, a model of work stress based on a control theory was proposed.

      • KCI등재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2판 타당화 연구

        전겸구,서경현,이준석,노성원,이용미,김소정,김의연,이주열,최아론 대한스트레스학회 2023 스트레스硏究 Vol.31 No.3

        본 연구는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2판의 타당화 연구로 수행되었다. 한국판 STAXI-2 (57문항)를 전국적 편의 표집(N=307명)과 환자 집단(N=81명)에게 실시한 결과, (1) 분노 경험(2 요인)과 분노 표현(4 요인)이 명확한 구조로 나타났으며, (2) 정서적 스트레스 검사와의 수렴 타당도와 변별 타당도가 확인되었으며, (3) 전반적으로 환자 집단이 일반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한국판 STAXI-2가 타당한 검사로 나타났다. 또한 (4) 내적 일치도와 (5) 검사-재검사에서도 만족스러운 신뢰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판 STAXI-2가 의학, 간호학, 심리학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척도임을 시사하고 있다.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2 (K-STAXI-2). Methods: The study included a sample of 307 normal adults and 81 comparable adult pati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es, internal consistency measures, assessment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tests between groups,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1)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clear-cut factors for anger experience (state anger and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anger expression-in, anger expression-out, anger control-in, and anger control-out); (2)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K-STAXI-2 and the Emotional Stress Inventory demonstrate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3) t-test between the patient group and the normal adults group provided additional construct validity; (4) internal consistencies of the six subscales showed a satisfactory level of reliability (α=.81 to α=.94); and (5) test-retest reliability over four weeks showed a satisfactory level of reli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further suppor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STAXI-2, suggesting its usefulness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ine, nursing, psychology, addiction, organization, education, and criminal justice.

      • 한국판 상태 : 특성 우울 척도 개발: Ⅰ Trait Depression Inventory: Ⅰ

        전겸구 大邱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1999 社會科學硏究 Vol.6 No.4

        최근에 건강 심리학적 연구에 의하면 우울이 암이나 심장 질환에 대하여 중요한 심리적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지금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우울 척도는 건강 심리학이 발전하기 이전에 개발된 까닭에 주로 정신병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서 개발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우울 척도는 우울의 상태적 측면과 특성적 측면의 구분이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의 구분 없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세분화된 구분이 가능하며, 보다 건강 심리학적 연구의 촉진을 위하여 개발된 Spielberger의 상태-특성 우울 척도의 한국판 개발을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목적을 위하여 두 개의 독립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연구 1에서는 대전과 대구 지역의 고등학생 204명과 대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2에서는 서울, 인천, 춘천, 대전, 충주, 전주, 광주, 대구, 창원, 및 제주 지역의 대학생 342명과 서울, 전주, 및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101명을 포함시켰다. 그 결과, 연구 1에서는 상태 우울 척도와 특성 우울 척도에서 각각 25문항씩으로 구성된 예비 척도로부터 가장 적절한 15문항씩을 선발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2에서는 15문항씩으로 구성된 예비 척도로부터 가장 적절한 10문항을 선발할 수 있었다. 이렇게 최종적으로 10문항씩으로 구성된 본 척도의 내적 일치도, 요인 분석, 검사-재검사, 한국판 CES-D와의 준거 타당도 검증을 시도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태-특성 우울 척도가 매우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판 상태-특성 우울 척도와 미국판 척도와의 비교를 시도한 후 추후 연구에서의 활용 및 보완점이 논의되었다.

      • 주부들이 경험하는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연구

        전겸구 大邱大學校 障碍人綜合硏究所 1998 再活科學硏究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주부들이 경험하는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국에서 29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때 원칙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현재 개발중인 척도의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후속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주부들이 경험하는 주요 생활 스트레스로서 7가지 생활 스트레스 영역이 의미 있게 나타났다: (대인 관계 차원), 배우자와의 관계, 가족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당면 문제), 경제 문제, 교통 문제, 건강 문제, 주거환경 문제. 한편, 이러한 7개의 요인에 의하여 62%가 설명되고 있었다. (2) 주부들이 자주 경험하는 생활 스트레스 문항을 살펴본 길과, 환경 문제, 경제 문제, 교통 문제, 및 배우자 관계 등으로 나타났다. (3)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 해석과 정서적 진정이 효과적인 대처 방식인 반면에, 정서적 지원 추구가 비효과적인 대처 방식임을 암시하고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and coping styles experienced by housewives. Participants were 296 housewives from major areas in Korea: Seoul, Inchon, Taegu, Changwon, Chonju, Kwangiu, Kangrung and Cheju.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utilize scales which were already established in ter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f the scale is now under development, examination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first done before further analyses. The scales employed for the present study include life stress scale for adult,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and Korean adaptation of CES-D. The major findings revealed that: (1) there were seven meaningful factors for the life stress scale; 'husband,' Family,' 'friend' (interpersonal dimension), 'financial,' 'environmental,' 'health,' and 'transportation' (task dimension). These seven factors were explaining 62% of the total variance. (2) Housewives most frequently experienced life stress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problems,' followed by 'financial,' 'transportation,' and 'husband.' (3) When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coping styles, 'positive interpretation' and 'pacification' appear to be effective coping styles, while 'emotional social support seeking' being ineffective coping style. When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all life stres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Finally, when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oping styles and depression,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ositive interpretation', but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social support seeking.' Thu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positive interpretation appears to be an effective coping style, while emotioanal social support seeking being an ineffective coping style. Finally, limitation of the present finding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 KCI등재

        뇌졸증 환자와 정상인의 분노 비교

        전겸구,강수균,고효민 한국미술치료학회 2000 美術治療硏究 Vol.7 No.1

        뇌졸증은 현대인에게 기장 치명적인 질병의 하나이다. 실제로 뇌졸증은 1997년의 경우 국내에서 재 1위의 사망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통계청, 1998), 전 세계적으로도 제 3위의 사망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WHO 197 세계 건강보고서, 중앙일보, 1997, 5, 16에 서 재인용). 한편 최근 연구에 의하면 분노가 뇌졸증을 비롯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하여 핵심적인 심리적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Everson, Kap1an, Go1dberg, Lakka, Siγenius, & Salonen, 1999; Siegman, Townsend, Blumenthal, Sorkin, & Civelek, 1998; Spielberger, Reheiser, & Sydeman, 199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anger in stroke. The participants were 82 srroke patients and 91 healthγ conlrols. Anger was assessed by the Korean acl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γ (Chon, Hahn, & Lcc,1998). Stroke patients revealcd significantly higher scûres than healthy controls I on the state anger, the trait anger, and the anger-in scales. Furtherrno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caled that trait anger and angcr-in were risk factors to stroke, while anger-out was a protective factor to stroke

      • 사회적 지원 척도 개발 연구

        전겸구 大邱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1999 社會科學硏究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에 알맞는 사회적 지원 척도 개발을 시도하였다. 지금까지 수행된 사회적 지원 연구에 기초하여 가족 영역과 친구 영역별로 정서적 지원, 실질적 지원, 및 정보적 지원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서울, 대전 및 대구 지역에서 12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족 영역과 친구 영역에서 각각 정서적 지원과 실질적 지원만이 의미 있는 요인 구조로 나타남으로써 정서적 지원과 관련된 문항을 제외시켰다. 또한 각 요인에서 높은 요인 부하량으로 나타난 문항을 중심으로 선발한 결과 16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사회적 지원 척도를 구성할 수 있었다. 이렇게 구성된 각 하위 척도가 만족스러운 내적 일치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 하위 척도와 대처 척도 점수간에 다양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어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회적 지원 척도를 통하여 7가지의 세분화된 측정 점수를 도출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에서의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 스트레스 관리의 현황, 모델, 및 방법

        전겸구 大邱大學校 特殊敎育ㆍ再活科學硏究所 1999 再活科學硏究 Vol.15 No.1

        본 논문에서는 조만간 다른 분야에서처럼 재활과학 분야에서도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한 주제가 되리라는 관점에서 스트레스 관리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1) 현대에서 유행병처럼 나타나고 있는 스트레스 현황을 살펴보고, (2) 외국에서의 스트레스 관리를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어서 (3)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 후, (4) 심리학 분야 가운데 스트레스 관리와 가장 관련이 있는 임상심리학과 건강심리학을 살펴봄에 의하여 재활심리학에서의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5) 스트레스 관리의 일반적인 절차 및 (6) 스트레스 관리의 주요 기법을 소개하였다. 긴장과 불안으로 가득 찬 세계에서 스트레스 관리는 심리학의 주요 목표의 하나가 되었다(Kaplan, Sallis, & Patterson, 1993, p. 128) In view of the fact that stress management will be an important topic even in the rehabilitation science in the near future, a brief overview was provided in the present paper. More specifically, (1) the seriousness of stress in modern life as an epidemic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as explored, (2) the phenomana of stress management exercised in foreign countries were described. Then, (3) stress management model was proposed, and by (4) a brief exploration of clinical psychology and health psychology in terms of stress management suggests that rehabilitation psychology b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health psychology rather than clinical psychology. Finally, (5) the general procedure for stress management, and (6) specific techniques for stress management were int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