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PCC환경 속 몽타주 프레임의 게슈탈트적 접근에 관한 연구

        장호현 (Jang Ho 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4

        오늘날의 현대 사회는 디지털 기술이 발전 하면서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통해 상호 인터렉션이 가능한 시대를 이루게 되었으며 인간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편재되어 서비스되어지는 콘텐츠는 해를 거듭할수록 종류와 범위가 커지고 있다. 또한 우리 주변의 디지털 디바이스들은 소형화 다기능화 고품질화 되어 일반인들의 사용 편리성 및 고급기능의 보편화로 인해 이러한 사용자 개개인이 쉽게 콘텐츠 제작 및 제공이 용이한 편리한 환경을 만들었고 이는 UCC(User Created Contents)를 거쳐 PCC(Proteur Created Contents) 라는 신조어의 탄생을 야기시켰다. 오늘날의 PCC는 UCC를 대체하는 새로운 현상은 아니며 단순히 사용자들의 참여에서 오는 만족감이나 주목성 등이 주된 동력이 되었던 UCC에 비하여 PCC는 일정 부문에 있어 검증된 콘텐츠 기획 및 제작자들이 참여하여 만들어진다. 주목성을 통한 경제학 실현 추구 및 UCC의 상호 보완적 관계 등을 추구하는 PCC환경을 통해 자신의 전문분야를 내세운 새로운 차세대 인터넷 스타로 발돋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CC환경에 있어 전문가 수준의 실력을 갖춘 준전문가급인 프로츄어가 사용자들로 하여금 좀 더 정확한 정보공유를 통한 즐거움 및 시선을 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시각적으로 좀 더 멋진 합성이나 멋진 구성 보완이 시급하게 되었다. 이를 게슈탈트의 이론을 통해 PCC환경의 몽타주 프레임이 인터렉션 디자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연구하고자 한다. Along with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oday's modern society has been advance to an age where we are abl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various multimedia and the contents that have been serviced being universally present in a variety of areas for human life have become larger in its kinds and range as well along with time-lapse. In addition the digital devices have been miniaturized and multi-functionalized and also featured high-quality so then owing to convenience for use specially designed for general public and wide acceptance of sophisticated functions those digital devices have created very convenient environment where each user can produce and provide contents without requiring much effort. This trend has led to the coining of such a new phrase as Proteur Created Contents (PCC) having gone through the stage for UCC (User Created Contents). In 2006 The Times had selected "You" as the personage who represents this year and so we are facing a time in the verge of heightening the attention to PCC throughout the whole world. This is an alternative to get rid of the present state where manufacturer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reating profits due to the problems of quality downturn following to indiscreet quantitative increase of UCC. PCC which pursues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UCC and realization of economy through attentiveness is now expecting to become a new next-generation internet star weighing in with one's own specialized area. This study was to make the proteur a semi professional who possesses skills and know-how that correspond to that of an expert in PCC environment enable so much as to have the users grasped joy and caught eyes through shar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and to do so it is urgently required to complement composition or configuration in a way that shall look nicer and more stylish visu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bout how montage frame of PCC environment does affect interaction design through Gestalt Theory.

      • KCI등재후보

        미디어에 나타난 버내큘러 디자인 표현의 정체성 고찰

        장호현(Jang, Ho 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1

        디자인이 추구하는 바는 보다 첨단적인 심미성을 부여하여 시장에서 잘 팔리도록 만들어 내고 보여주는 데에 있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도적인 디자인을 모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손쉬운 방법이었고 이러한 모방을 통해 우리의 주류 디자인 경향도 자연스레 특정문화에 편승되는 국제주의 스타일로 굳어졌다. 다시말해 문화적 고유성을 중시하려는 관점은 도외시되고 있었다.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창조성과 차별성에 따른 고유성이 요구되고 "세계화" 라는 자본과 시장의 전 지구화는 더욱 격렬한 경쟁의 장을 열어 놓았다. 이에 상업화된 문화의 침투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은 개별 지역문화가 지니고 있는 특수성, 차별성, 독특함을 개발해 내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디자인 행위는 전문 디자이너가 하는 것, 어려운 것, 특별한 것, 비 일상의 것이라는 인식에서 보다 자유로워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 디자인에서 우리의 독창성을 어떻게 견지해낼 수 있을 것인가 " 라는 문제와 " 디자인을 어떻게 일상으로 끌어낼 수 있을 것인가 " 라는 문제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 버내큘러 디자인 (Vernacular Design) " 을 제시하였다. 미디어에 나타난 "버내큘러"라고 불리우는 문화들의 스타일 특성과 내재된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여 현재 우리 디자인문화가 안고 있는 제반 인식의 문제 ( 모방의 풍조, 유행에의 집착에 따른 획일화, 연계성 등) 의 원인을 찾아 이에 바탕을 둔 무한한 발전 가능성, 합리성 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일상의 것들을 주류의 규격화된 형식에 맞추지 않고 자유자재로 표현하는 버내큘러 디자인은 미디어를 통해 대중이 요구하는 코드와 일치할 경우 높은 수익창출은 물론 정체성의 인지적 측면에서 극대화 가능성을 지닌 주류문화로 탄생 할 수 있다. 다시말해 버내큘러 디자인은 우리 문화와 일상에 다양성과 생동감을 불어넣어줌으로써 탈 구조주의적 양태로서 과거를 다시 동시대적화하려는 시도는 미디어를 통한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며, 디자인 문화 전반의 발전을 추동해내는 토대가 된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motivated by two problems. These are how we can adhere to our originality in design and how we can vring design to usual life. and I suggested "vernacular desin" as the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Originally, the meaning of the term "vernacular" is mother tongue. dilect aboriginal, of usal oral language" and it has the character of "anti-mainstream, ambianc, subordinate concept". When "vernacular" is related to design, it indicates " the design which designer didn"t design" and "the objects which appeared in the early capitalistic culture before the idea of modern design was accomplished." and the meaning of vernacular design contrasted with the universality, standardization of modern derign is defind as the autogenous style on the side area of mainstream design". "various individual objects which are omnipresent in the usual life which is not contralled by medern design" In this Study, I searched the procedure that vernacular design get the meaning. the significance that vernacular design have in design field first"y through the correlation with modern design. The traction that we made the goods needed in life by ouselves, that craftsmen produced by hand has been vanished for the mass-production. Our lives have been filled with similar goods no matter where we go. Although the early idea of a modern design was the popularization of art and the pursuit of new style, it was deteriorated uniform functionalis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비즈니스 기회요소 창출을 위한 디자인 가치와 역할에 관한 연구

        장호현(Jang, Ho 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핵심 축으로 등장하고 있는 디자인의 지평과 역할에 있어서 새로운 기회요소의 창출에 대한 연구로서 디자인은 명실공히 경제활동의 중축으로서 작용하고 있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과거 디자인의 생산가치는 시대의 변화에 의해 매개가치를 포함해서 재화가치, 개인가치 등 디자인을 통해 생성하게 되는 통섭의 파생효과가 온전히 비즈니스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와 더불어 경제현황의 악화에 따른 디자인 비즈니스 기회의 축소로 인해 디자인 분야의 자생적 위치 확보와 새로운 디자인 기회요소를 창출하기 위한 사회문화적 해석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디자인의 가치 특성인 소통가치와 재화가치, 개인가치, 감성가치 등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전의 디자인 매개방식의 변화와 가치체계의 변화가 서비스 디자인을 디자인 분야의 핵심적인 주체로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한 디자인 비즈니스 기회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the creation of new opportunities as role of design that is emerged as the core pillars of modem society. Design has moved into a era of the economic activity and acts as a major role. Production value of design in the past has been the driving force of the business by the side effects of consilience that are created through the design and parameters including the value of goods, values, personal values. This study is social and cultural analysis studies for securement of position in the field of design in decline of the design business opportunities due to the worsening of the economic situation and a paradigm shift in the marketand new design elements to create opportunities. And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value such as communication, the value of goods, pers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emergence of service design as a core subject in the design field through the value system change of the design parameters in the previous approach, judges possibility of creation the design business opport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