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변화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방향성

        장혜진 ( Hae Jin Ch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1

        연구배경 효과적인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정책수립과 적용을 위해서는 우리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변화의 양상에 대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라 변모하게 될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이슈들을 예측하고, 현재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현황을 진단한 후 사회변화의 양상에 적합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향후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큰 주요한 사회변화를 선정하고 이에 따라 변모하게 될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이슈를 예측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연구논문, 정책보고서, 문헌, 법령 등을 통해 선행연구와 정책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국내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법률, 조례, 가이드라인 등을 중심으로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변화를 고려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방향성을 제안했다. 연구결과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방향성을 도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한 사회변화로 초고령화 사회 진입, 사회통합 추구, 지속 가능한 발전 추구, 신기술 출현 및 산업 다변화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법률, 조례, 가이드라인을 사회변화 양상에 비추어 점검한 결과, 향후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방향성을 크게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도출하였다. 사회 구성원 간 공존의 가치 추구, 지속 가능성의 추구, 공공영역에서 민간영역으로의 확장,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영역 다양화가 그것이다. 결론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미래 사회변화에 대응한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수립 및 디자인 분야의 유니버설디자인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For the effective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application related to universal design, the comprehensive study on the aspect of social changes that influences on human lives must be performed in priority.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to predict universal design-related issues that will change according to social change,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Korea, and suggest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 Methods This study selected major social change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ur society in the future, and predicts universal design-related issues that would be transformed by the social changes. Through the research papers, policy reports, literature, and law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previous studies and policy trend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Korea, focusing on current laws, ordinances, and guideline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Based on such,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s was suggested. Result The major social changes to be considered in deriving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include the entry into an aging society, the pursuit of social integration, the pursui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industries.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laws, ordinances and guidelines regarding the current domestic universal design,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which our society should pursue in the future are derived into four directions; pursuance of coexistence value between social members, pursuance of sustainability, expansion from public areas to private areas, and diversification of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area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foundation mate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in design areas corresponding to the future social chang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기업 디자인 철학의 성공적인 구축과 적용을 위한 방향성

        장혜진 ( Hae Jin Ch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기업의 디자인 철학은 과거부터 강조되어 왔고 대부분의 국내외 대기업에서 자사의 디자인 철학을 수립하고 있다. 그렇지만 디자인 철학이 성공적으로 운용되는 기업이 있는 반면, 디자인 철학은 있으나 이 철학이 성공적으로 운용되지 못해 타 기업과의 차별화를 이루지 못하는 기업도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업 디자인 철학이 적용되는 적용 체계를 구축하고 디자인 철학의 구축 및 적용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여 디자인 철학 운용을 위한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밀레(Miele), 구글(Google), 버진(Virgin), 무인양품(無印良品, MUJI)과같이 기업 디자인 철학의 체계적인 운용 체계를 필요로 하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사례의 비교 연구를 통해 디자인 철학 구축과 적용에의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과거에는 디자인 철학을 논할 때 디자인 철학이 기업 디자인 결과물의 조형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반영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디자인철학은 디자인 스타일, 디자인 전략, 커뮤니케이션 전략, 디자인 문화에 이르기까지 기업의 전반적인 요소에 걸쳐 체계적으로 반영되어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디자인 철학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적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지침으로 독창성, 유무형 균형, 진화성, 일관성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업에서 디자인 철학을 구축한 후 이를 성공적으로 운용하여 단지 철학 구축 자체로만 끝나지 않고 기업의 성공에 기여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용한 지침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ce of a company``s design philosophy has been emphasized for a long time, and most large companies at home and abroad have their own design philosophies. However, while some companies implement their design philosophies successfully, other companies fail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because their design philosophies have not been implemented successfully.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construct an application system for a corporate design philosophy that provides a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is philosophy.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ison analysis of four major companies: Miele, Google, Virgin, and MUJI, and derived insights from it. Design philosophy in the past was deemed to be reflected by focusing on the figurative elements in the company’s design output. However, it should be systematically reflected and consistently managed throughout the company``s overall design philosophy, ranging from design style and design strategies and processes to communication strategies, services, and corporate culture. Inaddition, this study draws on creativity, equilibrium between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evolvability, and consistency as guidelines to consider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designphilosoph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guideline for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companies by operating their design philosophy successfully, and not just leaving itas an end in itself after the company has established i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컨텍스트를 고려한 도시 공간을 위한 아이덴티티 전략

        장혜진 ( Chang Hae-j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1 No.-

        도시 공간의 아이덴티티는 해당 장소의 핵심 아이덴티티에 기반을 두고 도시 디자인 전략과 체계적인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고 주변 환경 및 시대에 따라 변화해야 한다. 그렇지만 현재의 도시 공간 아이덴티티는 물리적 시설물 중심으로 계획되고 있으며 장소의 컨텍스트를 살려 해당 장소만의 고유의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참신한 시도에 바탕을 둔 디자인 전략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도시 공간 아이덴티티의 가치는 그 공간 속의 사용자가 얼마나 해당 장소와 효과적으로 소통하느냐, 감성적인 만족감을 얻느냐에 따라서 결정되며 이는 특정 장소의 컨텍스트(context)에서 사용자와 그 활동을 이해하고 이에 바탕을 두고 해당 공간만의 새로운 경험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디자인 전략이 있을 때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도시 공간을 이해하고 도시 공간에서의 아이덴티티 전략이 기존의 아이덴티티 전략과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컨텍스트를 고려해야한다는 점임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한 도시 공간 아이덴티티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컨텍스트는 크게 장소 컨텍스트와 사용자 컨텍스트로 나뉜다. 장소 컨텍스트와 관련된 항목은 환경, 역사, 문화, 사회이고 사용자 컨텍스트와 관련된 항목은 사용자, 활동, 환경, 매체이다. 이와 같은 컨텍스트 분석 전략은 사용자와의 교감을 통해 고유한 공간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변화하는 도시 환경에서의 아이덴티티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도시 공간 아이덴티티 수립에서의 보다 창의적인 접근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It is desirable that urban space identity be managed by a proper urban design strategy and systematic system, and should remain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imes based on the core identity of the applicable place. However, identity strategy of urban space so far has focused primarily on physical facilities and has not emphasized innovative design that creates unique cultural value, and enhances a place`s context. The value of urban space identity depends on how much users can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the applicable place, and on how users can gain emotional satisfaction from it. This can be achieved when there is a creative design strategy that can understand users and their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a specific place and create new experience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he place identity strategy and existing identity strategies is that place identity strategy considers context as important. This study proposes an identity strategy of urban space based on context. Context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place context and user context for analysis. Items relating to place context analysis include environment, history, culture, and society those relating to user context analysis include user, activity, environment, and media. This context analysis strategy aims for creating unique space experience through sympathy with the us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future urban space identity and providing suggestions on identity strategy in a changing environment.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을 위한 디자인 전략의 방향성

        장혜진 ( Hae Jin Ch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기업의 성공적인 활동을 위해 기업의 윤리성이 중요해지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R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자 선적 기부활동, 공익캠페인과 같은 형태로 초기에는 이루어졌으나 이제는 기업의 디자인 철학과 프로세스, 기업의 디자인 원칙과 디자인, 기업 내부의 문화,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등에 이르기까지 통합적인 관점에서 관리되어야 하는 기업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 전략의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시대적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의 역할을 디자인을 통해 우수하게 구현하고 있는 국내외 기업의 사례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 뒤 기업의 사회적 책 임 활동을 위한 디자인 전략의 방향성에 대해 논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위한 디자인 전략에서 고려해 야할 주요 방향성으로 1)디자인 철학과 프로세스, 디자인 원칙과 디자인, 기업의 문화,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CSR 관점에서의 통합적 관리, 2)기업 의 핵심 역량과의 연관성, 3)소비자의 관심과 참여 유도 등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과 기업 내부의 조직문화, 소비자가 함께 감성적 교류를 통해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를 공감해야 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RS)을 위한 디자인은 기업의 전략적 이미지 관리를 넘어서 진정 성을 지닌 디자인 전략으로 사회적 영향력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Intere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 increasing as greater importance is placed on the ethicality of companies for achieving successful activities of corporations. Although CSR was previously achieved in the form of charitable donation, public campaigns, it is now established as a core corporate factor that must be managed in the integrated perspective ranging from corporate design philosophy and process, company principle and design, company culture, company communication strategy. Thus,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SR and establish the direction of design plan for CSR. This study recognized the timely importance of CSR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analyzed the role of design for CSR. Also,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design for CRS after drawing implications by observing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hat have effectively realized CSR through design. The main items that must be considered in design strategy for CSR are 1) necessity of integrated management, 2) connection with company product or service, 3) and inducing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consumers. To successfully lead CSR activities, values pursued by the company/br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company, and emotional sympathy of consumers must be united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