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몬테소리 언어교구가 만 5세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장혜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which effect the Montessori language Teaching Aids activity has on preschool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by compar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between a group with fully 5 years old that is active in Montessori language Teaching Aids activity at Montessori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a group with fully 5 years old in its opposit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For this, a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40 preschool children aged fully 5 who attend 4 places of Montessori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in B city of Gyeonggi Province and 40 preschool children aged fully 5 who attend 4 places of general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in N city of Gyeonggi Province and in Incheon. To measure phonological awareness out of preschool children's early literacy ability, it used phonological awareness test, which is sub-test of being evaluated the phonological processing by ‘Basic Academy Skills Assessment: Early Literacy),’ which is a standardization test. To measure preschool children's vocabulary development, it used ‘picture vocabulary test’ made by Kim Yeong-tae, Jang Hye-seong, Im Seong-suk, and Baek Hyeon-jeong(1995). Experimental treatment was carried out for 14 weeks except holidays from September 10, 2012 to December 14, 2012. During the experimental time,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Montessori 12-week language Teaching Aids program, which was selected. The comparative group was carried out only the language activity in communication sphere. The Teaching Aids that were measured in pre-post test were carried out ANCOVA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xecution of the Montessori language Teaching Aids 12-week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rise in phonological awarenes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In other words, the phonological aware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xecution of the Montessori language Teaching Aids program activity was enhanced more. This can be considered that the Montessori language Teaching Aids activity can be consider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improvement in preschool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about the effect that the Montessori language Teaching Aids program activity has on preschool children's vocabulary develop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rise in vocabulary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Namely, the Montessori language Teaching Aids activity can be considered to have effect on preschool children's vocabulary development. This study limited region and age to preschool children aged fully 5 in Gyeonggi Province, thereby being unreasonable to be generalized. What examined the effect of Teaching Aids for 12 weeks corresponds to a little short period enough to analyze the effect on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lso, it gave limitation to teachers who completed the same Montessori curriculum when selecting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 offering method is different little by little in a teaching Teaching Aids every Montessori educational institution. Finally, this study examined only phonological awareness out of basic literacy ability. Therefore, a follow-up research can be raised the necessity of longitudinal study for examining a developmental change in addition to sampling diverse ages in the broader area. Also, there is a need of examining extensive language ability available for being related to Montessori language Teaching Aids by considering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by generally measuring basic literacy ability of including even skills related to reading and writing. Clarifying significances of this study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tried to compare between the preschool children aged fully 5 who attend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with execution of Montessori language education and the preschool children in its opposite case, thereby having offered substantial information as saying that the Montessori language Teaching Aids has positive influence upon development in phon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Second, it is the real situation of being not performed much a research on language sphere compared to other spheres such as daily life, sense, and number among 5 Montessori spheres. An inquiry of a Montessori language education method through this study may have significance in having closely examined the effect of Montessori language Teaching Aids on preschool children who learn by using especially Korean language, namely, our country's word and writing. 이 연구는 몬테소리 유아교육기관에서 몬테소리 언어교구 활동을 하는 만 5세 집단과 그렇지 않은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집단의 음운인식능력과 어휘력을 비교해보고 몬테소리 언어교구 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어휘력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B시의 몬테소리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4곳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0명과 경기도 N시와 인천의 일반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4곳에 다니는 만 5세 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초기문해능력 중 음운인식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표준화 검사인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ic Academy Skills Assessment: Early Literacy)’에서 음운처리과정을 평가하는 하위검사인 음운인식능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어휘력 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김영태, 장혜성, 임성숙, 백현정(1995)이 개발한 ‘그림 어휘력 검사’를 사용하였다.실험처치는 2012년 9월 10일에서 2012년 12월 14일까지 공휴일을 제한 14주간 실시하였으며, 실험시간동안 실험집단은 선정된 몬테소리 12주 언어교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의사소통영역 언어활동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서 측정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몬테소리 언어교구 12주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음운인식능력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즉, 몬테소리 언어교구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음운인식능력이 더 향상되었으며, 이는 몬테소리 언어교구 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몬테소리 언어교구 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어휘력 증가를 보였다. 즉, 몬테소리 언어교구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경기도의 만 5세 유아로 지역과 연령을 제한하며 일반화에 무리가 있고, 12주 동안 교구의 효과를 살펴본 것은 교구가 유아의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에 다소 짧은 기간에 해당한다. 또한, 몬테소리 유아교육기관에서 교구활동이라는 처치를 실시함에 있어서, 유아들이 몬테소리 교구를 처음 접하는 시접에 연구가 시작된 것이 아니므로 결과의 해석에 주의를 한다. 그리고 실험집단의 교사를 선정할 때 같은 몬테소리 교육과정을 이수한 교사로 한정하였는데 몬테소리 교육기관마다 교구에 대한 제공법이 조금씩 상이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기초문해능력 중에서 음운인식 능력만을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더 넓은 지역에서 다양한 연령을 표집할 것과,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종단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이 기관에 새로 들어오는 학년 초기부터 연구를 시행하고, 교사의 특성을 고려하며, 읽기, 쓰기 관련 기술까지 포함하는 기초문해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몬테소리 언어교구의 효과를 보다 엄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의의를 밝히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몬테소리 언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에 다니는 5세 유아와 그렇지 않은 집단의 유아를 비교해 봄으로써 몬테소리 언어교구가 음운인식능력과 어휘력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둘째, 몬테소리 5개 영역 중 일상, 감각, 수 등 다른 영역에 비해 언어영역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를 통해 몬테소리 언어교육방법을 탐색해 봄으로써 특히 한국어 즉, 우리나라의 말과 글을 사용하여 학습하는 유아들에게 몬테소리 언어교구가 효과적임을 규명했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 일시적 수용성 분산염료를 이용한 PTT섬유의 환경친화형 염색

        장혜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섬유인 PTT(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섬유는 90년대 초부터 본격적인 상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주로 카페트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PTT 섬유가 카페트용 소재로써 갖추어야할 보행촉감과 보행 후 우수한 원상회복력 및 내오염성, 벌키성 등을 고루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Nylon을 대체할 차세대 카페트 원사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PTT와 같은 소수성 섬유를 염색할 수 있는 염료는 분산염료이다. 분산염료는 소수성으로 염료 제조공정 시 다량의 분산제가 첨가되며 염색과정에서도 분산제가 첨가된다. 그러나 분산제는 염색이 끝난 후 섬유에 흡착되지 않고 염욕에 그대로 남게 되며 이는 염색폐수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수용성기인 β-sulfatoethylsulfonyl기를 가지는 일시적 수용성 분산염료는 염액의 제조 시 염료가 일시적으로 수용성을 띠기 때문에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단분자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염색공정 중에 비수용성기인 vinylsulfone기로 전환되어 소수성 섬유인 PTT를 염색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시적 수용성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PTT 섬유를 염색하게 되면 염색공정 중에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가절감의 효과와 함께 염색폐수의 수질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에서는 각각 3종의 피리돈계와 아미노아조벤젠계 일시적 수용성 분산염료를 합성하여 소수성 PTT 섬유를 염색하였다. 다음으로 PTT 섬유에의 염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pH 및 염색온도 등이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최적조건을 선정하였으며 견뢰도 특성도 알아보았다. 또한 염색폐수의 수질을 상업 분산염료와 비교해 봄으로써 환경친화형 염색공정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합성한 염료의 PTT 섬유에 대한 염색성은 pH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피리돈계 아조염료의 최적조건은 110℃, pH 6 이었으며 아미노아조벤젠계 염료의 최적조건은 110-120℃, pH 5-6 이었다. 합성한 염료들은 PTT 섬유에 우수한 build-up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체적으로 견뢰도는 우수하였으나 아미노아조벤젠계 염료의 일광견뢰도는 다소 낮았다. 일시적 수용성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염색한 염색폐수는 상업 분산염료에 비하여 COD_(Mn)값이 매우 낮아 기존 염색공정에 비하여 수질개선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PTT 섬유의 환경친화형 염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PTT fiber was originally developed with PET and PBT. But it was recently commercialized. It has good softness and resilience, easiness of dyeing, and great soil resistance and antistaticity. Therefore PTT fiber is mostly used for carpet or clothings. Disperse dyeing of hydrophobic fiber such as PTT and PET is usually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dispersant. Dispersant are added to increase solubility of disperse dye and to maintain dispersion stability during dyeing procedure. However, they may cause staining of the fabric. They are also discharged as effluents with the residual dyeing liquor, which increases the COD and BOD values of the effluent. The temporarily solubilized disperse dye containing β-sulfato-ethylsulfonyl group is soluble in water and does not need to used dispersant. And during the dyeing procedure, β-sulfatoethyl-sulfonyl group will be converted into insoluble vinylsulfone group. Then the water-insoluble form of the dye having substantivity to hydrophobic fiber such as PTT can be adsorbed onto the fiber. In this research, temporarily solubilized disperse dyes containing β-sulfatoethylsulfonyl group were synthesized. These dyes were applied to PTT fabric and feasibility of dispersant-free dyeing was investigated.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dyes were compared with commercial disperse dyes. The structure of the dyes were characterized using 1H-NMR and UV/Vis spectrophotometer. The color yields of the dyes on PTT fabric were found to be highly dependent on dye bath pH while not much on dyeing temperature. The optimum results of azo pyridone dyes were obtained at pH 6 and 110℃ while those of aminoazobenzene dyes were obtained at pH 5-6 and 110-120℃. All the dyes showed good build-up properties on PTT fabric. On the whale, wash and lightfastness were fair to moderate. However lightfastness of aminoazobenzene dyes were somewhat poor. The CODMn levels of the dyeing effluent from the temporarily solubilized disperse dyes were much smaller than those from commercial disperse dyes.

      • 간호사의 의사소통유형,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대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혜경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의사소통유형,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대처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및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와 J도에 소재한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1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의사소통유형은 Downs와 Hazen(1973)이 개발하고, 서이아(2003)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직무스트레스는 구미옥과 김매자(1984)가 개발하고, 한명자(2007)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스트레스대처는 Lazarus와 Folkman(1984)이 개발하고, 한정석과 오가실(199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직의도는 윤은자와 김희정(201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 20일부터 10월 9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의사소통유형은 3.47점, 직무스트레스는 2.49점, 스트레스대처는 2.42점, 이직의도는 3.82점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의사소통유형은 학력(t=2.22, p=.028), 총 임상경력(F=2.53, p=.041)에서, 이직의도는 밤번근무 유무(t=2.04, p=.046), 직위(t= 3.44, p=.001), 총 임상경력(t=3.00, p=.01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이직의도와 수평적 의사소통은 음의 상관관계가(r=-.17, p<.01), 직무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r=.53, p<.01)가 있었다. 넷째,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직무스트레스(β=.447)이었고, 다음으로 사회적지지탐색(β=.235), 직위(β=.184), 비공식적 의사소통(β=-.156) 순이었다. 즉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탐색, 직위, 비공식적 의사소통은 이직의도를 약 37.9% 설명하였다(F=34.31, p=.001).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탐색, 직위, 비공식적 의사소통이 이직의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업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스트레스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해야 하고, 근무환경 개선과 업무에 대한 공정한 보상과 승진 및 자기발전을 위한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조직 내 의사소통을 실제적으로 향상시키는 참여방식의 교육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의사소통유형,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대처, 이직의도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연구

        장혜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서 일상생활은 물론 교육 현장에도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교실 수업의 한계를 보완하고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일반화 되어 가는 학습자의 현실을 반영한 수업 방법의 변화가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 변화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교실 수업에 온라인 학습을 보완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의 폭넓은 적용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현재 한국어 연수 목적의 유학생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서울, 경기, 충남, 충북, 전북 지역의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 12곳에서 학습중인 중국인 학습자를 임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닝의 개념은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그 범위 또한 넓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을 웹 기반 온라인 학습 뿐 아니라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모바일 러닝, 상호작용과 협업을 바탕으로 하는 SNS를 활용한 소셜 러닝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정의하였으며, 블렌디드 러닝은 이러닝의 운영 형태 중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을 혼합한 운영 형태로 판단하여 설문의 문항을 작성하고 학습자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서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여 응답에 대한 이유와 세부 의견을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습자들은 블렌디드 러닝에 대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SNS를 활용한 협력수업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보충학습에 대해서도 높은 요구를 보였다. 초급 학습자들은 이러닝을 통해서 복습이 이루어지고 어휘학습을 보충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으며, 중급 학습자들은 이러닝을 통해서 스스로 학습내용을 보충할 수 있는 참고서와 워크북의 제공과 TOPIK 준비 자료 및 실제 대화를 담은 자료를 요구하였다. 고급 학습자들은 이러닝으로 복습은 물론 예습까지도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는 응답이 많았고, 주로 동영상 자료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초?중급 학습자와 달리 한국 문화와 문학작품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숙달도별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 방안을 간략하게 제안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장혜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신장애인의 재활에 있어 직업 재활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현대 사회와 같은 일 중심의 사회에서 직업을 갖는다는 것은 그 사람이 사회에 온전히 속해 있음을 보여 주는 가시적인 척도가 된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은 사회적 편견과 장애의 잔존으로 말미암아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특수한 원조와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더우기 정신장애인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없는 우리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경제적 독립이 필수적이며 여기에는 직업 재활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정신장애인을 위한 직업 채활 프로그램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므로 직업 재활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직업 재활 프로그램의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직업 재활 프로그램을 알아 본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능, 직업 재활 서비스 수혜 현황과 만족도, 직업 실태와 욕구 수준을 알아 본다. 세째,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 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직업 재활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해 본다. 조사 연구의 자료는 서울 지역의 정신장애인 70명을 대상으로 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백분율을 통해 분석하였다. 조사 연구를 토대로 정신장애인 직업 재활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델의 이론적 틀로는 현재 미국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도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지원 고용 모델을 차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원고용은 장애인으로 하여금 단시간 내에 직업을 얻도록 유도하며 비용 효과를 최대화하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개별적 접근으로 다양한 대상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프로그램의 세팅은 소규모로 계획하며 기존의 사회복지 서비스 기관에 편입하는 것이 경제적 가용 자원이 많지 않은 우리 나라에서는 현실적이 방안이다. 세째, 프로그램의 대상은 주로 직업 재활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은 집단인 20대에서 30대의 남성 정신장애인을 주요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네째, 직업 재활 전문가 즉 사회복지사는 취업 후에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례 관리의 개념을 적용하여 직업 유지를 돕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아직도 정신장애인 보다는 정신질환자라는 용어가 익숙한 우리 사회에서 정신장애인들이 직업 재활을 이루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효율적이고 실제적인 직업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 직업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이 아직 정착되지 않은 단계이므로, 우리 나라 현실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들이 개방된 생각을 가지고 여러 모델을 실행, 개발해 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세째, 정신장애인의 직업 재활 과정은 정신장애인이 주체가 되고 그들의 의사와 욕구에 의해 결정되는 과정이므로 직업 재활을 담당하는 전문기달의 발상의 전환이 요구된다. 네째, 정신장애인을 위한 공적인 서비스 확보를 위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많은 사회복지사들의 참여와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Vocational Rehabilitation is s critical factor in the process of the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Especially in a work-concious and work-oriented world where we live, to get a job is a good evidence of wellness and citizenship. It bears directly on the ability of an individual to remanin in the community. The mentally disabled needs special supports and interventions to get a job because of the social stigma and their disabilities. But public services for the mentally disabled are none to exist in our society. Therefore, remaining in the community calls upon the mentally disabled to achieve monetary independence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is a prerequisite for that.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or programs related to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o review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in other countries ; second, to find social functioning level and the needs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mentally disabled ; thir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above, to suggest a model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that is able to be effectivated in our commun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70 mentally disabled persons in the area of Seoul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 Then, thos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hrough the tests of frequency and percentages.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Supported Employment model that is widely accepted in United States and currently achnowledged to us is most adjustable as a conceptual framework. Supported Employment enables the mentally disabled to get a rapid placement. This model also has a strength in the area of the cost-effectiveness. Supported Employment is well suited to the frequent and unpredictable variations in status characteristic of the mentally disabled population. Seco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setting has to be small because fo the economical factor. Using already existing human service institutions are recommended. Third, the target population will be the men in thier twenties or thirties cho have the urgent need to get a job and to get a monetary independence. Fourth, the professionals have to provide time-unlimited support after the job placemen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placement phase. Based on the findings indicated above,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 First, in our community where people are more familiar with the term of the mentally ill than that of the mentally disabled, human services institutions that provede the effective and realistic vocational services to these population are required to be on the increase in number. Second, the professional related to this sphere have to be open to variable ideas and views and do experiment new programs. Third, the professionals try to bear in their mind the fact that the rehabilitation is done with clients not to clients.

      • ARCS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영어 읽기 동기 향상 실행연구

        장혜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영어 읽기 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 부여에 문제가 있음을 성찰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수업에 Keller의 ARCS(Attention 주의집중, Relevance 관련성, Confidence 자신감, Satisfaction 만족감)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영어 읽기 동기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이다. 연구자는 학교 현장에서 평소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의 중요성에 대한 높은 인식을 바탕으로 읽기 학습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으나, 실제 영어 읽기에 대한 학습 동기가 낮으며 학습 태도 또한 긍정적이지 않다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학습 동기와 관련된 Keller의 ARCS 모형을 적용하여 새로운 영어 읽기 수업을 고안하였고, 그것을 실행하여 학습자의 읽기 동기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연구를 통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동기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소 연구자의 영어 읽기 수업에서 학습자가 낮은 읽기 동기를 갖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학습자의 동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ARCS 모형을 적용한 영어 읽기 수업이 학습자의 읽기 동기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이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시 소재의 G 여자 중학교 1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17주 동안 영어 수업을 진행하였고, 사전·사후 영어 읽기에 대한 동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Keller의 ARCS 모형을 적용한 수업 전·후 학생들의 영어 읽기에 대한 동기 변화 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조사와 더불어 학습자와 일대일 인터뷰, 집단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도 진행하여 더 개별적인 기초 정보를 수집하고 추가적인 의견 청취도 기록하였다. 또한 교사 관찰일지, 학습자 리딩저널과 성찰일지, 동료 교사 협의록 등의 자료도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각각의 자료를 전사, 코딩, 주제화의 과정을 거쳐 공통적인 패턴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수업은 4개월에 걸쳐 총 17차시로 진행되었으며, 교사의 지속적인 실행과 반성적 분석의 사이클을 3회 거쳤다. 이러한 실행연구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궁극적으로 Keller의 ARCS 모형을 적용한 읽기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동기 향상에 어떠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지 관찰하였으며, 그 변화 정도 역시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자의 영어 읽기 수업에서 학습자가 낮은 읽기 동기를 갖고 있는 이유는 학습자의 개별 학습 스타일을 고려하지 않은 읽기와 쓰기 위주의 활동과 교실 내에서만 한정된 읽기 활동의 한계에 있었고,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 번의 순환 과정을 거쳐 수업 개선을 이루었다. 이 과정을 통해 ARCS 모형을 적용한 영어 읽기 수업은 학습자의 읽기 동기 향상에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스타일에 적합한 활동을 통해 읽기에 대한 재미를 깨닫고 자신감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학습자는 교실 밖 읽기 확장 경험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의 관련성을 느끼고, 스스로의 힘으로 읽기를 지속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읽기 과정에서의 만족감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읽기 과정을 자체를 즐기게 되었으며 이는 긍정적인 읽기 경험으로 이어져 읽기 동기를 신장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학습자가 선호하는 감각 유형에 맞는 다양한 활동과 읽기 확장을 위한 교실 밖 읽기 경험 제공을 통해 학습자는 영어 읽기 과정에서 자신감과 만족감을 얻고 이를 원동력으로 추후 학습을 계획하고 읽기 학습의 의지까지 드러내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RCS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 동기, 즉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요소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많은 다른 연구들과 동일하며, 영어 읽기 수업에서도 유의미하게 작용하여 학습자의 읽기 동기를 신장하였음을 나타낸다.

      •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사회문화적 의식구조가 교실내 상호작용 참여에 미치는 영향 : 교수수업관찰과 설문조사를 통해

        장혜경 강릉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some of the factors of socio-cultural consciousness that inhibit Korean English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classroom interaction. It is widely accepted that practicing and exercising play more crucial roles than studying does in improving language acquisition in the L2 learning process. From this, it can be extrapolated that the level of active participation by L2 learners in classroom interaction should be a measure of the opportunities for successful language learning. It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improvement in language skill. Seliger(1977), Long(1981), Ellis(1994) contend that the amount of classroom interaction such as turn-taking, meaning negotiation and feedback can be taken as a positive measure of language acquisition. However many native teachers point out that Korean L2 students are shy and passive in the classroom. They also make the observation that it is not easy to make Korean students speak and take part in conversation. Some studies also show that the ethnicity also can affect L2 learner participation in the classroom activities. Then, it is surely natural and indeed desirable to question why Korean English leaners are reticent in the classroom and what factors of L2 leaners' consciousness inhibit their participation in the classroom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n was to identify the Korean English leaners' consciousness which might negatively impact on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lassroom interaction. For the study, I chose two kinds of methodology - classroom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The purposes were to firstly confirm that Korean L2 students are in fact reticent and passive in the classroom, and if so, to what degree. If this was proven, the next thing to do is to attempt to identify some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is lack of involvement which so adversely affects their potential for successful English acquisition. Through the research I identified a number of factors. From the classroom observ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Korean leaners' speaking time was much less than that of the teacher in the classroom. Then almost all of the questions had been put by the teacher. This resulted in largely one-way communication being the dominant aspect in classroom conversation. Furthermore, the amount of Korean leaners' speaking participation without being asked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with being asked. The findings from the questionnaires showed that among the Korean's socio-cultural consciousness, hierarchy consciousness, totalitarianism and introvert consciousness were significant factors contributing to their reluctance to participate. On the other hand, face-consciousness and male superiority did not appear to seriously impact on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to join to classroom activities. Of those consciousness identified, hierarchy consciousness that reflects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was found to play the strongest role in inhibiting Korean leaner's participation in classroom interaction. Korean leaners mostly expect the teacher to initiate classroom activities and to choose the topics. Furthermore they hesitated to change the topics even when they were not interested. They also hesitated to venture opinions varying from those of their teacher, or to point out teacher mistakes. These consciousness factors heighten the Korean students' dependency to the teacher in the classroom. They also negatively impact on their chances of improving their speaking skills. Totalitarianism was also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because learners usually care for their companions' feelings when they point out mistake or give differing opinions in conversations. Learners' introvert consciousness makes them hesitate to be the first speaker and they are generally not willing to speak in the classroom without being asked. It needs lots of courage for Korean learners to speak in the classroom. These findings identified some of the factors from the Korean English learners' consciousness that impact negatively on their language acquisition; they support the observations that Korean students are generally both reticent and passive, and identify the reasons for their negative behavioral traits. They provide to the teachers of mor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behaviors in classroom. Teachers' full understanding of their students' behaviors in the classroom can help students to have more chances to spe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