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질중첩상태의 임상분석

        송수식,장필립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4 신경정신의학 Vol.23 No.3

        For more understanding of status epilepticus which is an emergent condition with high mortality and requires immediate treatment, we reviewed and analyzed clinical records of 94 patients with status epilepticus, who had been hospitalized from 1974 to 1983 in the Seoul Red Cross Hospita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rate of status epilepticus was 8.6% for the 1098 inpatients with seizure disorder. Also, 50% of these were below age 20. 2. Regarding types of seizures, generalized tonic & clonic seizure was the most common type and accounted for 45.7% of the total patients with status epilepticus. 3. Among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diagnosed with status epilepticus, symptomatic status epilepticus comprised 57.4%. The primary causes included: (1) Infectious disease (29.6%) (2) Head trauma (22.2%) (3) Cerebro-vascular disease (14.8%), and (4) other (33.4%). 4. As to precipitating factors, irregularity or discontinuation of anticonvulsant medication was noted in 31.6%, fever was evident in 29. 8% and psychic factors was prominent in 10.5%. 5. Regarding the axillary temperatures, more than half (61.6%) of the 78 patients with status epilepticus without underlying infectious disease rose above 37℃. 6. The leukoeyte count of the peripheral blood showed leukoeytosis in 60.8% of the 74 patients with status epilepticus without underlying infectious disease. Also, differential counts of leukocyte were performed in 70 patients who had no underlying infectious disease. As a result, neutrophilia appeared in 60% and lymphocytosis appeared in 5.7%. 7. In the measurement of serum electrolytes (Na and Ca). hyponatremia appeared in 44.4%, and hypocalcemia appeared in 9.5%. 8. In C.S.F findings, the pressure was increased in 23.5% of the 34 patients without any underlying infections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brain tumor, metabolic disorder. Also, pleocytosis was noted in 14.7%. 9. As to E.E.G. classification, moderate abnormality was the most common abnormal type (33.3%). The next included marked abnormality (25.4%). Normal E.E.G. findings comprised only 9.5%. The abnormal wave patterns included generalized slow waves (30.4%), suppression of background rhythms (26.9%), focal slow waves (24.7%), and etc. 10. Total mortality was 13.8%, and 76.9% of these died within a week. The mortality of symptomatic status epilepticus (53.8%) was higher than idiopathic status epilepticus. The causes of death was established in 38.5% of the mortality.

      • 한국판 식사태도검사-26(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s Test-26 : KEAT-26) 표준화 연구 I : 신뢰도 및 요인분석

        이민규,이영호,박세현,손창호,정영조,홍성국,이병관,장필립,윤애리,Rhee, Min-Kyu,Lee, Young-Ho,Park, Se-Hyun,Sohn, Chang-Ho,Chung, Young-Cho,Hong, Sung-Kook,Lee, Byung-Kwan,Chang, Phi-Lip,Yoon, A-Rhee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8 정신신체의학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s Test-26(KEAT-26). Using multi-stage sampling, we finally got 3,496 subjects(1422 males and 2074 females) who were available for analysis from target 4,400 Korean adults over 18 in the nationwide areas of9 kus, 10 middle or small cities, and 17 kuns. We tried to make T score norm of the KEAT-26 as a cutoff score and STEN score norm as a index of severity for disordered eating behaviors. For the male group, Cronhach's internal consistency was .83 and Spearman-Brown split half correlation coefficiency was .75. For the female group, each of them was .81 and .75, and .81, .75 for the grand total group respectively. Validity test was performed by construct validation analysis. By a iterated principal axis factoring, 4 factors were extracte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the KEAT-26 by sex. In the male group, factor I was 'self-control of eating and bulimic symptom', factor II was 'food preoccupation and dieting', factor III was 'preoccupation with being thinner', factor N was 'avoidance of sweet foods'. In contrast with the male group, factor I was 'self-control of eating and bulimic symptom', factor II was 'preoccupation with being thinner', factor III was 'food preoccupation' and factor N was 'dieting' in the female group. We used T score 65 as a cutoff score. T score 65 corresponded to raw score 19 in the male group, 22 in the female group and 21 in the grand total group. Severity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was measured by a STEN score. In the male group, each of the score range of 0-10, 11-14, 15-18, 19-22 and over 23 represented the degree of none, subclinical, manifest, moderate and severe severity respectively. Each of the score range of 0-13, 14-17, 18-21, 22-26 and over 27 in the female group, and the score range of 0-12, 13-16, 17-20, 21-25 and over 26 in the grand total group also represented the same degree of severity as like in the male group. These results support that KEAT-26 is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evaluating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nd eating problems.

      • KCI등재

        한국 일반 인구에 있어 식사특성, 성격특징 및 기타 정신병리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영호,이민규,박세현,손창호,정영조,홍성국,이병관,장필립,윤애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연구목적 : 한국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식사특성과 성격특징간의 상관관계와, 우울경향성 및 건간염려증 경향성과 식사특성 그리고 성격특징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1) 식사 장애의 문제가 와 마찬가지고 병리의 정도에 따라 연속성을 보이는 일련선사의 문제이며, 2) 성격의 특징 중 특정한 성격특징이 식사특성상의 문제 즉, 식사장애에 특이한 핵심 병리의 형성과 직접 관련이 있고, 3) 우울경향이나 건강염려증과 같은 비특이적인 일반 정신병리는 다른 성격 특징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식사문제를 장애 수준으로 들어내거나 발현시킨다는 가정을 검증하려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구학적 자료, 식사특성 및 성격특징과 일반 정신병리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설문지와 다단계 표본 추출법을 이용하여 전국 12개도 35개의 지역에서 18세 이상의 한국성인 4,400명의 목표 표집대상에서 일차 3,896명의 자료를 얻었고 이들중 60세 이상의 자료와 기타 자료를 제외한 3,062명의 자료를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결 과 : 1) 식사특성과 성격특징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전체군에 있어 각 식사특성과 골고루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성격특징은 정신병적 경향성으로 식습관이 나쁠수록(r=-0.3195), 식사태도검사상 점수가 높을수록(r=0.3657), 또한 야채 및 생선을 싫어하고 단음식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을수록(r=-0.2740) 정신병적 경향성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외에 성격특징중 허위성 척도는 간식과 즉석음식을 좋아할수록 허위성은 줄어드는 역상관을 보였다(r=-0.2117). 이러한 식사특성과 성격특성간에 상관관계는 성별에 따라 나누어 보아도 같은 결과를 보였고 여서의 경우에는 상기의 상관관계에 대해 한국의 전통음식을 싫어할수록 정신병적 경향성이 높아지는 관계를 보였다.(r=-0.2103). 2) 우울경향성 및 건강염려증적 경향성은 식사특성, 성격특징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전체군 및 남녀 모두에서 우울경향성 및 건강염려증적 경향성은 식사특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전체군에서는 우울경향성은 외내향성(r=-0.2174) 및 신경증적 경향성(r=0,.4510)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건강염려증적 경향성이 높아지며 건강염려증적인 경향이 높을수록 신경증적인 경향이 높아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의 경우에는 우울 경향성이 4개의 모둔 인격차원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건강염려증적 경향성도 내외향성(r=-0.2265) 및 신경증적 경향성(r=0.3762)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반면 여성군은 전체군과 마찬가지로 우울경향성은 외내향성(r=-0.2114) 및 신경증적 경향성(r=0.4479)과, 건강염려증적 경향성은 신경증적 경향성(r=0.3286)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결 론 : 상기 결과는 식사특성과 상관을 보이는 성격특징은 정신병적 경향성이며 이 성격특징이 식사장애의 핵심병리를 구성하는 식사관련병리와 직접 연관이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우울이나 건강염려증적 경향과 같은 일반 정신병리는 식사와 연관된 핵심병리와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고 신경증적 경향성이나 내향성과 같은 다른 성격차원의 문제와 함께 작용하여 식사장애에 발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식사장애와 마찬가지로 연속성을 보이는 일련성상의 문제임을 지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상기 결과는 식사장애 환자의 병리의 형성에 있어 성별간의 차이는 핵심병리의 차이라기보다는 일반 병리의 형성에 있어 차이를 반영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the role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general psychopathology, including depression and hypochondriasis, in individuals with eating disorders, and to test a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s. Methods : Using a multi-stage questionnaire sampling method including area sampling, proportionated stratified sampling, and quota sampling, we surveyed 3,062 subjects(1249 males and 1813 females) from a target of 4,400 Korean adults over the age of 18 in a nationwide area(9 ku's, 10 middle or small cities, and 17 kun's). We us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three parts : general information, scales for eating trait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other general psychopathology. Results : Psychoticism was the onl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hich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various eating traits including ‘eating habits’(r=-0,195), ‘the Easting Attitudes Test’(EAT, r=0.3657), and ‘preference for vegetables and fish, and dislike for sweet-tasting foods’(r=-0.2740). Lie scale also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eference for snacks foods’(r=-0.2117).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cross genders. In female,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for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psychoticism’(r=-0.2103) in addtion to above relationshi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ny of the eating traits and other psychopathology. Relativ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general psycholopatholog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interoversion-extraversion’(r=-0.2174), ‘depression’ and ‘neuroticism’(r=0.4510), and ‘hypochondriasis’and ‘neuroticism’(r=-0.3432). These correlations in female was the same as those of the total group, while among males,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fou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hypochondriasis’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teroversion-extraversion’(r=-0.2265) and ‘neuroticism’(r=0.3762).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ticism is the onl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elated to eating-specific psychopathology, while general psychopathology, such as depression and hypochondriasis is not related to eating pathology but may influence eating disorders by their interaction with othe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oversion-extraversion and neuroticism. Considering the results of pervious studies in th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nd high risk groups, which are similar with are similar with our results in the general population, our results support a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s are the results not of difference in eating-specific pathology itself but through difference in influences of concurrent general psychopathology, such as depression and hypochondriasis.

      • 한국판(韓國版) 식사태도(食事態度) 검사(檢査)-26에서 고득점(高得點)을 보인 한국(韓國) 일반(一般) 남성군(男性群)의 식사특성(食事特性)과 일반정신병리(一般精神病理)

        한기석,이영호,이민규,박세현,손창호,정영조,홍성국,이병관,장필립,윤애리,Han, Ki-Seok,Lee, Young-Ho,Rhee, Min-Kyu,Park, Se-Hyun,Sohn, Chang-Ho,Chung, Young-Cho,Hong, Sung-Kook,Lee, Byung-Kwan,Chang, Phi-Lip,Yoon, A-Rhee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반인구에서 식사 장애에 대한 고위험 남성 군(high risk male group for the eating disorders)의 유병율을 알아보고 이들의 인구학적 특징, 식사 행동과 연관된 특정 및 일반 정신 병리에 있어 특징을 알아 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한국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국판 식사 태도 경사(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 KEAT-26)상 절단점 이상의 고득점을 보인 남성 군 52명을 최종 대상으로 여성 고득점군 208명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KEAT-26상 절단점 21 점 이상을 보였던 대상은 총 260/3062(8.5%)로 이중 남성이 52/260(20.0%), 여성이 208/260(80.0%) 이었으며(남성 대 여성의 비율 1 : 4) 전체 연구에 대한 비율은 남성이 52/3062(1.7%), 여성이 208/3062(6.8%) 이었다. 2) 인구학적 특정으로 평균 연령은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남성 군이 $29.13\pm7.87$세로 여성 군의 $27.00\pm6.81$세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14). 평균 신체 질량 지수(Body Mass Index : BMI)는 남성 군이 $23.05\pm3.12$로 여성 군의 $20.40\pm2.31$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분포 또한 신체 질량 지수가 20이하인 경우도 남성 군은 7/52명 03.5%) 인데 반해 여성 군은103/208명(49.5%)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신체 질병의 과거력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흡연율(p<0.01), 알코올 사용율(p<0.01) 및 한달 평균 알코올 사용량(p<0.01) 등은 모두 남성 군에서 여성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사회 경제적인 특징 중 직업을 제외하고는 경제 상태, 교육 기간, 가족 수, 결혼 상태, 종교 및 대도시, 중간 크기의 도시, 소도시 및 시골지역 등으로 나누어 본 거주지역 등이 모두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식사 특성으로 식습관 척도 점수는 남성 군이 $7.25\pm3.15$로 여성 군의 $8.88\pm3.91$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KEAT-26상 총 접수는 남성 군이 $25.80\pm4.87$ 여성 군이 $26.39\pm5.78$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 검사의 하위 척도인 마름에 대한 욕망(desire for thinness) 척도에서는 여성 군이 남성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음식에 대한 집착 척도(food preoccupation) 남성 군에서 여성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p<0.05) 두 군 모두 식사 태도 검사 상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도 질적인 내용에는 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외에 체중에 대한 통제 소재는 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음식 선호도에 있어 남성 군이 여성 군에 비해 야채 및 생선을 더 싫어하고 단음식을 더 좋아하는 특정을 보여 주었다(p<0.01). 5) Eysenck성격 척도 상 남성 군이 정신병적 경향성에서 여성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접수를 보였다(p<0.01). 이외에 다른 성격 차원 및 Beck우울 척도 및 건강 염려증 척도로 측정한 일반 정신 병리 상의 특정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상기 결과들은 우리 나라에서도 선진 외국과 비슷한 수준의 남성 식사 장애 환자들이 있을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상기 결과들은 식사 태도 검사 상 같은 고득점을 보여도 식사 관련 병리는 성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고, 남성 식사 장애 환자는 여성 식사 장애 환자보다 좀더 깊은 성격 병리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 Objectives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prevalence rate of eating disorders in Korean males and to clarify their characteristics in sociodemograhic data, the eating traits, and general psychopatholog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ose of female high scored group on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s Test-26(KEAT-26). Methods : Using a multi-stage questionnaire sampling method including area sampling, proportionated stratified sampling, and quota sampling, we surveyed a total of 4,400 Korean adults over 18 in a nationwide area(9 kus, 10 middle or small cities, and 17 kuns), obtaining usable responses on 3,896. Of the 3,062 subjects(1249 males and 1813 females) who were available for analysis, we ascertained 52 males and 208 females who had high score($\geq$ cutoff point 21) on the KEAT-26. Results : 1) The proportion of this high score group was 1.7% in male and 6.8% in female with a sex ratio(male versus female) of 1 : 4. 2) The mean age was higher in the male group than in the female group,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14). Mean Body Mass Index(BMI) of the mal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group, and the number of male subjects with below 20 of BMI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female group.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st history of physical illness between two groups. However, frequency of smoking and alcohol use, and mean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per mont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 group than in the female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various socio-demographic correlates such as economic status, total duration of education, number of family, marital status, religious status, and area of residence, but the exception of being occupational status. 4) The 'Eating Habits Scale' score and score of 'preference for vegetables and fish, and dislike for sweet-tasting food' of the mal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female group.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otal scores of the KEAT-26, the mean score on 'pursuit of thinness' subscale was higher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while scores of 'food preoccupation' and 'self-control' subscales were higher in the male group than in the female group. 5) Scores on 'psychoticis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 group than in the female group,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locus of control for weight', 'depression' and 'hypochondriasi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pport a possibility of a high prevalence of eating disorders in Korean 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ting related characteristics of high scorer on the EAT are different by sex in spite of the same high score on the EAT, and also suggest that 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have more serious personality pathology than fe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et croissance verte

        필립 브루앙(Jean-Philippe Brouant) 유럽헌법학회 2012 유럽헌법연구 Vol.12 No.-

        녹색성장 핵심 요소 중에서, 에너지는 가장 중요한 분야에 속한다. 그러므로 지속적 개발이 관련된 세 영역 중에서 한 분야를 살펴볼 것이다. 에너지의 통제는 난방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나 건축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에서 특별한 고용을 창출함으로서 지방 개발을 이룰 수 있는 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에너지의 효율성은, 프랑스에서 에너지의 미납은 중요한 요소인데, 사회적 통합이라는 목적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프랑스에서는 에너지 미납이 45백만 유로에 달한다. 에너지 비용의 총액을 줄이는 것은 사회적 통합을 위한 직접적 지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에너지 통제행위는 광범위하게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대기오염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지방자치단체는 에너지 절약이나 재생에너지 생산에 관한 자신의 관할권 영역 안에서 어떠한 것을 할 수 있는가? 지방자치단체가 에너지 절약이나 재생에너지 생산에 관하여 할 수 있는 직접적 행위와 간접적 행위로 구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직접적 행위는 재생에너지 개발과 에너지 절약에 관한 것이고, 간접적 행위는 에너지 절약이나 재생에너지 개발과 관련한 사항들을 장려하는 것과 그것을 강제하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La promotion des énergies renouvelables aboutit à favoriser un modèle de production décentralisé. On peut à cet égard citer les termes de la directive européenne 2009/28 du 23 avril 2009 relative à la promotion de l’utilisation de l’énergie produite à partir de sources renouvelables qui invite à soutenir les phases de démonstration et de commercialisation des technologies décentralisées qui utilisent des énergies renouvelables. Pour présenter l’état du droit positif français, il nous faut dans un premier temps décrire les dispositifs qui permettent aux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d’agir directement dans la production d’énergie renouvelable et dans la maîtrise de la consommation énergétique. Puis, dans un second temps, nous nous arrêterons sur les dispositifs d’intervention indirecte, visant soit à inciter, soit à contraindre les administrés dans ce doma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