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성의 맥락에서 지역디자인의 특성 연구 - 부산성(釜山性)의 관점에서 부산지역 디자인의 해석 -

        장주영 ( Juyoung Ch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4 No.-

        연구배경 본 연구는 장소성의 맥락에서 지역의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고도화된 기업의 산업 전략으로서의 디자인의 관점이 아닌 디자인을 인간의 삶과 밀착된 일상문화적 관점에서 보는 연구는, 상품화되고 타자화된 한국디자인의 표피적 겉모습에서 벗어나, 지역이 주체가 되는 실제적이고 성찰적인 한국디자인의 진면모인 정체성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주로 문헌고찰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부산 디자인을 사회과학의 이론인 근접성의 원칙, 인간 지각적 특성, ANT와 길들이기 이론 등의 3가지 개념적 틀을 가지고 해석을 진행한다. 연구결과 일상의 디자인문화는 장소라는 맥락적 배경 하에서 그 속의 사람들에 의해 인공물이 생성되고 사람과 인공물과의 상호작용과 적응 과정을 통하여 근접성의 원칙과 미감과 정체성 등이 형성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산지역은 특수한 역사적 자연적 환경 속에서 좁은 지역에서 부대끼면서 일상을 영위하면서 공적인 거리 감각은 개인영역에서 밀착되는 것에 익숙해졌고, 좁은 공간을 해소하기 위해 위로 쌓아올리는 형식에 친숙해졌다. 이로 인해 겹겹이 쌓아올려서 빈 공간 없이 빼곡한 구성과 형식을 선호하는 미감이 생성되었고, 오늘날 다양한 디자인 창작물과 물건의 진열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장소성의 맥락에서 3가지 이론적 틀을 가지고 부산의 다양한 인공물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부산의 일상의 디자인문화를 해석해보았다. 다양한 요소와의 관계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일상의 디자인 문화를 장소성 맥락이라는 다각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이해해 본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또한 중심부의 디자인 연구가 아닌 지역의 디자인에 대한 화두를 던져본 것에도 또 다른 의미를 둘 수 있겠다. Background This Research will present analytic approach to traits of local design in the context of place. The research will not focus on industrial strategic aspect of design from corporations but focus on the daily cultural aspect of the design tightly joined to human life. Thus, it is about practical and reflective identity of Korean design where the locality becomes a subject beyond its commercialized and otherized surface. Methods The research methods will involve reviews on the literature and case studies primarily. Moreover, law of proximity in terms of social science theory,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ANT, and domestication theory will take parts as conceptual frame in case studies to proceed with interpretation. Result It has been acknowledged that people in the place generate artifacts and the process of interaction and adaptation between people and artifacts create law of proximity and sense of beauty and identity through the daily design culture. Busan locally possesses specific historic and natural environment where people are used to lead daily lives by mingling around in limited space and to closely join together in personal territories in terms of public sense of distance. Also, this place is apt to build upwards in order to resolve issues from limited space. As a consequence, the sense of beauty in this place is dedicated to packed constructions and formations without wasting a space, which influences on its various design creations and display styles of objects today. Conclusion Throughout the research, the daily design culture in Busan has been interpreted with three theoretical schemes in the context of place. The research presents its significance o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daily design culture where relationships with other elements are intricately connected in the multilateral context of place. Also, the research connotes another meaning by bring up the conversation on local design, not the central one.

      • KCI등재

        해외 주요 간행물에 나타난 지역연구로서의 한국 관련 디자인 연구의 경향 - 세계화와 지역화의 관점에서 한국디자인 정체성 담론의 방향성 고찰 -

        장주영 ( Juyoung Ch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5 No.-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해외 주요 일간지와 학술지에 나타난 지역연구로서의 한국디자인 연구의 경향을 알아보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세계화와 지역화의 관점에서 한국디자인의 정체성 담론의 방향성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한국디자인사에서 전통과 정체성에 관한 담론들을 살펴보고, 이들의 한계점을 논의해본다. 그리고 해외로 눈을 돌려 세계 속에서 지역디자인과 국가디자인의 서사에 대해 조사를 하고, 최근의 지역디자인 담론의 경향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그리고 최근 6년간 해외 주요매체와 학술지에 거론되는 한국디자인에 대한 기사와 연구의 내용과 경향을 정리 분석한다. 연구결과 전체기사 중 한국문화예술 관련 국내외 행사나 전시회 소식을 알리기 위한 기사들이 가장 많았다. 관련 전문가에 의한 전문성을 갖춘 기사는 2개 정도가 있었다. 대체로 한국문화에 대한 가벼운 내용을 다룬 기사가 대부분이었다. 해외 우수학술지에 실린 한국디자인 관련 논문들은 10편 밖에 없었고, 모두 한국인 연구자들이 논문의 저자들이었다는 점이 특이했다. 이를 미루어 아직까지 한국디자인에 대한 외국인 전문 연구가는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들은 해외에 한국디자인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결론 해외연구자들의 시각을 이해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이루지 못했지만, 국내디자인 연구자들이 앞으로 세계와 소통하며 한국디자인 담론을 생성해나가야 할 것이라는 방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해외에서 한국 관련 디자인 연구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세계적 지역적 관점에서 한국디자인의 정체성 담론의 방향성을 모색해본 것에 의의를 두며, 이를 계기로 초국가적 관점에서의 한국디자인 담론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확산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in Korean design studies as a regional study in major foreign media and academic journals;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discourse of Korean design identity in term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Methods Firstly, the discourses on tradition and identity within Korean design were examined and their limitations were discussed. Subsequently, narratives of regional and national design in the world were investigated; as well as recent trends of regional design discourses. The articles and researches regarding Korean design which were mentioned in major overseas media and journals within the last six years were analyzed. Result Most articles introduced Korean design and arts related events and exhibitions. Other articles introduced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other innovative products. Majority of articles were rather light descriptions of Korean culture. There were only ten articles related to Korean design that had been published in acclaimed journals. Interestingly, all of these articles were written by Korean researchers. As a result, it seems that there are no foreign researchers on Korean design yet. These have been acting as a tool to actively promote Korean culture abroad.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design research related to Korea from abroad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discourse of identity of Korean design from a global and regional viewpoint. It is expected that the discourse of Korean design from the transnational perspective will be actively spread around the world.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중국 4대 연화(년화)의 문신화(門神畵) 연구

        왕루이 ( Rui Wang ),장주영 ( Juyoung Ch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4 No.-

        연구배경 중국의 민간 예술의 한 형태인 목판 연화는 민간에 의해 제작, 향유되며 오랜 역사적 과정을 거쳐 내려온 것으로 그 속에는 민간의 신앙, 풍속과 같은 문화적 특성이 담겨져 있다. 근년에 와서 연화에 대한 연구가 많아졌지만, 디자인 관점에서 저술된 논문을 보면 연화의 시각 디자인에의 응용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연화와 디자인의 접목에 대한 주관적인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세분화되거나 구체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고 중국의 대표적인 4 대 연화에 대한 비교분석은 거의 없으며 작품에 대해 각 항목을 나누어 분석한 연구는 더더욱 없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중국의 대표적 연화인 4개 지역의 연화가 형성된 지리 환경적 특성, 사회적 배경, 및 문화적 분위기 등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4대 연화 특성의 비교를 위하여, 가장 대표적이며 모든 지역에 통용된 문신화라는 주제를 정하였다. 그리하여 무문신과 문문신 연화의 조형적 특징을 비롯하여 다양한 항목을 가지고 비교분석하여 각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연화의 현대디자인에서의 가치와 활용가능성에 대해 탐구했다. 연구결과 문신화를 중심으로 4대 연화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연화는 중국 각 지역의 문화정체성의 표현이며 독특한 조형적 특징과 함께 다양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현대디자인에 활용할 많은 잠재력과 가치를 가지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라 하겠다. 결론 연화의 창작 주체는 민간 예술인이다. 연화는 지역의 독특한 문화 풍속을 담고 있고, 고유의 심미관을 반영한다. 연구를 통한 각 지역 연화의 예술적 문화적 의미와 가치의 발견은 현대 디자인에 응용할 미래 가치를 발굴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화의 독특한 예술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새롭게 조명해보았다는 점과 현대디자인에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를 둔다. Background Chinese New Year picture is the thousand-year product of the folks. It ha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folks including their beliefs, customs and aesthetic. It is of great value to study it whether from its styling or from a further level as symbolism, culture and socialism. Though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Chinese New Year pi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most of which focus on the application of it from a certain region in graphic design, so these researches have strong regional features. And others discuss the combination of Chinese New Year picture and design. Most of the present theses discuss the question subjectively and in a macro way, and few of them analyze the question in detail. So far, there is almost no contrast analysis of the Four New Year Pictures, while the analysis of a certain type is much less. Methods First,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backgrounds and cultural atmosphere of the New Year pictures of the four regions in China are analyzed systematically through literature survey. Then, the styling theory and other perspectives of military door-god-- Qin Qiong and Jing De and civil door-god-- kylin sending sons, the two representative ones of the four regions, a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n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the four regions` pictures are found out to explore the value and the possibility of flexible application of New Year Picture in modern design. Result Afte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yling of the Four New Year Pictures, it is concluded that the New Year picture has the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sustenance, cultural wholeness, the technique of expression of symbolism and metaphor, colorful regional languages, and all these have certain values in modern design. Conclusion The main subject in the creation of New Year painting is people, and New Year painting of different regions bears various customs and cultures, which reflects different aesthetic standard. Through the study on regional New Year paintings,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value of regional art have been discovered. It is extremely meaningful for modern people to utilize the future value. From this point of view, a variety of researches shall be continuously conducted on China`s centuries-old traditional New Year paintings before they disappear. Through this study, the New Year paintings has been rediscovered to have unique artistic value.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치파오 디자인의 문화 차원에서의 특성 분석

        양베이(Bei Yang),장주영(Juyoung Cha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치파오는 중국의 전통 복식이며, 중국을 대표하는 기호로서 독특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우선 치파오의 개념과 역사적 발전를 개술하며 선행연구를 통해 치파오의 5가지 핵심 요소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문화 차원과 디자인 특징 이론에 기반하여 문화의 외부층, 중간층과 내부층 등 3차원에서 볼 수 있는 디자인 특징을 중심으로 치파오의 5개 핵심 요소가 지니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치파오의 각 요소별 문화차원의 세 가지 층위 간 다양한 발전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치파오가 중국의 전형적인 여성 복식으로서 디자인적으로 다양한 연구 가치를 지녔을 뿐 아니라, 인문적인 의미 및 사회, 경제, 기술, 패션 발전의 다차원적인 정보를 풍부하게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중국 치파오 디자인의 역사와 사회적 가치 및 현대적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복식의 현대화를 위한 기초 연구임을 밝혀둔다. Qipao is a national costume of China and a representative Chinese symbol with unique cultural meanings. This study first outline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history of Qipao, sorts out existing literature, and summarizes the five elements of Qipao through previous study. Then,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al levels and design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levels of the outer level, middle level and inner level of culture, it analyzes the specific meaning of the five elements of Qipao. Through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development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levels of culture for each element of Qipao. Through the study, it is found that Qipao, as a typical Chinese dress, not only has the research significance of design, but also has rich cultural connotations and diversified information on social, economic, technological, and fashion development. This study can enable us to fully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social value and modern significance of the Chinese Qipao, and can provide basic data for fashion design researchers.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hinese clothing.

      • KCI등재

        중국 칭다오시 인민로의 한식당 건축입면색채 연구

        판위 ( Fan Yu ),장주영 ( Juyoung Ch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경제·문화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문화융합현상도 나날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가장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는 인구이동과 이민현상이다. 한국과 중국 양국이 긴밀한 교류와 발전을 이루면서, 중국의 다양한 도시에 ‘코리아 타운’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중국 칭다오시는 한국과 비슷한 지리적 환경을 가지고 있고 편리한 교통 때문에 여러 개의 코리아타운 거리가 생겨났는데, 칭다오시 인민로도 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칭다오시 인민로에 위치한 한식당의 건축입면의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한식당의 건축입면 색채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하는 데 있다. 먼셀의 색채조화론에 의한 색채안내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색채지리학을 기초로 삼고, 장소선정, 조사, 측색기록, 검증, 편집 및 창작, 정돈의 순서에 따라 칭다오시 인민로에 위치한 15개의 한식당의 건축입면 색채를 조사하고 분석 하였다. 먼셀의 색채조화론을 바탕으로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채조화분석하며 색채안내서를 도출하였다. (결과) 칭다오시 인민로의 한식당 건축입면의 색채의 주조색(벽면 색채)은 검은색, 흰색, 낮은 채도의 회색을 대부분 선호하였다. 간판의 배경색은 흰색과 갈색을 제일 많이 사용하였으며, 폰트색은 선명하면서 눈에 띄는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녹색을 대부분 사용하였는데 그중 가장 많이 사용된 색상은 빨간색이다. 입면 색채의 면적 대비를 보면, 중저 채도의 회색과 검은색을 사용한 면적이 가장 크며, 간판 색채의 명도와 채도가 제일 높았다. 본 연구는 인민로의 한식당 건축입면 색채분석을 통해 색채 현황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들다. 민로 한식당 입면색채 명도의 변화 순서는 간판폰트색 > 간판 배경색> 벽면색> 문창색 순으로 낮아진다. 또한, 칭다오시 인민로 한식당의 건축입면색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건축 입면색을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입면 색채 조합 방식의 첫 번째 유형은 한 가지의 주조색에 세 가지의 보조색과 한 가지의 강조색을 조합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유형은 한 가지의 주조색에 세 가지의 보조색과 두 가지의 강조색을 조합하는 방식이다. (결론) 칭다오시 인민로에 한식당 건축 벽면은 낮은 색조의 노란색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창문은 대부분 유리 재질로 제작되었으며, 낮에는 자연광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간판색채의 배경색은 중간-낮은 명도의 색채 또는 무채색(검은색, 흰색)의 사용을 선호하였고, 폰트색채는 높은 명도와 채도의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의 사용을 선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먼셀의 색채조화론에 의거하여 색채안내서를 제안 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Given the close exchanges and growing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a “Korean town” is now apparent within every Chinese city. Due to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similar to Korea and many convenient transport facilities, there are many streets that appear Korean in style. The research aims the architectural color of Korean buildings on Renmin Road and to better understand the composition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tyl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using the vertical coordination of Munsell Color Coordination Theory, a color guideline is proposed to express the architectural color of Korean restaurants on Renmin Road in Qingdao. (Method)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 known as color geography, which follows steps order of “location selection, investigation, record, verification, making color spectra and arrangement.”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architectural color of 15 Koran restaurants on Renmin Road in Qingdao. Using Munsell Color Coordination Theory as its foundation and the tool MATLAB, it analyzes color and produces a color guideline.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restaurants on Renmin Road in Qingdao tend to use black, white, gray, white of low chroma, and gray of high chroma. White and brown are used most frequently as the background color of shop signs, while the font tends to use bright colors such as red, yellow, blue, green, and so on, with red used most frequently. From comparing the fa□ade color, gray and black is found to cover the largest area, while the shop sign color uses the highest degree of lightness and chroma. The change order of Korean restaurant color refers to the following: character color>under color of shop sign>color of door and window>fa□ade color of architecture. There are two methods of combining fa□ade color. The first one uses one dominant color, two accessory colors, and two embellishment colors. The second one uses one dominant color, two accessory colors, and three embellishment colors. (Conclusions) On Renmin Road in Qingdao, the wall color of Korean restaurant uses yellow, with windows mostly made of glasses, so that for the different light rays in daytime, it generally appears black. The background color of the shop sign tends to use middle colors, low lightness, or black and white (black, white), while the font used in the shop sign tends to use bright colors. Using these findings and the Munsell Coordination Theory, this study proposes a color guideline.

      • KCI등재

        부수를 활용한 중국 포스터디자인 연구

        류처(Che Liu),장주영(Juyoung C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한자의 부수는 한자의 특성을 계승하고 독특한 문화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한자 부수의 형식미는 시각디자인에 있어서 한자 형상의 잠재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대 디자인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현대 포스터 디자인에서 한자 부수의 활용을 분석함으로써 한자 부수의 형태적, 표현적, 전통적 특징을 파악하고, 이 특징들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킬 것인지를 탐구해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자부수가 가진 시각언어로서의 문화적 가치를 재인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한자의 역사와 구조, 부수의 역사, 기능, 분류, 의미에 대해 각각 정리하였다. 부수를 사용한 포스터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포스터에서 부수의 역할 및 잠재된 시각적 표현 방법과 객관적 법칙에 대해 총괄하였다. For designers, Chinese characters are featured as its unique cultural connotation and the inheritance of information. In visual designs, the beauty of Bushou in form, especially its potential forms, plays an important role and has been applied in various modern designs. There are analyses focused on radicals roles, as well as its performance and design principles in modern posters in order to figure out how radicals are inherited and developed in posters. Additionally, these researches are conducted to recognize the cultural values of the visual linguistics of Bushou. In this paper, collating of the history and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along with the histor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meaning of Bushou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The function of Bushou and its potential visual performance means, as well as the objective laws are summarized by analyzing Bushou pos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