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日本靈異記の硏究

        장정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日本靈異記』 는 平安초기 승려 景戒에 의해 편찬된 일본 최초의 불교설화집이다. 이는 당시의 혼란스런 시대 상황에서 일반 민중의 종교적 교화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因果應報》 라는 사상을 통해서 인간 내면을 자극하고, 그 시대상과 사회상을 묘사했다는 점이 편자 景戒의 작품상의 근원적 요소이며 여기에 그 문학사적 가치 또한 둘 수 있다. 종래의 『日本靈異記』 는 주로 불교영험담과 신앙 이념의 수용면, 편자와 편찬 시기를 둘러싼 諸문제, 인과응보 양상 등의 입장에서 연구되었으나, 本 稿에서는 지금까지의 관점에서 벗어나 善惡의 응보 즉 《善報》·《惡報》 의 결과에서 도출되어지는 蘇生說話의 원인 및 그 유형을 고찰해보았다. 특히, 編者인 景戒의 宗敎意識과 사회적 위치에서 유추하여, 『日本靈異記』 에서 주로 취급하고있는 인간이 前世에 행한 선행과 악행의 해답이라 할 수 있는 《因果應報》 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결과가 나타나는가를 구체적으로 《蘇生》 이라 해석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論을 전개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작품의 당시 문학적인 성립 매경 및 편찬의식, 8세기 후반 『日本靈異記』 가 쓰여진 율령제 사회에서의 시대 상황과 사회적 위치, 특히 꿈을 통해본 景戒의 종교의식, 《業》 과 인과응보 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나서, 『日本靈異記』 에 수록된 선악응보으로부터 인간행동의 기준을 세우고, 그것에 의해 《蘇生》 의 원인과 유형을 나누어서 고찰해보았다. 《善報》에서는 불교적 신심과 그 救濟 양상, 《惡報》 에서는 善報와 마찬가지로 구제론의 계층별 양상, 《善惡報》에서는 인간이 그 행동에 상응되는 苦樂이 的確하게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고, 그 각각의 蘇生 원인 파악과 더불어서 《化牛》·《佛菩薩》·《無生物》로 蘇生한 善惡報의 결과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日本靈異記』에 있어서의 주된 인과응보의 의미 및 그 태도 양상은 주로 지금껏 주로 인간 행동의 기준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되어왔지만, 이러한 인과응보가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蘇生 관계 설화의 고찰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아 蘇生의 원인 및 유형을 규명해 보았다. 이상과 같은 고찰에서, 『日本靈異記』 에 나타난 《蘇生》에 관한 관계說話를 살펴볼 수 있었고, 이는 『日本靈異記』 의 전체상 파악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景戒가 일생을 통해 추구해왔던 불교를 통한 《民衆救濟》 라는 주제와도 합치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日本靈異記』 는 일본 최초의 불교설화집으로서, 8세기 후반 혼란한 당시의 시대 상황을 묘사는 물론, 이러한 상황의 타개책으로서 編者인 景戒자신이 승려라는 입장에서 제시한 불교를 통한 일반 민중의 구제가 주된 목적으로 여기에 그 문학사적 가치를 둘 수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는 작품이다. 『日本靈異記』는 《因果應報》라는 불교 사상에 의해 선한 인간 본성에 호소하고, 또한 이러한 인간 내면을 자극하여 惡을 행하기보다는 善을 권장하고 이것을 통해 同시대인들과 후세인에게도 생활의 지침서는 물론 올바른 道德律을 제시했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선행 연구 역시 인과응보의 유형 분류와 신앙 이념의 수용, 편자를 둘러만 諸문제가 연구되어져왔다. 그러나, 本稿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 연구를 근거로 하면서도, 善惡의 현실 응답인 《善報》·《惡報》 의 경우와 비교 고찰하고, 이러한 응보의 결과를 蘇生說話와 결부 지어, 소생 관계 설화의 원인 및 그 유형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해보았다. 이로부터 『日本靈異記』 세계가 불교적인 가치의식에 의해 전승되며 編者인 景戒의 宗敎意識및 『日本靈異記』 사회적 위치등을 유추할 수 있다. 《善惡報》 에 의해 인간 행동이 그에 상응되는 苦樂을 정확하게 받게된다는 결과론에 주목하고, 蘇生 원인 파악과 더불어서 인간 행동의 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日本靈異記』 에 수록된 《蘇生》 관계설화에서는 인과응보의 양상이 주로 인간 행동의 기준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되어왔지만, 인과응보가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蘇生 관계 설화의 원인 및 유형을 규명하고, 아울러서 불교적 신심과 계층별 구제론의 제시도 필요 불가결한 요소이므로, 本 稿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日本靈異記』 가 《民衆救濟》 라는 주제를 드러내고 있으며, 그 속에서 편자가 추구했던 신앙적인 승화가 이루어져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진주시 농촌지역 여성 결혼이민자의 국어 정서법 오류 분석

        장정희 진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우리나라는 국제적인 인적 교류가 확대되면서 급속하게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국제결혼의 양상도 예전에 비해 국적이 다양해지고 외국인 배우자는 여성 결혼이민자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국제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으로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결혼이민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 언어 학습자 대부분은 언어 발달 단계에서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 필연적이다. 그러나 언어 환경이 열악한 일부의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우 그 정도가 심각하다. 언어 사용이 미숙하여 배우자와 깊이 있게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기도 하고, 자녀들의 언어 습득이나 정체성 형성, 대인관계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언어 학습 환경이 열악한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쓰기에서 범하는 오류를 분석한 후 그 원인을 살피고 유형화하여 그들을 위한 한국어 지도 방법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진주시 농촌지역의 여성 결혼이민자로 교회 다문화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베트남·캄보디아 국적 여성 결혼이민자가 11명이며, 이들의 쓰기자료를 수집하여 국어 정서법 오류를 분석하였다. 이들은 한국에 거주한 기간이 7-8년으로 언어 사용 환경은 구어 중심이고 언어의 정확성이 부족하며 한국어 학습 환경 또한 열악하다. 오류 분석을 위한 전단계로서 학습자의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들의 언어 소통은 단편적이며, 특히 학령기의 자녀들과 원만하고 문제 해결적인 소통에 어려움이 있으며,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은 문법이었다. 오류분석을 위한 오류 판정의 방법과 오류 유형의 기준은 형식적 유형분류와 내용적인 유형분류로 구분하였다. 오류 판정 방법은 문장 단위로 분리된 오문을 정문으로 수정하고 그 오류의 내용을 음운 오류, 형태 오류, 통사 오류로 구분하여 오류빈도와 오류율을 구하였다. 오류 분석은 초성, 중성, 종성, 조사, 어미활용, 접속부사, 높임표현, 시제, 어순, 기타오류로 구분하였다. 오류 빈도가 높게 나타난 음운과 조사의 오류는 그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현상별 오류를 구하였다. 현상별 오류의 하위 영역은 대치, 누락, 첨가이며, 대치는 정문에 비교하여 잘못된 형태를 따른 경우이고, 누락은 일정한 형태를 사용하지 못하고 빠뜨리는 경우이고, 첨가는 불필요한 형태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하였다. 범주별 오류 결과는 음운 오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사, 어미활용, 높임 표현, 시제, 어순, 기타오류, 접속부사의 순으로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다. 현상별 오류는 음운 오류와 조사 오류에서 구하였는데 그 결과는 누락 오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치 오류, 첨가 오류 순으로 오류가 높았다. 이러한 오류의 원인은 한국어 언어 습득 초기에 정확한 음운과 문법을 학습하지 못하여 표준어를 소리나는 대로 표기함으로써 어법에 맞는 글말 표현에 미숙해진 것이 대부분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를 목표어로 학습하는 학습자의 경우 정확하지 못한 언어 습관이 고착화되기 전 초기 언어 습득 단계에서 초성, 중성, 종성의 정확한 음가를 발음하는 학습이 진행되어야 하며, 어법에 맞게 표기할 수 있는 한국어 문법 학습이 매우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머니의 언어 사용 유창성이 자녀의 학습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여성 결혼이민자의 언어 수준에 맞춘 개별적이고 세분화된 장기 언어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조선소 메가블록 작업장의 공간일정계획 시스템 개발

        장정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세계의 조선시장을 석권하고 있고 전 세계의 절반 이상의 선박 수주량을 자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산성을 증대 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점 중의 하나이다. 현재 각 조선소에서는 나름의 특수한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히 S 중공업의 경우 메가블록공법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조선업(shipbuilding industry)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생산자원의 효율 극대화를 통한 선박의 납기준수가 관건이다. 이러한 납기준수를 위해서는 일정계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작업일정계획은 생산계획을 기초로 하여, 구체적으로 어느 작업장에서 언제, 어떤 블록을 착수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상세한 시간적 공간 계획을 의미한다. 조선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 예외상황 발생의 빈도가 잦기 때문에 이러한 예외상황을 고려하여 초기에 수립된 작업일정계획을 수정할 것이 요구되는데 매번 수작업으로 수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본 연구는 조선소에서 새롭게 다루어지는 병목공정인 메가블록 작업장 공간일정계획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최적해 도출을 위해 수학적 모델로 모형을 제시하고 LINGO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또한 LINGO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메가PE작업장의 생산성 최대화를 이룰 수 있는 공간일정계획을 자동화 할 수 있었으며 매우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 실제 조선소에서 적용할 수 있기 위해 조선소 내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제약사항을 고려하여 더욱더 효율적이고 현실상황과 더욱 비슷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Motivated by a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in a shipbuilding company, we propose a spatial scheduling algorithm for the mega-block assembly yard in a shipbuilding company. The blocks in a shipbuilding industry are the basic units in shipbuilding processes. They are usually made in the block assembly shop, and then are assembled into a ship in the dry dock.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dock, however, the shipbuilders usually assemble several blocks into a big block before the erection in the dock-side area. Our problem is to make an spatial schedule to use these dock-side pre-erection areas efficiently, and then elevate the productivity of the shipbuilding company. First of all, we formulated this situation into a mathematical model and found an optimal solution by a commercial optimization software. But it could not give optimal solutions for the practical sized problems since the problem is very complicated and time consuming. So we proposed a GA-based heuristic algorithm. Using real shipyard data, we showed that the spatial scheduling system based on the algorithm made a very good performance.

      • Flob에 있어서 collage와 assemblage 표현유형 연구

        장정희 대구가톨릭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In 21st century floral formative arts, Flob(Floral Objet) is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formative language with its focus on figure-centered formative characteristics while seekingafter the freedom of new artistic expressions. Flob has expanded the meanings of arts and suggested a new aesthetic meaning with its experimental method of expression. However, a definite concept of Flob has not been established, nor has its way of expression been studied or suggested due to its short history. Accordingly, this research inquired into its characteristic together with its historical considerations; as a result,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Flob, as a transition of a shape giving life to the characteristic of materials, is a work expressed by using a format of Collage or Assemblage in objet art. Thus, this research suggested a way of its expression for Flob to establish itself as a genre of floral formative art in formative art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Flob's aesthetic viewpoint and diverse techniques and as a result of making efforts to set a frame for expansion and foundation of floral formative art as a chapter of a new modern arts by setting up its aesthetic, artistic value. Flob is a creative, experimental object by a creator-recomposed unique way of expression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plant materials; in addition, there is no limit to the use of materials and Flob is a formative art recreated through a creator's own unique aesthetic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values and philosophical ideas away from the format of a traditional floral formative art. To take a look at the properties of materials used in Flo, this research analyzed the sorts of plants, shapes in use, and combination forms by collecting 200 works; as a result, the most used material is a tree leaf accounting for 6.6%; cut-off leaves accounting for 33.1% in shape and cut-off leaves covering 26% even in combination shapes, thus, showing that cut-off leaves are the most suitable material for the expression of Flob. A representative way of expression used in the formation of Flob is Collage and Assemblage of objet art, and among the floral formative techniques used in the expression of Collage topped a Layering technique, covering 17.5%. Thus, a Layering technique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ed one for creating the beauty of a plane with a change of surface texture of an object having its basic shape and change of colors. Among the floral formative techniques used in the way of expression of Assemblage excelled a Gluing technique, covering 36%. The Gluding technique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ed for creating diverse visual effects, such as assembly-aided change of surface texture, emphasis on colors and movement, and volume, etc. This research could imbue concrete, subjective, suggestive and figurative symbolism by inducing a change of expressional texture, change of colors, and change of shap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Flob. In other words, Flob has a lot of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symbolism and its diverse formative expressions through the medium of symbolic expression has made it possible to express metaphorical expression. As a result of doing research on diverse ways of expression in Flob through this researcher's work, Flob-Collage, which belongs to the expression pattern of Flob formation using a Collage technique, is expressed as a new visual language through a mixed composition of a two-dimensional pictorial element and three-dimensional plant materials. Flob-Collage, which could be a discovery of a new formative element by formal mutation, is an outcome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repetitious arrangement combination using dynamic techniques, such as Layering, Linking, Weaving, Striping, and Wrapping on a basic frame having a certain shape. Such a free expression pattern and texture arrangement of Flob-Collage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anything concrete or abstract and it can create diverse visual effects, such as a sense of pattern, unity, movement, balance, and order, finally representing contingency and play character with its focus on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Flob-Assemblage created an original, artistic formative properties as an expression pattern of Flob by borrowing an Assemblage technique of objet art. Also, it created limitlessly proliferating visual effects including a sense of movement and direction, etc. by re-composing the new formative elements through the process of revising and changing the colors, texture, and shape of materials using artificial manipulation in the mode of repetition, accumulation and assembly relying on Staking, Piling, Twisting, Rolling, Binding, Striping, Gluing, Standing, Sticking, and Winding according to a creator's formative intention. Flob-Assemblage is used for symbolical expressions by arousing emotional effects, such as a sense of order, unity, rhythm, proliferation, and concentration through the emphasis on the movement by the change of texture and colors while highlighting a sense of substance and contingency with a free modeling. Flob-Col-Assemblage, as an expression pattern of Flob borrowing a Collage technique of Objet art and an Assemblage technique at the same time, created infinitely proliferating effects, such as sense of unity, balance, movement, and direction, etc. by re-composing new formative elements discovered by shape variations using an accumulated combination as an expression technique according to a creator's intention. This researcher created Flob-Collage and Flob Assemblage, new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s in the field of floral formation through the actual Flob-aided works which were created through the use of diverse floral expression techniques of Collage and Assemblage patterns. In addition, this researcher thinks that Flob is showing a possibility as a formative art field representing the aspects of soft sculpture by the nature of its materials and also as a genre of an original floral formation showing developmental potentiality, and discovered that the features of pictorial poem of Flob are being emphasized all the more.

      • 외국인의 문화적 적응도와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와 한국 음식점 이용 행태

        장정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인적 이동과 교류를 통하여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외식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국내에 거주하면서 한국 문화에 적응하는 정도와 불확실하거나 정형화되지 않은 상황 또는 환경을 회피하려는 개인적 특성에 따라 외국인들의 국내 음식점을 이용하는 행태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문화적 적응도와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외식 이용 행태의 차이를 파악하고 한국 음식과 한국 음식점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그리고 외국인을 출신 국적에 따라 미국/캐나다인, 유럽인, 중국인, 필리핀인 집단으로 나누어 그들의 외식 이용 행태를 비교하였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24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문화적 적응도와 불확실회피성,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 한국 체류에 대한 만족도,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 한국 음식에 가격 인식도,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 한국 음식점에 대한 재방문 의도, 한국 음식점에 대한 추천 의도로 구성되었다. 조사대상자의 문화적 적응도 중앙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조사한 결과 문화적 적응도가 높은 집단의 거주기간은 낮은 집단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문화적 적응도에 따른 외식 빈도, 1인당 지출하는 평균 외식 비용, 외식 지출 비용, 한국 음식점 방문 빈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문화적 적응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한국 문화 및 음식에 더 긍정적이고 우호적이었으며, 한국 체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으며,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적응도가 높은 집단의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 의도는 낮은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불확실회피성 중앙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조사한 결과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의 거주기간이 높은 집단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의 외식 빈도, 1인당 지출하는 평균 외식비용, 외식에 지출하는 월평균 비용이 높은 집단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한국에서 체류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 았으며, 한국 음식에 대한 가격에 대해 비싸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적응도와 불확실회피성을 기준으로 문화적 적응도가 높고 불확실회피성이 높은 집단, 문화적 적응도가 높고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 문화적 적응도가 낮고 불확실회피성이 높은 집단, 문화적 적응도가 낮고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다. 문화적 적응도가 높고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한국 문화와 음식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이고 긍정적이며, 한국 음식점에 대해 만족하고 재방문 의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적응도가 높고 불확실회피성이 높은 집단의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 한국 음식점에 대한 추천 의도가 문화적 적응도가 높고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와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와 문화적 적응도가 높을수록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음식의 가격이 저렴할수록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출신 국적에 따라 한국 음식과 한국 음식점에 대한 태도 및 행동 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미국/캐나다인 집단의 거주기간은 유럽인, 중국인, 필리핀인 집단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미국/캐나다인과 중국인 집단의 외식 빈도 및 한국 음식점 방문빈도는 유럽인과 필리핀인 집단보다 더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캐나다인, 유럽인, 필리핀인 집단은 중국인 집단과 비교하여 문화적 적응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미국/캐나다인과 유럽인 집단의 불확실회피성이 중국인과 필리핀인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중국인 집단은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가 높은 반면 필리핀인 집단은 두 항목에 있어 그 점수가 낮았다. 미국/캐나다인과 유럽인 집단은 중국인과 필리핀인 집단보다 한국 음식에 대한 가격을 비싸게 인식하지 않았으며, 한국 음식점에 대해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리핀인 집단을 제외한 세 집단은 한국 음식점에 대한 추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외국인의 문화적 적응도를 높여 한국 음식과 한국 음식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oreigners' acculturation and uncertainty avoidance on dining-out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foreigners' attitudes toward Korean foods and Korean cuisine restaurants based on their nationality such as USA/Canada, Europe, China, and Philippine. The factors that influencing foreigners' satisfaction with Korean cuisine restaurants were also investigated. The survey was completed by 247 foreigners who reside in Korea.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using median of uncertainty avoidance and accultur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acculturation group have stayed in Korea longer than low acculturation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w and high acculturation groups in attitudes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foods, knowledge of Korean foods, preference of Korean foods, satisfaction with Korean cuisine restaurants, and behavior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 uncertainty avoidance groups except satisfaction with staying in Korea and price perception of Korean food. In addition, foreigners living in Korea showed different dining out behavior based on their nationality. USA/Canada and China groups dined out and visited Korean cuisine restaurants more than Europe and Philippine groups. Also, China group was more acculturated than other nationality groups. But USA/Canada and Europe groups' uncertainty avoidance score is lower than China and Philippine groups. China group showed the highest knowledge level of Korean foods and preferred Korean foods. USA/Canada and Europe groups perceived price of Korean foods as cheap compared to China and Philippine groups. USA/Canada, Europe, and China groups were more satisfied with Korean cuisine restaurants and higher behavior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s than Philippine group. The attitudes toward Korean foods, knowledge of Korean foods and acculturation influenced on preference of Korean foods. Also, the price perception of Korean food, attitudes toward Korean foods,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influenced on satisfaction with Korean cuisine restaurants. Keywords: Acculturation, Uncertainty avoidance, Foreigner, Satisfaction with Korean cuisine restaurants, Knowledge of Korean foods, Dining-out behavior, Attitudes of Korean foods

      • 고급주택 거주자의 주거지 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장정희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거지는 물리적 형태의 주택의 의미와 심리적·정서적 장소로서 주거의 의미를 동시에 포함하고 다양한 거주 집단의 사회적·경제적·문화적 상징을 담고 있는 공간이다. 고급주거지는 다양한 계층 간의 경제적 차이가 실제의 물리적인 형태로 가시화 되어 나타난 고소득 계층의 집단화된 주거공간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고급주택 거주자의 주거지 선호요인이 고급주거지 분포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고급주택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주거상품 개발의 방향을 모색해 입지의 최유효이용을 실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09년 주택 공시가격 상위 10위 안에 든 주택 중 가장 많은 공동주택 최고가 단지가 속해 있는 한남동, 청담동, 도곡동 등 상위 3개 주거지에서 최고가 공동주택 단지를 선정해 거주자를 대상으로 주거지 선호요인에 대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고급주택 거주자는 주택구입 시 고려하는 요소에 대해 주택특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그 다음으로 입지환경, 단지특성, 주택 브랜드, 투자 가치 순으로 인식하였다. 고급주거지 분포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입지환경에 대한 중요도 분석결과, 고급주택 거주자들은 타 지역과 구별되는 차별화된 독자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그 다음으로 이웃의 커뮤니티 수준, 주변쾌적성, 문화시설 및 백화점 등 생활편익시설, 교통 편리성, 유명학원가 및 명문학군 인접의 교육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급주택 거주자의 주생활 양식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고급주택 거주자들은 '편의 실용 추구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그 다음으로 사회적 지위 추구성, 개성 추구성, 문화생활 추구성, 프라이버시 중시성, 보수 전통성과 심미추구성, 적극적 생활, 여가활동 지향성, 간편 추구성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를 통해 고급주택 거주자는 무분별한 소비보다는 좋은 상품을 선호하는 합리적 가치를 추구하며 타인과 구별짓기를 원하는 유형이라고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고급주거지는 단순히 환경적·물리적 요인뿐 아니라 일반주거지보다 심리적·사회적·경제적 요인이 보다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규명할 수 있었고 다음과 같이 고급주거지의 함축적 의미를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급주택은 투자재로서의 역할보다 거주자의 사회적 지위와 권력을 나타내는 상징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고급주택 거주자는 주거지 선택 시 비슷한 사회경제적 지위를 갖고 있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살며, 타 지역과 차별적이고 독자적인 형태의 주거지 격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셋째, 고급주택 거주자의 주생활양식에 대한 차이가 고급주거지별 입지선호의 차이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의 조사에 따르면 2005년 한국의 부유층은 약 71,000명으로 1990년대에 비해 거의 2배가 늘어났으며 이들의 자산규모 역시 2배 이상 커졌다. 이러한 부유층의 증가율이 고급주거 수요층의 증가와 같은 의미라고 볼 때 도시관리자 및 주택공급자는 고급주택 거주자의 주거지 선호요인을 파악하여 고급주거 수요층의 이해에 맞는 상품 개발로 합리적인 주거문화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A dwelling site means physical housing as well a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sidence, thus containing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symbols of diverse resident groups. A premium dwelling site is collectivized residential space of high-income bracket, which visualizes economic differences among various social classes in practical and physical 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influences of premium housing residents' preferential factors on the distribution of premium dwelling sites. In addition, it seeks to work out a developmental strategy of housing products which satisfy the requirements of premium housing consumers, in order to make the most of housing locations. For this, the study sampled the highest-priced apartment complexes ranked within the 10th place by the government-fixed prices in 2009, which includes Hannam-Dong, Cheongdam-Dong and Dogok-Dong. It then surveyed the residents for their preferential opinions of each dwelling sit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s for the premium housing resident's consideration factors for purchasing their houses, the residents regard 'the characteristics of hous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location environment, complex characteristics, housing brands, and investment values. As for the importance of location environment, meaning 'different from other locations', they regard 'discriminated individuali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the level of neighboring communities, the agreeableness of surrounding environments,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cultural facilities and department stores, traffic convenien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famous private institutes and adjacent prestigious schools. As for the premium housing residents' perception of residential modalities, they regard 'the pursuit of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the pursuit of social position', 'the pursuit of personality', 'the pursuit of cultural life', 'the pursuit of privacy', 'the pursuit of conservative tradition and aesthetics', 'the orientation of active life and leisure activity' and 'the pursuit of simplicity'. This tendency shows that premium housing residents pursue not thoughtless consumption but rational preferential values of good products and want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people. Therefore, the study clarifies that in addition to simple environmental and physical factors,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more in planning premium housing sites than in ordinary dwelling sites. The implications of premium dwelling sit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emium housing plays not the role of investment objects but that of symbolizing the social position and power of its residents. Second, premium housing residents prefer to select an isolated, individualized and discriminated residential locations from others and want to live together with people on the similar social and economical level. Third, the difference in residential modalities of premium housing residents has to do with their location preference of premium dwelling sites. According to the survey of Boston Consulting Group, the number of wealthy people in Korea in 2005 was 71,000 nearly doubling from the number in 1990, and their scale of assets has more than doubled since 1990. As this increase of wealthy class seems to be consistent with the increase of premium housing consumers, urban managers as well as housing suppliers need to develop rational dwelling culture by perceiving the preferential factors of the premium housing residents and by developing housing products accordingly.

      •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 :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장정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N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408명이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스트레스 척도, 학업중단의도 척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이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상담현장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고등학생의 학업중단의도를 예방하고 조절하기 위하여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지지와 노력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tress and dropout likelihood. The sample consisted of 408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at N High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tress scale, academic interruption scal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cale and ego-resilien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For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7Cronbach'sㅕㅕ α was examined. Pearson'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resilience in relation to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tress and academic interrup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tress and academic interruption. Second, self-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tress and academic interrup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ongoing support and the need for an active effort to improv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resili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se efforts could help to prevent dropping out and other academic interrupt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caused by the perceived stress of high school life.

      • 온라인 쇼핑몰 패션 제품 구매후기가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연구

        장정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여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등장하고 인터넷 쇼핑몰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정착되면서 패션 제품 구매가 증가하였다. 이에 온라인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은 자기 만족도를 체크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의 과부하, 또는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정확한 인지가 부족하고, 판매자가 제시하는 상업성에 기인한 정보를 100%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선뜻 구매결정을 내리지 못한다. 이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경험한 후에 게시판에 올린 구매후기를 구매결정시에 고려한다. 이런 인터넷 쇼핑 소비자 행동으로 온라인 소비자가 구매 의사 결정에 있어 구전의 중요함을 인식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내용분석 혹은 실증연구를 통해 양적인 접근으로 구전의 겉모습 탐색 하는데 그치고 있다. 소비자 행동 및 심리 태도 이해를 위한 분석으로 실제 현장 참여를 통한 심층적 분석 자료가 적절하다고 여겨 자연주의적 접근방식(Naturalistic Approach)으로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n)과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제를 '구매후기 수용요인'과 '구매후기 수용 행동'로 두고, 온라인 소비자들의 구매후기를 수용하는 요언을 위험지각과 정보의 불확실성으로 나누고, 다시 위험지각은 심리적 위험지각, 경제적 위험지각, 사회적 위험지각, 성과 위험지각, 손실 위험지각을 다섯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정보 불확실성은 정보의 관련성(relevancy), 신뢰성(reliability), 유용성(utility), 이해 가능성으로 분류하였다. 정보제공자가 온라인 소비자가 되어 선정된 쇼핑몰 G마켓과 d&shop의 오픈마켓에서 패션 제품을 구매하는 데 있어서 지각되는 위험의 감소와 판매자가 제시하는 정보의 불확실성 감소를 위한 행동으로 활발한 정보 탐색을 한다. 구매후기를 수용하는 태도의 차이에 따라 구매의사 결정에 있어서 구매후기를 참고하고 의존하는 차이는 보였지만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온라인 소비자는 인터넷으로 패션 제품을 구매할 때 지각하는 위험을 줄이고, 합리적 구매결정, 즉 구매결과에 대한 만족을 위해 구매후기를 적극 수용한다. 온라인으로 패션 제품을 구매하는 데 있어서 구매후기는 구매의사 결정에 또한 구매 만족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구매후기를 수집한 마켓 플레이스 형태의 쇼핑몰만 선정하여 진행하였지만 앞으로의 온라인 구매후기에 관한 다음과 같이 계속 진행 되었으면 한다. 첫째, 다른 형태의 종합몰이나 전문몰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비자의 특성, 구매결정 단계에서 구매후기 활용과 오피니언 리더로서의 구매후기 발신자 특성 등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긴다. 본 연구는 학문 뿐 아니라 실무에 있어서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나 마케터들에게 제언하고픈 것은 막무가내 글만 올리는 게시판 형식이 구체적으로 나누어 모든 사람들이 그 형식에 맞게 게재하여 한눈에 원하는 내용만 참고하여 구매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매후기게시판이 만들어 져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더 많은 인터넷 소비자들의 구매 만족을 위해 활발한 관리가 필요하리라 본다. As internet shopping mall quickly grew and settled due to the use of important communication medium and large increase of number of internet users, purchase of fashion products has increased. Consequently, the consuming pattern of online consumers is changing into the one where they purchase products by checking their se1f-satisfaction level. However, consumers who use the internet shopping mall do not immediately make decisions on purchase because they do not have sufficient knowledge about products and cannot completely trust information provided by merchants. In order to complement this problem, consumers consider how those who experience the product or service said about it on the bulletin board. Even though many studies began afte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oral transmission in decisions on purchase, it stopped at searching the exterior of the oral transmission with the quantitative approach through analysis of contents or study of empirical proof. Because it was determined that in-depth analysis data through actual participation is appropriate for understanding consumers' psychological attitude and actions, the study consisted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as naturalistic approaches. 'Accommodating factors of afternotes of purchase' and 'accommodating actions of afternotes of purchase' were chosen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factors that online consumers accommodate afternotes of purchase were divided into perception of danger and uncertainty of information, perception of danger were classified into five aspects-psychological, economical, social, sexual, and loss-and uncertainty was classified into relevancy, reliability, utility, and understandability of information. Consumers actively search for information in order to decrease the uncertainty of information and the danger perceived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in shopping mall G-market and open market of d&shop selected by providers of information. Although consumers showed a difference in how much they refer to and depend on afternotes of purchase in deciding whether to purchase a product or not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attitude of accommodating afternotes of purchase, it was influencing actions of purchase. Online consumers actively accommodate afternotes of purchase in order to decrease the danger perceived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through internet and for rational and satisfactory purchase. O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online, afternotes of purchas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decision and satisfaction of purchase. Though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shopping malls in the form of market place where afternotes were collected, the study related to afternotes of online purchase is planned to be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uld he carried out by selecting different forms of integrated malls or specific malls. Second, the study on consumers' characteristics, use of afternotes on purchase, and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deliver afternotes as opinion leaders is necessary. What this study, except for the purpose of studies, tries to suggest to internet shopping mall administrators or marketers on actual business is that afternotes of purchase bulletin hoard should he created so that everyone can refer to only what they want and immediately reflect it on purchase instead of the one that includes useless information. Also, more active management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satisfy the purchase of more internet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