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료(史料)로 살펴본 윤성덕(尹聖德)의 삶과 음악 활동

        장정윤 ( Chang Jeong Youn ) 한국음악학학회 2021 음악학 Vol.29 No.1

        본 논문은 근대 시기 음악유학을 경험한 여성 음악가 윤성덕(尹聖德, 1903~1968)에 대한 연구로서 지금껏 알려지지 않은 그녀의 삶을 당시의 신문기사, 잡지, 유학 기관에서의 기록, 미국 이민국 서류 등 새롭게 발굴한 1차 자료를 통해 구체화하고 음악 활동을 살펴보는 것에서 출발한다. 윤성덕의 삶과 음악 활동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평양의 기독교 가정에서 자라고 이화학당에서 교육을 받으며 음악에 대한 꿈을 키운 시기이며, 두 번째 시기는 선교사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미국 유학을 경험하고 이후 이화여전의 교수로 부임하여 음악 교육시스템의 발전에 헌신한 시기이다. 그리고 세 번째 시기는 미국의 발전된 최신 음악 교육시스템을 경험하고 조선으로 도입하기 위해 이화여전 교수의 신분으로 다시 미국으로 건너간 이후이다. 윤성덕의 삶과 활동 전반에 나타난 음악에 대한 소명은 개인적인 성공과 명성을 위한 자아실현보다는 당시의 기독교와 여성 교육정책이라는 강력한 영향 아래에서 음악교육자의 모습으로 발현되었다. 또한 그녀는 김애식 이후 이화학당출신 미국음악유학생으로 김메리, 김영의같이 보다 많은 여성 음악가들이 선교사들의 네트워크와 지원을 통해 미국 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하여 이화에 교육자로 투입되는 연장선의 시작점에 있다. 본 연구는 윤성덕이라는 인물의 삶과 음악 활동을 보다 구체화하고 관련 인물들을 밝힘으로써 한국 근대 초기에 활동한 여성 음악가의 갈등과 욕망을 심도 있게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fundamental study on Mary Sungduk Youn (尹聖德, 1903~1968), a female musician who studied abroad in early modern Korea, and starts to discover her life and her musical activities based on primary sources and historical record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copies of personal documents and the records from the universities and the archives in the U.S. Based on them, Youn’s life can be divided into 3 periods. The first period is the time when she was raised and educated under the Christian family and Ewha Haktang. And the second is the time when she went abroad to study music in the U.S., supported by several missionaries involved in Ewha College and the time she devoted herself as a professor to improve the music educational system of Ewha College after coming back from America. The last is the time after she revisited the U.S. for having experience on the latest music educational system and for introducing it to Ewha College. The vocation for music that appeared throughout Youn’s life and activities was manifest as a music educator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Christianity and women’s education policy rather than self-actualization for personal success and fame. And Youn was an important figure after Alice Kim (1890~1951) who was the first music educator going abroad to study in the U.S., and as a pioneer Youn was at the beginning of studying abroad of female musicians such as Mary Chesik Kim (1906~2005) and Youngyi Kim (1908~1986), supported by missionaries within their strong network. By discovering Youn’s life and musical activities with the people involved, this study will provide the opportunity to examine the conflicts and desires of female musicians who were active in the early modern Korea.

      • KCI등재

        최초 여성 음악가들의 유학과 근대성의 발현: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장정윤 ( Chang Jeong Youn ) 한국음악학학회 2023 음악학 Vol.31 No.1

        본 논문은 유학이 증가했던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유학을 경험했던 최초의 여성 음악가들을 밝히고 그들의 유학적 경험이 개인적 욕구와 사회의 요구 사이에서 어떠한 갈등을 거치고 근대성으로 발현되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음악유학은 근대 초기 음악문화형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음악은 일제의 식민통치를 벗어나기 위한 민족 차원의 사회구성원으로서 여성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가장 유용한 교육적 도구로도 사용되고 있었는데, 근대 교육을 받은 여성들에게 음악은 그 자체로서 향유의 대상이자 배우고 익혀서 후대를 위해 지식을 전달하고 사회를 계몽시켜야 한다는 사명과 의무가 전제된 것이었다. 초기 여성음악인들에게 유학은 배움의 환원이라는 사회적 요구와 자아실현이라는 개인적인 욕망이 맞물린 상태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근대에 눈을 뜰 수 있는 기회로 작용했다. 모두 다른 과정 속에서 근대를 경험하고 체화했으며 유학을 통한 경험과 내적인 갈등을 통한 지속적인 성찰은 스스로 삶의 방향을 선택하도록 만들었다. 유학과 교육을 통해 자아실현을 위한 욕구와 현실에서의 성찰을 통해 ‘자율성’을 획득한 초기 여성 음악가들은 스스로 체험한 ‘근대’에 대해 스스로의 삶에서 ‘근대성’을 발현시켰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early Korean female musicians who studied abroad, focusing on the 1920s and 1930s when studying abroad increased, and to examine how their experiences of studying abroad, which involved conflicts between personal aspirations and societal demands, manifested in modernity. Studying music abroad played a crucial role in shaping the music culture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Music had been used as the most useful educational tool to encourage women to participate in the national movement to liberate Korea from Japanese rule. For women who received modern education, therefore, music was not just an object of enjoyment but also a mission and duty to learn, master, and pass their knowledge to future generations as well as to enlighten society. Overseas education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se early female musicians to open their eyes to the modern world in complex and diverse ways, where societal demands for giving back and personal aspirations for self-realization were intertwined. All of them experienced and embodied modernity through different processes, and their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and continuous reflection amid internal conflicts guided them to determine their own life paths. It can be said that the early women musicians, who acquired ‘autonomy’ through their pursuit of self-realization and reflection on reality through study abroad and education, expressed ‘modernity’ in their own lives as a response to the ‘modernity’ they experie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