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19세기 처사작(處士作)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금강산의 의미

        장정수 ( Chung Soo Chang ) 한국시가학회 2013 韓國 詩歌硏究 Vol.34 No.-

        이 논문은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나는 금강산의 장소성(placeness)을 고찰 하였다. 현전하는 금강산 기행가사는 대부분 19세기에 창작되었는데, 그중 처사(處士)작으로 밝혀진 일군의 작품에는 여행 체험의 구체적 서술, 설화·고사·유적·유물 등에 대한 관심, 금강산 지형에 대한 풍수적 해설이 공통적 요소로 등장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통 요소를 통해 19세기 처사들은 금강산을 어떤 장소로 인식하고 있는지, 그러한 인식의 사회적·문화적 배경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서는 금강산이 성리학적(性理學的) 도체(道體)로 인식되는 이념적·탈속적 공간이 아니라, 세속적 삶이 지속되는 현실적 삶의 공간으로 인식되는데, 이는 유람(遊覽)의 양상이 일상적 삶의 모습을 띠고 있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9세기 처사 작 금강산 기행가사는 인문지리서에 가까울 정도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데, 이는 조선 후기 사대부들 사이에 널리 성행한 지리·역사·유적·유물 등에 대한 박물학적(博物學的) 지식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로 인해 금강산 기행가사에서는 금강산이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적 공간으로 형상화되었다. 아울러 이들 일군의 작품에는 금강산에 대한 풍수적 해설이 빈번하게 출현하는데, 이는 조선 후기 사대부들 사이에 성행한 풍수사상이 산수관(山水觀)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풍수적 측면에서도 금강산이 최고의 명산임을 증명코자 한 의도임을 알 수 있다. 최고의 경관을 자랑하는 아름다운 곳이지만 인간계와 동떨어진 신비로운 곳은 아니며, 우리가 직접 발로 답사해야 할 우리 문화유산과 무수한 이야기가 있는 곳. 지리학이나 풍수의 측면에서도 뛰어난 곳. 이것이 19세기 사대부들이 지니고 있었던 금강산에 대한 인식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인식은 20세기 초까지 지속되는데, 다만 풍수사상은 근대 학문의 유입으로 인해 배제되었다. 이후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근대적 관광이 성행함에 따라 금강산은 세속적, 소비적 관광지의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This essay examines the placeness of Mt. Geumgang in 19th century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Most of the existing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were written in the 19th century. Those which are known to have been written by Cheosa (處士) are all similary in that they contain descriptions of travel, interest in fables, tales, ruins and relics, and descriptions of the location of Mt. Geumgang according to feng-shui. This essay uses these similarities to examine what kind of place Mt. Geumgang was to 19th century Cheosas and what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o that understanding was. These scholars didn`t view Mt. Geumgang as an ideological or other-worldly embodiment of Confucian values. Rather, they saw it as a worldly place where everyday life is carried out. This can be seen by noticing that their travels resemble everyday life. The 19th century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which were written by Cheosa were as full of information as human geography texts. This is most likely due to the nobility`s natural history knowledge about geography, history, ruins, and relics in late Joseon. In the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Mt. Geumgang was transformed into a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which represents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There are many geographical explanations of Mt. Geumgang according to feng-shui in this group of Gihaeng Gasa. Theories about feng-shui of late-Joseon nobility had a large influence on thoughts about scenery. This shows that the nobility was trying to prove that Mt. Geumgang was the best place according to feng-shui as well. Mt. Geumgang is a beautiful place with an exquisite landscape while continuing to be accessible to humans. It is a cultural heritage site that should be visited by all Koreans. It is the center of numerous stories. It is outstanding when viewed from a geographical or feng-shui point of view. This is how the nobility from the 19th century thought of Mt. Geumgang. This complex perception was carried in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ut the theory of feng-shui was excluded after the introduction of modern academia. Due to the raise is modern style sightsee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t. Geumgang came to have more meaning as a worldly, economic tourist attraction.

      • KCI등재

        고전시가에 나타난 여승 형상, 비구니 되기와 환속 권유

        장정수 ( Chung Soo Ch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2 No.-

        This is study on the shape and meaning of buddhist nun in the various types of poetry-Gyubanggasa, Sijibsalinorae, Saseol Sijo, Aejeonggasa 《seungga》 in the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Gyubanggasa and Sijibsalinorae described the story of woman`s becoming a buddhist nun who were suffered under the paternalistic family system and the confucian ideology in the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It focused on describing the inevitable and varied story of a becoming a buddhist nun, so it didn`t express the religious interests such as an ascetic exercises or a missionary activity. Also Gyubanggasa and Sijibsalinorae show the somewha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While Gyubanggasa shows the escape from the tragic fate, Sijibsalinorae shows the resistance to the unreasonable living with her husband`s parents(Sijibsali). Saseolsijo and Aejeonggasa 《Seungga》 expressed the negative common ideas of those days on a buddhist nun and the male desire of regarding a buddhist nun as a sexual object. Saseolsijo selected a provocative material-lascivious buddhist nun-to raise the interests in the merrymaking spaces. In 《Seungga》, a male gentry is showing off the economic plenty and the stability in the family system to seduce a buddhist nun for his love success.

      • KCI등재

        〈黃江九曲歌〉의 창작 배경 및 구성 방식

        장정수(Chang Chung-Soo) 한국시조학회 2004 시조학논총 Vol.21 No.-

        본고의 목적은 〈황강구곡가〉의 창작 배경과 구성 방식, 내용상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황강구곡가〉는 권상하의 유풍(遺風)이 쇠미해지기 시작하는 시기에, 구곡가의 전승을 통해 기호학파의 도맥(道脈)을 재확인하고 백부인 권상하를 추숭(追崇)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옥소 권섭이 창작한 작품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각 승경처를 권상하의 삶의 궤적과 연관지어 서술하는 회고의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 작품에는 권상하의 도학자적 삶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권상하가 은거했던 황강 구곡은 선경(仙境)으로, 그의 삶은 신선적 풍류로 그려냄으로써 간접적으로 입증하였다. 이러한 구성 방식과 자연에 대한 인식 태도를 통해 볼 때 〈황강구곡가〉는 권상하를 위해 창작된 작품이지만 권섭의 의식 세계를 표출하고 있으며, 그의 작품 세계와 연장선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background of creation, composing method, and character of contents. 〈Hwangkangkugok-ga〉 was created by Kwon, Seop to reconfirm moral range of the Kino-scholarship school and admire Kwon, Sang-ha (Kwon, Seop's uncle) through transmission of Kugok-ga when a custom handed down by Kwon, Sang-ha waned. This work, therefore, was composed of recollecting method describing each place of superb view relating to trace of life of Kwon, Sang-ha. In this work, the moralistic life of Kwon, Sang-ha don't appear directly. Hwangkangkugok, a fairyland where Kwon, Sang-ha lived in retirement, proves the moralistic life of Kwon, Sang-ha indirectly by describing his life as hermitian taste. Through this composing method and recognizant attitude, We know that 〈Hwangkangkugok-ga〉 was created for Kwon, Sang-ha, but it reveals Kwon, Soop' thought in life and it can be placed on prolongation with his work world.

      • KCI등재

        기행시조의 창작 배경 및 특성 연구

        장정수(Chang, Chung-soo)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1 No.-

        본고에서는 기행시조의 개념 및 범주, 창작 배경, 장르적 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기행시조의 개념은 ‘여행 체험의 내용을 시조 형식을 통해 구조화한 언어적 상관물’이라 규정하고, 그 범위를 ‘여행 중의 체험이나 견문, 감회 등을 읊은 시조’로 설정하였다. 기행시조가 주로 창작되고 불리는 상황은 승경처(勝景處)에서 감흥이 일 때, 유적 답사 후 회고의 정이 생길 때, 풍류를 즐길 때, 객회를 느낄 때 등이며 이는 작품의 내용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행시조는 ‘여행의 목적?동기+여행 과정?형태+감회’, ‘여정+목적지의 경관?느낌?목적지에서의 행위+감회’, ‘여정+여정+감회, 여정(감회)+여정(감회)+여정(감회)’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히고, 여정을 나타내는 표지, 사실적?구체적 묘사, 장면의 독립, 주정적 독백 및 응축된 정서 표출 등의 서술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행시조는 여타 시조에 비해 객관적 사실에 대한 전언(傳言)이 많이 나타나지만, 궁극적으로는 작가의 정감이나 정서 표현을 지향한다는 점과 즉흥성과 현장성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내면 의식을 지향하는 순수서정 장르임을 확인하였다. As a part of investigat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this paper examined the concept, category, creative backgrounds, structure and the expressional features of the Kihaeng Sijo (Travel Sijo). The concept of the Travel Sijo could defined as recited the travel experience, knowledge, and the impressions. Travel Sijo is mainly written and sung in the situations, such as being inspired by the excellent scenery, being deeply moved by the exploring the ruins, enjoying the refinements, feeling the traveler’s melancholy.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work. Also the types of Travel Sijo could be classified, such as ‘purpose and motive of the travel + travel course?type + retrospect’, ‘itinerary + view of destination?feeling?act in the destination + impression’, ‘introducing the concrete itinerary’ and et cetera.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Sijo are described as the expression on the itinerary, the realistic and concrete description, the independence of the scene, the emotional monolog, and the expression of the condensed sentiment. Compare with the other Sijo, Travel Sijo shows the more message on the objective fact. To the ultimate, Travel Sijo aims the expressing of the writer’s sentiment and emotion. And also it include the impromptus and the On-the-spotness.

      • KCI등재

        1960∼70년대 기행 규방가사에 나타난여행문화와 작품 세계 -유흥적 성격의 작품을 중심으로-

        장정수 ( Chung Soo Chang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0

        본고는 여행문화와 기행문학의 관련 양상을 밝히는 작업의 일환으로 1960∼70년대 유흥적 성격의 규방 기행가사에 나타난 여행문화와 작품 세계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논의한 작품에는 1960∼70년대 관 주도 하에 이루어진 근대적 대중관광의 형태 및 산업화·근대화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 잘 드러나 있다. 이 시기 보편적인 대중관광의 형태는 관광버스를 대절하여, 수십 명이, 1박 2일 내지 2박 3일의 일정으로 떠나는 단체여행이었다. 주요 여행지는 경주, 설악산, 한려수도 등 당시에 새롭게 국립공원 또는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곳들이며, 여행은 산업현장 및 근대화를 과시하기 위해 ‘새롭게 만들어진 전통문화’를 ‘시찰’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작품에는 문화재·고속도로·산업시설 등의 근대화의 성과에 대한 경이와 찬사가 강하게 드러나며, 경제적·사회적으로 급성장하는 시대의 흥성한 분위기에서 연유한 들뜬 정서가 나타난다. 이들 작품의 또 하나의 특징은 기행가사와 화전가의 성격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체적으로 ‘출발-여정-귀가’로 이루어지는 기행가사의 구성을 취하고 있으나 서사와 결사, 집단적인 유흥 장면, 동참 인물에 대한 묘사 등에서 화전가와 유사한 양상을 띤다. 이러한 복합성은 화전놀이 담당 층이 화전놀이의 기회를 관광으로 대체하면서 화전가의 창작 관습에 견인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ravel culture and literary world which was represented in Gyubang Gasa of entertainment in 1960s-70s as part of work that can reveal the aspect of relations between travel culture and journey literary. We can easily find out the form of modern mass tourism led by government in 1960s-70s and author`s awareness about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At that time, the universal form of mass tourism is group travel renting tourist bus, with dozens of persons, with schedules of 2 days and 1 night or 3 days and 2 nights. Major destinations were newly designated national park or national tourist attraction such as Kyungju, Seoraksan, Hanryeosudo, Travel was characterized as "an inspection" of "newly made traditional culture" to show off the industrial setting and modernization. Therefore, wonder and admiration about the achievement of modernization such as cultural property, highway, industrial facilities were revealed strongly with excited emotion greeting prosperous mood of economically, socially fast-growing era. Another characteristics of these works are to share those of Gihaeng Gasa and Hwajeonga. Overall, they have the construction of Gihaeng Gasa which are consist of start-journey-homecoming, but they have similar aspects with Hwajeonga in terms of narrative and association, collective amusement scene, description of people involved. As charges of Hwajeonnori replace its opportunity with sightseeing, these complexities might probably came from creative custom of Hwajeonga.

      • KCI등재
      • KCI등재

        화전놀이의 축제적 성격과 여성들의 유대의식

        장정수 ( Chung Soo Chang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39 No.-

        본고는 화전놀이의 축제적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선후기부터 1960~70년대까지 행해진 화전놀이는 여성들이 일 년에 한 번 집 밖으로 나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마음껏 놀다 올 수 있도록 허락한 일종의 ``통풍관습(ventilsitte)``이었다. 화전놀이는 마음껏 먹고 마시고, 웃고 떠드는 디오니소스적 오르지(Dionysus orgy)와 엑스터시에 가까운 신명나는 놀이, 사회적 금기와 억압 기제에 대한 전도(顚倒) 등 축제의 주요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화전놀이 과정을 통해 축제의 주체인 여성들은 새로운 삶의 에너지를 획득하고, 기존 사회가 가지고 있던 모순과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자 노력한다. 이는 ``통합성``이라 불리는 축제의 ``공동체적 질서 회복 기능``을 가리킨다. 화전놀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성들 사이에는 유대감이 형성된다. 그 유대감은 힘을 합쳐 화전놀이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처지를 공감하고 위로하는 데서, 고민에 빠져 있는 이에게 조언을 하는 과정에서 이루어 진다. 화전놀이를 통해 형성된 여성들의 유대의식은 그들이 남녀 불평등한 가부장적 사회에서 이탈하지 않고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방편이 되었다. This study stipulates the festive characters of Whajeonnori. From the latter period Chosun Dynasty to the 1960~70, Whajeonnori was a kind of ventilsitte for women. Women were allowed to go out of the house and have their flings at the Whajeonnori. Whajeonnori includes main features of a festival such as the Dionysus orgy-a party at which there is a lot of eating, drinking, laughing and talking, the exciting plays close to the ecstasy, and the inversion to the social taboo and suppression. Through the process of Whajeonnori, the women, the main actors of the festival, tried to obtain a new energy for their lives and find a solution to a contradiction and problem of the established society. It played a role of enhancing a sense of the community. During the process of Whajeonnori, the solidarity among women is strengthen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playing while sympathizing with and consoling their situations and giving support those who were going through difficult times. The solidarity became a useful way of life for women to stay and live a harmonious life in the patriarchal society.

      • KCI등재

        계몽기 · 근대시조 DB의 개선 및 콘텐츠화 방안 연구

        장정수(Chang, Chung-Soo) 한국시조학회 2016 시조학논총 Vol.44 No.-

        최근 검색 기능을 갖춘 「계몽기 · 근대시조의 XML 데이터베이스 문서화」라는 자료가 기초학문자료센터(http://www.krm.or.kr)를 통해 제공되고 있어 근대시조의 문화콘텐츠화를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계몽기 · 근대시조 DB의 특성 및 문제점을 검토해 보고 개선 방향을 탐색함으로써 이 자료의 콘텐츠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계몽기 · 근대시조 DB는 12,500여 수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근대시조를 한자리에서 일별할 수 있도록 집성해 놓았다는 점과 문헌 및 작가명․작품명 검색, 원문 검색, 시기별 검색 등의 검색 기능을 갖춘 최초의 시조 DB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이 DB는 현대어 정규화 텍스트가 형성되지 않아 제목이나 원문이 고어나 한자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 검색이 되지 않으며, 1945년 이후에 발표된 작품과 개인 시조집에 수록된 작품이 대거 누락되어 있어 계몽기 · 근대시조의 총체적 모습을 확인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작자 표시가 실명, 호, 필명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되어 있어 작가별 자료 추출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DB 활용을 제고(提高)하는 방안으로 본고에서는 현대어 정규화 텍스트 마련, 작품 별 내용소(內容素) 색인어 부여, 고시조 DB와의 통합, 작품 형식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시조문화정보시스템’의 성격을 갖춘 복합적인 성격의 계몽기․근대시조 DB가 형성된다면 이를 연구 및 교육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음을 피력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근대사 학습 및 근대기 국토 인식 등에 대한 보조 자료, 고유의 동식물 캐릭터 학습 및 상업적 캐릭터 생성을 위한 원천 자료, 시조놀이 등의 시조학습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Recently with the research function, 「XML Digital collection of Sijo Text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DB data is being provided through the Korean Research Memory (http://www.krm.or.kr) and the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Sijo Text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has been laid. In this paper,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Digital collection of Sijo Text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and searching for the improvement, I tried to find a way to make it into the content. This database has the primary meaning in the integrating and glancing at the vast amounts of Sijo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to reaching 12,500 pieces. In addition, it is the first Sijo data base which is provide the variety of search features according to literature, name of poet, title of work, original text, per period, and etc. However, this database has the limits to verifying the overall aspects of the Sijo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The title and original text, which is written in the archaic word or Chinese character, could not be searched, because the standard type text of modern language is not formatted. And also the works and the individual Sijo works released after 1945 were missing in the database. It is inconvenient to extract the datum according to the poet, because poets are marked in the various ways such as one’s real name, nom de plume and etc.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s and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database, I proposed the providing the standard type text of modern language, giving the index terms about content, providing the information on the work format and etc. Furthermore, if the Sijo database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which is prepared the character of the Sijo Culture Information System could be built, it could be connected with the academic,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specific plan, I suggested as follow, - learning support materials for the Modern history and the national territory recognition on the Modern Age - source materials for studying indigenous animals and plants characters creating the commercial characters - applicability as the Sijo learning tool such as Sijo Game

      • KCI등재

        「축산별곡(竺山別曲)」의 성격과 작가 의식

        장정수 ( Chang Chung-so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21 어문론총 Vol.87 No.-

        현재 학계에 알려진 「축산별곡」자료는 작품을 소개하는 단계에서부터 누락된 부분과 오독(誤讀)이 있었는데, 이에 대한 확인과 수정 없이 계속 연구 자료로 이용되면서 오류가 재생산되었다. 이에 본고에서 이를 수정하여 좀 더 정확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였다. 「축산별곡」은 기행가사와 강호가사의 형식과 내용이 섞여 있어서 성격을 규정짓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 작품은 정식(鄭湜)이 축산에서 재임한 3년 동안의 풍류 체험을 기행가사 형식으로 표현하고자 했으나 강호가사의 정서를 추구하여 구성의 통일성을 잃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축산별곡」이 강호가사적인 분위기를 띠는 이유는 작가 정식이 관직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며 풍류와 예술적 체험에 탐닉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의 이러한 기질이 이 작품의 특징인 섬세하고 감각적인 시상과 수사를 만들어냈다고 할 수 있다. The materials of < Chooksan Byeolgok >, which are currently known to the academic world, included the missing parts and misreads from the introducing the work. And the errors were reproduced as they were continuously used as a research material without the confirmations or the corrections. Therefore, this paper has modified this to provide the more accurate research material. “Chooksan Byeolgok” has a difficulty in the defining its character because the form and content of Travel Gasa and Gangho Gasa are mixed. This work attempted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enjoying the arts (風流) during his three years in chooksan and create Travel Gasa like < Kwandong Byeolgok >. But it can be said that the work has lost the unity of composition due to the failure to properly control the emotions of Gangho Gasa. The reason why "Chooksan Byeolgok" has an atmosphere of Gangho Gasa can be explained that Jeong Sik, the author abandoned his greed for the government post, was satisfied with his situation and indulged in the artistic experience. The artist's temperament cre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the delicate and sensational sentiments and rhetor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