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의 구매 특성과 제품개발 요구도

        장정민(Jeong-Min Jang),최희령(Hee-Ryong Choi),홍완수(Wan-Soo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10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영유아 편의식 제품의 구매 특성, 제품개발 요구도, 편의식 제품의 첨가 재료 선호도, 제품개발 방향 필요성 및 식품안전 인식도를 분석하여 중국 수출을 준비하는 국내 식품업계의 영유아 편의식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7년 8월 10일부터 8월 25일까지 편의식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대~50대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 514명을 유효 표본으로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Statistics(ver. 22.0, IBM Corp., Armonk, NY,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일반사항을 교차분석 한 결과 연령(P<0.001), 월 소득(P<0.01), 직업(P<0.05)에서 남녀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유아 편의식을 구매하는 중국 소비자의 구매 특성 중 구매 빈도는 ‘자주 구매한다’의 응답이 34%(174명)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선호하는 영유아 편의식의 포장 단위는 ‘1회 섭취량’으로 47.9%(246명)의 비율을 보였다. 선호하는 보관방법은 상온 보관(15~25°C)이 67.3%(346명)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성별 및 월 소득에 따른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의 편의식 제품개발 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16개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녀 차이를 확인하였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제품개발에 대한 요구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월 소득의 경우 5,000위안 이상의 경우 ‘저 당도 제품개발’, ‘최신 건강 식재료 사용’, ‘다양한 소스 개발’, ‘다양한 양념 개발’, ‘다양한 한국 영유아 편의식 개발’, ‘한국 발효식품을 활용한 개발’, ‘한국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개발’ 항목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소득이 높을수록 제품개발에 대한 요구도도 더 높게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친환경(유기농) 식재료를 사용한 프리미엄 영유아 편의식부터 건강을 고려한 제품, 한국의 발효식품이나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영유아 편의식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 대상자의 제품 첨가 재료 선호도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채소류, 단백질류, 곡류, 유제품의 세부항목에서 성별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남성보다 여성의 첨가 재료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채소류의 옥수수, 당근, 감자, 토마토, 버섯, 단백질 류의 달걀, 소고기, 콩, 닭고기, 곡류의 백미, 밀가루, 유제품의 우유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이들 식재료를 첨가한 제품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월 소득에 따른 편의식 제품의 첨가 재료 선호도 차이에서는 전체적으로 소득이 8,000위안 이상인 집단에서 5,000위안 이하인 집단에 비해 채소류, 단백질류, 곡류, 유제품류에서 높은 선호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의 영유아 편의식 제품의 남녀 간 개발 방향 필요성의 차이에 있어서는 총 12개의 항목에서 성별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남성 소비자보다 여성 소비자의 점수가 더 높게 조사되어 여성 소비자가 더 필요를 높게 인식하지만 필요를 높게 인식하는 항목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및 월 소득에 따른 중국 소비자의 영유아 편의식 제품 식품안전 인식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성별은 13문항 중 7개의 문항에서 성별 간 차이를 보였고 남성보다 여성의 식품안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아 여성의 식품안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소비자에게 중국에 수출될 영유아 편의식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식재료 및 첨가물 등의 성분, 유통경로, 생산과정 및 포장까지 안전한 제품을 만들고 홍보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월 소득에 따른 식품안전 인식의 차이에서는 4개의 문항에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월 소득이 높은 집단에서 소득이 낮은 집단보다 식품안전에 대해 더 높게 지각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 편의식을 구매하는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에 따라 소비자의 요구 및 필요를 반영한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소비자가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국내 식품 관련 업계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는 중국이라는 넓은 나라를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했으며 온라인으로 설문을 수집했다는 연구의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convenient baby food, needs for developing products, preference for additional ingredients of convenient baby food, and necessity of direction for developing products. Buying 1 to 3 times per two weeks was ranked as the highest in terms of frequency of buying convenient baby food. Single consumption was the most preferred package unit. Storage at room temperature was the most preferred storage method. Women had higher needs for the convenient baby food product development than men. As incomes increased, needs for the convenient baby food product development also increased. Women showed a higher preference in each food category than men in terms of preference for additional ingredients in products. Those with higher income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dditional ingredients in convenient baby food. Female consumers had higher need than male consumers in terms of the necessity for various development direction. Analysis of perception on food safety revealed that women and those with higher monthly income ha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food safely issues compared to men and those with lower income, respectively. The study findings can be useful for future development of convenient baby food for Chinese consumers.

      • KCI등재
      • KCI등재

        물리적 분리단서가 소비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정민(Jang, Jung Min),박은영(Park, Eun Young) 한국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연구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가 의사결정을 하는 상황에서 제품의 포장 용기나 봉투와 같은 물리적 분리단서의 유 · 무에 따라 행동의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마음가짐(mind-set)에 관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물리적 분리단서와 소비자의 사전 경험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제안하였다. 즉, 대상에 대한 사전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은 의사 결정에 의해서 실행 마음가짐(implemental mind-set)을 지니고 있다. 이때 물리적 분리단서가 제시되면, 대상의 긍 · 부정적 측면을 고루 반영하며 그 채택 여부를 고려하는 심사숙고 마음가짐(deliberative mind-set)으로 전이될 것이다. 반면 물리적 분리단서가 없는 경우, 실행 마음가짐이 유지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물리적 분리단서가 제시될 때가 없을 때보다 덜 호의적인 행동의도룰 나타낼 것이다. 하지만, 사전 경험이 없는 소비자는 대상에 대한 채택 의사 결정을 한 적이 없으므로 심사숙고 마음가짐을 지니고 있고, 대상에 대한 긍 · 부정적 측면을 고루 고려한다. 물리적 분리단서에 따른 마음가짐 전이 현상의 영향력이 미비할 것이며, 행동의도에도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심리적 기제로 지각된 바람직함을 제안하고 매개 효과와 관련한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초콜렛 신제품을 평가하는 상황에서 물리적 분리단서(제품 용기)와 유사 제품에 대한 사전 경험의 상호작용이 시식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와 지각된 바람직함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2에서는 기부 캠페인에 대한 광고 상황에서 물리적 분리단서(봉투)와 이전의 기부 경험 여부가 기부의도 및 기부 금액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와 지각된 바람직함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전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은 물리적 분리단서가 있는 조건에서 없는 조건보다 대상에 대해 덜 호의적인 행동의도를 나타낸 반면, 사전 경험이 없는 소비자들은 물리적 분리단서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설은 지지되었으며, 이 결과를 통해 학문적,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potential impact of physical partitions on behavioral intention toward objects.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existing literature verifying the mind-set effec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hysical partitioning effect is moderated by consumer experience. More precisely, experiencers tend to have an implemental mind-set due to prior decision-making. However, a physical partition can activate a deliberative mind-set in which an experiencer reflects on both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an object and considers whether to accept or reject that object. Conversely, the absence of a physical partition induces consumers to maintain the existing implemental mind-set. However, non-experiencers tend to have a deliberative mind-set because they have never made decision about an object. Therefore they, having already considered equally its pros and cons, are insensitive to the shift effect from implemental to deliberative mind-set arising from physical partitions. As a result, experiencers respond more negatively when a product is provided with a physical partition than without. Partitions induces experiencers to shift from an implemental to a deliberative mind-set, thus driving less favorable behavioral intentions. On the other hand, non-experiencers are generally insensitive to physical partitions because they already have a deliberative mind-set. Perceived desirability has been suggested as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this process occurs. We tested the proposed effect in two laboratory studies. In study 1, a new product sampling context, we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resence of product cover and prior experience on consump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perceived desirability mediated the proposed effect, which was also verified. In study 2, in evaluating a donation ad-campaign context, we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resence of envelopes and prior experience on donation intention and amount and also provided evidence for perceived desirability as a mediator. The results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respond to physical partitions and highlight implications for marketers seeking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communication.

      • KCI등재

        1인 가구의 외식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장정민(Jang, Jeong-M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9 외식경영연구 Vol.22 No.6

        본 연구는 한국 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노동패널’의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1인 가구의 외식행동이 시간의 흐름에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외식시장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 있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비와 와식비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외식비와 외식비 비율이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둘째, 선형변화 모형을 채택하여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셋째, 남성은 여성보다 초기 외식에 지출하는 비용이 높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는 외식비 변화율에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의 경우 외식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쳐 연령이 높을수록 초기 외식비가 높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외식비의 증가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비 비율의 경우 성별이 외식비 비율의 초기값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 1인 가구의 남성의 외식비 비율이 초기에는 높지만 외식비 비율 변화율은 남녀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조사되었다. 연령은 외식비 비율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낮을수록 외식비 비율의 초기값도 높고 증가율도 높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함은 제한된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범위가 한정적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추후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use a wealth of data ranging from 2010 to 2017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and further analyze the change in the eating-out pattern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ver time. First;eating-out expenses and eating-out rate were on the steady rise as time progresses. Second;a linear change model was adopted to identify effects. Third;men paid more money in eating out than women early on. As time went by;eating-out rate showed no variation over time. Age affected initial values of eating-out expenses and change rate. Eating-out expenses early on increased in old groups. As time progressed;the increasing rate of eating-out expenses declined. Regarding the rate of eating-out expenses;gender affected intial values of the rate;but no impact on the change rate. The study found that the rate of eating-out expenses of male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high early on;change rates of the expenses remained unchanged between men and women. Age all affected initial values and change rate of eating-out expense rates. Initial values of the rates were higher and the increasing rates were higher in young groups.

      • KCI등재

        성별 및 연령별 우울감에 따른 영양소 및 식습관에 관한 연구

        장정민(Jang, Jeong-M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8 외식경영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우울감의 정도와 영양소의 섭취상태 및 식습관의 연관성과 차이를 알아보고 건강 하고 올바른 식생활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간 우울의 정도에 따른 영양소의 섭취량의 차이분석의 결과는 남성은 6가지 영양소에서 여성은 9가지 영양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연령구분의 우울정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분석의 결과 청장년층은 우울의 정도에 한가지의 영양소에서, 중년 층은 모든 영양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우울의 정도에 따른 식사 빈도 및 외식횟수의 성별 간 차이분석에서는 남성은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성은 아침식사와 점심식사 빈도에서 차이를 나타냈 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and difference among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by using large amounts of data from National Health Nutrient Survey and propose practical methods for healthy and good dietary life. It analyzed results by using SPSS 22.0 program. For the first result on the difference of different consumption amounts of nutrients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depression between two genders, m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ix nutrients and women showed a difference in nine nutrients. Second, the difference revealed that middle-aged peop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nutrients. Third, in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wo genders on the frequency of meal and the number of dining out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depression, m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ategories, while women showed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breakfast and lunch. Lastly, this study propo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 복수 표준 발음 처리의 기준에 관한 연구

        장정민 ( Jang Jung-min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2 백록어문교육 Vol.30 No.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iteria by reviewing words to which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has been added. Since 2016, there have been 20 words in which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has been added, and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has been recognized only in Phonetic Phenomenon related to tensification and /n/-inserti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se words, there are three criteria for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processing. First, it does not violate the language norms. Second, it does not change the notation. Third, the realization rate of actual pronunciation is more than twice the realization rate of standard pronunciation Subsequently, the actual pronunciation survey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as divided by type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additional words that could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processing..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occurring in the ‘n-l’ sequences should also be treated with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processing standards are too conservative, it is suggested that more flexible and active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processing is needed to get close to language norms and reality.

      • KCI등재

        가격할인의 추가 정보 유형(언어 vs. 비언어)이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장정민(Jang, Jung-Min),이진화(Rhee, Jin-Hwa)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5

        소비자의 가격할인 정보처리에 관한 연구는 제조기업의 광고나 유통기업의 판매촉진 등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다루어져 오고 있다. 특히 가격할인을 소비자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에 관한 이슈는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성과와 직결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쇄광고 상황에서 가격할인 정보와 함께 제시되는 추가 정보의 표시 방식을 언어적(e.g. 글)?비언어적(e.g. 그림)으로 구분하고, 이 두 표시 방식이 소비자 인식(가격할인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의 조절초점(regulatory focus)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연구 결과, 예방초점의 소비자들은 가격할인에 대하여 비언어적(vs. 언어적) 정보가 추가된 경우 가격할인에 대하여 더 매력적으로 지각한 반면, 향상초점의 소비자들은 언어적(vs. 비언어적) 정보가 추가된 경우 가격할인에 대하여 더 매력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중요하게 연구되어 온 언어적, 비언어적 자극의 정보처리 문제를 가격 할인 정보전달과 같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적용하고, 이론적으로 설명하여, 실증적으로 그 차이를 검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제로 여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언어적?비언어적 표시 방식의 효과가 소비자의 조절초점 성향에 따라 다름을 확인함으로서 가격할인표시 방식의 세부 활용 전략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formation processing of consumer’s price discount has been an important topic in formulating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such as manufacturers’ advertising and distributors’ promotions. Especially, issues of how to communicate price discounts to consumers directly impact firm’s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s. We divide two modes of presentations - linguistic (e.g. number, letter) and nonlinguistic (e.g. picture) - and aim to find how the effects of these two modes of presentations on consumer perceptions of discount attractiveness differ with consumers" regulatory focus. Results from an experiment reveal that the prevention focused consumers find discount information more attractive when non-linguistic informa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whereas promotion focused consumers find it more attractive when linguistic information is offered in addition. We conclude the paper wi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

      • KCI등재

        한국인의 식사 빈도에 따른 유형화 및 영향요인 연구

        장정민(Jang, Jeong-M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21 외식경영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201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일주일 동안의 식사 빈도를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유형화 하여 집단에 따라 식사 빈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식사 빈도를 파악하여 유형화 한 결과 3개의 잠재 집단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유형의 특징에 따라 ‘평균 식사형’, ‘높은 점심 식사형’, ‘낮은 점심 식사형’ 으로 명명하였다. 유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평균 식사형’을 기준 변수로 하여 다항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높은 점심 식사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성별(p<.001), 동ㆍ읍면 거주 (p<.01), 연령(p<.05), 독거 여부(p<.05)로 파악되었으며 ‘낮은 점심 식사형’을 결정하는 요인은 월평균 가구소득(p<.001), 성별(p<.01), 독거 여부(p<.05), 결혼상태(p<.05)로 파악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에 따른 관련 산업 및 국가의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화가 어려워 결과를 일반화하기가 제한적이라는 연구의 한계가 있었다. This study conducted raw data for the 201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By categorizing the frequency of meals for one week into a Latent Profile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frequency of meals according to the group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the frequency of meals, three potential groups were analyzed to be suitable,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they were named as average meal type , high lunch type , and low lunch type .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verage meal type as a reference variable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according to the type. As a result,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high lunch type were identified as gender, residential area, age, and whether to live alon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low lunch type were identified as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gender, living alone, and marital statu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ion of related industries and countries according to the categorized group was presented, and there was a limitation in the study that generalizing the results was limited due to difficulties in segment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노인의 외식행동 변화궤적에 대한 연구

        장정민(Jang, Jung-M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7 외식경영연구 Vol.20 No.5

        사회적 변화에 따라 노인의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노인의 외식 행동과 식품, 건강에 관련된 연구는 다수 있으나 거의 횡단적으로 살펴본 연구들 이며 노인의 외식행동이 연도별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지를 종단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노인의 외식행동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성별과 연령에 따른 비교분석을 실시하 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이 실시한 고령화연구패널(KLoSA) 2-5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AMOS를 활용하여 시간에 따른 노인의 외식행동(외식비, 외식비 비율)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성별과 연령에 따른 잠재 성장모형 검증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외식비와 외식비율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둘째, 연령이 낮을수록, 남자일수록 외식비와 외식비율이 증가 하였다. 셋째, 외식비가 낮은 집단일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외식비가 높은 집단 일수록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외식비의 비율이 낮은 집단일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외식비의 비율이 높은 집단 일수록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노인의 연령에 대한 외식비의 변화율은 연령이 낮을수록 초기 외식비가 높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식비의 변화량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ill explore the changing pattern of eating out behavior of senior people as time progresses and conduct comparison as well as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2nd and 5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condu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urvey data were used f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AMOS to examine the changing pattern of eating out behavior of senior people(eating out expense and the percentage of eating out expense), and further presented results from potential growth model tes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o summarize results, first, eating out expense and the percentage of eating out rose as time progressed. Second, eating out expense and the percentage of eating out increased for younger age and men. Third, groups with low eating out expense rose dramatically, while those with high eating out expense increased progressively. Fourth, groups with low percentage of eating out expense rose sharply; whereas, those with high percentage of eating out expense increased progressively. Furthermore, the percentage of early eating out expense for senior populations showed higher as they are younger. However, the change of eating out expense had no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age as time fl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