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분자(Rubus coreanus) 추출물의 모발염색 특성에 관한 연구

        장인경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복분자(Rubus coreanus) 추출물의 모발염색 특성에 관한 연구 장인경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현대인들은 개성 있는 스타일과 건강한 아름다움을 추구하면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발염색이 대중화와 보편화되고 색상 또한 매우 다양화되면서 인체에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천연소재 염색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천연 염료인 복분자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의 모발 염색시 염제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복분자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최대흡수파장인 520 nm에서 흡광을 측정하여 염액속의 안토시아닌 농도를 분석하였다. 복분자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염재로 사용하여 모발 염색을 실시한 후 염색온도, 염색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매염제인 황산철, 아세트산, 명반, 황산구리를 사용하여 모발염색에 매염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여 다양한 컬러를 만들어내기 위한 표준화된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복분자 안토시아닌 색소의 추출시 저온압착법의 안토시아닌의 추출효율은 무매염시 K/S 값이 48.332로 나타나 무매염시에도 염색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무매염시 세정견뢰도는 삼푸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세정 횟수가 증가하여도 거의 일정한 K/S값을 나타내 양호한 견뢰도를 보여주었다. 모발 염색시 염색온도(20 ℃ ∼ 60 ℃)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K/S)도 증가하였고, 모발은 적색에서 자주색으로 변성되었다. 복분자는 염색온도 40 ℃, 염색시간 40분에서 염색이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모발 염색시 pH의 증가에 따라 a* value가 +(red)에서 -(green)으로 진행되거나 본래의 탈색모의 노란색에 색차계가 반응하여 알칼리 상태에서는 안토시아닌 염제의 본래의 색이 퇴색하여 적갈색, 적녹색, 황녹색을 띠게 되며 이로 인하여 모발의 염착이 불량하게 되어 염색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이는 안토시아닌 염제가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성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모발 염색시 산성경향의 매염제(황산제일철, 아세트산, 명반, 황산구리)에서 동시매염시 적색을 기본으로 녹색, 청색, 다크블루, 보라 등의 화려한 색상을 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복분자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인간의 모발에 적용 가능한 천연염모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다른 천연색소에 비해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한 매염제중 명반이나 철은 주로 직물의 매염제로 쓰여 왔으며 소량의 경우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황산구리는 주로 살균제로 쓰여 독성이 있으며, 기타의 매염제 역시 인체에 유해하여 이를 모발에 사용하는 이상 매염제에 따른 유독성 연구도 함께 진행 되어져야 할 것이다. 더 다양한 색깔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염제를 이용한 천연염색에 대한 연구가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음주효과기대와 음주행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장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 음주 행위와 관련되는 변수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음주 행위와 관련 변수들을 크게 스트레스와 음주효과기대로 구분하여 분석해보고, 스트레스와 음주행위 사이를 조절하는 변수로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척도로는 Felner와 동료들의(1988) 자기보고식 질문지 DHQ(Daily Hassles Questionnaire)를 기초로 하여 선행연구자들이 재구성한 일상생활스트레스척도를 활용하였다. 둘째, 음주효과기대척도는 Christiansen등(1989)의 알코올 기대 설문-청소년 유형 (AEQ-A)을 윤해미 등이 재구성한 음주효과기대 척도를 활용하였다. 셋째, 자기효능감 척도는 Shrer, Maddux, Mercandate, Pretice, Jacobs & Rogers(1982)가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의 개념에 입각해 제작한 척도를 홍혜영(1995)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음주행위는 음주빈도, 숙취빈도, 음주량, 폭음의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을 기초로 한 설문지에 의한 조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조사는 2003년 4월 25일부터 5월 26일까지 실시되었다. 표집방법은 지역별 분산을 고려하여 서울 지역의 고등학교 가운데 임의로 추출한 5개 학교학생을 대상으로 총 420부를 배포하였고, 391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9부를 제외하고 총 38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방법, T-검정,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음주행위를 분석해보면 성별, 학년별, 학교유형별에 따른 음주경험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최근 고등학생들의 음주경험이 특정집단에 해당되는 것이 아닌 보편화되어져 가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단. 그러나 빈도분포를 통해 살펴볼 때 학교유형 별 비교에서는 인문계 학생들에 비해 실업계 학생들이 음주행위에 있어 빈도나 양 등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술로 인한 위험 요인이 다소 높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연구대상자 중 음주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82.5%이고 음주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17.8%로 나타났다. 음주빈도의 경우 남녀의 50% 이상이 한 달에 1회 이상 음주를 하고 있고, 한 달에 1회 이상 취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전체 대상자 중 18.4%로 나타났으며, 음주량에 있어서도 한 달 간 15잔 이상의 술을 마신 학생들이 21.5%로 고등학생들의 음주행위가 점차 증가되고 있음을 파악해 볼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 음주효과기대,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해 본 결과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3.3566으로 중간점 보다 약간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각 하위영역별 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면 학업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두번째로 교사관련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 학교 환경에서의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성별 비교에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효과지대수준은 사교성 향상 요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긴장감소 요인의 음주효과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3.2935로 중간점 이상의 수준을 나타내었고 학교유형에 따른 비교에서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스트레스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학업관련 스트레스가 숙취빈도, 음주량, 폭음에, 교사관련 스트레스가 음주량과 폭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음주행위는 감소되고, 교사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음주행위는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음주효과기대와 음주행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교성과 성적 기능 향상 요인은 음주행위의 4개영역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공격성 요인은 숙취빈도, 음주량, 폭음과 정적 상관관계를, 긴장감소 요인은 음주빈도, 숙취빈도, 음주량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음주효과기대 하위요인 중 사교성 향상 부분과 성적 기능 향상과 관련된 요인이 음주행위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술을 마시기 전에 사회적 주장성을 향상시키고, 긴장 및 부적 정서를 완화시키고, 사회적·신체적인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한다고 믿는 음주효과기대가 술을 더 마시게 하고 자주 마시게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자기효능감과 음주행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효능감이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음주빈도와 숙취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ndura(1997)에 따르면 친근한 사회적 유대는 만족감을 가져오고 일상의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보다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렇게 자신의 사회적 효능감을 확신하는 청소년들은 지지적인 또래관계형성에 유능해진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사회적 효능감이 강화됨에 따라 또래관계 형성이 폭넓어지고 이로 인해 음주를 하는 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어 진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와 음주행위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분석해 보기 위해 상호작용항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효과가 음주량에 있어서만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음주량이 증가되지만 자기효능감이 이를 감소시키는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인 제언은 음주와 관련된 다양한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조기에 실시함이 중요하며, 청소년들이 잘못된 경로를 통해서 음주에 대한 지식과 기대를 형성하기 전에 조기 예방교육을 통해 술에 대해 올바른 지식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청소년들의 호기심과 그릇된 기대를 올바르게 교정해 주는 것이 음주문제를 예방하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겠다. 청소년들이 겪게 되는 스트레스 중에 학교 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볼 때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함으로써 스트레스에 대한 부적절한 대응방식으로 음주를 선택하지 않도록 예방하고, 또한 음주효과기대 중 사교성 향상 영역이 음주행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청소년 음주 문제예방에 있어 또래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스트레스와 음주기대효과 외에도 음주행위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 연구들이 지속되어져야 하겠다. 또한 스트레스와 음주행위 간에 조절작용을 할 수 있는 변인을 발견해내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귀중한 기초 자료로 활동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drinking behavior with stress, alcohol expectancy of adolescents. Drinking behavior can predicted from social-demographic variables, stress variables, alcohol expectancy variables, self-efficacy variables. This study used a number of existing measures. These included the Daily hassles Questionnaire(Felner et al., 1988), AEQ-A(Christiansen et al., 1989), self-efficacy tool(Shrer et al., 1982).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82 students who were in the high school during April 25, 2003 to may 26, 2003. The data analyzed by use of frequency, cross analysis, t-test,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drinking behavior of adolescents didn't show not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ocial-demographic variables. Bu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common high school students about alcohol frequency and quantity. Second, stress of study is the strongest among other sub-factors. And schoolgirl is higher than schoolboy about level of stress. There are the most rise in social relationship among sub-factors of alcohol expectancy. Also common high 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vocational students about self-efficacy ,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partial of stress, stress variables, alcohol expectancy variables, self-efficacy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drinking behavior of adolescents. Alcohol expectancy variables was the best predictor of drinking behavior of adolescents. Last, self-efficacy variables control relation of stress and alcohol quantity. So,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 alcohol quantity. It is intended tha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ers need to consider service for alcohol prevention program, stress management program, peer group program.

      • Eugene Bozza 「Fantaisie Pastorale for Oboe and Piano」 Op.37 연구 분석

        장인경 안동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 Fantaisie Pastorale for Oboe and Piano Op.37>, composed by Eugene Bozza. The form consists of A-B-C-D-coda after prelude, and it takes about 6 minutes for the entire performance. This piece which was composed in 1939 has the original instrumental tendency, and there are various compositional techniques in that, and the chromatic melodie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n obscure mood of romantic factor affected by impressionism is often appeared, and a traditional harmonic system gradually disappears in this work, <Fantaisie Pastorale for Oboe and Piano>. Some Mode, pentatonic scale, hexa scale, octatonic scale, and etc. appear often, and it shows consecutive and orderly progress of long and short movements. In the oboe melodies, consecutive and chromatic progress which is applied 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 is well shown, for example, the Inversion, diminition, expansion,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ts motive systematical progresses. On the other hand, the melodies of the piano moves harmonically and shows impressionistic feeling. Parallel chords, triad progress, diapente, and added tones are often used in the oboe melo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ntion of the composer, by comparing the harmonies and melodies of woodwind and piano melodies, and furthemore, the its specipic structur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at period, and its specific structure. In addition to that, these harmonies and melodies show both characteristics of impressionism and neo-classicism. Also,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of woodwind instrument used, oboe, are well designed at this work.

      • 마을 책 만들기를 통한 장소감 발달 연구

        장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 형성의 바탕을 자신이 사는 마을에 대한 장소감으로 보고 마을 책 만들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장소감 발달 과정과 양상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장소감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영역인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의 구성 요소를 마을 책 쓰기에 필요한 마을의 시간과 공간, 관계로 재구조화하고 관련 교과와 단원을 재구성하여 1차∼3차에 걸친 마을 책 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에는 장소감 발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준거를 마련 및 수합하고 Shamai(1991)의 논거에 입각하여 장소감 발달 프로그램이 지닌 효과와 의의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이 마을 책 만들기 프로그램을 통해 장소감을 체계적으로 획득하고 신장시키기 위하여 실행 프로그램을 나누어 계획하였는데 1차 실행 프로그램은 특정한 마을의 공간을 중심으로 장소정체감을 형성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으며 2차 실행 프로그램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마을 공간의 변화 인지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3차 실행 프로그램은 마을의 공간에 대한 깊이 있는 관심과 이해를 바탕으로 거주민으로서 우리 마을의 다양한 관계를 조망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수집한 마을 책을 포함한 학습 결과물과 개인별 마을 탐방 계획, 마을지도, 소감문과 관계도를 분석하였으며 수업 녹화 동영상과 온라인 의견 수합 도구 기록 내용 등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작성한 교사의 관찰 일지와 면담 자료 등도 함께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는 장소감 측정 도구를 활용한 양적 연구를 함께 함으로써 질적 연구가 지닌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마을 책 만들기 프로그램의 결과물과 장소감 측정 도구 설문의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장소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장소감 하위 영역의 발달 과정과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우리 마을의 특정한 공간을 통해 장소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간의 변화를 이해하고 자신과 마을 사람들의 관계성을 인식함으로써 좀 더 나은 우리 마을을 만들고자 하는 거주자로서의 면모와 적극적인 실천 의지를 보여주었다. 마을 책 만들기를 통한 장소감 발달을 모색하고자 한 본 실행연구는 장소감 발달을 위해 마을 책 쓰기 방법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는 앞으로 다양한 주제로 장소감 발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비교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노인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인경 대구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factors influence the elderly volunteer activity's satisfaction and to give data to help to manage elderly volunteer activity's management system effectively. For empirical analysi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had been collected from 116 elderly volunteers in welfare center located in Daegu, Kyurigsangbukdo cities through the random sampling. This study divides the following a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lderly volunteer activity's satisfaction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personal factors and volunteer activity factors,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bout management factors, work factors and relationship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elderly and volunteer activity,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elderly women were more than the elderly men and they were mostly in from the middle age of sixties to the middle age of seventies. Most of them had a religion and their academic career was, for the most part, elementary school graduate. The participation motives of volunteer activity were more self-interested than altruistic' motivated. The contents of volunteer activity were almost simple efforts and. the period of time of volunteer activity was frequent and continuous.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personal factors was analyzed.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atisfaction, satisfying a social role, meeting self-'directed needs according to the gender. The difference of the volunteer activity factors was analysed.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atisfaction, satisfying a social role, a sense of well-being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activity and a term of activity and in total satisfaction, satisfying a social role, a sense of well-being and solidar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ctivity. Third,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volunteer activity's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management factors, the work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factors was analyzed. All these factors except the rewards were related to the elderly volunteer activity's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elderly volunteer activity's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bout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job appropriateness, the recognition of the job, the relationship with peer volunteers,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the relationship with client. Fourth, the en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related to the elderly volunteer activity's satisfaction was done. The relationship with client and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otal satisfaction and meeting self-directed needs. The relationship with client,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a term of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ying a social role. The frequency of activ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cli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 sense of well-being.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the job appropriat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lidarit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at is proposed to increase the elderly volunteer activity's satisfaction are as follows: 1. promoting relationship with client 2. manag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including supervisor's role systematically 3. giving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proper elderly volunteer activity's programs For the sake of further study, some research will be needed in study on being followed by each process as subdividing the whole management process, focusing on the elderly volunteer activity's management system and client of volunteer activity and developing a measure of elderly volunteer activity's satisfaction.

      • 자립 동기화 프로그램이 위기청소년의 삶의 목적, 자립의지 및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장인경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independence with youths at risk as research target and to find out what effect the purpose of life and career maturity, which are necessary to inspire their will to become independent and to enable them to lead their life more successfully, would have on their will to become independent This research was also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and supplementation of programs that are necessary to support independence of the youths at risk. Specific research topics to achieve this kind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independence have effect on the purpose of life of the youths at risk? Second, does the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independence have effect on the will of the youths at risk to become independent? Third, does the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independence hav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the youths at risk? Fourth, what are the relationship in-between the purpose of life,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and the career maturity? To achieve this kind of research objective, we have established a theoretical found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in-between the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independence, the purpose of life,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and the career maturity through a review of preceding studies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For the target of research, we have selected 30 young persons from among juvenile offenders of S Probation Office and S Industrial High School, and have implemented the independent living program from Oct. 10, 2012 to Oct. 26, 2012 in 6 installments or for 4 hours a day during 5 weekdays per group. Will to Become Independent Scale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urpose of Life Examination, Career Maturity Measurement was carried out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answer sheets were processed using SPSS 18.0, a statistical processing progra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for the youths who participated in the motivation program to have self-confidence that they can implement what they want through the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independence and belief in their own capability, the enhanced awareness on the purpose of life in their thought played an important role. Also, although we were able to identify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the positive process which enabled them to think about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their life through the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independence, it seems that we still have to include some specific contents in the program to enable the youths at risk to establish their view of life more clearly. As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is closely related to purpose of life or its level, we have to devise concrete methods that can internalize their thoughts so that they can feel the value of their own existence and preciousness of life, discover the meaning and goal of life themselves, and lead their life proactively under their own responsibility. Strong function that the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independence has is the inspiring motive for independence. Although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crete and practical information on professional worlds and diverse technologies that can help their independence to inspire motivation, we also have to think hard on what kind of experience we are going to provide to the youths through the program in order to inspire further motivation and passion on life and how to guide them to live their life fully. Granting that it takes more than a short-term program to inspire motivation and energize their life, we nee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console their inner hurt through active utilization of such programs as individual case management and logotherapy. Furthermore, it turned out that career maturity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of the youths at risk. For the career to become mature, positive action and reasonable decision-making ability are also required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true self and professional worlds. Although it may not be easy to persuade the youths with risk factors such as lethargy, maladjustment, and juvenile delinquency to nourish an ability to prepare for their career in a short-period, it would be necessary to supplement the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independence by utilizing various career exploration programs that are designed to enhance career maturity in order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s at risk. Lastly, it also seems necessary to support the youths at risk with a long-term perspective by custom-treating their desires that were neglected in a group-treatment program through management of individual cases in subsequent processes that will follow the initial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independence.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들의 자립의지를 높여 주기 위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개발된 자립 동기화 프로그램이 위기청소년들의 삶의 목적수준과 자립의지 및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지역의 S보호관찰소 및 S전문계 고등학교의 청소년 30명을 선정하여 2012년 10월 10일부터 2012년 10월 26일까지 한 집단에 평일 5일간 매일 4시간씩 총 6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학교부적응 학생 30명을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에게 ‘자립의지’, ‘삶의 목적’, ‘진로성숙도’ 를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측정하여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삶의 목적과 진로성숙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자립의지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한 실험집단의 경우 삶의 목적 수준의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사전과 사후의 점수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자립의지의 경우에도 프로그램 실시한 실험 집단의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사전과 사후의 점수가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진로성숙도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실시한 실험집단이나 통제집단의 사전과 사후 점수가 유위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삶의 목적과 진로성숙도는 자립의지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자립 동기화 프로그램이 위기청소년의 삶의 목적수준과 자립의지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또한 자립의지 향상에 삶의 목적과 진로성숙도가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위기청소년의 자립의지를 높이기 위해 청소년들이 삶의 의미와 목표를 발견하여 인생을 책임지고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내용과 자신의 진로 선택을 위한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과 태도를 기를 수 있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다.

      • 現用 井間 記譜法의 檢證과 확대 적용을 위한 硏究

        장인경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양 음악에 오선보가 있듯이 국악에는 정간보가 있는데, 정간보는 정악, 산조, 가곡, 판소리 등 국악의 다양한 분야에서 쓰여지고 있다. 하지만 같은 장단을 두고 악보의 채보자에 따라서 혹은 음악에 따라서 다른 정간에 기보되고 있는 것과 같이 다소 불합리한 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정간보에 기보되는 한 박의 기준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지금까지는 검증방법의 부재와 박 층위 기준의 불명확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이 간과되어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정간 기보론에 관한 이보형의 이론에 입각하여 현행 정간 기보법의 문제점을 검토해보고 그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 박의 기준은 ‘한 정간은 한 박을 기보한다’ 라는 기존의 국악원 정의와는 달리 이보형의 이론에서는 한 박의 층위를 명확하게 구분 짓고, 그에 따른 박자의 층위에 따라서 정간보에 기보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것은 ‘한 정간은 한 보통박을 기보한다.’ 라고 정의함으로서 한 박 층위의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한 것이다. 여기서 보통박이란 옛 선인들이 박을 헤아리는 것을 기준으로, 이보형이 규정했다. 또한 보통박의 上 층위 박은 대박이고 下 층위 박은 소박이라 명칭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이 이보형이 제시한 보통박, 대박, 소박을 토대로 바르게 기보되지 못한 악보들을 나열해보고, 그 악보들을 새로운 악보로서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았다. 현용 정간보는 대박과 소박의 기보 방법을 따로 구분 짓지 않았는데, 대박의 기보 방법은 대강에 기보하기로 하고 정간과 구분 지어서 두 줄로 표기하였고, 소박의 기보 방법은 소안에 기보하기로 하고 점선으로 표기하여 나타내 보았다. 또한 현용 악보들이 장단의 구분을 불분명하게 기보한 것을 깨닫고 더욱 명확한 구분을 위하여 새롭게 확대 적용하여 제시해 보았다. 한편, 현용 정간보는 세로로 보는 악보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편의상 가로로 보게끔 제시하였다. 세로악보를 가로악보로 보았을 경우에 정간에 기보하는 음과 소안에 기보하는 음 등의 위치가 바뀌는데, 이것은 이보형의 이론을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이보형의 이론을 토대로 현용 정간보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필자는 정확한 정간 기보법의 정착과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하는 바램이다. Like the staff notation in western music, there is the junggan nota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junggan notation is utilized in various areas such as court music, sanjo, lieder and pansori.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there are unreasonable points such as that the same rhythm may be recorded in different junggans. This happens because the distinction of a beat to be recorded in the junggan notation is not clear. Up to now, the problem has been disregarded because there is not a method to verify and because the criterion for strata of beats is ambiguous. Accordingly, in the present thesis, we examine problems in the current junggan notation based on Bo-hyung Lee's theory about the junggan notation, and suggest alternative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efinition of a beat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aying 'a junggan records a beat', Bo-hyung Lee's theory contents that the stratum of a beat should be clearly distinctive, and rhythm should be recorded on junggan notation sheets according to the strata of beats. By saying 'a junggan records an ordinary beat', he presented a definite criterion for the stratum of a beat. Here, 'an ordinary beat' is what Bo-hyung Lee defined on the base of what the ancestors had counted as a beat. In addition, a beat in the high stratum was named a big beat (daebak) and a beat in the low stratum a small beat (sobak). As mentioned above, the thesis lists music scores that are recorded incorrectly according to the theory of ordinary beats, big beats and small beats presented by Bo-hyung Lee, and suggests modified scores as follows. The existing jeonggan notation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notation methods of big beats and small beats. But in the new method, big beats are recorded on daegang using a pair of parallel lines to distinguish from junggans, and small beats are recorded on soan in dotted lines. In addition, finding that the existing music scores record times ambiguously, we adopt a more definite distinction and apply it more widely. On the other hand, while the existing music scores are read up to down, we present scores that are read left to right for the convenience. When the vertical scores are transformed into horizontal scores, the positions of the notes in junggans and soans are changed. The changes are based on Bo-hyung Lee's theory. The thesis is for examining problems in the existing junggan notation based on Bo-hyung Lee's theory and for suggesting alternatives. The present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thesis contribute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an accurate junggan no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