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류 이리도바이러스의 재조합 캡시드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과 진단방법에 응용

        장은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어류 이리도바이러스감염증은 넓은 지역분포와 숙주범위를 가지고, 수온상승이 되는 여름에 다발하며, 감염된 고기에 전신질병을 일으켜 높은 치사율을 일으킨다. 이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과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면역원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이리도바이러스 major capsid protein (MCP) gene을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시켜 이리도바이러스감염에 대한 혈청학적 진단 뿐 만 아니라 더 나아가 예방백신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먼저 재조합 단백질 제작을 위해 대장균 발현 system을 이용하여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Temminck & Schlegel) iridovirus (RBIV)의 MCP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이를 발현시켜 보았다. 단백질 발현 후 순수분리를 통해 준비된 rMCP는 이리도바이러스에 감염된 돌돔 혈중 항체와 반응함으로써 rMCP가 이리도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혈청학적 진단의 항원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rMCP에 chitosan을 adjuvant로 사용하여 vaccine formulation을 준비하고, 돌돔 치어에 접종하여 이리도바이러스 자연감염에 대한 방어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adjuvant의 유무 및 접종 경로와는 무관하게 rMCP를 치어에 투여하는 것은 이리도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rMCP가 백신접종에 이용될 수 있는 매우 좋은 항원부위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rMCP는 이리도바이러스 백신개발에 중요한 대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직업만족도에 따른 취업모의 모-자 상호작용 특성 비교 연구

        장은진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her-child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employed mothers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Mothers who have a job and children without any medical diagnosis were participated from July, 2013 to September, 2013. The subjects were recruited through the Welfare center in A city, Counseling Center for Children and Family in B cty, Play Therapy Center in C city, Child Care Center in D city, University Play and Language Therapy Center in E city, and Counseling Center for Children and Adolescent in F city and selected 22 pairs of mother-child dyad who scored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11 pairs) and low level of job satisfaction(11 pair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s in mother-child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employed mothers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in free play situation?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in mother-child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employed mothers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in structured play situation? According to this questions, the videotaped free play situations and structured situations were assessed with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MBRS) and Child Behavior Rating Scale(CBR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mother-child interac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the assessed data were analysed with One-way ANOVA test by SPSS 20.0 ver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free play situation, employed mothers who scored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showed high score in response behavior in interaction rather than mothers who scored low level of job satisfaction. Second, in structured play situation, employed mothers who scored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showed high score in response behavior in interaction rather than mothers who scored low level of job satisfaction. This results could have a limitation, because of the lack of sample amount and ignorance of rest factors which could affect the interaction. Nevertheless,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mother-child interaction were verifi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e data on construction of mother-child interaction program for family with employed mothers,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employed mother,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children of employed mothers. 직업만족도에 따른 취업모의 모-자 상호작용 특성 비교 연구 본 연구는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모-자 상호작용 특성을 알 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2013년 7월부터 2013년 9월까지 A광역 시에 소재한 장애인복지관, B광역시에 소재한 아동가족상담센터, C광역시에 소재한 놀이치료실,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E시에 소재한 대학교 부설 놀이치료실과 언어치 료실, F시에 소재한 아동청소년상담센터를 통해 모집된 직장을 다니는 어머니와 장애 진단을 받지 않은 학령전기 아동 중 직업만족도 상에 속하는 모-자 11쌍, 직업만족도 하에 속하는 모-자 11쌍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직업만족도 수준에 따라 자유로운 놀이상황에서 취업모 모-자의 상호작용 반응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직업만족도 수준에 따라 구조화된 놀이 상황에서 취업모 모-자의 상호작용 반응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연구방법은 자유놀이상황과 구조화된 놀이상황을 녹화한 비디오를 어머니 행동평가 척도(K-MBRS)와 아동 행동평가 척도(K-CBRS)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분석한 자 료는 SPS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직업만족도에 따라 모-자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 아보기 위해서 One-way ANOVA 검증을 활용하여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놀이 상황에서 직업만족도가 높은 취업모의 모-자가 직업만족도가 낮은 취업모의 모-자의 비해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 반응 행동을 나타내었다. 둘째, 구조화놀이 상황에서 직업만족도가 높은 취업모의 모-자가 직업만족도가 낮 은 취업모의 모-자의 비해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 반응 행동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표집수가 많지 않은 점과 모-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타 변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지만, 취업모의 직업만족도가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 향을 보여줌으로써 이후 취업모 가정의 모-자 상호작용 프로그램 구성, 취업모 상담 및 교육, 취업모 자녀의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생활체육참여 청각장애인을 위한 건강증진행동에 관한 연구: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장은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were two aims to this study. First,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odemographic preconditions of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how it affects their predisposition to Sports for All Initiative (SAI), introspectively set standards, cognitive discipline, commitment to continued participation in SAI, and health-seeking behaviors.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ve relationships of planned behaviors and health-seeking behaviors. The test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recruited nationwide from community centers and recreation centers for the handicapped, and a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was applied with a set quota of 300 to constrict the sampling to only the hearing-impaired. Among the 300 subjects, two datasets were dismissed due to inconsistencies hence a total of 298 datasets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a SPSS 22.0 program with an independent two-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of variance for statistical validation,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from this work were summarized as below: One, based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income, disability occurrence, disability classification), partial differences in planned behaviors, commitment to continued SAI participation, and health-seeking behaviors were observed. Specifically, planned behaviors were dependent on age, income, and disability classification; commitment to continued SAI participation was dependent on gender, age, income, and disability classification; and health-seeking behaviors were dependent on gender, income, and disability classification. Two, planned behaviors of the hearing-impaired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individual’s commitment to continued SAI participation. To elaborate, predisposition to SAI, introspectively set standards, and cognitive discipline, which are all considered categories of planned behaviors, were reveal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ndividual’s commitment to continued SAI participation. Three, planned behaviors of the hearing-impaired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individual’s health-seeking behaviors. To elaborate, introspectively set standards which was considered a planned behavior had shown to positively impact general well-being and public/private social activities, which were both considered health-seeking behaviors. Cognitive discipline as a planned behavior also showed positive impact on general well-being and public/private social activities. However, predisposition to SAI, which was also considered a category of planned behavior,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to any of the health-seeking behaviors. Four, an individual’s commitment to continued SAI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health-seeking behaviors. To elaborate, the commitment to continued SAI participation had positive impact on all subcategories of health-seeking behaviors including health improving activities, general lifetime, and public/private soci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reported herewith have implications in establishing a fundamental basis on understanding and promoting health-seeking behaviors for the hearing-impaired, and the presented work will further corroborate as reference to future work on enabling the hearing-impaired in SAI. 이 연구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청각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 운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 운동지속의도, 건강증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청각장애인의 참여 운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 운동지속의도, 건강증진행동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의 각 장애인복지관과 스포츠시설에 등록된 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특히 청각장애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비율적 유층표집을 통해 청각장애인 총 300명의 청각장애인을 할당표집 하였다. 이 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된 2부를 제외하고 최종 29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wo-sample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자료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변인으로 설정한 개인배경 변인(성별, 연령, 소득, 장애발생, 장애등급)에 따라 계획행동변수, 운동지속의도, 건강증진행동에는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획행동변수는 연령, 소득, 장애등급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운동지속의도는 성별, 연령, 소득, 장애등급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건강증진행동은 성별, 소득, 장애등급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변수가 운동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획행동변수의 모든 하위요인인 운동 태도와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이 운동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변수가 건강증진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획행동변수의 하위요인인 주관적 규범은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건강관리와 대내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행동변수의 모든 하위요인인 지각된 통제력은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건강증진 활동과 건강관리, 대내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획행동변수의 하위요인인 운동 태도는 건강증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각장애인의 운동지속의도가 건강증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동지속의도가 건강증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인 건강증진 활동과 건강관리, 대내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을 유발하고, 청각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을 강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국내 원/달러 환율의 변동요인 분석 : 팬데믹 불확실성(pandemic uncertainty)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장은진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nalyz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volatility of won/dollar exchange rate, focusing on the pandemic uncertainty caused by COVID-19.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certain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volatility of domestic exchange rate. In addition to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 the domestic exchange rate including money stock in Korea and the USA, interest rate differential between Korea and the USA and stock price, this paper adds the “news” factors, comprising unanticipated change or new information, and the decisive factors from microeconomic approach as the COVID-19 factors. The main COVID-19 factors are the daily number of infections of COVID-19 in Korea and Infectious Disease Equity Market Volatility Tracker(EMV). The supplementary factors are CDS premium (5-year) and Volatility Index(VIX). The subject of empirical analysis of this paper is the won/dollar exchange market.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1, 2018 to September 30, 2020 using daily data, and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daily number of infections of COVID-19 in Korea, CDS premium and VIX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idering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EMV and VIX, multicollinearity undermin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EMV variable. When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excluding the VIX variable, EMV is a statistically variable. Every independent variabl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the volume of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The plus/minus sign of the coefficient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is sam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except for the long-term interest rate differential between Korea and USA. It is caused by the high demand of US treasury after the COVID-19 outbreak because of a flight to quality. In conclusion, it turns out that COVID-19 as an unanticipated new information has influence on the change of exchange rate. 본 연구는 원/달러 환율의 변동요인을 팬데믹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국과 미국의 통화량, 장단기 금리차, 경상수지 및 자본수지, 주가 변동성 등의 다양한 거시경제 기초변수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환율결정이론을 보완한 두 가지 접근법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기초 경제변수들과 관련하여 예상하지 못한 움직임(뉴스, 불확실성)의 역할을 변수로 추가한 뉴스 모형의 측면과, 외환거래량 등을 설명변수로 추가한 미시적 접근의 측면에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환율결정모형을 분석한 대부분의 연구가 월별 원/달러 환율을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일일환율 대상으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외환거래량을 통화량을 대신하여 기존 환율결정모형을 구성한 후 코로나 변수를 추가하였다. 첫 번째 코로나 변수는 존슨홉킨스 대학 CSSE(Center for Systems Science and Engineering)에서 발표하는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진자 수이다. 두 번째 코로나 변수는 2020년 3월 개발된 전염병의 금융시장 변동성 유발지수로 Scott R. Baker, Nicholas Bloom, Steven J. Davis, Kyle J. Kost, Marco C. Sammon, and Tasaneeya Viratyosin 등이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금융시장 변동성 유발지수를 발전시켜 1900년 이후 감염병 창궐에 관한 뉴스가 미국 증권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 만든 지수이다. 이에 더하여 코로나 보조변수로 VIX 지수 및 한국 CDS 프리미엄을 추가하였다.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최근 1년(2019. 10. 1∼2020. 9. 30), 이전 1년(2018. 10. 1∼2019. 9. 30)과 전체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이 국내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 변수 4가지 중 국내 코로나 확진자 수, VIX 지수, CDS 프리미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왔다. 전염병의 금융시장 변동성 유발지수는 회귀모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으나, VIX 지수와의 높은 상관관계를 고려할 때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의심되어 전염병의 금융시장 변동성 유발지수와 환율변동률 간의 추가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 결과 동 변수의 계수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형 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기존모형에서도 외환거래량을 제외한 나머지 거시경제 설명변수의 계수값이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한-미 장기금리차를 제외하고 기간별, 모형별 각 설명변수의 계수값 부호가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미 장기금리차는 코로나 이전과 이후에 부호의 방향이 달라진 것은 코로나 발생 이후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확산되어 미 국채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부호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추론하였다.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을 위한 학교기반 다양식적 개입의 효과

        장은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학교장면에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을 보이는 준임상(sub-clinical)집단 아동들의 주요증상(부주의, 충동성 및 과잉행동) 및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기술 및 행동(사회적 문제해결력, 사회기술, 분노조절능력,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학업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아동 개입 프로그램과 교사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예비연구에서는 교사훈련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프로그램 실시 및 운영과정에 대한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50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요구도를 조사하였고, 심리학 분야의 관련 전문가를 통하여 아동 프로그램과 교사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연구에서는 부모의 면담과 교사의 평가에 의해 학교에서 선발된 47명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동이 직접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단독 개입집단(12명), 교사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이 아동에게 개입한 교사단독 개입집단(12명), 아동과 교사 프로그램의 개입을 동시에 받은 다양식적 개입집단(12명), 개입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비교집단(11명)으로 나누어서 각 집단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들을 비교하였다. 아동 프로그램은 Braswell과 Bloomquist(1991)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라 함)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Kendall, Padever와 Zupan(1980)의 "Stop and Think", Shure(1992)의 "I Can Problem Solve" 등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구성내용은 인지 행동적인 개입에 사회적 문제해결력, 사회기술, 분노조절, 자아존중감 증진 등의 다요인(multi-component)을 포함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시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훈련 프로그램은 Braswell과 Bloomquist(1991)가 실시한 ADHD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방법의 학교기반 개입을 중심으로 Bloomquist(1996)의 "Skills Training for Children with Behavior Disorders"를 참고하여 학교장면에서 교사가 아동에게 인지행동적 개입에 환경관리, 교수전략 등의 개입을 함께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아동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1회기에 걸쳐서 실시되었고, 교사훈련 프로그램은 주 1회씩 총 7회기에 걸쳐서 모두 6주 동안 시행되었다. 효과검증을 위해서 연속수행검사인 주의력장애 진단 시스템, 아동, 부모, 교사용 자기보고형 설문지, 행동관찰 등의 종속측정치들에 대한 평가를 사전, 사후, 추후(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 걸쳐 실시하여 집단별 평가시기에 따른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자료는 4(집단간) 3(평가시기)의 Split-Plot Design을 통해 분석하여 집단별로 개입효과와 개입효과의 지속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개입 프로그램의 효과는 평가자들과 종속측정치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약간씩 다르나 한 가지 개입이라도 받은 집단의 아동들이 비교집단에 비해서는 주요증상이나 문제행동의 감소를 보였다. 바람직한 기술 및 행동에서는 개입 전에 비해 아동단독 개입집단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교사단독 개입집단에서는 사회기술과 자기통제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입집단들 간의 비교에서는 아동과 교사개입을 병합한 다양식적 개입집단이 단독 개입집단에 비해서 주요증상이나 문제행동의 감소를 보이고 그 효과도 지속되었다. 바람직한 기술 및 행동에서도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수행능력이 유의하게 증가되고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노조절 능력, 사회기술,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도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크고 지속되었다. 따라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에게 한 가지 개입보다는 복합적인 다양식적 개입을 실시하는 것이 주요증상과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바람직한 기술 및 행동도 더욱 증진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훈련 프로그램이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에 대한 교사의 사고와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교사효능감도 증진되었다. 개입효과의 지속성 면에서는 전반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프로그램 실시 후와 추후에 개입효과가 있으나, 개입 직후에 비해 추후에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저하되어서 전체 개입회기를 늘리거나 프로그램 종료 후 정기적인 보충 개입을 실시하는 등 치료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이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이 아닌 고위험 요인을 지닌 준임상집단의 아동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은 물론, 아동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아동과 교사를 동시에 고려한 학교기반의 다양식적 개입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이 모두 병원이나 임상장면의 개입을 받을 수 없는 현실과 학령기 아동에게 가장 중요한 사회맥락인 학교기반의 개입을 실시함으로써 개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일반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닌다. 또한, 향후 발달과정에서 아동의 문제가 심화되는 것을 줄이거나 예방할 수 있고, 아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효능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잠재적인 효과도 고려할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Multimodal Intervention for the children who show the tendenc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in school setting. The multimodal intervention that provides both child intervention progra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is designed to reduce the primary symptoms and behavior problems, to enhance appropriate skills and behaviors of the sub-clinical group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tendency. In the preliminary study, 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o check the necessity of teacher training. And the teacher-training program was built and managed based on this survey result. Qualified Psychologists of related fields validated the contents of this child program and teacher-training program. In the main study, 47 stud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who were selected by parents and teachers, were assigned into 4 different groups: the first group (child intervention only) consisted of 12 children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child intervention program, the second group (teacher intervention only) consisted of 12 children who were intervened by teachers train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third group (multimodal intervention) consisted of 12 children who not only participated in child intervention program but also were intervened by teachers train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he last group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11 children who were waiting to be intervened.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was compared by group and assessment time. The child intervention program carried out for this study was designed based on cognitive-behavior therapy for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children by Braswell and Bloomiquist (1991), integrating multi-components like social problem solving, self-esteem, anger control ability, and so forth. The core concept of teacher-training program was the school-based intervention of cognitive-behavior therapy for ADHD children by Braswell and Bloomiquist (1991) and the effective teaching instruction strategy and environment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were also included. The child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total 11 sessions), and teacher-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total 7 sessions) for 6 weeks. The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DHD Diagnostic Syste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or children/parents/teachers and behavior observation were used to evaluate primary symptoms/behavior problems and appropriate skills/behaviors. Pre-assessment and post-assessment were administered, and follow-up assessment was carried out 4 weeks after the program finished, so that comparison could be made by time perio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split-plot design in two factors, 4(by group) x 3(by assessment time)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maintenance of the intervention depending o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hild intervention group and teacher training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effects in primary symptoms/behavior problems and appropriate skills/behaviors than the comparison group, although the efficacy of intervention programs might slightly differ according to evaluators and dependent measures. Moreover, the results compared among intervention groups showed that the children in multimodal intervention group (combined child intervention with teacher intervention) were more likely to make positive progress than the children in single intervention groups. The primary symptoms and behavior problem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appropriate skills and behaviors were enhanced. That is, the multimodal intervention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and maintenance after the programs. Also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er-training program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Attention-Deficit Hyperactive children more positively and teacher's efficacy had been improved.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hat the school-based multimodal intervention was carried out for the sub-clinical group (high risk group) of children who show the tendenc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To prove the efficacy of multimodal intervention, the study provided the child intervention program as well as teacher-training program to train teachers in school setting. Considering Korean society where attention deficit-hyperactive children can not get intervention easily either from hospital or from clinical setting, it is very important to carry out school-based multimodal intervention with both children and teacher so that the efficacy of intervention can be optimized and generalized for the children of school age. This study suggests another meaningful fact that school-based multimodal intervention can prevent and reduce children's future behavior problems.

      • OSI 7-layer 기반 네트워크 프로토콜 학습 시뮬레이터 생성기 설계

        장은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 사회의 빠른 변화와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활용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패러다임은 정보화시대의 핵심인 컴퓨터 네트워크 학습에도 적용되고 있다. 네트워크 이론은 추상적이고 개념적이기 때문에, 전달식 교수학습으로는 동작 원리의 설명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학습 의욕과 성취를 높이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동작과정을 시뮬레이션 형태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네트워크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터들은 네트워크 이론의 일부분만을 학습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데이터 통신의 총체적인 학습이 어렵다. 또한, 기존 시스템들은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네트워크 이론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점을 보완하여 OSI 참조모델의 7-layer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학습이 이루어지는 학습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터 생성기를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이론의 통학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 이론의 중요한 개념을 학습하고, 학습자에게 필요한 프로토콜을 학습 시뮬레이터에 추가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학습내용 확장이 용이하도록 한다. Caused by rapid change of present society and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the education using computer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and its ranges of application have been gradually extended. These educational paradigms are even applied to computer network learning which is the core of information age. As network theory is abstract and conceptual, it is not easy to explain working principle with a lecture method of teac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working process of network with simulation forms to improve learners' desire and achievement. Because the existing simulators for the developed network learning, however, are made to learn a part of network theory, it is difficult to learn whole learning of data communication. Also the existing systems don't aggressively reflect radically developed network theories. This essay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suggests learning simulator and simulator generator which the network learning is accomplished based on the 7-Layer of OSI Reference Model. This system should seize the whole flow of da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es and integrative learning of network theories. Moreover it should help learners to learn the important concept of network theories and makes the expansion of learning content of system easy forcing the protocol needed to learners to supplement learning simulator.

      • 부산지역 전통복식문화의 문화콘텐츠화와 활용방안

        장은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nsiders how to utilize cultural contents concerned with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Busan area. Busan, featured as a tourist city, holds a variety of festivals all season, many of which treasure the traces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n that sense, it may be significant to study its costume culture permeated in the festivals. Also, cultural art contents have been being developed so rapidly in the area as an international visual entertainment town. Based on it, this study, focused on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Busan where traditional and modern industries co-exist, intends to suggest how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with traditional and modern meanings blended in them. The cases of festival costumes for these festivals are covered in this research: Joseon Envoys Festival commemorating envoys to Japan for about 200 years in the age of Joseon, Dongnae Castle History Festival telling about a historical fact of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and Queen Consort Huh's Bride Parade Festival depicting the encounter between King Suro, Founder of Gaya Kingdom, and his queen consort. In addition, background research of traditional costumes reproduced in the festivals, improvements in the process of the reproduction, functions and roles of the costumes are looked into. Among the various factors building the festivals, a content of costume works as important as it plays so visual a part that it functions as a measure to judge a completion of the related festival. Joseon Envoys Festival and Dongnae Castle History Festival, which are currently hold, have a more-than-10-year-old history, respectively, so that a number of folks ar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festivals to hold a seat as a successful one utilizing historical cultural heritages. As the carnivals were designed as the ones in which the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to experience the events on the basis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Busan-oriented distinct characteristics, not led one side only by the government, positive responses and supports may have been derived from the residents. Besides,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traditional costume culture displayed at exhibition space such as a museum or art gallery to suggest about corrective measures for the costume experiencing content. Finally, the results from studying how to utilize the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Busan area for cultural contents are put in order as below. Firstly, a local festival with a story of costume culture alive should be developed. Secondly, costume heritages verified with the existing procedures of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should be transformed from contents for simple exhibition to ones for realistic experience using state-of-the-art technologies.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may cause the expected contents to be developed: a virtual fitting service with modern CT technologies, games and animations on augmented reality using historical cultural heritages, costumes restored on hologram, etc. Thirdl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costume culture heritages for UNESCO World Heritage to let the world know the excellence of them and let the local community be proud of them. Both of Joseon Envoys Festival and Queen Consort Huh's Bride Parade Festival case-studied in this paper are targeted at the designation on UNESCO World Heritage List. However, more important is to not stop considering how to maintain and preserve their values although it is significant that they shall be recognized for their excellence. Finally, to develop contents for traditional costume culture, it is proposed that a costume museum be constructed as a extended concept of the space available to display the collection of the costumes restored for the festivals. The museum is proposed as a type of a traditional costume museum including a movie costume museum as subsidiary. It is believed that it is feasible to construct the costume museum if cultural art infrastructure in Busan can be connected to the movie costume museum using the uniqueness of Centum City growing as a film contents town. To develop key contents to fill the space, the festivals should tell their own vivid stories said above. Also the contents must be of origin only in Busan as a marine culture city, not sourced anywhere else. Developing contents of live storytelling may be possible with the transformation into Busan‘s own cultural contents, if performance contents grown up from original sources contained in a variety of arts such as literature, dance, music, fine art, etc. may be grafted onto carnival costume styles. As for Dongnae Outdoor Mask Dance or Fishery Communities Carnival, its creative and aesthetic design for festival costumes may be suggested if backed up by background research and data. Detailed studies of festival costumes not covered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followed up in its next assignment. This paper may be significant in the view points of suggesting what to be improved for traditional costume culture contents including carnival costumes and then studying how to use the contents to result in a new type of contents, not to let them stay at simple restoration or formal recurrence. The author‘s wish is that Busan costume culture would help the world know the local culture heritage and its excellence and become one of the cultural art contents representing Korea. 이 연구는 부산지역 전통복식문화의 문화콘텐츠화 활용방안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부산지역은 관광도시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다양한 축제가 일년 사계절 열리는 곳이며 전통문화유산이 축제의 형태로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축제를 통한 복식문화의 연구가 의미가 있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국제영상산업도시로서 문화예술콘텐츠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과 현대적 산업이 공존하는 지역의 전통복식문화 연구를 통해 전통과 현대적 의미가 융합된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200여년 동안 한일 외교의 중요한 역할을 했던 조선통신사축제와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한 동래읍성역사축제, 가야국의 시조인 허왕후와 김수로왕의 만남을 소재로 하고 있는 허왕후신행길축제를 대상으로 축제 복식의 사례를 연구했으며 축제 속에서 재현되는 전통복식의 고증부분과 재현과정의 개선점, 축제 복식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축제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 중 복식 콘텐츠는 시각적인 부분이므로 축제를 구성하는 콘텐츠 중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축제의 완성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현재 부산에서 시행되고 있는 조선통신사와 동래읍성역사축제는 각각 1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전통축제로 대중들의 관심을 받으며 역사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성공적인 축제로 자리잡고 있다. 이런 시민들의 긍정적인 반응과 호응을 끌어낼 수 있었던 것은 관주도의 일방적인 축제가 아니라 지역적 특수성에 대한 지역민들의 이해를 바탕으로 체험이 가능한 참여형 축제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전시공간을 통한 전통복식문화의 전시 콘텐츠화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복식체험 콘텐츠의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산지역의 전통복식문화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 번째, 복식문화의 스토리가 살아있는 지역축제를 개발해야 한다. 두 번째로는 기존의 복원과 보존의 절차를 거친 복식유산을 단순한 전시콘텐츠에서 체험과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실감형 체험 콘텐츠로 만들어야 한다. 현대의 CT기술을 활용해서 가상피팅 체험서비스나 4D 상영관, 증강현실을 이용한 역사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게임과 애니메이션, 홀로그램을 활용한 복식재현 등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를 개발해야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 복식문화유산의 우수성을 세계로 알리고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서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례연구한 조선통신사축제와 허왕후신행길축제 모두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우수성을 인정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등재 이후에도 그 가치를 유지하고 보존하는 방법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통복식문화를 콘텐츠화시키는 방안으로는 축제의상으로 재현된 의상을 모두 모아서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의 확대 개념으로 복식전문 박물관 건립을 제안하고 있다. 복식전문 박물관 중에서도 전통복식 박물관과 그 하위 개념으로 영화의상 박물관을 제안하고 있는데 영상콘텐츠 특화지역으로 성장하고 있는 센텀 지역의 특수성을 이용한 영화의상박물관과 부산의 문화예술인프라를 연계하면 복식전문박물관의 건립이 실현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이 공간을 채워넣을 핵심 콘텐츠 생산을 위해서 앞서 말한 스토리가 살아있는 특성있는 축제를 만들어야 하며 전국 어디서나 다 볼 수 있는 축제가 아닌 해양문화도시 부산에서만 가능한 콘텐츠여야 한다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이 살아있는 콘텐츠 개발은 허왕후신행길 축제나 팔관회 축제처럼 역사성과 독창성을 바탕으로 문학, 무용, 음악, 미술 등 각종 예술 속에 담겨있는 원형소스를 발전시켜 공연 콘텐츠를 축제복식과 접목시키는 시도를 한다면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로서 변신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동래야류나 어방축제 같은 경우는 고증과 자료연구를 통해 충분히 창의적이고 심미적인 축제복식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다른 축제복식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는 후속연구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본 논문은 축제의상을 포함한 전통복식문화 콘텐츠의 개선점을 제시하고 전통복식의 단순한 복원이나 형식적인 재현에 그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콘텐츠로 탄생시키는 결과물이 되도록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앞으로 부산의 복식문화가 지역의 문화유산과 우수성을 더 많이 알리고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콘텐츠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자율주행 자동차의 영상처리 오류에 관한 수정 모델 구현

        장은진 한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대내외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람의 조작 없이 자동차를 주행할 수 있다는 획기적인 패러다임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었고, 국내외 굴지의 기업에서 적극적인 연구를 진행함에 따라 실제 사용이 가능한 단계로까지 발전하였으며, 많은 학자들은 자율주행의 시대가 머지않은 것으로 낙관적인 미래를 예견하였다. 하지만, 최근 2년간의 자율주행 자동차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2016년 구글 자동차의 접촉 사고를 시작으로, 같은 해 5월 테슬라 자동차 사고로 운전자가 사망하는 첫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또한, 최근 2018년 3월 우버 자동차 사고로 보행자가 사망하고, 테슬라 자동차 사고로 운전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게 되면서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성에 대한 여론의 관심도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사망사건이 발생한 사고의 원인은 모두 ‘인식오류’로 파악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첫 사망사건으로 기록된 테슬라 자동차 사고에서는 밝게 빛나는 빛으로 인해 상대편 트레일러의 하얀색 면을 인식하지 못해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았다. 우버 자동차의 경우 저녁시간에 주변이 어두운 상태에서 1.5초의 시간동안 보행자를 파악하지 못하였고, 테슬라 자동차의 경우 오후시간에 태양의 역광으로 주변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한 것이 그 원인이었다. 이에 본 논문은 자율주행자동차 기술을 연구하는 대표기업인 테슬라 자동차와 구글 자동차의 사고 사례를 비교 연구하여 사고와 직결될 수 있는 영상처리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