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음악과 교수역량 교과목 연구

        장은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2

        21세기에 들어서 경제적 성장과 함께 문화예술의 향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제정하고 다양한 경로로 문화예술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는 문화예술지원정책의 하나로서 2012년에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내용과 변천을 살펴보고 그중의 한 분야인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수역량 교과목을 고찰하고자 한다. 교수역량 교과목은 예술가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가로서의 자질을 육성하는 것과 학교 및 사회전반의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할 교육가의 역량을 기르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음악과 교수역량 교과목을 살펴볼 때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실질적으로 유용한 내용의 교과목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기에 이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21st century, as the nation-wide interests in the enjoyment of arts and culture have increased,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Act and implemented the policies on arts and culture in various ways. The Arts and Culture Educator System is one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olicies, which started in 2012 and still working.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and chronological change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or system. Also, teaching competency curriculum of music in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will be focused. The curriculum of cultural arts educator System should be focused on raising capacity and quality of educators, so that they can take charg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schools and societies as a whole. Teaching competency curriculum aims at equipping the trainees as artists and educators. This paper will examine Teaching Competency Curriculum of Music in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for the purpose of finding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 KCI등재

        초등학교 방과 후 특기적성 음악수업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장은언 한국음악교육학회 2010 음악교육연구 Vol.38 No.-

        방과 후 특기적성 음악 수업을 위해 본 연구는 두 가지 새로운 프로그램으로서 ‘음악과 친하기’와 ‘명곡과 친하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첫 번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음악적 기능을 학습하기에 앞서 음악의 기본요소인 소리의 원리ㆍ리듬 익히기와 악기의 이해 등을 학습하는 과정이며 두 번째 프로그램은 학교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과서의 감상 제재곡과 이해영역의 내용을 심화시킨 감상수업이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과 방과 후 학교 음악수업의 내용상의 연계를 도모한 프로그램으로서 방과 후 음악수업에 적합한 통일된 커리큘럼을 제시하여 방과 후 특기적성 음악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음악대학의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교과목 현황 연구

        장은언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is article aims at informing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music college and to improve and supplement professional training. There are three kinds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a in music colleges in Korea. The curricula are composed of a curriculum for teacher certification, a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and career-linked education courses. There are two types of career education courses. The career development-related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is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of all students, on one hand, On the other hand, the faculties of Music College have their own program for music studen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career-linked curricula and courses offered by music colleges. In doing so, the current situation of professional commitment for music students will be shown. To this end, 17 major music universities in Seoul and provincial areas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 addition to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all students, the opening of career courses such as <Art Management>, <Performance Planning>, <Music and Jobs>, and <Start-up Seminar> for music majors is increasing. However, career courses with various titles opened by music universities overlap or deal with many contents, so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courses specialized for each major. 현재 우리나라 음악대학은 졸업 후 진로를 위해 연주자로서의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교직이수과정,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진로교육과정 등을 시행하고 있다. 그 중 진로교육과정은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전공 교과목의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본 논문은 음악대학의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교과목의 개설 현황 및 내용을 분석하여 음악전공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현주소를 진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지방의 주요 음악대학 17곳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체 학생 대상 진로교육 프로그램 외에 음악전공생을 위한 <예술경영>, <공연기획>, <음악과 직업>, <창업세미나>과 같은 진로교과목 개설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음악대학이 개설하고 있는 다양한 제목의 진로교과목들은 교육내용이 중복되거나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어 전공별 진로에 특화된 교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자폐성 장애학생을 포함한 초등학교 통합음악수업 프로그램 연구

        장은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7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music class program for inclusive music eduation, includi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uggested music class program reflects the analysis of the inclusive music eduation, and consiss of two categories. One is “music apprecation education,” and the other is “bridging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s with to compose music.” The music class program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utistic children,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e theori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in music edua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meaningful music class throughout the suggested music class program, not only for th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ut also ordiary students who are not good at music class.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음악수업 프로그램을 위한 예시로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두 개의 음악수업 지도안은 통합학급 음악수업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반영하여 감상활동, 악기연주와 음악 만들기를 연계하여 구성하였다. 음악수업 지도안의 내용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음악적 특성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 교수 적합화 이론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통합학급 음악수업 지도방법의 개발을 통해 장애학생 뿐 아니라 일반 학생들, 특히 음악을 어려워하는 일반학생들에게도 유의미한 음악학습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음악수업 프로그램 연구

        장은언 한국음악교육학회 2013 음악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해당하는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구체적인 수업지도안을 통해 음악수업 프로그램을 계발하는 것이다.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다섯 가지지도내용 중에서 ‘생활 속에서 음악을 활용하기’와 ‘학교내외의 음악행사에 참여하기’ 두 가지 영역을 선정하여 어린이들이 실제 생활 속에서 접하는 세 가지 유형의 음악을 소재로음악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 내외의 음악행사에 참여하는 것으로서 음악회참관을 주제로 하여 사전준비와 음악회 참관 및 참관 후의 활동내용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음악수업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새로운 아이디어와 지도상의 교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합창부의 활성화를 위한 합창수업 프로그램 개발

        장은언 한국음악교육학회 2015 음악교육연구 Vol.44 No.2

        합창활동의 음악적,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학교음악교육에서 합창활동이 축소되는 교육현실을 바라볼 때 합창활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음악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24차시 합창수업 프로그램을개발하는 것이다. 교육과정과 음악 교과서의 합창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 초등학교 합창활동의 현황을 진단한 후 실제 초등학교 교실합창과 합창부 활동을 조사·분석한 연구가 제시한 문제점을 새로운 합창 프로그램에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단계별 합창지도의 순서에 따라 주제별로 6 단계로 나누어진 프로그램은 듣는 훈련을 통해 합창과 친해지기, 신체표현을 겸한 발성, 교과서제재곡을 다양한 방법으로 합창하기, 생활 속 음악을 이용한 합창 레퍼토리 확장, 합창 발표회순으로 구성하였다.

      • KCI등재

        독일 루르지방의 기악교육 장려 프로젝트의 학문적·교육적 의미

        장은언 한국음악교육학회 2008 음악교육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2003년 8월부터 2008년 3월 현재까지 독일의 루르 공업지역의 초등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든 어린이에게 한 가지 악기(Jedem Kind ein Instrument)’라는 음악장려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그 음악교육적 효과와 학문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와 유사하게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의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음악관련 과목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프로젝트 수업이 갖는 음악교육적 의미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방과 후 특기적성 음악수업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장은언 한국음악교육학회 2011 음악교육연구 Vol.40 No.3

        본 논문은 초등학교 방과 후 특기적성 음악수업을 위한 프로그램을 위해 구체화 된 학습지도안과 수업계획표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는 음악의 생활화를, 지도교사에게는 체계화된 수업지원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음악적 활동과 기본적인 음악원리를 학습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생활 속에서 친숙하게 그리고 자주 접할 수 있는 악곡중심으로 구성된 감상수업 프로그램 개발이 주 내용을 이룬다. 논문이 제시한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한 학습지도안을 통해 학생들은 보다 다양한 음악활동과 기본적인 음악원리를 놀이를 통해 익힐 수 있으며 교사는 보다 창의적인 수업모형을 접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비교연구-독일과 우리나라의 교육제도 비교

        장은언 ( Eunun Cha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2 음악교수법연구 Vol.9 No.-

        본 연구는 독일과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방과후학교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체계와 수업내용 및 운영방식을 비교 분석한 후 보완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럽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정착된 독일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예를 통해 우리의 현실에 적용가능한 점을 모색하며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을 통해 전체 음악교육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방과후학교의 교육 시스템은 현재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시행되고 있으나 문화, 예술교육을 중점으로 한 초창기의 특기적성 교육의 취지에서 벗어나 점차 교과교육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본래의 취지인 문화예술 교육의 활성화를 꾀하는 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In 21st century not only the lifestyle has been changed rapidly, but also the changed lifestyle has influenced the pattern of student’s life. In many cases both the parents are working, and the number of single mother or single father has increased. In these particular setting of life, schools need to perform a new task to take care of students and a new function of managing their extra time. The after-school programs are mostly based on the original purpose on supplementary lessons, as if they are of the extra credits. Those lessons are mainly in art, music and sports. However, those kinds of after-school programs are rarely opened. In fact, the regular curriculum does not make a room for extra credits. For example, English, mathematics, and natural science take after school program session. Against appropriating the after school program session for the so-called main lessons, this essay will introduce the new method of music education for the after-school program. The new music education for after-school program requires the change of mind concerning “music education,” and is followed by the developmental method of music education in after-school program. The ultimate goal of music lessons is not to gain a technical improvement in playing of musical instruments, but to give pleasure to the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music. Theearly experience of musical activity enables students to have their musical and cultural life seriously as well as constant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