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계학습 기법에 의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의 자동채점 시스템

        장은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현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경우 고등학교 2학년 국어, 수학, 영어 과목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서답형 답안을 채점하는 데에 약 4,000명의 인력과 14억 원의 비용이 발생하는 등, 대규모 평가의 서답형 문항 채점에 막대한 자원을 소모하고 있다. 이에 컴퓨터 공학의 다양한 기법들을 활용하여 서답형 문항을 자동 채점하려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자동 채점 문제를 기계 학습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지도학습과 준 지도학습 기법을 이용, 문항에 대한 채점 정보를 채점 시스템이 학습하도록 하여 채점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지도학습 시스템은 문항별 채점 기준표를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기술하고 이를 이용하여 채점을 수행한 다음 시스템이 채점하지 못한 나머지 답안들을 클러스터링하여 수작업 채점한다. 준 지도학습 시스템은 채점자가 채점한 초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 안의 학습 모델을 학습시킨 다음 채점과 학습 모델 갱신을 반복하며 자동 채점을 수행한다. 지도학습, 준 지도학습 자동 채점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채점 실험을 수행하였다. 2014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사회 과목의 14개 문항에 각 7442개의 학생 답안을 대상으로 지도학습 시스템을 실험 및 평가하였으며, 14개 문항 중 문장 수준의 답안을 요구하는 2개 문항에 대하여 준 지도학습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 및 평가하였다.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which supervise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pends a lot of resources that includes time, human and finance for the scoring short answers that is written by students. There are already many ongoing researches which try to resolve the scoring problem with various techniques of computer science. In this paper, I approached the scoring problem as standpoint of machine learning. This paper introduces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which learns information that are needed for the scoring, by using supervised and semi-supervised learning. For the supervised scoring system, I designed the file structure which is capable of storing the information that is needed for the scoring of the specific question. The system learns the information then scores the answers which is written by students. The answers that are not scored by the system are clustered and scored manually. Semi-supervised scoring system uses initial training data that are manually-scored by human-raters for the learning. After the initial training, the system repeats scoring-updating learning model proces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coring systems, scor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Student answers of 14 social study questions in NAEA ’14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I used student answers of 14 questions for the evaluation of supervised scoring system, and two questions that requires sentence level answer for the evaluation of semi-supervised scoring system.

      • 유기농식품과 비유기농 식품을 이용한 메뉴의 소비자 태도 비교

        장은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과 선호가 높아지면서 유기농식품과 유기농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를 통해서 소비자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대해 신체적 건강과 웰빙, 심리적 웰빙, 사회적 관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측면으로 정의하였고, 신체, 정서, 사회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로 인해 건강한 식생활을 추구하는 성향이 늘어났으며, 소비자들이 외식 이외에도 가정에서 안전하고 몸에 좋은 식생활을 유지하고자 ‘웰빙’ 또는 ‘유기농’ 이라는 단어가 뭍은 제품을 선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유기농식품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유기농식품과 비유기농 식품을 이용한 메뉴의 소비자 태도를 비교와 분석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식품 뿐 아니라 식품을 이용한 메뉴자체에 대해 정의하였으며, 두 선택집단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인 근거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SPSS28.0과 JAMOVI를 이용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카이검정, 교차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T검증을 처리하였다. 전국지역의 유기농식품을 구매 또는 경험 해본 전국의 20-60대의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00부의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254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연구문제 1. 유기농식품을 이용한 메뉴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어떠할 것인가? 에 대한 가설 1. 유기농식품을 이용한 메뉴는 소비자가 신뢰를 가질 것이다,는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가설 2. 유기농 식품을 이용한 메뉴가 더 건강하다고 생각할 것이다는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 비 유기농 식품의 선택에 가격이 영향을 미칠것인가? 에 대한 가설 1. 비유기농 식품 또는 메뉴를 선택할 때 가격이 영향을 미친다.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나타났다. 가설 2. 비유기농식품과 유기농 식품의 가격이 같다면 유기농 식품을 선택할 것이다. 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 유기농식품과 비유기농 식품을 이용한 메뉴를 비교했을 때 소비자의 태도는 어떨 것인가? 에 대한 가설 1. 소비자는 재 방문시 유기농식품을 이용한 메뉴를 선택할 것이다.는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4. 유기농 메뉴 선택집단과 비 유기농 메뉴 선택집단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에 대한 가설 1. 유기농메뉴 선택집단과 비유기농 메뉴 선택집단간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 유기농메뉴 선택집단과 비 유기농 메뉴 선택집단간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기농식품과 비 유기농 식품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경험이 소비자의 식품 태도에 영향을 끼친다는 이론적인 시사점를 제시하였다. 또한, 소비자에게 유기농식품이 식품안전과 식품위해에 뛰어난 것을 중점으로 소비자에게 알린다면 소비자가 더 많이 선택할 것이라는 것과, 유기농식품 메뉴와 비 유기농식품 집단간의 구매의도요인과 선택속성요인을 통해 재배지의 신뢰도와 웰빙 식생활, 식재료의 원산지 표기, 메뉴의 다양성, 건강한 식재료로의 조리가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둘 집단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직접 소비자에게 비교 식품메뉴를 제공하였으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그렇게 하지 못한점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유기농식품 메뉴와 비유기농 식품 메뉴를 선택한 소비자들이 재 방문시 에도 선택에 변동이 없다는 것을 중점으로, 소비자의 재방문까지 범위를 넓힌다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라 기대된다.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pursuit of a healthy diet increased among the public, and consumers started to prefer products with labels such as 'well-being' or 'organic' to maintain a safe and healthy diet at home rather than eating ou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two attitudes of consumers towards organic food. This study also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ttitudes of consumers using menus with organic and non-organic food. In this study, not only organic food but also the menu itself using food was defined as well, confirm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selection groups. As a theoretical basi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28.0 and JAMOVI based on previous studies. Through the program, Chi-test, cross-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T-test were perform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general consumers nationwide in their 20s and 60s who had purchased or had an experience with organic food.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54 were us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s a menu that uses organic food? Hypothesis 1. Consumers will have trust on menus that use organic food. The result appeared to be significant. Hypothesis 2. Consumers will believe that menus that have organic food are healthier than other menus. The results appeared to be significant. Research Question 2. Will the choice of choosing non-organic food price be affected by price? Hypothesis 1. Price influences the choice when choosing non-organic food or menu items. The result appeared to be insignificant. Hypothesis 2. When the price of the non-organic food and organic food are equal, the consumer will select the organic food. The result appeared to be significant.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attitude of consumers when menus using organic and non-organic foods are compared? Hypothesis 1. Consumers will pick a menu using organic food when they return. The result appeared to be significant. Research Question 4.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organic menu selection group and the non-organic menu selection group? Hypothesis 1.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between the organic menu selection group and the non-organic menu selection group. The result appeared to be partially significant. Hypothesis 2.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selection intention between the organic menu selection group and the non-organic menu selection group. The result appeared to be parti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experience affects consumers' food attitudes were presented when divided into organic food and non-organic food groups. Additionally, with the fact that consumers will select more if informed about organic food with the focus on the excellency of its food safety and food hazards, through the purchasing intent and the selection attribute a practical implication was shown that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reliability and healthy eating habits of cultivated areas, labeling of origin of ingredients, diversity of menus, and cooking with healthy ingredients. This study provides meaning through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groups. However, improved results could have been obtained if the comparative food menu was directly provided to consumers, so the failure to do so remains as a limit. It is expected in future studies to suggest new directions, with the focus that consumers who chose both organic and non-organic food menus will make the same choice when they revisit.

      • 발레 전문성에 따른 SNS 이용 행태 비교 분석 연구

        장은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발레 전문성에 따른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 행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발레와 SNS의 관계 사이에서 어떤 유의미한 변화를 야기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발레 전공자와 취미발레수강생 총 260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 문항 응답에 SNS 이용 여부 ʻ아니오ʼ 응답자 68명, 무응답자 1명, 불성실응답자 8명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183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8.0 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SNS 이용 동기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SNS 이용 동기(정보추구, 커뮤니케이션, 오락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SNS 이용 행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검정을 실시하였고, 발레 전문성과 소셜 미디어 특성에 따른 SNS 이용 동기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x2 이원분산분석를 실시하였다. 발레 전문성에 따른 SNS 이용과의 관계 사이에 나타나는 변화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레 전문성에 따라 SNS 이용 동기(정보추구, 커뮤니케이션, 오락성) 3요인에 있어 커뮤니케이션 요인에서만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추구, 오락성 요인에서는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발레 전공자 집단이 취미발레수강생 집단보다 커뮤니케이션 용도로 SNS 이용 동기가 더 높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발레 전문성에 따라 SNS 이용 기기, 이용 종류, 이용 횟수, 이용 시간에는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SNS 이용 활동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셋째, 발레 전문성과 소셜 미디어 특성(영상, 텍스트)에 따른 SNS 이용 동기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효과에 있어서는 커뮤니케이션, 오락성 요인에서는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정보추구 요인에 있어서는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 라인댄스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퍼슨십과 자아개념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장은서 강릉원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f line dance players on their sportperson- ship, self-concept and resilience in an effort to research in depth how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established by line dance players during a competitio could enable them to seek after a positive change of sportpersonship in the situation and to boost their self-concept and resilience. Four line dance associations that were corporations were selected, and 150 players each were selected from them. Out of the 600 players in total, the data from 592 valid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line dance playe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sportpersonship, self-concept and resilience, the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been significantly influential. As for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f the line dance player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the players who were aged between 20 and under 30 were the best. By academic credential, the respondents who obtained a postgraduate or higher degree were the best. According to contest catego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k-oriented goals only. By player career, self-oriented goals were most common in the players whose years of experience were between three and less than four, and task-oriented goals were most dominant in the players with four or more years of experience. By annual entry frequency, the players who participated four times or more were the best. As for the sportpersonship of the line dance player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the players aged between 30 and under 40 were the best. By academic credential, the players with a postgraduate or higher degree were the best. By contest category, the players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categories were the best. By player career, the players with four or more years of experience were most excellent. By yearly entry frequency, the players who participated four times or more were the best. As for the self-concept of the line dance player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the players aged between 30 and under 40 were the best. By educational background, the players with a postgraduate or higher degree were most excellent. By contest category, the players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categories were the best. By player career, the players with four or more years of experience were the best. By yearly entry frequency, the players who participated four times or more were the best. As for the resilience of the line dance player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the players aged between 20 and under 30 were the best. By academic credential, the respondents with a postgraduate or higher degree were the best. By contest category, the players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categories were most outstanding. By player career, the players with three to less than four years of experience stood out the most. By yearly entry frequency, the players who participated four times or more were the best. Second,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f the line dance players were found to have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portpersonship. Concerning exercise flow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self-oriented goals and task-oriented goal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Respect for the other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self-oriented goals and task-oriented goals, and the approval of the result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f-oriented goals and task-oriented goals. Obsession over winning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f-oriented goals and task-oriented goals. Third,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f the line dance players were found to have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concept. Concerning self-concept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physical self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self-oriented goals and task-oriented goals. Personality self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f-oriented goals and task-oriented goals, and moral self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self-oriented goals and task-oriented goals. Social self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f-oriented goals and task-oriented goals. Fourth,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f the line dance players were found to have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silience. Concerning resilience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positivity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ask-oriented goals and task-oriented goals, and controllabil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f- oriented goals. Sociability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self- oriented goals. Fifth,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sportpersonship, self-concept and resilience of the line dance play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found to have exerted a direct influence on sportpersonship and self-concept, and sportpersonship had a direct impact on self-concept and resilience. Self-concept affected resilience in a direct way.

      •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 간의 관계

        장은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반창의성 편향이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을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에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 경기, 인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 창의성에 대한 교사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 Ng와 Smith(2004)의 설문지를 수정·보완한 이안나(2015)의 설문지를‘유아교육 기관’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을 측정하기 위해 문미옥(1999)이 개발한‘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평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결과를 검증하였다.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수행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 창의성에 대한 교사의 선호도와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증(Scheff?)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 창의성에 대한 교사선호도는 고창의-고바람직 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저창의-고바람직, 고창의-저바람직, 저창의-저바람직 순으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 창의성 증진에 대한 교사역할수행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몰입지속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독창성’, ‘융통성’, ‘정교성’, ‘유창성’ 순으로 유아 창의성 증진에 대한 교사역할수행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연령, 결혼여부, 자녀유무, 최종학력, 교사경력, 기관유형, 근무시간)에 따른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은 결혼여부, 자녀유무, 기관유형,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연령, 결혼여부, 자녀유무, 최종학력, 교사경력, 기관유형, 근무시간)에 따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여부, 자녀유무, 최종학력, 교사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인식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의 하위요인별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반창의성 편향을 유아교사의 측면에서 살핀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중학생이 말하는 역사교사의 ‘좋은 수업’

        장은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실수업의 구성원인 교사를 제외하고, 그 수업을 정면으로 가장 잘 들여다보고 느낄 수 있는 주체는 학생이다. 지금까지 수업에 대한 연구는 교사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이는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관점과 이해를 밝히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학생이 생각하는 좋은 역사수업은 어떤 수업인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글은 후향적 관점(retrospective approach)으로 접근하였고,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춘천 소재 중학교에서 A교사의 수업을 받은 3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고, 심층면담의 대상은 설문조사에 응한 학생 중 성적이 우수하면서 교사 요인으로 시험의 정답을 맞췄다고 답한 학생이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다양한 설명기법을 사용하는 교사의 수업이 학업성취도 향상과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효과적이었다고 하였다. 이때, 교사의 수업은 설명식 수업이었지만 학생들은 역사를 교사로부터 수용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구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시 말해, 역사적 사실을 자신의 이해 범주 안에서 해석하고 판단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설명식 수업을 통해서도 교사는 학생들의 지식구성의 지원자이자 조력자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역사적 사고력의 유형별로 교사의 가장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역사적 사고력은 ‘사실의 기억’, ‘역사적 상황의 이해’, ‘시간개념’, ‘자료의 분석과 해석’, ‘역사적 사실의 평가와 가치판단’의 5가지 유형으로 설정하였다. 이중, 학생들은 ‘역사적 상황의 이해’에 관한 내용을 수업할 때 A교사가 보여준 인물중심의 내러티브와 상황극에 크게 호응했다. 특히 내러티브식 역사수업에 대해 ‘배워야 할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학습이 부담스럽다’는 기존의 부정적 인식과는 다른 반응이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료의 분석과 해석’에 관한 수업에서 A교사가 적용한 사료학습을 ‘암기 없이 이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 방법이었다고 답한 것은 사료학습의 중요성과 그 효과를 시사한다. 셋째, 학생들은 자세하고 풍부한 지식을 기반으로 풍요로운 이야기를 해주는 교사를 원했다. 또한 각종 자료나 기법을 적시에 사용할 줄 알며 시험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게 해주는 교사와 수업을 원했다. 그러나 동시에 교사와 수업을 공유하고 상호작용하는 소통의 수업을 원했다. 이를 통해 교사의 효과적인 전달도 필요하지만 학생과 교사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수업구축도 본격화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역사학습에 대한 분명한 목적의식과 당위성을 요구하는 학생일수록 소통의 수업을 원했다. 이것이 학업성취도가 높고 역사의식과 주체적인 사고를 가진 학생에게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인지는 후속연구를 통해 밝힐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A교사의 수업을, 지향해야 할 좋은 수업의 모습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특별한 형태의 수업이 아니라, 그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과 상호작용하고 소통하고자 하는 노력이 전제되는 수업을 원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좋은 수업’이라고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 수업에서의 교사전문성이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목소리를 통해 교사의 역할과 지향해야 할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업 사례를 통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좋은 수업’의 모습을 밝히고 수업현장에 적용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 볼링장이 락볼링장으로 전환하는 원인에 따른 사회적 의미 탐색

        장은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asons why the existing bowling alleys were transformed into rock-bowling alleys and investigate the social meanings implicated in these reasons. To achieve these study objectives, the phenomenological stud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was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6 persons among those who knew the overall system of rock-bowling alleys well were selected by purposeful sampling which is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Using the in-depth interview and related data colle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and text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se data. Data reliability was secured by triangulation, advices and comments from peer researchers, and reviews among members during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ound reasons to transform into rock-bowling alleys were stabilization and riding the trend, low investment and high return, and decrease of bowling club members. First, it was stabilization and riding the trend. Through the owners who determined to be the trend, the number of rock-bowling alleys was increased, and it was established as a tren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its awareness by mass communication and so on. Also, taking this trend, the owners of the existing bowling alleys had been appeared to change into rock-bowling alleys. Second, low investment and high return. Since the rock-bowling alleys can make more profit with lower investment than the existing bowling alleys, the existing owners changed theirs into rock-bowling alleys. Third, it was decline of bowling club members. The existing bowling alleys that had the club members as the main customers should secure new customers upon lowering number of club members. Hence, transformations into rock-bowling were appeared to secure new customers. The social meanings implicated in the reasons to change into rock-bowling alleys were entertainment-oriented trend, conversion into multi-purpose sports arena, and transformation into public sport that everyone can enjoy. First, it was entertainment-oriented tren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more people pursue the joy, which showed the changes of bowling alleys to meet their tastes. Second, it was conversion into multi-purpose sports arena. Initially, the reason to increase the subsidiary facilities was the tool to hold the waiting customers, however, they had been positioned as one of the advantages to perceive rock-bowling alleys not simply as the sports space but as the multi-purpose arena. Third, it was transformation into public sport that everyone could enjoy. It was difficult for the novices to participate in the games due to the skill gap and open space in the existing bowling alleys, while novices could participate in the games in the rock-bowling alleys due to dumbing down of the skill under the dark light. Also, participation in the games in the rock bowling alleys resulted in the desire to learn about bowling professionally to affect its popular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