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라남도 거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장은동,송기범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0 호남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Vol.7 No.-

        생애주기 측면에서 볼 때 노년기는 다양한 부정적 사건들로 인해 생활상의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이다. 신체적·정신적 건강의 악화, 경제적인 문제를 비롯한 사회적 자본의 상실 등은 노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노인복지의 궁극적 목표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이라고 본다면 노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노인 문제 해결과 개입 방안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 수준요인, 경제적 요인, 주 수발자와(Caver giver)의 관계에 따라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전라남도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사회복지 실천 개입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데 목적을 갖는다. 본 연구 자료는 전라남도 노인복지중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실태 및 욕구조사를 위해 2005년 4월 전라남도에 거주 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8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위탁받은 (사)한국 사회조사 연구소의 2차 자료이며, 본 연구의 가설검증에 필요한 문항만을 선택하여 자료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아들, 딸 모두 있는 집단이,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 가족․친척과의 연락빈도가 많을수록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DL의 능력과 IADL의 능력에 전혀 문제 없는 집단이 유의미하게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이 있는 집단과 수입에 따른 경제 상태가 높을수록, 넷째, 주 수발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study sample, which consist of 800 elders same to or over 65 years-old living in Jeollanam-do in April, 2004 when the raw data was collected by face-to-face interviewers. Using this primary data,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econd hand data analysi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and ANOVA were utilized along with SPSS 15.0 Korean Version to test the hypotheses for this study. Specifically, those variables related to sex, the composition of family members, the existence of spouse, health status, and job status were put into the data analysis for t-tests to explore whether or not these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th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participants. Meanwhile, age,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economic statu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 and care giver were analyzed variables to test their associations with the life satisfaction using ANOVA technique. The results of the hypotheses testing revealed that sex, age, the composition of family members, the existence of spouse and the contact frequency with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nts' life satisfaction. More specifically, 1) man, 2) younger participants, 3) those who belong to the group having both son(s) and daughter(s), 4) those who have a spouse, and 5) those who have more contacts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we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woman and those not. In terms of health status measured by ADLs and IADLs, those who had no problem with those functioning we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those who had at least one problem with ADLs and IADLs. Regarding the hypotheses related to the job status and the economic status, those participants who had a job were reported statistically higher degree of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 not work. As the same manner, those who had more monthly income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those with less monthly income. Finally the better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 and care giver was turned out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the better life satisfaction.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elder's life satisfaction in a farming area are discussed at the micro and mezzo level.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ovided.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문화적 역량과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송기범(Song, Ki-bum),장은동(Jang, Eun-do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9 No.-

        국제결혼의 증가와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유입 등으로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이행하고 있는 한국사회는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사회복지 차원의 실천적 개입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제반 사회서비스는 내용과 전달체계에 있어 대부분 내국인 위주로 설계되고 시행되어오고 있어 우리 사회의 급속한 다인종,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조응하는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하나는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에 관한 것이다. 1980년 초반부터 문화적 역량에 관한 논의가 시작된 미국에 반해, 우리는 2007년부터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개념, 역사적 전개과정, 구성요소 및 문화적 역량에 관한 국내의 선행연구를 개괄하여 본다. 이와 더불어 서비스 제공 주체의 문화적 역량의 수준을 측정하는 측정도구를 소개하였다. 더불어 다문화와 관련한 휴먼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는 시대적 환경을 고려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문화적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려는 노력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Korea’s rapid transformation into a multiethnic,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due to sharp increases in international marriages and an increasing influx of immigrant workers. However, Korea’s social welfare system, which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mainly for Koreans, is ill-equipped to address such racial, cultural, and social phenomena. In this regard,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s in social work should be “cultural competence.” Cultural competence has been discussed since the late 1980s in the West, but it is a relatively recent concept in Korean society. Thu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is topic in the Korean context.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roduces the notion of cultural competence, discuss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e, and provides a brief review of cultural competence research in Korea to determine the key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In addition, the study introduces some methods for analyzing cultural competence that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determining various socio-demographic, cultural, and economic changes in Korea as the country continues to undergo its dramatic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