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WCC 평화신학의 이해와 비판

        장윤재(Chang Yoon Ja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4 신학사상 Vol.0 No.167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총회가 분단의 땅 한반도에서 열린지 어느덧 1년이 지났다. 역대 그 어느 총회보다도 '정의'와 '평화'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한 이번 부산총회에서 WCC는 특별히 새로운 평화신학과 담론을 선보였다. 그것이 "Just Peace"라고 하는 새로운 개념이다. 이 논문은 이 "Just Peace"라고 하는 WCC의 새로운 평화담론이 어떤 배경과 역사를 거쳐 제기되었는지, 그것의 핵심적 주장은 무엇인지, 나아가 그것의 한계와 문제점은 무엇인지 논한다. 한국어로 '의로운 평화'로 번역될 수 있는 WCC의 새로운 평화론은 지금까지 기독교 역사에 있어 왔던 두 개의 평화전통, 즉 정당전쟁론(Just War Theory)과 평화주의(Pacifism)를 넘어서 는 제3의 대안담론이라고 스스로 주장한다. 하지만 필자는 이 '의로운 평화'가 정의우선을 강조하는 남반구 교회들과 평화우선을 강조하는 북반구교회들 사이에서 전통적인 기독교 평화주의를 넘어 변증법적으로 정의와 평화를 묶으려 노력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정의의 문제를 통전적으로 포섭하지 못하고 평화의 문제를 비폭력적 갈등해소의 차원으로 축소시킴으로써 세계교회의 새로운 에큐메니컬 평화신학으로 자리잡기에는 불충분했다고 비판한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분단의 땅 한반도에 사는 한국의 신학자들이 세계교회의 평화신학의 흐름을 이해하고 우리의 삶의 자리에서 세계교회와 나눌 수 있는 한국적 평화통일신학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It's been already a year since the 10th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as held in Busan, South Korea. The Busan Assembly will be remembered as a historic occasion that focused on the issues of "justice" and "peace." Indeed, the WCC presented a new peace initiative at Busan, which is "Just Peac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is new concept of peace, highlights the main idea in it, and criticizes the limit of this new peace initiative of WCC. It is insisted that the "Just Peace" is an alternative to two existing Christian peace traditions, i.e., "Just War" and "Pacifism." However, the author argues that even though the "Just Peace" has endeavored to combine "justice" and "peace" dialectically in order to overcome not only the "Just War" but also the historical "Pacifism", it was hardly recognized as a promising new peace initiative for the churches around the world, because it failed to integrate "justice" deeply into "peace" and also because it reduced and identified "peace" simply with "non-violence" and "conflict resolution." Through this article, the author expects that theologians in Korea could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WCC's new peace initiative and ponder their own peace theologies based upon their own sitz-im-leben, which is the divided Korea that has been in a constant state of war for more than a half century.

      • KCI등재

        무지개의 하나님, 푸줏간의 그리스도 그리고 동물신학의 탐구

        장윤재(Chang, Yoon-Ja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1

        이 글은 필자가 번역하여 출간한 앤드류 린지(Andrew Linzey)의 『(같은 하나님의 피조물) 동물 신학의 탐구』 (대장간, 2014)를 계기로 한국에서도 ‘동물신학’이 가능한지 모색해보려는 것이다. 필자의 바람은 어느덧 5년이 지난 2010년 11월 겨울의 구제역 파동을 겸허히 돌아보고, 오늘 도이 땅에서 끊이지 않는 동물의 고난 속에서 그리스도의 수난을 엿보며, 이 땅에서도 우리를 지으신 하나님과 같은 하나님이 지으신 ‘동료 피조물’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성서적 동물신학 하나 싹 틔우고 발전시키려는 것이다. 인간과 동물, 즉 ‘인간 동물’과 ‘비인간 동물’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물음은 결국 인간이라는 존재가 어떻게 규정되는지에 대한 물음이다. 이제 우리는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횡단하는 새로운 존재 방식으로서의 포스트휴먼(post-human) 신학을 고민해야 한다고 필자는 믿는다. 그리고 동물신학이 바로 그러한 신학의 한 신학이 될 수 있음을 확신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과학(생물학), 철학(데리다와 들뢰즈), 그리고 예술(화가 베이컨)에서 어떻게 서구의 이성 중심적이고 이분법적 사상이 해체되고 있는지를 주목하면서, 기독교 신학도 기존의 고질적인 인간중심주의에서 환골탈태하여 이 땅에 인간과 함께 사는 모든 생명을 '동료 피조물'로 간주하는 만물 평등주의 신학 하나 발전시키길 제안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n “animal theology” in Korea. The author is the one who has translated and published Andrew Linzey’s Creatures of the Same God: Explorations in Animal Theology (New York: Lantern Books, 2009), and he is assured that an animal theology is necessary and possible in the context of Korea, where 10 million cows, pigs, chickens, and ducks were buried alive in the Winter of 2010 during the so-called “food-and-mouth disease” disaster. The ques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and the animal is in fact the question as to how we define human being and existence. The author believes that now is the time for the Christian theology to overcome its deeply entrenched anthropo-centrism and instead to develop a “post-human” theology, and that an “animal theology”, which is concerned with the rights and welfare of animals, could be a promising agenda for such an initiative. For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ses how contemporary science (social biology in particular), philosophy (Jacques Derrida in particular), and even art (Francis Bacon, the British painter in particular) have de-constructed the dualistic and reason-centered Western thought, and thereby suggests that Christian theology should develop an egalitarian and ecological animal theology in which the dignity and life of all “fellow creatures” of the God is assured.

      • KCI등재

        켈트 영성

        장윤재(Yoon Jae Chang) 한국기독교학회 201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1 No.-

        Spirituality has long been misconceived. It was known as "going away" from the earthly and worldly affairs. On the contrary, however, an authentic Christian spirituality is "going into" the midst of life and the mundane world. It is not a "climbing up" a ladder to see God but "climbing down" the ladder to find God within the creation. The Celtic spirituality, proposes the author, is one of this kind of Christian spiritualities that can respond to Lynn White`s thesis in 1967 that "the roots of our [ecological] trouble are so largely religious," by which he meant Christian. The author delves into the roots of Celtic spirituality, which are the pagan mythology of ancient Celtic peoples who were subjugated by Romans. The ancient Celtic mythology, which today gives abundant imaginative power to many fantasy literatures, such as The Harry Potter series by J K. Rolling, was not dualistic, and thus the Celtic people enormously revered the nature, because they could see the supernatural within all the natural around them. Thus God in Celtic spirituality, rooted in this world view, is not the One you could "reach" through your deeds; nor is the Christ in Celtic spirituality the One who brings your individual soul out of this world but the healer of entire creation. In this spirituality, emphasizes the author, we are invited to enjoy koinonia with God in creation, not apart from it, and also with all other forms fellow creature. This Celtic spirituality, argues the author, is one of very promising Christian traditions that which Christian churches must work harder to recover in order for them not to become the part of problem but of solution and a good remedy for God`s creation that is deeply troubled by human beings who are equipped with the technological power to change the nature and agitated by false theologies and world views.

      • KCI등재

        경제양극화 극복을 위한 화해의 선교 - 교회의 공식문서에 나타난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

        장윤재 ( Yoon-jae Cha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1 No.-

        우리는 신자유주의 세계화 시대를 살고 있으며,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극단적 양극화와 불평등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이에 대해 무엇을 말해왔나? 복음의 생명정신으로 세워진 이 땅의 기독교 대학들은 청년실업과 비정규직 등으로 고통 받는 오늘의 `아픈 청춘`들에게 무슨 선교를 해왔나? 이 글은 신자유주의 세계화 시대에 교회가 수행해야 할 가장 우선적인 선교적 과제의 하나로 경제양극화의 극복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한국교회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전개해온 경제선교의 핵심문서를 추적하면서, 오늘의 양극화의 현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경제의 문제가 왜 중요한 신앙의 문제인지를 다시금 성찰하며, 경제양극화 극복을 위한 화해의 선교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악성부채로 인한 살인적인 추심에 시달리는 많은 채무자들을 긴급 구조하는 선교로서 `빚 탕감 희년운동`을 제안한다. We live in a time of neo-liberal economic globaliz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is time is economic inequality and extreme polarization. What have the churches of Jesus Christ done to this utmost important issue of our time? What can Christian universities, founded on the power and spirit of Gospel, do to our young people who greatly suffer from chronic unemployment and temporary work? This article proposes that overcoming economic polarization should be one of the priority mission tasks of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investigates churches` document on economic issues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at hit Korea in 1997, analyzes the present realities of Korean societies torn apart by extreme polarization, revisits the issue of “faith and economy” to make a the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m, and finally proposes some tasks of mission to heal and reconcile the Korean people and society. As an emergency mission task, the author suggests a `Jubilee debt cancellation project` to rescue many debtors, including college students and young people, who are harassed by deadly exaction of their debts.

      • KCI등재

        “강물아 흘러 바다로 가거라”: ‘전능하신(?) 인간’과 ‘끙끙 앓는 하나님’

        장윤재(Chang Yoon-Ja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3

        이 글은 ‘4대강 살리기’라는 이름하에 지금 이 나라의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4대강 토건공사’를 신학적으로 성찰한 글이다. 필자는 먼저 ‘물’의 종교적 의미와 ‘강’ 의 수문학적 역할을 살펴보고, 생명의 강이란 항상 일정한 ‘유량(流量)’이 확보된 강이 아니라 강물의 자연스런 높낮이, 즉 ‘유황(流況)’이 복원된 강임을 주장한다. 그리고 하나의 거대한 생명 체계인 하천 내부에서 강물의 섬세한 높낮이를 통해 복잡한 생명의 과정을 손수 지휘하는 하나님을 ‘부지런하고 알뜰한 생명의 하나님’으로 묘사한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서 자연의 지배로 군림하면서 지구 생태계에 암적 존재가 되어버린 인간에 의해 이 생명의 하나님이 고통 받고 있음을 증언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21세기 기독교 신학이 깊이 고민해야 할 문제는 ‘전능하신’ 인간의 문제, 즉 자연을 창조한 것도 아니고 또 자연을 완벽히 이해하지도 못하면서 자연에 대한 지배권을 손에 넣은 현대 인간의 지배권 문제라고 제안한다. 필자는 강과의 평화로운 공존을 위해 강에 ‘지속가능한 경계선’을 정하자는 생태학자들의 제안을 성서의 선악과 이야기에 비유하면서, 에스겔 47장에 나오는 성서의 생명의 강 환상을 소개한다. 그리고 한국 교회가 이러한 생명의 강의 발원지가 될 수 있기를 촉구한다. This article is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Korean government’s massive construction project, namely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Firstly examining the religious meaning of the water and the ecological role of the river in the hydrological circulation of the globe, the author insists that the “good river” is not the one with a fixed amount of water but the one with the natural pattern of “flow regime.” For the author, the God who orchestrates through the flow regime the complex process of life in the river is the God of life who is extremely frugal to take care of all life. Nevertheless, this God is suffering and groaning with pain by the humans who in the 20th century have become the ruler of the nature. In this context, the author proposes that one of the key issues of the Christian theology in the 21st century shall be the problem of “almighty man” who could dominate the nature, however without creating it, without even fully understanding it. Finally introducing the biblical vision of the river of life in Ezekiel 47, the author hopes that a great river of life could flow from the Korean churches, just like the living water came out from under the threshold of the temple (Ek. 47:1).

      • KCI등재

        ‘핵 없는 세상을 위한 신학’을 향하여: 고든 카우프만의 ‘핵 시대의 신학’ 을 넘어서

        장윤재(Chang Yoon-Ja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2 신학사상 Vol.0 No.159

        동서냉전으로 핵무기의 위협이 절정에 달했던 1985년에 미국 하버드대학의 신학자 고든 카우프만은 핵은 창조주 하나님을 대적하고, 적그리스도적이며, 그 자체로 성령의 역사에 반대된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이후 30년 가까이 흐른 지금도 인류는 여전히 핵무기로 인한 전 지구 생명공동체 멸절의 위협 아래 살고 있다. 인류는 또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표방하며 지난 반세기 이상 세계 각지에 세워진 수많은 핵발전소로부터 방사능 피폭의 위협을 받으며 살고 있다. 작년 3월의 일본 후쿠시마 대재앙은 핵발전의 위험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었으며, 인류가 시급히 핵으로부터 문명사적 전환을 꾀해야 한다는 일대 경종을 울려주었다. 인간의 손에 전 인류뿐만 아니라 모든 지구생명공동체를 파괴할 수 있는 힘이 쥐어진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독교 신학은 어떻게 ‘하나님의 주권’과 ‘생명’ 그리고 ‘평화’를 이야기할 수 있는가? 이 글은 고든 카우프만과 샐리 맥페이그의 ‘핵 시대의 신학’을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이제 우리가 단순히 ‘핵 시대의’ 신학이 아니라 ‘핵 없는 세상을 위한’ 신학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 기본적인 방법론으로 필자는 우리가 철저히 ‘피폭자’의 자리에 설 것을 요청하면서, 핵에 대한 거짓 신화들, 즉 핵과 평화는 양립 가능하며, 핵은 기후변화의 대안적 에너지이고, 핵발전은 안전하며, 그리고 또한 우리에게 끊임없이 전기가 필요하다는 거짓 신화들을 비판하고 핵과 기독교 신앙이 결코 양립할 수 없음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핵 지뢰밭’으로 부상한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서 우리가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핵 없는 세상을 위한 신학’은 한국과 동북아시아는 물론 세계사적 지평과 중요성을 갖는 실질적인 생명과 평화의 신학이 될 것이라고 확언한다. When the nuclear threat was at its peak in 1985 during the Cold War era, Gordon D. Kaufman proposed a “theology for a nuclear age”, Even though almost 30 years have passed, we still live under the severe threat of nuclear weapons. The humanity is also under the threat of radiation poisoning that has emanated from the numerous nuclear reactors built on many part of the world over the past fifty years. The Fukushima nuclear catastrophe that occurred in March 2011 was a clarion call alerting entire humanity to the urgency for transformation away from our nuclear-based civilization that we have enslaved ourselves. However, how can Christian theology talk about divine sovereignty, life, and peace in this context of nuclear age in which the power that can destroy the whole life community of the earth is at the and of human beings? The author reviews and criticizes the “theology for a nuclear age” by Gordon D. Kaufman and Sallie McFague and proposes to move to a “theology for a nuclear-free world”. For its methodology, the author proposes that we view this issue not from the perspective of nuclear power, but from the standpoint of the victims of radiation poisoning, not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not just from the interest of present generation but from the interest of many generations yet to come, and furthermore, not from an anthropocentric perspective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smic life community that encompasses all of creation. And dismantling the false myths regarding the nuclear weapons and power plants - the myth that they can coexist with peace, that nuclear energy is green energy that can help to overcome global warming, that nuclear power is safe, and that the humanity needs electricity endlessly, the author affirms that nuclear weapons and power plants cannot coexist with the Christian faith itself. In the context where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 East Asia have become the most dangerous nu

      • KCI등재
      • KCI등재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부산총회와 에큐메니컬 운동

        장윤재 ( Yoon Jae Chang ) 한국조직신학회 2013 組織神學論叢 Vol.37 No.-

        가부장제 문화에 군사주의 문화와 근본주의 신학까지 결합하면서 한국은 에큐메니컬 신학과 운동이 뿌리내리기 힘든 척박한 토양이 되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이 세계에서 에큐메니컬 운동과 문화를 가장 필요로 하는 곳이 바로 한국이며, 이번에 한국의 부산에서 열린 제10차 WCC 총회는 바로 그러한 에큐메니즘으로의 길을 향한 하나님의 초대이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목표는 교회의‘하나됨’그 자체가 아니다. 교회의‘하나됨’의 목표는 교회의‘교회됨’이다. 따라서 에큐메니즘의 목표는‘일치를 위한 일치’가 아니라 교회의‘교회다움’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에큐메니컬 운동은‘이 세계의 위기에 대한 교회의 공동 대응’이다. 필자는 WCC 역사상 처음으로 이번 부산총회의 주제에‘정의’와‘평화’가 주제어로 채택된 과정을 소개하면서, 한국교회와 신학이 그동안의 잘못된‘정의와 사랑의 이분법’에서 벗어나‘하나님의 정의’를 바로 이해하고 그 위에 생명과 평화의 문제를 새롭게 의제화하자고 제안한다.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열리는 제10차 WCC 부산총회는 세계 에큐메니컬 운동과 신학의 역사에 특별히‘정의’의 문제를 강력히 제기한 총회로 오래 기억될 것이다. 한국교회는 WCC 가입 문제를 놓고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열을 경험한 교회이다. 필자는 WCC에 대한 용공시비, 사회참여 시비, 종교다원주의 시비에 각각 반박하면서, 한국교회가 더 이상 분열과 경쟁과 팽창의 길을 고집하지 말고 교회의 일치, 인류의 일치, 그리고 우주의 일치라는 에큐메니즘의 새 길로 나아가자고 제안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에큐메니컬 vs 에반젤리컬’이라는 잘못된도식의 극복이다. 에큐메니컬의 반대는 에반젤리컬이 아니라 근본주의, 특히 호전적이고 배타적이며 분열적인 근본주의이다. 원래 자유주의와의 신학적 논쟁으로 시작한 미국의 근본주의는 1930년대 이후‘싸움과 분리’를 일삼는 새로운 근본주의로 나아갔다. 이‘싸움과 분리’가 1950년대 한국에서 재현되었다. 근본주의는‘분리’를 강조하지만 실제의 목표는 이전에 자신이 누렸던 힘을 세상에서‘복원’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근본주의 정치학에서 벗어나는 것이 한국 에큐메니즘의 미래요, 나아가 개교회주의, 성장주의, 분리주의, 그리고 배타주의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빠진 한국교회를 살리는 새 길이라고 필자는 주장한다. Korea is a futile land on which ecumenical movement and theology can hardly put down its root because of the triple bond of patriarchy, militarism, and theological fundamentalism. However, it is because of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author, that Korea needs ecumenical spirit and culture more than 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The 10th General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hich was held in 2013 in Busan, Korea, was a God-given opportunity for such an ecumenical renaissance in Korea. In order to raise ecumenical spirit and culture in Korea, however, the author suggests that we first need to overcome the false duality of “ecumenical vs evangelical.” The opposite of ecumenical is not evangelical but “sectarian”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Christian fundamentalism. Fundamentalism in America began as a theological dispute with liberalism; and yet it has developed itself into an extreme separatism in the 1930s. This “fight and separation” reappeared in the 1950s in Korea and it resulted in the birth of more than two hundred new Presbyterian denominations in Korea. It appears on the surface that fundamentalism aims “separation” from the “infidels”; however, its real aim, emphasizes the author, is not to separate itself from the world but to recover its controlling power over the world. On the contrary, ecumenism is a self-emptying spirit and culture that acknowledges the limit of each denominational confession and endeavors to make Christian fellowship as universal church of Jesus Christ. And yet, the aim of ecumenical movement is not “unity” itself. “Unity for the sake of unity,” according to the author, is as dangerous as division of the church. The purpose of Christian unity is to recover the foundational spirit of the church and to make the church true church. The ecumenical movement, therfore, should be defined as churches` common response to the crises of the world which is deeply separated and wounded. After refuting those false charges of conservative churches against the World Council - e.g, the Council is pro-communist, opts for religious pluralism, and is opposed to proselytism (misunderstood as conversion in Korea) - the author proposes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overcome the existing model of separation and competition and move forward to a new road of ecumenism which will lead us to the unity of the church, humankind, and God`s whole cr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