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무蘇武의 충절의식이 한국문화에 끼친 영향

        장윤수(Jang, Yun-Su)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

        한국과 중국은 가까운 거리에서 오랜 시간 문자를 같이해 왔고, 사상을 같이해 왔다. 그러므로 한국인과 중국인은 그 누구보다도 문화적 상근성相根性을 확보하고 있으며 서로를 잘 이해하고 있다. 비록 최근 한 세기 동안 두 나라에 불어 닥친 엄청난 변화들로 인해 두 나라의 문화가 상당 부분 이질성異質性을 띠기도 했지만, 두 나라 사람들이 갖고 있는 전통문화는 여전히 서로를 잘 이해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소무蘇武의 충절의식이 한국문화에 끼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소무는 중국이 자랑하는 충절지사忠節之士일 뿐만 아니라 전통사회 한국인들이 존숭하던 삶의 모델이기도 하다. 소무가 보여 준 빛나는 충절과 역경을 이겨내는 인내심은 분명 오늘에 있어서도 상당한 의의를 가지며, 특히 한․중 두 나라 사람들에게는 서로를 좀 더 가깝게 이해할 수 있는 문화적 계제階梯가 될 수 있다. Korea and China use equal character and shared similar thoughts for a long time as the adjoined country. Therefore, Korean and a Chinese are having more cultural similarity, and understand well each other than anyone. There were a lot of changes in the two country during last one century, culture of the two country also changed much so. However, traditional culture of two country people is still important channel that understand each other. As well as Su-Wu is person of loyalty that the China is proud of, it is model of life that tradition society’s korean people respect. The Spirit of Loyalty of Su-Wu and endurance which overcome adversity gives us a lot of impression today. Specially, Su-Wu is bridge which Korea and China two country people make each other intimate.

      • KCI등재

        敬堂 張興孝와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이 연구는 외적으로 敬堂 張興孝(1564~1633)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 성리학의 특징을 해명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영남학파 특히 퇴계학파가 지닌 이론적 특징과 실천적 관심을 장흥효와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자들을 통해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장흥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종래 학계에서 장흥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퇴계학파의 이론적 標識를 염두에 두고 경당의 기본 성리이론과 실천적 삶의 특징을 그려보고자 한다. 경당의 성리이론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體用論이다. 그는 體用의 구조로써 성리이론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설명해 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당은 인간과 만물을 理氣妙合의 존재로 보나, 퇴계와 마찬가지로 오직 인간만이 유일한 윤리적 존재일 수 있는 근거를 理에서 찾는다. 경당의 이러한 이론은 퇴계학파의 기본 이론을 이루는 標識 중 하나이다. 한편 경당은 성리학적 이론을 삶 속에 구체화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持敬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持敬論은 퇴계의 입장을 기본적으로 계승한 것이기는 하나, 경당에 이르러 더욱 구체적 삶의 모습으로 體現되며 이후 퇴계학파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경당은 퇴계학을 思辨的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의 영역에서도 균형 있게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17세기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며, 특히 퇴계학파의 형성에 관한 이론적 토대가 보다 선명하게 그려질 수 있기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in terms of Jang-Heung-Hyo"s (1564∼1633) life as a scholar and his thoughts. This study also compares Jang-Heung-Hyo and other scholars with Toe-Gye School in terms of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concerns of Neo-Confucianism. Jang-Heung-Hyo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His main concerns were Yi-Hak(理學), Gyeong-Ron(敬論) and Sim-Hak(心學).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has not been shed a proper light.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 KCI등재

        敬堂日記를 통해서 본 張興孝 學團의 地形圖와 性理學的 思惟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7 No.-

        이 연구는 敬堂 張興孝(1564~1633)의 日記(敬堂日記)를 통해 장홍효 자신의 삶과 사상을 해명하고, 그리고 장홍효 學團이 중심이 된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地形圖를 그려내고 그 성리학적 문제의식과 이론적 특징을 재구성해보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장홍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退溪學脈의 중심에 있는 장홍효는 退溪의 경우처럼 칠십 평생을 持敬의 삶으로 일관했다. 그리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추스르는 일환으로 日記를 썼는데, 成人이 된 이후 거의 평생을 써갔다. 그의 日記는 무엇보다 자신의 수양과정을 기록해나간 工夫錄이라는 점이 특색이며, 門下生들과의 학업과정도 충실하게 기록해두고 있어서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대단히 귀중한 자료이다.’종래 학계에서 장홍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장홍효의 성리사상 뿐만 아니라,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yeong-Dang-Diary and Neo-Confucian in the District of Kyeong-Buk North in the 17th Century. Jang-Heung-Hyo(1564~1633)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Jang-Heung-Hyo kept a diary to reflect on own life. After he became a adult, he wrote a diary almost all life. He accounted for class process faithfully with disciples in a diary. First of all, his diary is study journal that account for own moral culture process. Therefore, His diary is a very important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Neo-Confucian in the District of Kyeong-Buk North in the 17th Century.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 투고논문 : 여중군자 장계향과 운악 이함의 사회적 실천

        장윤수 ( Jang Yun Su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6 No.-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장씨부인과 그 시아버지인 운악 이함의 사회적 실천을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양자 간의 유기적 관계에 주목하면서 이함의 사회적 실천성과 그 家風이 장씨부인의 삶을 구성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끼친 사실을 해명하려 했다. 장씨부인은 친정아버지인 경당 장흥효로부터 聖人의 학문, 즉 敬의 이론과 실천을 배웠으며, 시아버지 이함으로부터는 이웃과 사회를 향한 뜨거운 관심과 함께 나누는 삶을 배웠다. 즉 장씨부인은 엄격한 자기성찰과 수양이라는 내면적 실천에서는 아버지 경당의 영향을 깊게 받았고, 개방적 인품과 타인을 향한 관심 및 사회적 실천이라는 측면에서는 시아버지 운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장씨부인의 삶과 인격이 친정과 시댁의 家風을 균형 있게 흡수한 결과임을 입증하고자 했으며, 장씨부인과 이함의 행적을 철저하게 문헌을 중심으로 하여 재구성하였다. 이 글은 다음 세 가지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첫째, 장씨부인의 삶을 사회적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선행연구의 연구범위를 확장하였다. 둘째, 장씨부인의 사회적 실천을 시댁 가풍 특히 시아버지인 운악 이함과의 관계에서 해명함으로써 그 삶을 다양하게 해석하였다. 셋째, 논지의 전개과정에서 언급된 일화들을 철저하게 구체적 문헌들을 통해 재구성함으로써 구체적 전거가 약한 선행연구의 약점들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I will expound Jang Gye-hyang and her father-in-law, Lee Ham’s social practice. By closely focusing on their organic relationship, I will explain that Lee Ham’s social practices and his family customs largely impacted Jang Gye-hyang’s life. Although Jang Gye-hyang was a paragon of feminine virtue, few primary sources exist about her today. Fortunately,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her but there is little certainty regarding the accuracy of these stories. For this reason, I recasted the story of Jang Gye-hyang and Lee Ham on the basis of books. Throughout her life, Jang Gye-hyang learned to be a sage through a number of influential people. She learned the theory and practice of esteem from her father, Jang Heung-hyo, who helped her develop sincere concern for her neighborhood and society. She was strongly impressed by his inner peace, strict self-examination and morality. And she learned to share life from her father-in-law who further developed her open-mindedness and concern for others and social practice. Therefore, in this paper I have intended to explain that Jang Gye-hyang’s life and personality are the result of the harmonious assimilation of both her family’s customs.

      • KCI등재

        퇴계 이황과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西銘」 담론

        장윤수 ( Jang Yun-su ) 퇴계학연구원 2022 退溪學報 Vol.151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서명」에 관한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주요 담론을 고찰하였다. 먼저 예비적으로 송대에 제기된 「서명」 논의를 程頤와 朱熹를 중심으로 하여 검토하였다. 그런 후에 조선시대 「서명」 논의의 중심에 있는 퇴계 이황의 주요 논점을 『성학십도』의 제2도인 「西銘圖」와 「西銘考證講義」를 통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명」에 관한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주목할 만한 논의를 검토하고, 이와 더불어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서명」 담론을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고찰을 통해 「서명」이 퇴계를 비롯한 조선시대 성리학자들 에게 있어서 학문 수준을 높인 중요한 ‘이론서’였을 뿐만 아니라, 유교적 세계관을 자신들의 삶에 실현하는 ‘실천서’이기도 하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일찍이 張載는 「서명」에서 도덕적 실체인 仁을 통해 만물 공동성의 윤리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황은 「서명」을 논의하면서 이러한 해석에 전적으로 동감하면서도 개인의 실천적 의지를 강조했다. 그래서 그는 「서명」을 심성 수양의 실천서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퇴계가 정이와 주희의 견해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실천적 의지를 강조하는 측면에서 자신의 입장을 강화한다는 점에 대해 특별히 주목하였다. 그리고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성리학자들과 심지어 君王들까지도 「서명」을 중시했던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 또한 그들이 구체적으로 「서명」을 어떻게 이해하고 현실에 적용하려 했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main discourses of Neo-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Joseon Dynasty on Seo-Myeong(西銘). First, the discussion on Seo-Myeong raised in the Song Dynasty was reviewed in advance, focusing Cheng Yi and Zhu Xi. Second, focusing on The Diagram of Seo-Myeong(西銘圖) and The Explanation of Seo-Myeong-Go-Jeung(西銘考證講義), we looked at the perspective of Seo-Myeong by Lee Hwang, a major Neo-Confucianist of the Joseon Dynasty. Third, we looked at the notable discussions of Neo-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on Seo-Myeong and reviewed the discourse of Seo-Myeong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gether. And through this review, it was confirmed that Seo-Myeong was not only an important ‘theoretical book’ that raised the academic level of Lee Hwang and other Neo-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also a ‘practical book’ that realized the Confucian world view in their lives. Zhang Zai attempted to establish an ethical foundation for the common existence of all things through Ren(仁), a moral entity, in Seo-Myeong. Yi Hwang fully sympathized with this intention, and in particular, he emphasized the individual's practical will while interpreting the Seo-Myeong. Therefore, he also interpreted Seo-Myeong as a practice book for mind training. In this paper, I paid special attention to how Toegye faithfully inherited Cheng Yi and Zhu Xi's views, but strengthened his perspective in some aspects. In addition, Neo-Confucianists and even kings of the Joseon Dynasty valued Seo-Myeong and tried to understand the idea and apply it to reality in detail.

      • 주역의 다문화적 가치

        장윤수(Jang, Yun-su)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2 다문화와 인간 Vol.1 No.2

        이 글의 목적은 음양론(陰陽論)과 길흉론(吉凶論)을 통해 주역 의 다문화적 가치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즉 반(反)-다문화적 사상으로 해석될 소지가 있는 동아시아의 전통사상이 오히려 많은 다문화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보려고 한다. 그리고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서구 다문화주의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인 ‘다양성’과 ‘단일성’의 균형을『주역』의 사상이 잘 이루어내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다만 이러한 논의가 본격적 이론전개라기 보다는 시론적(試論的) 성격의 것임을 전제해두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multicultural value of I-ching through Eumyang-theory and Gilhyung-theory. More specifically, it is to verify that the traditional thinking of East Asia, which can be mistakenly interpreted as anti-multicultural ideas, actually contain many multicultural values. A further goal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at the biggest challenge, the balance of "diversity" and "unification", which western multiculturalism theory has been unable to resolve can actually be accomplish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I-ch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a general discussion rather than a fully developed discussion of the application of theory.

      • KCI등재

        유교(儒敎)의 국가윤리(國家倫理) ─ ‘공동체적 자아론’과 ‘도덕적 공동체론’을 중심으로 ─

        張閏洙 ( Jang Yun-su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5 No.-

        유교의 국가론을 정확하게 근대적 국가의 의미로 치환하여 논의하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근원적 담론이 그러하듯이 유교 또한 그 고유의 이념과 사상에서 볼 때 근대적 국가론에 대해 상당한 문제의식과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유교의 ‘공동체적 자아론의 존재론적 특성’과 ‘도덕적 공동체론의 윤리의식’에 대해 논하면서 서구 근대의 욕망적 국가관과는 차별성을 갖는 공동체적 국가관의 기본 이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순서상 먼저 유교 국가론의 존재론적 구조를 이루고 있는 ‘공동체적 자아론’에 대해 해명하였다. 유가철학의 입장에서 자아론을 해석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견해가 바로 ‘공동체적 자아론’이다. 儒學者들은 인간의 존재론적 특성을 공동체적 자아에서 찾았고, 또한 그러한 인간이 마땅히 가져야 할 보편적 덕성으로서 ‘仁’을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仁은 공동체적 자아, 즉 국가의 본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유교의 도덕적 공동체론에 대해 논하였다. 유교의 기본 덕목인 ‘義’를 중심으로 하여 유교국가의 정체성과 존립 근거를 탐색해 보았고, ‘孝’를 통해서는 공동체(국가) 구성원과 통치자의 의무에 대해 천착해 보았다. 그리고 王道政治와 禮治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유교국가는 ‘어떤 국가여야 하는지’(국가의 정체성), ‘어떻게 통치해야 하는지’(통치방법)에 대해 논술하였다. 필자는 이 글에서 중국 역사에 실재하는 국가를 통해 유교국가의 모습을 확인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 중국 역사의 현실에 있어서 과연 이러한 유교국가가 존재했는가 하는 것은 이 글의 의도와 별개의 문제이다. 필자는 유교의 이념을 지향하는 국가라는 의미로 ‘유교국가’를 사용하였고, 근본적으로는 유교적 ‘자아’[我]개념과 연계시켜 유교의 이상적인 공동체 사회를 설명해보고자 하였다. To demonstrate with accuracy of what the theory of the state in confucianism is in terms of modern state is very difficult. But like most other fundamental discussion confucianism concerning with its original idea and thought may give us much of critical mind of the modern theory of the state. In this thesis I treated of 'ontologic characteristic of communal self' and 'ethics of moral community' of confucianism. First, I displayed 'communal self' consisting of ontology of confucian theory of the state. Displaying the theory of self of confucianism the most prominent figure is 'communal self'. Confucian scholars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 in the communal self and stressed 'humanity' as common moral nature which a human should has. So 'humanity' is the true character of the nation, communal self. Next, I dealt with the confucianism ethics of moral community. With the basic virtue of confucianism, 'justice' I studied the identity of the confucian states and with 'filial piety' the duty of the subject and the ruler. And focussing on the idea of the principles of royalty and the righteous government I discussed 'what state should be a confucian nation' and 'how should be ruled a confucian nation'.

      • KCI등재

        오래된 미래, 유교의 가족관과 탈현대적 의미

        장윤수(Jang, Yun-su)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6 No.4

        종래 가족에 대한 연구는 현상의 분석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어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연구수준에서는 가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방향성을 제시하기가 쉽지않다.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우리는 유교의 가족관을 통해 가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미래적 비전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유교의 모든 실천윤리는 가족에서 출발한다. 그러한 면에서 가족은 유교사회의 중심 지위를 차지한다. 유교에 있어서 가족은 ‘도덕적 공동체’이고, 가족의 구성원들은 ‘관계적 자아’로 이해된다. 그러므로 유교에 있어서 가족의 존재 의의 또한 도덕적 행위를 실천하고 보급하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유교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이 갖는 ‘관계’ 의식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러한 의식을 사회나 국가로 확대해 나간다. 우리는 이러한 유교의 가족관에서 인간 소외의 극복과 ‘관계적’ 인성 형성의 긍정적 가능성을 강하게 엿볼 수 있다. 물론 유교의 가족관 안에도 전통시대의 부정적 문화가 잔존해 있고 현대사회에 적용하기에 많은 문제점이 내재해 있지만, 미래지향적인 탈현대의 이념적 가치는 충분히 주목할 만하다. Formerly, the study of family was mainly analytic and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Under this level of study, it"s har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family and to present its objective. From this critical mindset, we tend to get the true character of family through Confucian family values and find the future vision. All practical ethics of Confucianism begin with family. In that sense, family is the center of Confucian community. In Confucianism, family is the "ethical community" and family members are understood as "relative self". Therefore, for Confucianism the purpose of family is to practice and provide ethical action. Confucianism takes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to be very important and extends it to the community and the nation. With this Confucian family value, we can see the positive possibility of overcoming human alienation and relational humanity. In spite of these positive, Confucian family values there are negative traditional culture values and thus there is difficulty in applying it in modern society. Their future-oriented and self-renewal values deserve attention.

      • KCI등재

        百弗庵 崔興遠과 18세기 대구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4 哲學硏究 Vol.90 No.-

        이 연구는 외적으로 百弗庵 崔興遠의 학문 체계와 當 시대인 18세기 대구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한국성리학 특히 영남학파가 지닌 이론적 특징과 실천적 관심을 최흥원과 대구지역의 성리학자들을 통해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최흥원은 18세기 대구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의 학문적 관심은 이론적 논변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한다. 그가 성리학적 순수이론보다는 오히려 心學과 禮學 방면으로 학문적 관심을 집중시켜 나간 것도 내면적 수양을 바탕으로 유학자의 실천적 관심을 충족시키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는 李象靖을 중심으로 한 안동지역의 학자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자신을 퇴계학파의 일원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할 수 있었고, 또한 지역의 후학들을 양성하면서 18세기 대구지역 성리학계의 중심인물로 설 수 있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대구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퇴계학파의 지역적 확산에 대한 좋은 사례를 살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xternally to examine the study of Choi-Heung-Won (1705~1786)’s learning system and the Neo-Confucianism of the 18th century Daegu area. And internally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 and practice inclination of specially Yeong-Nam School out of Korean Neo-Confucianism through Choi-Heung-Won and Neo-Confucianism of Daegu area. Choi-Heung-Won is a best scholar of the Neo-Confucianism of the 18th century Daegu area. His scientific interest had not limited on only theoretical argument, and intended practical moral culture fundamentally. He centralized scientific interest to Simhak and Yehak field preferably than pure theories of Neo-Confucianism. This caused in intention to establish social practice that is systematic with mind-cultivation. He communicated continuously with scholars of Andong area, and could be recognized as a Toe-Gye School’s member. And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the Neo-Confucianism of the 18th century Daegu area educating younger students of Daegu area. We can maintain new interests about Neo-Confucianism tradition of Daegu area that has been hardly observed hitherto through this study, and will can observe a good example about regional spread of Yeong-Nam School specially.

      • KCI등재

        최한기 철학과 현상학의 횡단적 의사소통 - ‘기’와 ‘신체’ 개념의 해체적 독해

        장윤수(Jang Yun-Su)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의 유학자 혜강惠岡 최한기崔漢綺의 철학을 현상학적 시각을 빌려 독해해 보는 데에 있다. 특히 최한기의 기철학과 현상학의 신체론 사이의 이념적ㆍ방법론적 유사성을 읽어 내고자 하였다. 동아시아 전통철학에 있어서 기氣는 세계의 보편성을 논의하기도 하지만 근원적인 점착성을 띠고 있으며, 이理의 철학에 대비해 볼 때 불투명성과 모호성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 때문에 사상사 속에서 오랜 시기 동안 왜곡되게 평가 받아 왔다. 바로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는 현상학의 시각을 통해 기氣의 지위를 회복하고자 한다.<BR>  먼저 기철학의 전형典型이라 평가받는 장재張載의 사상을 통해 기철학이 기본적으로 지향하는 전략을 확인하였으며, 그런 후에 장재와 최한기의 기철학을 초월적超越的 기철학과 내재적內在的 기철학의 이종二種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기철학에 유비類比하기 위해 끌어들이는 두 명의 현상학자, 후설과 메를로-퐁티에게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후설의 현상학은 초월적 현상학으로서 장재의 기철학에 좀더 쉽게 대비될 수 있고, 그리고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은 내재적 현상학으로서 최한기의 기철학에 보다 유사하게 독해될 수 있다. 우리는 장재와 최한기의 기철학 모두에서 근대적 이원론의 독단과 탈근대적 기획이 낳는 혼란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그렇지만 장재보다는 최한기의 경우가, 그리고 후설보다는 메를로-퐁티의 경우가 훨씬 더 우리의 의도에 부합하고 있다.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Chair of phenomenology and Ch"i of Choi Han Gi"s philosophy, we have tried to seek a reconciliation resolving the conflicts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Specifically, based on our interpretations of the "phenomenological metaphor" in Choi Han-Gi"s philosophy, we have tried to seek a possibility of building "an transversal communicative field" between oriental and occidental philosophies. Ch"i is a particular concept Choi Han-Gi"s used to understand human beings and the world surrounding them relatively and dynamically. Likewise, Choi Han-Gi"s Chair is a field of real experiences given a priori as the transcendental ground of the "self and "world". The phenomenological Chair is the channel of "intention" passively functioning before the traditional consciousness vs. world dichotomization. This Chair-monism is the phenomenological key word that can be directly linked to Choi Han-Gi"s philosophy. The one who is closer to Choi Han-Gi"s Ch"i philosophy is Merleau-Ponty rather than Husserl. For Merleau-Ponty, Husserl"s Leib is another name of consciousness. Consciousness, therefore, continues to enjoy its privileged status, and tends to take the form of "transcendental subjectivism". Thus, Husserl"s leibliche Intentionalitaet cannot go beyond the boundary of "intentionality of consciousness". In this sense, Husserl-centered phenomenological thinking has a limitation to be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dualism. Merleau-Ponty sets up an "intentional texture" between "ego" and "alter ego" through the channel of Chair. Therefore, analyzing the discourse about Merleau-Ponty"s Chair can be identifying the relatedness of the phenomenological thinking and the thinking of Choi Han-Gi. We need to correctly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biguity" of Merleau-Ponty"s concept of Chair and "duality" of Choi Han-Gi philosophy"s concept of Ch"i, through which we can find a dynamic tool that can overcome the opposition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nd lead to their reconcil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