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유수면 보정기법을 이용한 3차원 천수유동 수치모형

        장원재,이승오,조용식,Jang. Won-Jae,Lee. Seung-Oh,Cho. Yong-Sik 한국방재학회 2007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A free-surface correction(FSC) method is presented to solve the 3-D shallow water equations. Using the mode splitting process, FSC method can simulate shallow water flows under the hydrostatic assumption. For the hydrostatic pressure calculation, the momentum equations are firstly discretized using a semi-implicit scheme over the vertical direction leading to the tri-diagonal matrix systems. A semi-implicit scheme has been adopted to reduce the numerical instability caused by relatively small vertical length scale compare to horizontal one. and, as the free surface correction step the final horizontal velocity fields are corrected after the final surface elevations are obtained. Finally, the vertical final velocity fields can be calculated from the continuity equation. The numerical model is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simulation of flow fields in a rectangular open channel with the tidal influence. The comparisons with the analytical solutions show overall good agreements between the numerical results and analytical solutions.

      • KCI등재

        전통극과 사실주의

        장원재(Jang, Won-j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5 외국문학연구 Vol.- No.21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ason why the leaders of modern Korean theatre movement neglect to success or recreate the heritage of traditional Korean theatre. The traditional Korean theatre and performances is an important cultural asset which, in spite of their long history and popularity, lost the support of the Korean audience and was almost eradica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Furthermore, during the period of the modern Korean theatre movement, traditional Korean performances were almost completely neglected by the members of the Korean intelligentsia who took the main role in the movement. They considered that there were no theatrical elements which would be either useful or suitable for the modern theatre. Consequently, there was no positive effort to keep the traditional Korean theatre and performances alive, either by reformation of their artistic form or preservation of their essential elements. This meant that Korean intellectuals' concept of modern theatre was totally new a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theatre movement was based on foreign theatre culture without any connection with traditional Korean theatre. The main reason was that the members of the Korean intelligentsia believed the Korean mask dance drama partly reflected the modern spirit of the time but that it was not a type of modern drama which could be used to suggest their ideas and intentions and promote socio-political thoughts. Korean intelligentsia considered there were three essential elements of modern drama. Firstly, modern drama had to find its theme in the reality of contemporary life. Secondly, the playwright ha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ditions, the environment and human life. Thirdly, the playwright had to provide rational criticism or a progressive alternative idea. However, the principles of Korean mask dance drama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modern drama. There was an addition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Korean mask dance drama which meant that the Korean intelligentsia regarded its form as far from the theatrical conventions of modern drama; the first was the role of the musicians and the audience and the second was the concept of theatrical space. The members of the Korean intelligentsia considered that this was an uncivilized theatrical convention which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basic scientific reality. They, therefore, found it impossible to give the modernized audience of the new generation a satisfactory explanation of the changing theatrical space using the principles and theatre conventions of the Korean mask dance drama. They valued it as a primitive theatrical convention rather than a unique and sophisticated theatrical style, and refused to accept it for their modernized performance.

      • 2002 FIFA 한 · 일 월드컵을 통한 사회 · 문화적 성과 및 스포츠 문화 발전을 위한 향후 과제

        장원재 ( Jang Won-jae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인문학연구 Vol.35 No.-

        The main topic of this dissertation is Socio-cultural Contribution of 2002 FIFA Korea-Japan World Cup and Development Plan for Sports Culture. The main areas of discussion are the following. First, the reasons why the Korean society having been exited during the World Cup period. So-called street spectators, those who embark new-trend and new-type of football culture, increased up to 7,000, 000 for Korean teams semi-final against Germany, however, football was not the most favourite sports before 2002. For this reason, the second area of discussion is those elements of World Cup which particularly appealed to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process of organising street-spectator culture, Korean people changed the original shape of football supporting culture according to their socio-cultural needs. Therefore, the third area of discussion is how the Korean people used World Cup. Finally,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and meaning of the World Cup will be examined. The dissertation consists of four parts. Chapter I is an introduction. The points covered in the main section of the introduc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society and football will be provided. The football passion in Korea during the 2002 World Cup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cio-cultural situation in Korea during the same period. In addition, the features of the concept of football in modem Korean society will be discussed, as i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o-cultural and socio-political movements during the contemporary period. The discussion in chapter II is based on Korean articles concerning 2002 World Cup which were published during the June 2002. In this chapter, a part of Korean articles concerning World Cup will be provided. This will be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most important articles. In chapter III, the process of importation, adaptation and assimilation of World Cup into the Korean society will be traced. A further area of discussion will focus on which examples of World Cup were chosen and how they were altered and interpreted from a Korean perspective. Chapter V is the conclusi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World Cup and football's impact on Korean society during the 2002 World Cup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DCGAN을 이용한 잡육에서의 바늘 검출

        장원재 ( Won-jae Jang ),차윤석 ( Yun-seok Cha ),금예은 ( Ye-eun Keum ),이예진 ( Ye-jin Lee ),김정도 ( Jeong-do Kim ) 한국센서학회 2021 센서학회지 Vol.30 No.5

        Usually, during slaughter, the meat is divided into large chunks by part after deboning. The meat chunks are inspected for the presence of needles with an X-ray scanner. Although needles in the meat chunks are easily detectable, they can also be found in trimmings and meat offals, where meat skins, fat chunks, and pieces of meat from different parts get agglomerated. Detection of needles in trimmings and meat offals becomes challenging because of many needle-like patterns that are detected by the X-ray scanner.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learning the trimmings or meat offals using deep learning. However, it is not easy to collect a large number of learning patterns in trimmings or meat offal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e use of deep convolu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DCGAN) to create fake images of trimmings or meat offals and train them using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 KCI등재

        숀 오케이시(Sean O`Casey)와 유치진(柳致眞)의 영향관계 연구-유치진의 평문 「숀 오케이시와 나: 내가 사숙하는 내외 작가」를 중심으로

        장원재 ( Jang Won-jae ) 국제어문학회 2004 국제어문 Vol.32 No.-

        The main aim of this chapter is to clarify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impact of a Korean article concerning Irish drama and theatre that were written and published in 1935. Yoo, Chi-Jin`s `Sean O`Casey wa- Na: Naega Sasookhanun Naeoui Jakga (Sean O`Casey and I: The playwright who guided my way)`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ticles for many reasons. At the start of the article, Yoo, did not hesitate to confess to Sean O`Casey`s influence on his plays. Considering Yoo, Chi-Jin was the central figure of the modern Korean theatre movement from the 1920s onward, it can therefore be said that O`Casey`s drama and his philosophy widely influenced the modern Korean theatre movement through Yoo, Chi-Jin, and this article providesclear evidence. Furthermore, Yoo, Chi-Jin regarded his plays as creative adaptations of O`Casey`s masterpieces rather than his own original work. He even revealed O`Casey`s influence on him more clearly by comparing the characters in his plays with those of O`Casey. The most significant point is that Yoo, Chi-Jin`s admiration for Sean O`Casey was not merely limited to his technical achievements but approached total intimacy with his work. In his autobiography, Yoo, confessed that he felt strong sympathy with O`Casey`s view of life, philosophy and even political ideology. Yoo, Chi-Jin found an ideal example of how to deal with nationalistic themes and how to dramatise a political creed in O`Casey`s drama. Despite its ceaseless effort, the modern Korean theatre movement in the early 1930s mainly appealed toa small group from the urban intelligentsia while not attracting the wide support the leaders had expected. Yoo, Chi-Jin accepted that the responsibility for this situation mainly belonged to the Korean dramatists who did not attract the audience through their drama. Yoo, Chi-Jin understood that most Korean dramatists had no concept of differentmethods of expression in the theatre such as acting, scenery and sound effects. This meant that theyput all their effort into writing plays and as a result the majority of the Korean dramatic texts were written without considering stage mechanisms. As a dramatist who had acting experience, Yoo, Chi-Jin emphasised the necessity of practical training for the Korean dramatists in order to produce successful drama. To Yoo, Chi-Jin, this was the most urgent task in the efforts to improve modern Korean theatre.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한국 근대극 운동의 양상

        장원재 ( Jang Won-jae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 No.-

        이 논문은 한국 근대 문화 형성기의 외국 문화 수입 과정에 초점을 맞춰, 학문적 방법론으로서의 상호문화주의를 고찰하며 그 의미와 유용성을 검토하는 글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정밀하게 드러내는 현상으로서 식민지시대 한국 연극운동에 주목하기로 한다.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는 문화/문학 교류의 양상을 연구하는 여러 학문적 분석틀 가운데 하나이다. 이 이론의 가장 큰 특징은 수용자를 중심에 놓고 제반 문화현상을 분석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문화 교류의 전개과정에 주안점을 두지 않고, 문화교류를 촉발한 가장 큰 동인이 수용자의 사회문화적 상황이라는 전제하에 논의를 전개한다는 뜻이다.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활발한 문화교류는 20세기 초반 이래 계속되어온 범세계적 현상으로, 당대의 전형적 시대정신의 반영이라고도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보자면, 한국의 근대극 운동 역시 연극적 상호문화주의, 즉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연극들이 서로 타국의 연극적 전통성을 자국의 창작물에 적극적으로 이식하는 경향을 보이는’ 현상의 한 편린이라고 말할 수 있다. 1910년대에 발아하여 1920년대에 본 궤도에 오른 한국 근대극 운동은 정치적으로는 일제로부터의 해방, 사회적으로는 계몽과 교육을 통한 근대 사회 건설이 민족적 급선무라고 자각했었던 일군의 지식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추진했었던 문화 운동이다. 신학문을 제도적으로 학습한 최초의 세대, 그 중에서도 일본 유학생을 중심으로 결성된 근대극 운동의 지도자 그룹은 서양 근대극을 수입하여 한국 근대극의 기반을 구축하려 하였다.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보자면, 한국연극에 끼친 유럽 근대 연극의 충격은 그러므로 단순히 고립된 사건이 아니라 시대정신의 부름에 대한 한국적 응답이었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첫째, 문화적 선택의 문제다. 즉 한국 근대극운동의 주역들과 주류 지식인들이 왜 유럽의 근대극에 대해 그토록 강한 반향을 보였는지 하는 이유, 다시 말해서 한국의 근대극 운동 지도자들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유럽의 근대극을 수입하였는가 하는 문제를 말한다. 둘째, 한국 근대극 운동 지도자들이 유럽의 근대극 중에서도 특정한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수입하였다는 사실이다. 이 ‘특정한 부분’을 유럽의 근대 연극 전체와 대비해서 살펴보면, 한국 지식인들의 선택의지가 어떤 것이었느냐 하는 문제가 보다 선명하게 드러난다. 유럽의 근대극 운동에는 다양한 종류의 예술적 경향과 견해가 복합되어 있다. 하지만 한국 근대극 운동의 주역들은 그들의 사회-문화적 요구에 따라 유럽의 근대극 가운데 특정한 요소들만을 선별적으로 받아들였다. 한국 지식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유럽 희곡의 요소는 어떤 것이었는지를 밝힐 수 있다면, 이 같은 분석을 통해 우리는 유럽 근대극 운동에 대한 한국 지식인들의 이해도와 그들이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자 했는지 하는 총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번역이라는 수입 과정을 통해 유럽 희곡을 한국어로 재창작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근대극 운동 지도자들이 유럽 근대극 작품들을 의도적으로 일부 변형하였다는 점이다. 이 문제는, 한국의 번역가와 극작가들이 자신들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목적에 따라 유럽 연극의 어떤 의도를 가지고 어떤 부분을 수입하여 어떤 방식으로 활용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유럽 근대극을 수입하게 된 사회적 동기, 이를 흡수/소화/재창조한 한국 지식인들의 문화적 역량, 이에 수반하는 비교 문화, 비교 연극사적 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학문적 분석틀로서 문화상호주의가 갖는 의의이자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대한 학문적 해답을 마련하려면 각각의 사항에 대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나, 이 논문에서는 큰 틀에서의 문제제기만을 먼저 해 놓고, 연구 방법론(methodology)으로서 문화상호주의가 갖는 유용성만을 주로 검토하기로 한다.

      • KCI등재

        레이디 그레고리 작 「월출」과 한국어 번역본의 비교 연구

        장원재 ( Jang Won-jae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 No.-

        이 논문은 아일랜드 연극이 한국의 근대 연극에 끼친 영향을 비교 연극사적 관점에서 논구하는 글의 한 부분이다. 1910년대에 발아하여 1920년대에 본 궤도에 오른 한국 근대극 운동은 정치적으로는 일제로부터의 해방, 사회적으로는 계몽과 교육을 통한 근대 사회 건설이 민족적 급선무라고 자각했었던 일군의 지식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추진했었던 문화 운동이다. 신학문을 제도적으로 학습한 최초의 세대, 그 중에서도 일본 유학생을 중심으로 결성된 근대극 운동의 지도자 그룹은 서양 근대극을 수입하여 한국 근대극의 기반을 구축하려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아일랜드 근대극이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영국의 식민지배 하에서 민족적 문화운동으로 출발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획득한 아일랜드 연극 운동을 한국 근대극 운동의 지도자들이 약소 민족 문화 운동의 가장 이상적인 지표로 생각했던 까닭이다. 한국과 아일랜드간의 직접적인 문화 교류가 전무하였고 양국이 지리적으로 격절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대극 운동의 지도자들은 아일랜드 연극에서 문화적, 정치적 동질성을 느꼈으며, 그 결과 20년대와 30년대에 걸쳐 삼십 여 편의 논문과 기사를 신문, 잡지를 통해 발표하며 아일랜드 연극을 한국의 독자들에게 의욕적으로 소개하였다. 그들은 또 레이디 그레고리, 죤 밀링톤 씽, 숀 오케이시 등의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하였고, 그 중 일부 작품을 공연으로 꾸며 무대에 올리기도 했다. 이 논문은, 앞에서 언급한 문화적 선택의 문제, 즉 한국의 근대극 운동 지도자들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아일랜드 연극을 수입하였는가 하는 논점 외에,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첫째, 한국 근대 극 운동 지도자들이 아일랜드 근대극 중에서도 특정한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수입하였다는 점. 이 ‘특정한 부분’을 아일랜드 근대 연극 전체와 대비해서 살펴보면, 한국 지식인들의 선택의지가 어떤 것이었느냐 하는 문제가 보다 선명하게 드러난다. 둘째, 번역 등의 수입과정, 이를 한국어 희곡으로 재창작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근대극 운동 지도자들이 아일랜드 근대극 작품들을 의도적으로 일부 변형하였다는 점. 한국의 번역가와 극작가들이 자신들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목적에 따라 아일랜드 연극을 문화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이야기다. 이 같은 시대적 상황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일랜드의 극작가 그레고리 부인(Lady Gregory:이하 레이디 그레고리)을 둘러싼 한국 연극계의 반응이다. 20년대와 30년대에 걸쳐 아일랜드 연극은 모두 열여섯 편이 번역되었는데 이 중 다섯 편이 레이디 그레고리의 작품이다.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인식한 레이디 그레고리의 문화적 비중과 아일랜드에서의 평가 및 평판이 판이하게 달랐다는 점이다. 아일랜드 연극 운동의 중심에서 행정가 및 후원인 그리고 제작자로서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한 것은 사실이지만 레이디 그레고리는 생전에는 물론, 후대에도 주요 작가로 평가된 사실이 없다. 바꾸어 말하면, 한국 근대극 운동의 지도자들은 그를 아일랜드의 주요 극작가로 인식하였으나, 정작 본인 자신이나 아일랜드의 평론가들은 전혀 그런 방향으로 사고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오해가 빚어진 까닭은 무엇인가.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의 바탕 위에서, 미시적인 분석틀을 사용하여 레이디 그레고리의 단막극 「월출」과 한국어 번역본을 비교 분석한 뒤 원작과 번역본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나아가 의도적/비의도적 오역으로부터 빚어진 문화적 의미를 논구하고, 다른 문화권의 예술적 성과를 흡수/소화/재창조한 한국 지식인들의 문화적 역량, 이에 수반하는 비교 문화, 비교 연극사적 제 문제들을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