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송사형 우화소설의 유형적 본질과 존재 의미

        장예준 ( Jang Ye Jun ) 한국고소설학회 2021 古小說 硏究 Vol.52 No.-

        본 논문에서는 송사의 관점에서 송사형 우화소설의 유형적 본질과 존재 의미를 고찰했다. 먼저 송사형 우화소설은 등장인물 설정, 갈등의 형상화, 이야기 진행 측면에서 우화 기법을 적절히 활용, 변용하였다. 판관과 그 주변 인물들만 사회적 전형성이 뚜렷해지도록 하고, 갈등을 단순화하여 단순한 사건을 통해 집약해서 드러냈다.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서사적 초점이 송사 진행 양상에 맞추어지게 하였다. 송사 진행 양상 형상화 과정에서 원고의 소지, 피고의 공사를 통해 사실과 그럴듯한 논리가 대비를 이루도록 하였는데, 이때 원고와 피고가 각기 다른 전략을 구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증인 심문을 통해 사건의 정황을 파악하려는 모습을 그리기도 하고, 다양하게 벌어지는 뇌물 수수 양상을 포착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송사형 우화소설은 궁극적으로 판관의 자질과 뇌물 수수 문제를 제기하였다. 즉 판관의 심리 원칙 미준수, 판관의 관행적인 형벌권 남용, 판관의 무능과 무성의, 우유부단 등을 폭로하였으며, 뇌물 수수가 조선 후기 이전부터 송사 및 감옥 생활과 관련해 폭넓은 범주에서 관행으로 고착되었음을 꼬집었다. 송사형 우화소설은 18세기 중후반 조선 사회가 형정 사회로 전환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출현하였는바, 송사와 관련하여 백성들의 소박한 기대 지평을 송사 진행 양상의 형상화를 통해 드러낸 유일한 소설 유형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the categorical essence of lawsuit-type fable novels and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their 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lawsuit. First, lawsuit-type fable novels appropriately utilized and altered fable techniques in terms of character setting, conflict embodiment, and story progress. Through this, they let the narrative focus naturally be put on the phase of the lawsuit progress. In the process of the embodiment of the phase of the lawsuit progress, they contrasted fact and specious logic through the plaintiff’s expression of intent and the defendant’s statement of crime, illustrated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of affairs through an examination of a witness and captured various aspects of bribery. Through this, lawsuit-type fable novels ultimately the issues of the judge’s qualifications such as the non-observance of the principle of trial, conventional abuse of penal authority, incompetence and insincerity, and indecisiveness, etc., and conventionally fixed bribery since long ago. lawsuit-type fable novels appeared in the social atmosphere in which the Joseon society in the mid-to-late-18th century moved to a penal administration society, so it can be said that they revealed the people’s simple horizon of expectations related to the lawsuit.

      • KCI등재

        <비평흥보가>의 서지와 비평 연구

        장예준 ( Jang Ye-jun ),최호석 ( Choi Ho-suk )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6 No.-

        본 논문에서는 신자료 현병주의 <비평흥보가>의 서지 사항 및 특성, 평비 의도 및 양상, 평비 특성 및 효과를 살폈다. 천리대학에 소장된 <비평흥보가>는 1923년(4판)에 발간된 것으로, 초판은 1920년에 발간되었다. 이 서적은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수집하였다가 아들인 이마니시 슌주(今西春秋)에게 넘어갔다가 이후 천리대학 도서관에 기증되었으며, 이후 1996년에 영인본의 형태로 국립중앙도서관에 들어와 한국에 공개되었다. 서적 내에 여러 제목이 등장하고 있으나 서적의 내용과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내는 제목인 <비평흥보가>로 명명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현병주는 서문을 통해 작품의 주제가 제대로 구현되고 대중들에게 교훈을 주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흥보, 놀보가 각자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였기 때문임을 주장하였다. 그는 제7회 후반 놀보가 제비 다리를 부러뜨리는 장면까지 작품 서술 내용과 인물의 언행에 대한 미평을 달았는데, 미평은 서술 내용 정리 및 평가, 인물 언행에 대한 감상 및 평가, 독자의 관심 환기 및 궁금증 유발과 해소 등의 양상을 보였다. <비평흥보가>에 기록된 현병주의 미평은 작품 구성 및 서술 기법에 대한 설명이 부재한 것만 빼면, 간략한 정리 방식의 평, 직관적 감상·평가 위주의 평, 선악 인물에 대한 편향된 시선 등 19세기 평비소설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병주가 서문을 통해 드러낸 평비 의도, 즉 악인으로서 놀보의 면모를 강조하는 데는 성공을 하였으나 악인으로서 놀보의 역할을 드러내고 강조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bibliographical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ew Text, Hyun Byungju's Bipyeong-Heungboga, the intentions and aspects of Pyeongbi, an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Pyeongbi. Bipyeong-Heungboga, housed at Tenri University, was published in 1923(4th edition), and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in 1920. It was collected by Imanishi Ryu and passed on to his son, Imanishi Shunzu, who later donated it to the library of Tenri University, and later to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 1996 in the form of a photoprint to show to the public. Although several titles appear in the book, it is reasonable to refer to it as Bipyeong-Heungboga, a title that best reflects the content and nature of the book. In the Preface, Hyun Byung-ju argues that the work's theme was properly realized and the effect of educating the public was achieved because Heungbo and Nolbo played their respective roles well. He gave comments of the work’s narrative contents and characters’ behaviors until the scene where Nolbo broke the Swallow’s leg in the second half of Act 7, and the comments took the form of organizing and evaluating the narrative contents, appreciating and evaluating the characters’ behaviors, and arousing and resolving the reader’s interest and curiosity. It was also found that Hyun Byung-ju’s comments recorded in Bipyeong- Heungboga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19th-century popular novels, such as brief summaries, an emphasis on intuitive appreciation and evaluation, and contrasting views of good and evil characters. Finally, it is also found that Hyun Byung-ju succeeded in emphasizing the intention of Pyeongbi through his Preface, i.e., the aspect of Nolbo as an evil person, but failed to reveal and emphasize Nolbo’s role as an evil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