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자기가치감 변화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장신재(Cin-Jae Chang),조자영(Ja-Young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및 자기가치감 변화와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2012)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및 자기가치감은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일자리사업 참여만족은 경제상태만족과 자기가치감을 통하여 삶의 질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또한 경제상태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가치감이 간접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향후 노인일자리사업 수행에 있어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economic condition satisfaction, change of self-worth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of the ‘2012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Surve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job satisfaction, economic condition satisfaction, change of self-worth had positive effects to quality of life. The job satisfaction had mediator effect to quality of life through economic condition satisfaction and change of self-worth. Also, change of self-worth had indirect effect between economic condition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Elderly Employment Program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 KCI등재

        빈곤과 가족구조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장신재(Chang, Cin Ja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빈곤, 가족구조 및 방임과 공격성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이론에 근거하여 빈곤, 가족구조는 공격성에 대해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방임을 통한 매개효과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3차년도(2013) 자료를 토대로 초등학교 6학년생 아동 총 1,92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에 대해 빈곤, 가족구조, 방임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곤과 가족구조는 방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빈곤, 가족구조는 방임을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verty, family structure, neglect and aggression. Based on related theories, the hypothesis was made not only poverty and family structure had direct effects to aggression but also had mediator effects through neglect.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1,929 elementary school students(6th grade) from the data of the third ‘2013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overty, family structure and neglect had positive effects to aggression. Second, poverty and family structure had positive effects to neglect. Finally, poverty and family structure had mediator effects through neglec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 KCI등재

        여성노인의 가족부양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장신재(Chang, Cin-Jae),양혜원(Yang, Hae-Wo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2019년 공개된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여성노인의 가족부양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가족부양부담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조사대상자 중 65세 이상 여성노인 3,023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변수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노인의 가족부양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방법, 소벨 검증(Sobel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 여성노인의 가족부양부담이 우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부양부담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우리나라 여성노인 우울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다각적 측면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한다. 특히 여성노인의 우울에 개입하는 과정에서 가족부양부담과 같은 가족문제와 자기효능감과 같은 자기인식을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care burden on the depression of elderly wome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are burden and depression by using 13th Korean Welfare Panel data.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3,023 women over 65 years of age among the 13th Korean Welfare Panel data and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1.0.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mily care burden of elderly women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the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are burden and depression. Conclusion :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of the elderly women need to be established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amily care burden and self-efficacy as important factors in the process of intervening in depression of elderly wom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성역할 인식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장신재(Chang, Cin-Jae)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9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2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성역할 인식과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고, 성역할 인식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에 공개된 제12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 고, SPSS Statistic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 보면, 노인의 성역할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 인식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우울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평등적인 성역할 인식을 갖고 있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아 지며, 우울이 낮아질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평등적인 성역할 인식,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과 이에 따른 가족관계의 양상변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through examining the effect of gender role awareness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gender role awarenes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4,957 Korean elderly from 2017 Korean Welfare Panel Data.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for mediating effects analysis using SPSS 22.0.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gender role awar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dep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gender role awareness and depression need to be emphasized as a intervention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신재(Cin Jae Chang),이시연(Si Yeon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9 No.-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effects of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s on the mental health of social workers.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ocial worke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Seoul on the date of April 2007. The 218 answers (83.8%) out of total 260 data distributed for one month between April 20 and May 20 2007 have been retrieved and 208 answer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urnout brought a negative effect and the well facilitated working environment was a positive factor on the improvement of the mental health of social workers. The interactive factors between burnout and working environment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showed that stability and promotion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In conclusion, stable working environment and systematic promotion system could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 of burnout on the mental health of social workers. This study found out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burnout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working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worker s mental health.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있어서 소진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업무환경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조사는 2007년 4월 현재 서울에 위치한 사회복지기관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2007년 4월 20일부터 5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0개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218개가 회수되어 208개의 사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소진이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검증되었고, 업무환경은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업무환경의 상호작용 효과가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한 결과, 업무환경 변인 중 안정감과 승진 요인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소진이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안정적인 업무환경을 조성하고 체계적인 승진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진을 예방하는 것과 더불어 업무환경의 질을 높이는 일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여성노인의 가족부양부담이 가족갈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장신재(Chang, Cin Jae)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가족부양부담과 가족갈등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복지패널 13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 여성노인 3,023명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에 대한 부양부담이 크다고 인식할수록 여성노인이 인식하는 가족갈등의 수준은 높아졌다. 둘째, 가족부양부담과 여성노인의 가족갈등 간의 관계에 있어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가족부양부담이 가족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가족갈등과 같은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한 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를 다각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burden and family conflict among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f age in Korea. To this end, we used data from the 13th year of the 2018 Korea Welfare Panel, and 3,023 women aged 65 or older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22.0. Firs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demographic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research variables. Seco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of Baron & Kenny"s hierarchical regress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amily support burden on the family conflict of the elderly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influence between the family support burden and the family conflict has a significant effect depending on whether it is self-efficacy or not.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burden of support for the family,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conflict perceived by older women. Second, self-efficac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burden and family conflict among elderly wome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less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burden on family confli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in various ways as a major factor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 such as family conflict among the elderly.

      • KCI등재

        부모의 방임과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 관계에 미치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장신재(Chang, Cinjae),양혜원(Yang, Haewo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과 관련된 변수로 부모의 방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을 선정하였으며, 이 중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이 부모의 방임과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모형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방임,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과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 간 인과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을 제외한 다른 변수들은 휴대전화 의존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방임과 사회적 위축과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방임과 휴대전화 의존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복지 관련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odel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was expected to be mediated by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A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KCYP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neglect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Second, parental neglect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self-esteem. Parental neglect was also found to have effects on social withdrawal. Finally,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 of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However social withdrawal was not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 of them.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to decreasing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were made.

      • KCI등재

        노인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역할 인식, 우울, 가족갈등대처전략을 중심으로

        장신재 ( Cinjae Chang ) 대한범죄학회 2020 한국범죄학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9년 공개된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의 성역할인식, 우울과 가족갈등대처전략을 통하여 문제음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와 경로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에 활용된 연구대상자는 제13차 한국복지패널 조사데이터 중 65세 이상 노인 4,89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WPA Statistic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을 시행하였고, 주요 변수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성역할 인식을 선정하였으며, 매개변수는 우울과 가족갈등대처전략을 선정하여 성역할 인식에서 음주문제에 이르는 경로와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노인의 성역할 인식, 우울 및 가족갈등대처전략과 음주문제 간의 인과관계에서 각 변수들은 음주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성역할 인식은 우울과 음주문제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고, 가족갈등대처전략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우울이 높을수록, 가족갈등대처전략이 부정적일수록 음주문제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우울과 가족갈등대처전략과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성역할 인식은 우울을 매개로 하여 음주문제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따라 인의 음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신보건 차원의 개입과 함께 우울을 예방하고, 가족 간의 갈등해결 및 관계 개선 등을 위한 구체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고, 지역사회 노인의 위험음주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기존의 2차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기 때문에 보완되지 못한 몇 가지 제한점들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여 노인의 음주문제 관련 정책적 지원과 프로그램 연구·개발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route of how the elderly’s gender role recognition, depression and family conflict response strategies affect problem drinking using data from the 13th year of the Korean Welfare Panel released in 2019. The study subjects used for the analysis used the data of 4,891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among the 13th Korea Welfare Panel survey data, and analyzed using SWPA Statistics 22.0.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affecting the problem drinking,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gender role recognition, and as the parameter, depression and family conflict strategies were selected to understand the path and structure from gender role recognition to problem drinking.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gender role perception, depression and family conflict strategies, and the problem drinking, each variable directly affected the problem drinking. Gender role perception showed positive (+)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d problem drinking, and negative (-) significant effects on family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In addition,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the negative the family conflict strategies, the more positive (+) effects were on the problem dr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family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was positively significant. The recognition of gender roles indirectly influenced the problem drinking through depression.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drinking of the elderly, it is urgent to develop a specific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depression along with mental health intervention, resolve family conflicts and improve relationships, and continuously monitor the state of risk drinking of elderly people in the community. The system must be built. Since this study used the existing secondary data for analysis,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at could not be supplemented. By supplementing these point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policy support and program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the problem drinking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