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체에 대한 결속감과 고독감

        장수지(Chang, Su-Jie),김수영(Kim, Soo-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유형의 공동체(지역사회, 활동모임, 가상공동체)의 속성을 파악하고, 이들이 각각 개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설문조사는 20~50대 43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공동체의식 가운데 활동모임에 대한 공동체의식이 나머지 두 공동체의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활동모임과 지역사회에 대한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고독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활동모임공동체의식의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체에 대한 심리사회적 결속양상은 군집분석을 통해 지역사회-활동모임-가상공동체에 대한 공동체의식의 높음(high), 보통(middle), 낮음(low) 수준에 따라, MMM, LHL, LLL, HHH의 네 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은, LLL에 비해 나머지 유형의 경제적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동체에 대한 결속유형과 고독감 간의 관계에서, 보통 수준의 공동체의식을 보유하는 MMM에 비해 HHH, LHL은 고독감이 더 낮게, LLL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자발적 선택에 기초하여 구성원 간의 유대를 증진시키기 수월한 활동모임을 활성화시켜, 소속 집단에 대한 심리사회적 결속을 증진시키는 것이 현대사회의 고독과 소외문제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types of community: territorial, activity-based, and cyber-community,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SOC) in the communities and psychological loneliness of community members. A survey was conducted of 432 men and women aged 20 to 50 yea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 was higher in an activity-based community than in the others. Second, higher levels of SOC in the territorial and activity-based communities corresponded to a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loneliness. The effect of SOC in the activity-based community was particularly strong.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individuals’ psycho-social ties with their community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MMM, LHL, LLL, and HHH?depending on the high, middle, and low level of SOC of territorial, activity-based, and cyber-community. Furthermore, compared to LLL, the rest of the types showed a higher economic statu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psycho-social tie to community and loneliness showed that the level of loneliness on HHH and LHL were lower, LLL was higher than MM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activity-based community that encourages individual spontaneity, face-to-fa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 within the activity-based community will advance efforts to overcome isolation and psychological loneliness in modern communities.

      • KCI등재

        다문화 접촉경험에 따른 다문화수용성 : 연령집단 별 분석

        장수지(Chang Suji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접촉이론(Allport, 1954)에 근거하여 다문화에 관한 직접적, 간접적 접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령집단 별로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실시한 2018년도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74세의 성인 남녀 4,000명을 연구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기술통계, 상관분석, ANOVA, χ² 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집단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 긍정 및 부정 미디어접촉, 다문화교육 경험, 외국인 지인 여부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청년층의 경우, 대부분의 직간접적 접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 미디어접촉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다문화 수용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나, 중년층 및 노년층의 경우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부정 미디어접촉의 부정적 효과가 제시되었다. 넷째, 다문화교육 경험은 청년층과 중년층에서는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으나, 노년층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령집단 별로 직간접적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가다름을 확인하였고 연령집단 별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rect and indirect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by age group based on contact theory(Allport, 1954). In this study, 2018 National Multicultural Acceptance Survey data was used, and 4,000 adult males and females between the ages of 19 and 74 were verified as the study subjects.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χ² -squar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ge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multicultural acceptance, positive and negative media contac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oreign acquaintance. Second, in the case of young generation,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direct and indirect contact experiences increase multicultural acceptance. Third, positive media contact had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n all age groups, but negative effects of negative media cont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ere suggested for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Fourth, multicultural education may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enha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the young and middle-aged, but it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in the elder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differ by age group, and the need for a differentiated strategy for each age group was emphasized.

      • KCI등재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 적응과정에서의 개인적 성장

        장수지(Chang, Soo-Ji)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의 성장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 1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후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143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배우자 사별 후 참여자들에게 나타난 중심현상은 ‘우울’, ‘막막함’, ‘생활상의 스트레스’, ‘심리적 위축감’, ‘회한’, ‘홀가분함’ 등의 심리적 반응이었다. 이러한 사별 직후의 심리적 손상정도는 인과적 조건으로서 사별 전의 ‘부부관계’, ‘개인의 독립적/의존적 성향’, ‘사별에 대한 마음의 준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맥락적 조건에는 ‘친밀한 인간관계 구축에 대한 욕구’, ‘독립성 유지에 대한 욕구’가 존재하였다.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에 대한 직시’와 ‘새로운 삶을 위한 노력’이었으며, 이를 촉진, 제어하는 중재적 조건은 ‘사회적지지’와 ‘신앙생활’이었다. 나타난 결과, 즉 성장의 내용은 ‘삶의 의미 찾기’, ‘자존감의 향상’, ‘인간관계의 강화’, ‘포용과 수용’이었다.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 성장의 과정은 시간 순에 따라 ‘슬픔과 절망단계’, ‘끌어안고 나아가기 단계’, ‘성장단계’로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유형분석의 결과, 배우자 사별 후 성장과정은 ‘적극적 변화형’, ‘발전적 적응형’, ‘포용형’, ‘답보형’, ‘원망형’의 5가지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 성장은 노년기에 보편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발달적 위기 이후의 삶의 통합과정으로서, 배우자 사별 직후의 절망을 딛고 일어서 삶의 주체자로서 새로운 삶을 모색하고 더욱 강해진 자아를 발견해 나가며, 배우자를 포용해 나가는 과정”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This study purposes to explore the growing process through spousal bereavement in later life, and to develop the theory. A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 participants were 17 seniors. The analysis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1998), resulted in 143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Range analysis according to paradigm showed that the causal conditions were ‘marital relationships’, 'independent/dependent tendencies’, and ‘emotional readiness for the death of a spouse’, and the phenomena were ‘depression’, ‘hopelessness’, ‘daily stress’, ‘psychological intimidation’, ‘regret’, and ‘sense of being freed’.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affect these phenomena were ‘desire for intimate personal relationships’ and ‘desire to maintain independenc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manage the phenomena were ‘facing reality’ and ‘efforts for construction of the new life’; and the mediating conditions that promote or suppress thes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social support’ and ‘spirituality’. The results were ‘reconstruction of the meaning in life’, ‘increase in self-esteem’, ‘reinforcement of social network’ and ‘embrace and acceptance’. Furthermore, when personal growth after bereavement of a spouse was analyzed focusing on changes over time, the growth process consisted of three steps: ‘sadness and despair’, ‘embracing and moving forward’, and ‘personal growth’. The pattern analyses were performed to typify recurring relations by category, and 5 typ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personal growth after spousal loss is an integrative process in life after crisis, and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despair that immediately follows the death of a spouse, seeking a new life by actively taking control, and discovering a strengthened self.

      • KCI등재

        사별대처의 이중과정모델에 기초한 배우자 사별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연구

        장수지(Chang, Sujie)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Stroebe와 Schut(1999)의 사별대처의 이중과정모델에 기초하여 배우자 사별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심리사회적 특성이 이중대처를 거쳐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를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도출된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사회경제적 수준, 학력, 사별기간)와 심리사회적 요인(사회적 지지, 사별 전 결혼만족도)이 애착대상 상실에 대한 상실중심대처와 사별의 이차적 스트레스에 대한 회복중심대처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쳐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가설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배우자와 사별한 60대 이상의 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사별적응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가설모형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가설모형의 경로 일부가 유의미하지 않았고, 전체 모형의 적합도도 높지 않았다. 따라서 모형을 수정하여 재분석한 결과, 모형적합도가 충분한 수준으로 높아졌으므로 이를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최종모형은 ‘사회경제적 수준, 사별 전 결혼만족도→상실중심대처→심리적 안녕감’의 경로와 ‘성별, 학력, 사회경제적 수준, 사회적 지지→회복중심대처→심리적 안녕감’의 경로로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배우자 사별에 대한 이중과정대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사별적응의 제 영향변수가 사별대처의 이중과정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쳐 현재의 적응 상태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문적으로는 향후 사별연구에서 사별적응과정에서 사별에 대한 일차적 및 이차적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를 구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실천적으로는 두 가지 스트레스에 대해 서로 다른 개입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athways from socio-demographic and psycho-social factors, through the dual process of bereavement cop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 of widowed older adults, based on the dual-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Stroebe & Schut, 1999). The hypothetical model described that the socio-demographic and psycho-social factors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dy had a different effect on "loss-orientation" as coping of loss and "restoration-orientation" as coping of secondary stress, and the dual processes were related into psychological well-being. A survey of 308 widows and widowers(60+) was conducte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ath analysis of the hypothetical model showed that some path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fit of model was also not high. Therefore, the result reanalyzed by modified model indicated the fit of model was high enough to have adopted it as the final model. The pathways of the final model as follows; (1)socioeconomic status(SES), marital satisfaction→ loss-orientation→psychological well-being, (2)gender, SES, education, social support→restoration orientation→psychological well-being. Next, dual process coping had full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tial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bel's test supported the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predictors of bereavement adaptation have different effect on the dual coping processes that lead to th current adaptation. Therefore, primary and secondary stress on spousal loss should be separatively discussed in bereavement adaptation process, and the differentiated practical intervention for two types of stress would be desirable.

      • KCI등재

        배우자 사별노인의 사별 후 성장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장수지(Su jie Cha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성장지향적 관점에서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의 사별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성별에 따른 사별 후 성장의 실태와 영향요인의 차이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배우자와 사별한 남녀 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사별 후 성장, 사별 전 결혼만족도, 성역할정체감(남성성, 여성성), 건강상태(주관적 건강, 우울), 사회참여, 사회적 지지 및 인구 사회학적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별 후 성장에서의 유의미한 남녀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우울은 성별에 관계없이 사별 후 성장의 일부 하위영역에서 사별 후 성장과 관계가 없거나 사별 후 성장을 정적으로 예측하고 있었다. 셋째, 성역할 정체감 가운데 여성성은 남녀 모두에게 사별 후 성장을 예측하는 중요한 영향요인이었으며, 남성성은 여성에게만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참여는 특히 남성에게 의미 있는 영향요인이었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는 남녀 모두에게 가장 강력한 사별 후 성장의 강화요인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사별 전 결혼만족도는 사별 후 성장의 하위영역에 따라 비일관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배우자 사별적응의 새로운 차원으로서의 사별 후 성장의 영향요인에 대한 논의 및 배우자 사별 후 성장수준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f post bereavement growth(PBG) among widows/widowers in later life, in terms of growth oriented perspectiv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actual conditions of PB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8 widows/widowers(aged +60) with questions on PBG, marital satisfaction, gender role identity(masculinity, femininity), health status(subjective health, depression), social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was found in PBG. Second, depression positively predicted PBG or had no correlationship with PBG, regardless of gender. Third, femininity was an important predictor of PBG for men and women, and masculin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on only women’s PBG. Fourth, social particip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especially for men. Fifth, social support was suggested to be the strongest factor for PBG for both men and women. Finally, marital satisfaction had inconsistent effect on PBG.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strategies of intervention for PBG in later life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국이 그려낸 북한여성상 ― 한국전쟁 전후 중국 부련(婦聯) 간행물 『現代婦女』와 『新中國婦女』의 북한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장수지 ( Chang Sooji )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3 No.-

        본 논문은 1949년-1954년 사이의 중국 부련의 잡지에 나타난 북한 관련 기사의 주된 내용과 시기에 따른 특징을 서술했다. 부련의 잡지이기 때문에 북한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한 기사보다는 북한 여성들에 대한 기록, 여성 인물 소개 등이 많다. 그리고 여기에 나타난 여성 인물들은 대부분 전통적 여성상에서 벗어나 있다는 특징이 보인다. 즉 과거의 족쇄를 내던지고 정치적 권리를 행사하고, 사회에서 노동하고 자신들의 조직을 만들며, 남성중심적 사고에 도전하며, 전쟁과 혁명을 위해 투쟁하고, 어떠한 고난에도 남성 못지않게 용감하고 굳건하게 싸우는 영웅들이 주로 묘사된다. 그러나 그들이 겪은 잔인하고 참혹한 경험은 오직 글로만 적히고 사진 등의 이미지에는 밝은 모습만이 보인다. 시기에 따른 변화를 보면 중국에서 ‘항미원조’ 운동이 벌어진 시기인 1950년 10월 전후로 하여 북한에 대한 서술은 변화를 보인다. 1950년 10월 이전의 북한에 대한 서술이나, 양국 여성 교류의 장면에서는 신생 사회주의 국가들의 민주화, 여성과 노동자들에게 주어진 제도적 평등 등에 대한 서술이 보인다. 그러나 항미원조 이후에는 북한 여성들의 직접적인 목소리나 ‘해방된’ 북한 사회의 변화를 서술하기보다는, 북한 혹은 한반도의 전선을 투철한 자기희생과 애국심을 가진 여성영웅을 만들어낼 수 있는 공간으로 재현하게 되었다. 그리고 ‘미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것으로 양국 인민, 혹은 양국 여성은 연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그려졌다. 1953년 후반부터 전쟁 경험을 한 중국과 북한의 여성들이 만나는 자리가 생겨나면서 이들의 관계는 마치 가족과 같이 친밀한 것으로 그려졌다. 다만 이러한 연대감은 ‘반제국주의’, ‘민족독립’ 이외의 사회주의적 여성해방의 전망은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었다. 이는 무엇보다 민족주의적 목표가 최우선시되던 시대적 한계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 of articles related to North Korea founded in the Magazine of ACWF, analyzing its main theme and by period. Since this Magazine was published by ACWF, it much covers the records on North Korean women and the introduction of female figures, rather than general situation of North Korea. The female figures appeared in this considerably reveal the features beyond the traditional image of women. Thus, they were mainly described as hero who threw off shackles, exercised their political right, worked in their society, organized their own institutions, challenged to the male-centric ideology, fought for war and revolution, and were brave enough no less than men. And all the cruel and horribl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women are described only in writing, and only bright-faced characters can be seen in photos. By looking at the transformation by period, its description on North Korea was transformed before and after October 1950 when the Movement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happened. Prior to October 1950, its description on North Korea or exchanges between Chinese women and North Korean women showed the democratization of newly established Socialist states, the institutionalized equality for women and laborers. However, after the Movement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it reproduced North Korea or the Korean peninsula front as a space for making female hero with strong self-sacrifice and patriotism, rather than describing real voice of North Korean women or transformation of the ‘liberated’ North Korean society. At the same time, it depicts that making resistance to ‘the American imperialism’ enabled the people or women of both countries to strengthen the sense of their solidarity. From the late 1953, as Chinese women and North Korean women who experienced Korean War got chances for meetings, their relationship was more likely described as close as family. At least, it is difficult to find prospect of socialist’s women liberation in their solidarity apart from ‘anti-imperialism’ and ‘national liberty’.

      • KCI등재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장수지(Chang Su ji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을 기술적으로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을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유형화한 후,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이때 연령과 성별이 갖는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함의를 고려하여 노인을 4개 하위인구집단(전기남성/전기여성/후기남성/후기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 집단 별 사회적 관계망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자료는 2006년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 기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65세 이상의 노인 4,15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전후기 남녀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 및 기능적 특징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그 각각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는 전후기 남녀노인 모두에게 대체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단, 자녀에 대한 밀착, 의존성은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갖지 않았다.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관계망의 핵심요소로 사회적 관계에서의 활동성, 자녀와의 관계에서의 독립성, 가족관계 만족도라는 심리사회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social network among old people and to analyze how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affect on the elderly's subjective quality of life(QO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population group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of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among sub-population groups. Research utilized the first-year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hich was carried out by Korea Labor Institute, in 2006. Analyses were conducted toward 4.155 seniors over 65 year-old. The results showed that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were different i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regard to the QOL,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male and female on the whole i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However, frequency of contact with and dependency on their children had not positive effect on the QOL. The key psychosocial factors that are essential in social network in old age for improving the QOL were drawn; activity in the social relationship, in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he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건강불평등:

        장수지(Chang, Sujie),김수영(Kim, Soo Young)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3

        노년기 건강문제는 의료적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사회적 조건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건강불평등에 이르는 메커니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경제적 지위(소득 및 교육)와 신체적 건강의 세 차원(의료적 건강/기능적 건강/주관적 건강) 간의 사이에서의 중간기제로서 건강행동, 의료시설 접근성, 사회참여, 사회적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2014년에 실시된 전국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2차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65세 이상 남녀 노인 10,451명으로,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하는 절차에 따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의 건강에 대한 효과가 동일하지는 않았고 건 강의 하위차원에 따라서도 다소 다른 결과가 도출되기는 했지만, 전반적인 결과의 방향은 노인의 사회경제적지위는 건강격차를 야기하고 있었으며, 그 메커니즘은 건강행동, 의료시설 접근성, 사회참여,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한다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교육은 소득보다도 건강에 대한 보다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었다는 점, 사회참여와 같은 사회통합요인의 효과가 부각되었다는 점, 거주지역을 통제한 이후에도 잔존한 의료시설 접근성의 유의미한 매개효과 등은 본 연구의 결과 중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조건으로 인한 건강불평등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Solutions for elderly health issues need to be found that take into account not only a medical perspective, but also interactions with social condition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socioeconomic status leads to health inequalities for the elderl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income and education levels), health activities as an intermediary of the three dimensions of physical health(medical health, functional health, subjective health), accessibility of medical facilities,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network. To test the research model,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2014 National Survey of Senior Citizen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0,451 elderly men and women aged 65 and above. To test the mediated model,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the procedure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n addition,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ed model’s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ffects of income and educational levels on the health of the elderly were not the same. Additionally, different results were found depending on health dimensions. However,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creates health disparities, and health behaviors, accessibility of medical facilities,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network had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physical health. Study findings especially worth noting are as follows: education was shown to have a stronger effect on health than income; effects of social integration factors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were highlighted; an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accessibility of medical facilities remained even after taking residential area into account. Results of this study shed light on health inequality mechanisms due to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the need to find alternatives to alleviate these problems.

      • KCI등재

        노년기 컴퓨터 이용과 사회활동참여 : 전기 노인의 컴퓨터 이용형태에 따른 분석

        장수지(Chang Su-Ji),이재정(Lee Jae-J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컴퓨터 이용과 사회활동참여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컴퓨터 이용실태 파악, 이용형태의 유형화를 거쳐, 컴퓨터 이용형태가 사회활동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 사회활동 종류별 분석을 통해 컴퓨터 이용이 갖는 사회적 속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2009년 부산광역시 노인복지 실태 및 욕구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74세의 전기노인 1,464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컴퓨터 이용용도를 토대로, 노인 컴퓨터 이용자는 “정보탐색/취미형”, “취미형”, “정보탐색/의사소통형”의 3타입으로 유형화되었다. 2) 사회활동참여에 대한 노인의 컴퓨터 이용여부의 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컴퓨터 이용유형 가운데 “정보탐색/의사소통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더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활동별 분석을 통해, 다른 유형에 비해 “정보탐색/의사소통형”은 사회적 관계망의 유지 및 확대를 지향하고, 조직적, 사회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사회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기 컴퓨터 이용이 사회관계적 함의를 지니며, 궁극적으로는 사회활동참여를 통한 노년기 적응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uter use in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aged 65-74 y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mputer usage patterns, and the effect of the computer use pattern on social particip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social attributes within computer use in detail through different types of social activity analysis. In order to statistical analysis, data from the investigation of elderly welfare conditions and needs in Busan(2009) was used. Findings indicated that 1) the elderly computer users were classified in three types; "information search/hobby-pattern", "hobby-pattern", and "information search/communication pattern". 2) the effect of computer use by the elderly in social participation was positive. 3) the "information search/communication pattern" users tended to actively involve in social participations, and pursued activation and expansion of social networking, seeking organizational and social benefits. Prac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