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나는 긍정적 숭고 연구

        장서란 ( Jang Seo-la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8 국제어문 Vol.0 No.76

        본고의 목적은 백석 시의 주체가 대타자적 상징계가 부여한 정체성에서 벗어나 기억의 신화와 욕망의 신화라는 과거와 미래의 두 축을 통하여 정체성을 형성하는 긍정적 숭고의 주체임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긍정적 숭고는 변증법적인 부정적 숭고와 달리 구분을 무화하는 상상계적 숭고이다. 상상계적인 긍정적 숭고는 구분을 무화하며 퇴행적인 이차적 나르시시즘을 보이는데 이는 백석 시의 전근대적 유년 세계의 모습과 비천한 것(abjection)의 귀환, 유년 세계가 지니는 양가적인 속성을 통하여 나타난다. 상징 질서에 대한 시적 주체의 상상계적 저항은 성인 화자의 경우에도 일관적으로 나타난다. 나아가 초월적 대상을 향한 시선을 통하여 고양된 정체성을 형성하는 “가난”한 시적 주체의 모습은 상상력을 통하여 상징을 이미지로 되돌림으로써 힘에서 벗어나는 긍정적 숭고의 특징을 반증한다.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that the subject found in Baek Seok’s poetry is a subject of positive sublime, who breaks away from its identity granted by the Symbolic of the Other and forms it’s own’s individuality by double axis of past which future, myth of memory and myth of desire. Unlike dialectical negative sublime, positive sublime is an imaginary sublime which eliminates division. Imaginary positive sublime eliminates division and displays regressive secondary narcissism and is illustrated in Baek Seok’s poems by demonstration of premodern childhood, return of abjection, and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Imaginary resistance of poetic subject against the symbolic order is consistent in adult narrator. Moreover, “indigent” the poetic subject forms enhanced self by attention on transcendental object, and this characteristic is a counterevidence for aspect of positive sublime which escape from power by returning symbol back to image.

      • KCI등재

        이상 시에 나타나는 거울-이미지 양상 연구 -거울 시편을 중심으로-

        장서란 ( Jang Seo-lan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0

        본고는 들뢰즈의 논의를 중심으로 거울 시편에 나타나는 거울-이미지의 양상과 이를 바탕으로 구성되는 “책임의사 이상”을 통하여 이상 시의 초현실주의적 정치성을 규명하였다. 거울 시편에서 나타나는 잠재태와 현실태의 식별불가능성은 기존의 진리 체계에 균열을 내고 새로운 사유를 촉발하는 탈영토화의 정치성과 연결된다. 거울-이미지는 기존 세계를 유기적으로 재현하는 기반으로서의 감각-운동 도식을 파괴한다. 실재와 거울상은 서로를 전제하며 반향하며, 타자(여성)-되기를 통하여 주체의 동일성이라는 기존의 진리 체계에 균열을 불러일으킨다. 나아가 시적 주체는 거울상을 진찰하려는 욕망을 통하여 자신의 고통을 외부로 확장시킨다. 진찰은 병환을 전제하며, 이상은 병환이 개인이 아닌 사회에서 비롯된 것임을 숫자와 기호를 통하여 제시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진리 체계인 감각-운동 도식을 파괴하는 비유기적 이미지인 거울-이미지는 현실을 고발하는 동시에 현실을 극복하려는 초현실주의적 정치성을 구현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urreal political nature of the aspects of the Mirror-Image displayed on the mirror poems, centered on the discussion of Deleuze, as well as the “Yi sang the physician in charge” that is constructed based on the Image. The impossibility of distinguishing between potentialities and actualities, which is displayed in the mirror poems, exposes the politics of deterritorialization that breaks into the exisiting truth system and provokes a new thought. The Mirror-Image breaks the sensory-motor schema, which is a base that organically reproduces the existing world. The presence and the Mirror-Image reverberate on the premise of each other, and by the becoming-other(female), a rift is caused in the system of the subject’s identity. In addition, the poetic subject exudes his suffering through the desire to examine the Mirror-Image. The examination is premised on the illness and Yi Sang presents through the numbers and marks that the illness roots from the society level, not the individual level. Therefore, the Mirror-Image breaks the sensory-motor schema that is the preexisting truth system, and simultaneously accuses the present, while revealing the surreal politics that seeks to overcome the present.

      • KCI등재

        이상 시에 나타나는 시간-이미지 양상 연구 -「삼차각설계도」 연작을 중심으로-

        장서란 ( Jang Seo-la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1 No.-

        본고는 이상의 연작시 「삼차각설계도」에 나타나는 시간-이미지가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기 위하여 반(反)시대적 개념의 생성을 목표로 삼는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의 정치성을 구현함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상 시에 제시되는 ‘미친 시간’에 대한 긍정적 사유는 세계의 바깥을 보기를 종용하는 초현실주의적 정치성의 한 방편이다. 「삼차각설계도」 연작에서는 감각-운동 도식에서 붕괴된 순수한 시간-이미지가 반복적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시간-이미지는 주체의 동일성을 파괴하는 타자-되기의 차원에서 거짓의 역량을 발휘한다. 이는 '도래할 민중'의 창안을 촉발하는 '이야기 꾸며대기'이다. 시적 주체는 명령의 형태를 지닌 수행문을 통하여 ‘도래할 민중’인 “사람”을 향하여 ‘미친 시간’으로 나타나는 시간-이미지에 대한 사유를 촉구한다. 이는 이상시의 탈영토화적 정치성, 새로운 민중을 창안하려는 욕망으로서의 사회적 실천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that time-image in Yi Sang’s “the third angle design” is the politics of deterritorialization, which aims to generate anti-era minds in order to create new future. The positive reason for the “crazy time” presented in Yi Sang’s poetry is the surreal politicality looking out of the world. In “the third angle design”, pure time-image that destroyed sensory-motor schema is repeatedly presented. These time-image shows competence of fabrication in the dimension of becoming the other that breaks the identity of the subject. This is a “fabulation” to create the “people to come”. The poetic subject urges the reason the time-image displayed in the “crazy time” toward the “people” who are the “people to come” through a performative sentence in the form of a command. This implies the politics of deterritorialization in Yi Sang’s poetry, suggesting the social practice of the desire to create a new people.

      • KCI등재

        정현종의 나무 시편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자아 형성 연구

        장서란 ( Jang Seo-la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3 No.-

        본고의 목적은 나무 이미지와 전복적 상상력을 통하여 정현종 문학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자아 형성 양상을 밝히는 데에 있다. 정현종의 나무 시편은 나무의 수직성과 순환성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나무는 자신의 초월적 수직성을 통하여 땅과 하늘의 구분을 무화시킨다. 나아가 나무는 자연을 품음으로써 무한으로 확장되어 우주적 순환고리로 제시된다. 또한 나무의 ‘삼킴’ 이미지는 요나 콤플렉스를 자극한다. 나무가 지닌 초월적 수직성과 순환성은 인간을 편입시킬 수 있는 능력이자 인간이 그 순환에 편입하려는 본능적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귀환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귀환의 이미지는 ‘집’의 이미지와 결합됨으로써 강화된다. 인간이 나무의 순환에 편입하기 위해서는 “환골탈태”로 나타나는 ‘깨달음’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시인은 전복적 상상력을 통하여 나무의 정태성을 재의미화한다. 이는 나무를 실용적인 측면에서 주목하던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나무를 나무 그 자체로 바라보려는 시도이자 전지구적 순환에 편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정현종의 나무 시편이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생태심리학이 추구하는 바, 즉 개인의 생태학적 인식을 배양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er to the formation of the ecological ego displayed in Chong Hyon-jong through the image of trees and the subversive imagination. The tree series-poems of Chong Hyon-jong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verticality and circulatiry of the tree. Tree atomizes the heavens and the earth through their transcendental verticality. In addition, the tree is presented to the circulation ring of the universe, which stretches nature infinitely. Also, the image of "swallowing” of the tree stimulates the Jonah complex. It is the ability of a tree to incorporate a transcendental verticaluty and circularity human being, and has an image of return that evokes the instinctive desire of human beings to incorporate into that circulation. These images of return are made by combining with the image of the "house” In order for human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circulation of trees, the "enlightenment” displayed in “Hwangortartae” is necessary. Therefore, the poet beautifies the tree’s stationariness through subversive imagination. This shows the possibility of breaking away from anthropocentrism and incorporating it into the interest cycle in an attempt to confirm the existence value of trees. From thi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wood fragments of the tree series-poems of Chong Hyon-jong are pursued by ecopsychology from anthropocentrism, that is, to cultivate individual ecological percep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