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시설의 흥미영역 계획을 위한 한국과 미국 유아놀이의 유형과 집중시간 비교

        장상옥(Jang Sang-Ock),로레인 맥스웰(Lorraine E. Maxwell)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y areas of day care centers, children's types of play and attention time between Korea and USA. Observation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Eighty-three children, ages 38 to 62 months, were observed for five minutes, three times in total during an indoor free play period in Korea and USA in 2003 and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number and kinds of activity areas in Korean day care centers were fewer than USA, and the areas were also not physically well-defined. In cognitive play category, Korean children participated in more constructive play compared to American children who were involved in more functional, dramatic, and educational play. The cognitive play category became more diversified when the numbers of activity areas were increased. The play attention time of Korean children was shorter than American children's. In Korean day care center, as the floor space of the class increased, the play attention time was also increased. American children's play attention times were longer because the ratio of children to the number of activity areas in the classroom was low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en designing day care centers, the number and kinds activity areas in the classrooms should be increased.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연구의 동향

        장상옥(Jang, Sang 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연구의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연구 동향을 연구 연도, 연구유형, 자기효능감 종류, 측정도구 및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00년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32종에 게재된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관련 논문 77편이다. 연구 결과,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는 2000년대에는 매우 미미하였으나 2010년대 전반부터 다소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0년대 후반에는 비교적 활성화되었다.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압도적이었으며 혼합연구는 매우 적었고 질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양적 연구에서 조사연구는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였으나, 실험연구는 답보상태이었다. 자기효능감의 종류는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같은 특정 자기효능감보다 많았다. 측정도구는 연구자 개발도구가 외국 도구의 번안 및 재구성 도구에 비하여 더 이용되었다. 연구 주제는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80.5%)가 상당수를 차지하였고,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연구(19.5%)는 저조한 경향이었다.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하여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들에 대한 분석과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tudies related to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research year, research type, self-efficacy type, measurement tool, and research theme. The subject of analysis was 77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from 2000 to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an average of 3.9 self-efficacy studi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were published annually for 20 years. The studies were very small in the 2000s, but began to increase somewhat in the first half of the 2010s, and were relatively large in the late 2010s. As for the research type, quantitative studies(97.4%) were overwhelming, mixed studies(2.6%) had a low weight,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not conducted. In quantitative research, research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but the rate of increase in experimental research has not been high. The types of self-efficacy were higher in general self-efficacy than in the study of specific self-efficacy such as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s a measurement tool, the researcher s developed tool was used more than the tool for r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foreign tools. The theme of the study was many studies of variables related to self-efficacy, and the study of programs to promote self-efficacy was insufficient. The need to analyze the variables related to self-efficacy and develop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re discussed in order to promote the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 KCI등재
      • KCI등재

        연구 동향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경향 분석

        장상옥(Jang Sang 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동향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경향을 연도, 학술지, 분석 자료, 분석 기준, 연구 주제에 따라 분석하여 동향 연구 시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RISS와 KISS를 통하여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16일까지 관련 주제어를 검색한 후 유아교육학, 아동학 및 교육학 분야의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21종에 200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 183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동향 관련 유아교육 논문은 2007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하여 2012년 이후 최근 5년간은 60% 이상을 차지하여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를 가장 많이 선정하였고, 분석 편수는 100-199편대, 분석 기간은 10-19년이 가장 많았다. 분석 기준의 개수는 5-6개가 가장 많았고, 분석기준의 종류는 연구 연도, 연구 유형,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방법, 자료 분석 방법의 순으로 많이 선정하는 경향이었다. 연구 주제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교수 · 학습방법, 교사교육, 발달심리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고, 철학 및 역사, 교육평가, 교육환경, 부모, 교육정책 및 복지 주제는 미흡한 경향이었다. 유아교육 연구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하여 미흡하게 다루어진 연구 주제에 대한 동향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 publishing year, journals, analysis subjects, analysis standards, and research them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er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retrieved through RISS and KISS from May 1, 2017 to May 16. 183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6 were selected from 21 KCI journals in the fiel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 studies,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argest number of analysis subjects were KCI journals. The number of analysis subjects was 100-199 and the analysis period was 10-19 years. The number of analysis standards was the highest in 5-6, and the types of analysis standards were selected in order of publishing year, research type, themes research subject, data collection method, and data analysis method. The themes of this research were mostly in the order of curriculum & programs, teaching & learning methods,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The number of themes on philosophy & history, education evaluation, parent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 policy and welfare was small. In order to develop balanced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lated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rend study on research topic which is researched poorly.

      • KCI등재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분석 연구의 동향

        장상옥(Jang, Sang-Oc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술지에 게재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분석 연구의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동향을 분석하여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연구의 방향 모색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2012년부터 2016년 12월까지 학술지에 실린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논문 102편이었다. 연구 결과,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분석 연구는 2012년에 시작되어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매월 2편 이상, 2016년에는 매월 1편 이상으로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다. 연구 대상은 누리과정 3, 4, 5세용 교사용 지도서와 5세 교사용 지도서가 가장 많았다. 누리과정 구성 방향의 중점사항에 따른 연구 주제는 누리과정 5개 영역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사람과 자연 존중, 인성 순으로 많았으며, 창의성, 우리 문화 이해, 연계성 연구는 적게 나타났다. 누리과정의 구성 방향에 명시된 기본생활습관과 자율성 관련 교사용 지도서 분석 연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누리과정 중점 사항을 미흡하게 다룬 연구 주제들은 향후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seeking the direction of developing research on Nuri curriculum guidebooks by analyzing the trend of review studies of teacher’s guidebook on Nuri curriculum published in journals looking at their publishing years, research subjects, and themes. Research subjects were 102 papers registered in KCI from 2012 to 2016. As a results, review studies of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that has started in 2012 is continuously being researched, more than 2 papers per month from 2013 to 2015, and more than 1 paper per month since 2016. Majority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teacher"s guidebooks for 3-5 years olds and 5 years olds. Research themes related to Nuri curriculum direction were mostly concentrated on 5 fields in Nuri curriculum, followed by respect towards people and nature, and creativity, understanding our culture, and continuity studies were least covered as research themes. There were no analytical researches related to basic life style habit and autonomy which were stated in Nuri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Such insufficiently covered research themes should be studied more later.

      • KCI등재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교육과정 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장상옥(Jang, Sang 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분석 연구의 연구 동향을 연구 연도, 분석 대상, 분석 영역, 연구 주제에 따라 분석하여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분석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0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125편이다.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분석 연구의 연도별 동향을 보면, 2006년 이전에는 미미하게 이루어졌으나 2007년과 2013-2014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2016년부터 하향세를 보였다. 분석 대상은 국내 교육과정 연 구 대 국외 교육과정을 포함한 연구는 3:1 정도로, 주로 국내 유치원 교육과정, 국내 유치원 교육과정+초등학교 교육과정, 국내 유치원 교육과정+국외 유아교육과정, 국외 유아교육과정 순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영역은 네 개 이하의 분석 영역을 선정한 연구가 많았는데 교육내용은 대다수의 연구에서 분석되었고, 교육목적 및 목표, 교수ㆍ학습방법, 내용체계, 영역의 교육목표는 1/3 내외로 분석되었다. 연구 주제에서는 비교 분석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이어서 연계성 분석 연구, 변천 분석 연구, 단독 분석 연구의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시기별로 단독 분석, 비교 분석과 변천 분석 연구는 2007-2011년에, 연계성 분석 연구는 2012-2017년에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각 연구 주제별로 논의를 전개하고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분석 연구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analysis study of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tudy year, analysis subject, analysis area, and research themes. The subject of the analysis was selected from 125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List from 2000 to 2017. The trends in the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were small, before 2006, and the most in 2007, 2013-2014 and downward since 2016.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the domestic curriculum versus the study which included the foreign curriculum became 3:1. It is mainly composed of domestic kindergarten curriculum, domestic kindergarten curriculum + elementary curriculum, domestic kindergarten curriculum + overseas infant curriculum. The analysis area were four or less analytical area. The content of education was analyzed in most of the studies,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goa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tent system,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domain were analyzed to be around 30%. In the research themes, comparative analysis was the most performed, followed by the continuity analysis study, the transition analysis study, and the single analysis study. The single analysis study, comparative analysis, and transition analysis studi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in 2007-2011, and the continuity analysis studie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2012-2017. Each research theme have been discussed, and suggested the activation plan on the study of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집 실내놀이 영역 계획을 위한 유아의 놀이행위 관찰 연구

        장상옥(Jang, Sang-Ock),신경주(Shin, Kyung-J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6

        As the population of preschooler increases with the increment of employed women today,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 is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reschooler as well as home environment. In order to create a suitable and desirable day-care environment for preschoolers, the using behavior of the preschoolers, who are the main users, needs to be applied to the spacial design. In this research, play preference area of Korea and United States which have different physical environments are analyzed. Child behavior observation analysis technique, interview with the teacher in charge, floor plan and furniture arrangement plan of the day-care centers and photography were performed for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63 preschoolers of 50 months old who are using Korean and American day-care centers and play of five minutes per preschooler was filmed for 3 days. Total of 189 motion pictures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As a result, the physical environment, programs, preference area and finally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were clarified for each countries’ day-care center. The Korean preschoolers preferred the block area most, the second most favorite area being art for the younger class and language for older class. According to the gender, girls preferred language area while boys chose block area. On the other hand in American preschoolers’ case, due to the large variety of play area, the play preference was distributed among various area except several high preference area. Based on this research, when designing indoor play area of day care centers, the area of block, language, and art which are popular play pre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firsthand, and gender preference is also needed to be thought of. These results may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for planning the day care center play area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본의 초ㆍ중학교 주생활 학습내용 분석을 통한 새로운 관점 도출

        장상옥(Jang Sang ock)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3

        This research analyzes contents of the ‘Housing Unit’ of home economics texts 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y Japanese 2008 revised curriculum. The research result an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housing unit of elementary school discussed four education contents: arranging and organizing, disposing garbage and recycling, pleasant summer, and warm winter. These units focus on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be capable of 1) arrange and organize their personal space, 2) live eco-friendly by cleaning up and recycling, and 3) spend pleasant summer and winter by saving energy. Activity references such as measurement of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can strengthen the understanding of indoor environment and practi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needs for revision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housing unit and sufficient activity materials that can intrigue elementary level students while developing Practical arts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Second, the housing unit of Japanese middle school lacked in educational contents compared to Korean 2007 revised curriculum. The main contents focused on 1) being familiar to the function of residence, 2) thinking the residing means that best suits the family lifestyle, 3) leading safe and pleasant dwelling life, and 4) raising ability to studying the dwelling habit matching his or her lifestyle. The lifestyle independence checklist which appears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is worth referring due to the fact that it connect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lso the contents concerning traditional culture and disaster preparation is strengthened, thus well reflecting the national and social needs of Japan. The activity materials that deals with measur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noise pollution level in classrooms is evaluated in that it can help intensify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lass contents and actual practice in real life. Contents organization that can accurately assess and reflect our national and social needs and intensify the intelligibility of the lecture contents is needed while developing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이 연구는 일본의 2008년 고시 학습지도요령에 의한 초 ․ 중학교 가정교과서 주생활 영역의 학습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과서의 주생활 영역은 ‘정리 ․ 정돈’, ‘청소와 쓰레기 처리, 재활용’, ‘쾌적한 여름’, ‘따뜻한 겨울’의 4개 학습내용을 다루어 다양하고 많았으며 온도계나 조도계 등을 활용한 체험적인 활동이 포함되는 특징이 있다. 우리의 초등 실과는 제한된 시수 안에서 가정영역과 기술영역을 둘 다를 교육하는 상황이므로 학습내용에 제한이 있다.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 시는 이러한 측면과 녹색생활 교육이 더욱 강화되는 국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주거공간의 냉 ․ 난방과 관련하여 자연환경을 활용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내용 이해를 촉진시키고 실생활에서의 실천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온도계 등의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흥미롭게 체험할 수 있는 활동자료 필요성의 시사점을 얻었다. 둘째, 중학교 교과서 주생활 영역의 특징은 ‘주거의 기능’, ‘가족과 주거’, ‘안전한 주거’, ‘쾌적한 주거’의 4개 내용을 선택적으로 집중하여 다루는 한편 실내공기 측정이나 소음 측정과 같은 실습과 조사 등의 실천적 ․ 체험적 활동을 포함시키고 있다. 우리의 교육 현실을 감안하고 국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중학교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 시 주생활 영역에 고려되거나 강화되어야 하는 내용은 저출산 ․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주거교육 내용과 실천력을 높일 수 있는 녹색 주생활 교육 내용이라고 본다. 유아와 노인의 안전한 주생활을 위한 내용은 저출산 ․ 고령화 사회에 기여할 수 있으며, 학교의 여러 장소나 교실의 이산화탄소 등을 측정해보는 체험적학습은 친환경적 실내공간에 대한 이해를 높여 실생활에서의 실천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측면을 고려한 내용 구성이 요망된다.

      • KCI등재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동향 비교

        장상옥(Jang, Sang 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동향을 연구 연도, 연구 대상, 연구 유형과 연구 주제에 따라 비교ㆍ분석하여 프로젝트 관련 연구 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학술정보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통하여 관련 주제어를 검색한 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164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별 동향을 보면, 프로젝트 접근법 연구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연구보다 많았으며 대체로 매년 4-6편의 연구가 최근까지 이루어졌으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연구는 최근 1-2편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연구 대상은 두 접근법 모두 유아 대상이 가장 많았고, 교사 대상은 최근에 증가하였다. 연구 유형은 프로젝트 접근법 연구는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문헌 연구의 순이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연구는 질적 연구, 문헌 연구, 양적 연구의 순으로 질적 연구가 많은 특성을 보이면서 다양한 질적연구 유형이 나타났다. 연구 주제는 두 접근법 모두 교수․학습방법과 교사교육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는 교육과정, 교육환경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더 이루어졌다. 두 접근법 관련 연구를 비교하고 논의하였으며 앞으로 프로젝트 관련 유아교육 연구가 더 활성화되기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of project approach research and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according to research year, research subjects, type of research and research themes and provide basic data for project related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164 papers in the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ject approach research was more than the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generally, four to six studies have been conducted each year, but the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has recently been reduced to one to two.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study subjects, both approaches had the highest number of young children in the human subject, and the study of teacher subjects was on the rise in recent years. In terms of research types, project approach research was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was in the order of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In both approaches, qualitative research showed many characteristics and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types appeared.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research them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er education themes were most often studied, while the Reggio Emilia approach included studies on various topics, such as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two approaches have been compared and discussed, and further project related studies have been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